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103A -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103A
KR20190007103A KR1020197000932A KR20197000932A KR20190007103A KR 20190007103 A KR20190007103 A KR 20190007103A KR 1020197000932 A KR1020197000932 A KR 1020197000932A KR 20197000932 A KR20197000932 A KR 20197000932A KR 20190007103 A KR20190007103 A KR 2019000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metal shell
branch
antenna
excita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 왕
리안후아 리
파핑 왕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막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1 슬롯과, 금속 쉘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슬롯과 연결된 제1 단부와 금속 쉘의 에지로 연장되며 열린 제2 단부를 구비한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2 슬롯이 제공된 금속 쉘; 금속 쉘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슬롯의 폭 방향으로 제1 슬롯을 덮는 여기 시트; 여기 시트와 금속 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슬롯과 제2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유전체 채움층; 및 금속 쉘로부터 이격되어 유전체 채움층의 표면에 배치되고, 여기 시트에 연결된 확장 공진 브랜치;를 포함하며, 확장 공진 브랜치는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슬롯과 제2 슬롯은 서로 교차하여 T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145639.3호의 우선권과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체는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개시는 통신 장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 안테나는 쉘의 통신 영역에 위치한 제1 슬롯과 제2 슬롯, 유전체 기판 및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부로 구성된다. 제1 슬롯은 제2 슬롯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슬롯은 제1 주파수 대역폭 신호를 방사하는데 사용되고, 제2 슬롯은 제2 주파수 대역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제2 주파수 대역폭 신호를 방사하는데 사용되며, 유전체 기판은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을 덮고,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부는 제1 슬롯과 제2 슬롯의 방사를 여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주파수 신호는 슬롯들에 의해서만 방사되고, 주파수 신호는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며, 2개의 슬롯은 개별적으로만 2개의 공진을 생성하고 2개의 다른 주파수 대역폭 신호들을 방사하기 때문에, 4G 시대에서는 초광대역 기술 통신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슬롯은 주파수 통신에서 음향 전송홀(sound transmission hole)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휴대 단말의 외관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먼지를 유입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적어도 어느 정도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는 2G, 3G 및 4G의 통신 조건을 충족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폭,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얻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막힌(closed)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1 슬롯; 및 상기 금속 쉘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슬롯과 연결된(communicate) 제1 단부와 상기 금속 쉘의 에지로 연장되며 열린(opened thereat)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2 슬롯;이 제공된 상기 금속 쉘; 상기 금속 쉘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롯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롯을 덮는 여기 시트; 상기 여기 시트와 상기 금속 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유전체 채움층; 및 상기 금속 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전체 채움층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여기 시트에 연결된 확장 공진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공진 브랜치는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서로 교차하여 T 형상을 형성하는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2G, 3G 및 4G의 통신 조건을 충족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폭,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용 안테나는 다음의 부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더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롯과 제2 슬롯은 금속 쉘의 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롯은 금속 쉘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슬롯은 제1 슬롯과 연결된(communicate) 하부 단부와 금속 쉘의 상부 에지로 연장되고 열려 있다(open).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롯의 폭은 대략 0.5mm 내지 5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롯의 폭은 대략 0.5mm 내지 5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롯과 제1 슬롯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대략 52mm 내지 72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롯과 제1 슬롯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대략 15.5mm 내지 25.5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 시트는,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금속 쉘의 종 방향으로 제1 슬롯과 제1 슬롯과 인접한 금속 쉘의 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1 브랜치; 및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브랜치에 연결되며, 제1 브랜치보다 큰 폭보다 가지며, 제1 슬롯의 폭 방향으로 제1 슬롯을 덮는 제2 브랜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금속 쉘의 내측에 배치되고, 여기 시트와 금속 쉘에 각각 연결된 매칭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 네트워크는 제2 브랜치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브랜치에는, 신호선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급전 신호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 시트와 금속 쉘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0.5mm 내지 2mm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채움층은, 금속 쉘과 여기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 절연부에 연결되고 제1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제1 채움부; 및 절연부에 연결되고 제2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제2 채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부는, 신호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치(notch)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채움층은, 통합 몰딩 방식(integration molding manner)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전체 채움층은, 3 미만의 유전체 상수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 공진 브랜치는, 인덕터 소자 또는 커패시터 소자를 통해 여기 시트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 공진 브랜치는, 대략 15mm 내지 25mm의 길이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이 제공되는데, 휴대 단말은 본 개시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양호한 주파수 성능,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2G, 3G 및 4G의 통신 조건을 충족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폭,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양호한 주파수 성능,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측면 및 장점들이 명확해질 것이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안테나의 금속 쉘의 외측에서 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안테나의 금속 쉘의 내측에서 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안테나의 금속 쉘의 내측에서 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개략도로, 유전체 채움층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는 도 2의 섹션 라인 I-I을 따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유전체 채움층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여기 시트, 매칭 네트워크 및 확장 공진 브랜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참조될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기술적이며, 본 개시를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설명 전체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로 도시된다.
