KR20190007121A -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21A
KR20190007121A KR1020170087634A KR20170087634A KR20190007121A KR 20190007121 A KR20190007121 A KR 20190007121A KR 1020170087634 A KR1020170087634 A KR 1020170087634A KR 20170087634 A KR20170087634 A KR 20170087634A KR 20190007121 A KR20190007121 A KR 2019000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ser terminal
data
water los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136B1 (ko
Inventor
한창희
이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to KR102017008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136B1/ko
Priority to PCT/KR2018/007318 priority patent/WO2019013475A1/ko
Publication of KR2019000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피부 관리 시스템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검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바탕으로 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사용자 단말 및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피부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피부 상태에 적합한 피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곽에 존재하여 외부로부터의 세균 및 유해물질 침입 방지, 방수, 체온 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고 하며, 경피 수분 손실도는 피부 장벽 기능의 수준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즉, 경피 수분 손실도가 큰 경우는 피부를 통한 외부 알러지 유발 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아토피 증상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일으키므로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 및 유지는 피부 질환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또한, 경피 수분 손실도가 높게 측정되는 신생아는 아토피 유병률이 높으며 적절한 보습 관리를 함으로써 유병률을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 방법은 피부 표면의 수분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땀이 나는 경우 또는 보습제를 바른 경우에는 실제 피부 장벽을 통해 증발하는 수분의 양보다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한 수분 증발량이 많아서 피부 장벽의 특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땀이 나는 경우나 물이 존재하는 경우는 경피 수분 손실도가 증가한 원인을 확실하게 특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수분도와 경피 수분 손실도를 함께 측정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측정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피부 상태를 측정함에서 더 나아가, 측정된 피부 상태 및 피부 질환자의 상태를 기록한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방법을 제공하여 즉각적으로 피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즉, 측정된 피부 상태 및 기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의사 또는 미리 저장된 정보를 통해 즉각적으로 환자의 피부 상태에 적합한 피부 관리 방법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는 다른 측면에서, 아토피피부염, 건선 및 민감성피부 등의 경우, 완치가 어렵거나 완치까지 오래 걸리는 만성피부질환이며, 이러한 질환의 발생하면 환자는 신체적 고통과 함께 사회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질환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질환의 경우, 환자의 치료비와 더불어 사회적 비용이 매우 크게 소비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만성 피부질환은 매일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매일 병원에 가서 치료받기는 어렵기 때문에 환자가 질환 악화시 적기에 치료를 시작하지 못해 치료기간이 길어지고 고통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자가 집에서 관리하는 동안 환자의 피부 상태에 대한 정확한 측정 데이터와 사진을 포함한 질환 증상에 대한 기록을 환자로부터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방법을 제공하거나, 의사에게 전달하여 의사의 치료 방법 및 처방전을 제공하여 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의 장비 없이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기록하며, 피부 상태에 적합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하고, 상기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바탕으로 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사용자 단말 및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피부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상기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제4 주기로 상기 수신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수치화된 상기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기 설정된 제4 주기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더욱 체계적이고 간편하게 피부 상태에 따른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이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폰 북 어플리케이션, 방송 어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어플리케이션, 결제 어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피부 관리 시스템(1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 제1사용자 단말(100) 및 피부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바탕으로 피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에 접촉하여 전기적 임피던스를 통해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데이터는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고,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의 변화에 따른 피부 질환 및 피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의 변화에 따른 피부 질환 및 피부 상태는 건선,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건조 피부, 민감성 피부, 접촉성 피부염 및 알러지성 피부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의 변화에 따른 피부 질환 및 피부 상태는 상술한 건선,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건조 피부, 민감성 피부, 접촉성 피부염 및 알러지성 피부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 형태로 구성되어, 오픈된 일 측면에 접속된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량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에는 피부 측정 중 증가된 수분량과 온도 증가로 인한 압력 증가를 상쇄시켜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의 측정 결과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압력 배기구를 가질 수 있다.