본 개시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금속 쉘(10)의 횡 방향은 화살표 A로 도시되며, 도 1 내지 도 4에서 금속 쉘(10)의 종 방향은 화살표 B로 도시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방향은 안테나(1)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직 방향을, 내부 및 외부 방향은 안테나(1)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내부 및 외부 방향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금속 쉘(10), 여기 시트(20), 유전체 채움층(30), 매칭 네트워크(40) 및 확장 공진 브랜치(50)를 포함한다.
금속 쉘(10)에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슬롯(11)과 금속 쉘(10)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슬롯(12)이 제공된다. 제1 슬롯(11)과 제2 슬롯(12)은 모두 금속 쉘(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금속 쉘(10)을 관통한다. 제1 슬롯(11)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닫혀(closed) 있으며, 제2 슬롯(12)은 제1 슬롯(11)과 연결된 제1 단부와 금속 쉘(10)의 에지로 연장되며 개방된(opened thereat) 제2 단부를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슬롯(11)과 제2 슬롯(12)은 서로 교차하여 T 형상을 형성한다. 여기 시트(20)는 금속 쉘(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슬롯(11)의 폭 방향으로 제1 슬롯(11)을 덮는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제1 슬롯(11)의 폭 방향은 제1 슬롯(11)의 짧은 에지의 연장 방향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유전체 채움층(30)은 여기 시트(20)와 금속 쉘(1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슬롯(11)과 제2 슬롯(12)을 채운다. 매칭 네트워크(40)는 금속 쉘(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여기 시트(20) 및 금속 쉘(10)에 각각 연결된다.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금속 쉘(10)로부터 이격되어 유전체 채움층(30)의 표면에 배치되며, 여기 시트(20)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는 금속 쉘(10)을 방사면(radiant surface)으로 사용하며, 이는 안테나 신호가 차폐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안테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금속 쉘(10)에는 서로 교차하여 T 형상을 형성하는 제1 슬롯(11)과 제2 슬롯(12)이 제공되고,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유전체 채움층(30) 위에 배치되고, 매칭 네트워크(40)와 결합되기 위한 여기 시트(30)가 제공되기 때문에, 안테나(1)의 성능이 효율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안테나(1)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롯(11)에 인접한 금속 쉘(10)의 에지는 제2 슬롯(12)에 의해 제1 공진 브랜치(L1) 및 제2 공진 브랜치(L2)로 나뉠 수 있는데, 즉 제1 공진 브랜치(L1) 및 제2 공진 브랜치(L2)는 금속 쉘(10)에 속하고, 제1 슬롯(11) 및 제2 슬롯(12)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제1 공진 브랜치(L1)는 결합 급전 방식(couple feeding manner)으로 여기 시트(20)에 의해 여기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대략 791MHz에서 960MHz)을 커버하기 위한 공진을 생성하며, 제2 공진 브랜치(L2), 제1 공진 브랜치(L1) 및 여기 시트(20)가 함께 결합될 수 있고, 또한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추가 공진을 생성하여 고주파수 광대역으로 확장함으로써, 고주파수 대역(대략 1710MHz 내지 2690MHz)을 얻을 수 있고,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안테나는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 바꾸어 말하면, 안테나는 단지 슬롯들에 의존하는 대신, 방사하기 위해 슬롯들 및 형성된 공진 브랜치들과 연결(communicate)되기 위한 여기 시트(20)에 주로 의존한다.
또한, 제1 슬롯(11)과 제2 슬롯(12)은 통합 몰딩 방식(integration molding manner)으로 형성된 유전체 채움층(40)에 의해 채워짐으로써, 여기 시트(20)를 금속 쉘(10)로부터 절연시킬 뿐 아니라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휴대 단말의 외관을 아름답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의 주파수 대역을 테스트함에 의해, 안테나(1)의 성능은 훌륭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는 넓은 통신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며,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단지 하나의 공진을 생성하기보다는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복수의 공진을 생성하며, 이는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및 LTE(Long Term Evolution)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1)는 2G, 3G 및 4G의 통신 조건을 충족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폭,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을 보여준다.