피부 표면을 이루는 각질층의 수분 함량은 약 20~70% 정도지만, 피부 상의 공기는 피부보다 수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수분은 공기 중에 증발하여 확산하게 된다.
이에,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일부를 클로우즈 챔버의 오픈 면으로 덮으면 덮여있는 내부에서 피부 수분이 증발하여 공기중으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클로우즈 챔버 내에서 증가되는 습도 변화를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관리 데이터는 보승제 사용과 관련된 정보, 세안 등 청결에 대한 정보, 복약 지도 정보, 음식 관리 정보, 행동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한 피부 관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수치화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100)은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받은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부 증상에 대한 기록, 촬영된 피부 사진, 생활 정보, 행동 이력,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 피부에 사용한 화장품 또는 약품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이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100)은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사용자 단말(100)이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는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서버(300)는 기 설정된 제4 주기로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관리 솔루션은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치화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에 근거한 진단 내용, 처방 및 치료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피부 질환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행동을 기록하여 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피부 상태에 적합한 치료 방법 및 처방전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경우, 건선 판정에 대한 실시예이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동 시간대에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병변부 5cm 이내에 존재하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동 시간대에 측정한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 및 병변부 5cm 이내에 존재하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 및 병변부 5cm 이내에 존재하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 및 병변부 5cm 이내에 존재하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이용하여, 건선 판정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관리 서버(300)는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비교할 수 있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비교 결과, 건선 판정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건선 판정을 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의 건선 판정 기준은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가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의 70%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피부 관리 서버(300)는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가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의 70% 이하인 경우 건선 판정을 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 건선 판정 또는 건선에 대한 피부 관리 내용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송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비교하여, 건선 판정을 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건선 판정 및 건선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선 판정 및 건선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건선 판정, 건선에 대한 피부 관리 내용 및 건선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경우, 건선 발적 징후에 대한 실시예이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측정한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이용하여, 건선 발적 징후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건선 발적 징후라고 판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관리 서버(300)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과거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던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비교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비교 결과, 건선 발적 징후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건선 발적 징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선 발적 징후 기준은 피부 관리 서버(300)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가 과거 피부 관리 서버(300)가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던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의 70% 이하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과거 피부 관리 서버(300)가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던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는 2일 이상의 측정된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에 대한 평균 값일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가 건선 발적 징후라고 판정한 경우, 피부 관리 서버(300)는 건선 발적 징후라는 내용이 포함된 판정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서버(300)는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와 과거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였던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 및 과거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피부 관리 서버(300)가 수신하였던 동 위치의 비 병변부의 피부 수분도를 이용하여, 건선 발적 징후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에, 건선 발적 징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선 발적 징후 기준은 상술한 건선 발적 징후 기준과 동일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이 건선 발적 징후라고 판단한 경우, 제2사용자 단말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 건선 발적 징후라는 내용이 포함된 판정 및 피부 관리 솔루션을 송신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건선 발적 징후라는 내용이 포함된 판정 및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건선 발적 징후라는 내용이 포함된 판정 및 피부 관리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의 징후 판단에 관한 실시예이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가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측정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관리 서버(300)는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 이상인 경우,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아토피 피부염 발생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한 내용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사용자 단말은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 이상인 경우,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한 내용 또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한 내용 또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아토피 피부염 발병 또는 재발 징후라고 판단한 내용 또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에 대한 실시예이다.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가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가 측정한 경피 수분 손실도는 시간대 별 경피 수분 손실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가 측정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 또는 개선 판단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이상이고,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시간대 별 경피 수분 손실도가 증가하는 추세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악화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이상이고,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시간대 별 경피 수분 손실도가 감소하는 추세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 서버(300)는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 내용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이며,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시간대 별 경피 수분 손실도가 증가하는 추세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악화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사용자 단말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경피 수분 손실도가 15이며,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시간대 별 경피 수분 손실도가 감소하는 추세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은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 내용 및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에 상응하는 피부 관리 솔루션을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 내용 및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에 상응하는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 내용 및 아토피 피부염 악화 또는 개선 판단에 상응하는 피부 관리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사용자 단말(100)은 제1통신부(110), 제1입력부(120), 제1제어부(130), 제1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는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 기록 데이터 분석 모듈(133)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10)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 및 피부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통신부(110)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1통신부(110)는 피부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부(110)는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고, 제1통신부(11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입력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기록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부 증상에 대한 기록, 촬영된 피부 사진, 생활 정보, 행동 이력,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 피부에 사용한 화장품 또는 약품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패널,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제1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에 따른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을 측정하도록 하는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각종 오디오 데이터,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50)는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해야 하는 시간임을 알리는 알림음 또는 기록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시간임을 알리는 알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제1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1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 기록 데이터 분석 모듈(133),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100)이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바 도 3 및 도4를 참고하여, 제1제어부(130)가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 3을 참고하면, 우선, 제1제어부(130)는 제1통신부(110)를 통해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로부터 피부 수분도(SCH,stratum corneum hydration) 및 경피 수분 손실도(TEWL,transepidermal water loss)를 수신한다(S310).
이때, 피부 수분도는 피부 각질층에 함유된 수분량을 나타내며, 피부 수분도의 수치가 높을수록 건강한 피부이다.
경피 수분 손실도는 피부 각질층을 통해서 손실되는 수분량이며, 경피 수분 손실도가 높으면 외부의 세균과 바이러스, 알러젠의 침투가 증가하여 피부 알러지, 염증성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인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인 Tth보다 작으면, 건강한 피부인 것으로 판단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신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작으면, 경피 수분 손실도는 정상이고 피부 수분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30).
따라서,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작으면, 피부 수분도에 따른 피부 수분 개선을 위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4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피부 수분도가 정상이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50).
따라서,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경피 수분 손실도에 따른 피부 수분 개선을 위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6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가 모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피부 증상이 중증인 것으로 판단하여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에 따른 피부 수분 개선을 위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60).
그리고 제1제어부(130)는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부(14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1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을 송신할 수 있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이용해 도출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1통신부(110)가 수신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1제어부(130)는 제1통신부(110)를 통해 피부 수분도(SCH,stratum corneum hydration) 및 경피 수분 손실도(TEWL,transepidermal water loss)를 수신할 수 있다(S41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수신된 SCH 및 TEWL을 이용하여 △SCH 및 △TEWL를 산출할 수 있다(S420).
이때, △SCH는 날짜별 피부 수분도의 차이값 또는 측정 위치별 피부 수분도의 차이값이며, △TEWL 날짜별 경피 수분 손실도 차이값 또는 측정 위치별 경피 수분 손실도 차이값을 의미한다.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는 측정 장소의 습도 및 온도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으므로 날짜별 또는 위치별 피부 수분도의 차이값과 경피수분도의 차이값을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판별하면,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선" 피부의 경우, 병변 중앙일수록 TEWL 이 높고 바깥으로 갈수록 TEWL 낮아지며, 병변 중앙일수록 SCH가 낮고 바깥으로 갈수록 SCH가 높이진다. 따라서, △SCH 및 △TEWL가 커질수록 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인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인 Tth보다 작으면, 건강한 피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건강한 피부가 아닌 경우, △SCH 및 △TEWL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중증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SCH 가 △Hth보다 작고 △TEWL가 △Tth보다 크면, 중증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TEWL 및 SCH에 따른 피부 질환 관리 및 치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9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작으면, 경피 수분 손실도는 정상이고 피부 수분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50).
따라서,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작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작으면, 피부 수분도에 따른 피부 수분 개선을 위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60).
그리고 제1제어부(130)의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피부 수분도가 정상이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70).
따라서, 제1제어부(130)의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은 피부 수분도가 Hth보다 크고, 경피 수분 손실도가 Tth보다 크면, 경피 수분 손실도에 따른 피부 수분 개선을 위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80).
제1제어부(130)는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하고,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제1디스플레이부(14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디스플레이부(140)가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는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부(130)는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제1제어부(130)는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산출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부(14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11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산출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1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산출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판단한 내용,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131)이 산출한 내용 및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135)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이용해 도출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부(140)는 피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1통신부(110)가 수신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30)는 시간(720)을 기준으로 병변 부위의 사진(730), 사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노트(740) 및 피부 정보(75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30)는 일기 예보, 사용자의 피부 상태 등을 반영한 Today's tip(71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제2통신부(210), 제2입력부(220), 제2제어부(240) 및 제2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부(240)는 피부 수분 손실량 분석 모듈(241) 및 수분량 센싱 모듈(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통신부(210)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 피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제2입력부(220)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패널,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수치적으로 데이터화된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부(230)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의 통신 상태 및 전원 상태 등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0)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2제어부(240)는 피부 수분 손실량 분석 모듈(241) 및 수분량 센싱 모듈(243)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분량 센싱 모듈(243)은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 또는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시 기 설정된 기간 단위로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를 검출할 수 있다.
피부 수분 손실량 분석 모듈(241)은 수분량 센싱 모듈(243)에서 검출되는 습도를 실시간 전달받아 기 설정된 기간 단위로 수분도 및 습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을 검출한 후, 데이터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피부 관리 서버(300)는 제3통신부(310) 및 저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320)는 측정 데이터 DB(321), 기록 데이터 DB(322) 및 피부 관리 데이터 DB(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부(310)는 제1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통신부(310)는 피부 데이터, 기록 데이터 및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통신부(310)는 제2사용자 단말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3통신부(31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할 수 있고, 제3통신부(310)는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피부 관리 솔루션을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피부 데이터, 기록 데이터 및 피부 관리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 데이터 DB(321)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피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기록 데이터 DB(322)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피부 관리 데이터 DB(323)는 제1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 수분도를 측정한다(S810).
그리고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한다(S820).
그리고,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200)는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제1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한다(S830).
제1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840).
이때, 기록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부 증상에 대한 기록, 촬영된 피부 사진, 생활 정보, 행동 이력,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 피부에 사용한 화장품 또는 약품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기록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된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850).
제1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와 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한다(S860).
보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 등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사용자 단말(100)은 생성된 피부 관리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S870).
또한, 제1사용자 단말(100)은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단말(100)은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와 치료 방법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해, 사용자는 고가의 장비 없이 피부 상태를 측정할 수 있고,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피부 상태에 적합한 피부 관리 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피부 관리 시스템 100: 제1사용자 단말
110: 제1통신부 120: 제1입력부
130: 제1제어부 131: 측정 데이터 분석 모듈
133: 기록 데이터 분석 모듈 135: 피부 관리 데이터 생성 모듈
140: 제1디스플레이부 150: 오디오 출력부
200: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 210: 제2통신부
220: 제2입력부 230: 제2디스플레이부
240: 제2제어부 241: 피부 수분 손실량 분석 모듈
243: 수분량 센싱 모듈 300: 피부 관리 서버
310: 제3통신부 320: 저장부
321: 측정 데이터 DB 322: 기록 데이터 DB
323: 피부 관리 데이터 DB

Claims (14)

  1. 피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고,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하고, 상기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를 바탕으로 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사용자 단말;및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피부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상기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제4 주기로 상기 수신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
  8.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로부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및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피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접촉형 관리 장치가 피부로부터 손실되는 수분량을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피부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피부 관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수치화하는 단계;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수치화된 상기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2 주기로 기 저장된 병변 부위의 피부 수분도 및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을 위한 측정 안내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제1 주기로 기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기록 입력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기록 데이터를 피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기 설정된 제4 주기로 피부 데이터 및 기록 데이터를 제2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피부 관리 서버가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측정 부위별 피부 수분도 또는 경피 수분 손실도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제3 주기마다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이 상기 피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피부 관리 솔루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70087634A 2017-07-11 2017-07-11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0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34A KR102002136B1 (ko) 2017-07-11 2017-07-11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18/007318 WO2019013475A1 (ko) 2017-07-11 2018-06-28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34A KR102002136B1 (ko) 2017-07-11 2017-07-11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21A true KR20190007121A (ko) 2019-01-22
KR102002136B1 KR102002136B1 (ko) 2019-07-24

Family

ID=6500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634A KR102002136B1 (ko) 2017-07-11 2017-07-11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2136B1 (ko)
WO (1) WO201901347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724A1 (ko)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KR20200125158A (ko) * 2019-04-26 2020-11-04 (주)미인시스템즈 피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1166A (ko) * 2021-04-12 2022-10-19 (주)트루시스템 반려동물 피부 측정 및 피부병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093A (ja) * 2000-12-07 2002-06-18 Scalar Corp 診断システム、診断データ生成方法、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及び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6296582A (ja) * 2005-04-18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肌水分量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184B1 (ko) * 2012-03-15 2013-1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수분 측정기기 및 방법
KR20160009901A (ko) * 2014-07-17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방법
JP2016159114A (ja) * 2015-03-05 2016-09-05 株式会社エスキュー 肌分析システム、肌分析装置および肌分析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2093A (ja) * 2000-12-07 2002-06-18 Scalar Corp 診断システム、診断データ生成方法、それに用いられる情報処理装置、及び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6296582A (ja) * 2005-04-18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肌水分量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724A1 (ko)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KR20200125158A (ko) * 2019-04-26 2020-11-04 (주)미인시스템즈 피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1166A (ko) * 2021-04-12 2022-10-19 (주)트루시스템 반려동물 피부 측정 및 피부병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136B1 (ko) 2019-07-24
WO2019013475A1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onstra et al. Using mobile phone sensor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research: integrated analysis to identify hidden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Evans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for older adults and those with heart failure: adherence and system usability
Yin et al. Digital health apps in the clinical car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coping review
Place et al. Behavioral indicators on a mobile sensing platform predict clinically validated psychiatric symptoms of mood and anxiety disorders
Brown et al. Is resistant hypertension really resistant?
Farup et al. The impact of nocturnal symptoms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Little et al. Comparison of agreement between different measures of blood pressure in primary care and daytime ambulatory blood pressure
US20130085758A1 (en) Telecare and/or telehealth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EP3364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determining a medical condition of a user
Baad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lanoma thickness and time to diagnosis in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Fiske et al. Data work: meaning-making in the era of data-rich medicine
KR102477776B1 (ko)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02136B1 (ko)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yle et al. Older adults' attitudes to self-management of health and wellness through smart home data
Happell et al. What determines whether nurses provide physical health care to consumer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McBeath et al. Digital technologies to support better outcome and experience of car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Frith et al. The duration of the orthostatic blood pressure drop is predictive of death
Savoldelli et al.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of televisits and telemonitoring for heart failure patients in less than 6 months: a methodological approach
Andersson et al. White-coat hypertension detected during opportunistic blood pressure screening in a dental healthcare setting
Garg et al. Validation of the Hidradenitis Suppurativa 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a novel hidradenitis suppurativa–specific 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for use in interventional trials
Shah et al. Suicide in older people
US20230233158A1 (en) Computerized decision support tool and medical device for scratch detection and flare prediction
Hah et al. Rationalizing personal health management (PHM) policy: identifying health IT use patterns via observations of daily living (ODLs) data
Fukui et al. A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and heart rate fluctuations and death occurrence in dying cancer patients: Continuous measurement with a non-wearable monitor
Nymand et al. Limitations of using questionnaires for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soriasis and atopic dermatitis among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