본 개시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금속 쉘(10), 여기 시트(20), 유전체 채움층(30), 매칭 네트워크(40) 및 확장 공진 브랜치(5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11) 및 제2 슬롯(12)은 휴대 단말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피하기 위해 금속 쉘(10)의 일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슬롯(11)은 금속 쉘(10)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 방향은 안테나(1)를 포함한 휴대 단말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부 및 하부 방향을 지칭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부 및 하부 방향은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제2 슬롯(12)은 제1 슬롯(11)과 연결된 하부 단부와 금속 쉘(10)의 상부 에지로 확장되고 열린(opened thereat) 상부 단부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제1 슬롯(11)의 폭은 대략 0.5mm 내지 5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슬롯(11)의 폭은 2.5mm이다. 또한, 제2 슬롯(12)의 폭은 대략 0.5mm 내지 5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슬롯(12)의 폭은 2.5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슬롯(12)과 제1 슬롯(11)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대략 52mm 내지 72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슬롯(12)과 제1 슬롯(11)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대략 62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슬롯(12)과 제1 슬롯(11)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대략 15.5mm 내지 25.5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슬롯(12)과 제1 슬롯(11)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대략 20.5mm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공진 브랜치(L1)의 길이는 52mm 내지 72mm이고 바람직하게는 62mm이며, 제2 공진 브랜치(L2)의 길이는 대략 15.5mm 내지 25.5mm이고 바람직하게는 20.5mm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제1 공진 브랜치(L1) 및 제2 공진 브랜치(L2)의 길이는 안테나(1)의 성능에 따라 합리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2, 3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11)은 제1 슬롯(12)에 의해 단부(short part) 및 장부(long part)로 나누어지며, 여기 시트(20)는 제1 슬롯(11)의 장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여기 시트(30)는 제1 공진 브랜치(L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 시트(20)는 제1 브랜치(21) 및 제2 브랜치(22)를 포함한다. 제1 브랜치(21)는 금속 쉘(20)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브랜치(21)는 금속 쉘(10)의 종 방향으로 제1 슬롯(11)과 제1 슬롯(11)에 인접한 금속 쉘(10)의 일 에지(one edge)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브랜치(21)는 제1 슬롯(11)과 금속 쉘(10)의 상부 에지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브랜치(22)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브랜치(21)에 연결된다. 제2 브랜치(22)는 제1 브랜치(21)의 폭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지며, 제1 슬롯(11)의 폭 방향으로 제1 슬롯(11)을 덮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매칭 네트워크(40)는 제2 브랜치(22)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브랜치(22)에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신호선(24)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급전 신호 액세스 포인트(23)가 제공된다. 따라서, 여기 시트(20)의 여기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 시트(20)와 금속 쉘(10)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0.5mm 내지 2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 시트(20)와 금속 쉘(10)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0.6mm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제1 브랜치(21)와 제2 슬롯(12) 사이의 위치 관계는 실제 응용 및 요구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브랜치(21)가 제2 슬롯(12)으로부터 분리된 예시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채움층(30)은 절연부(31), 제1 채움부(32) 및 제2 채움부(33)을 포함한다. 절연부(31)는 금속 쉘(10)을 여기 시트(20)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금속 쉘(10)과 여기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연부(31)는 신호선(2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치(34)를 구비한다. 제1 채움부(32)는 절연부(31)에 연결되고 제1 슬롯(11)을 채우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채움부(33)는 절연부(31)에 연결되고 제2 슬롯(12)을 채우기 위해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여기 시트(20)와 금속 쉘(10)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0.5mm 내지 2mm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6mm이다. 바꾸어 말하면, 절연부(31)의 폭은 대략 0.5mm 내지 2mm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0.6mm이다.
유전체 채움층(30)의 절연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유전체 채움층(30)은 3 미만의 유전 상수를 가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인덕터 소자 또는 커패시터 소자(51)를 통해 여기 시트(2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인덕터 소자를 통해 여기 시트(2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장 공진 브랜치(50)는 금속 쉘(10)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15mm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대략 20mm의 길이를 가진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확장 공진 브랜치(50)의 길이는 안테나(1)의 임피던스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양호한 안테나 성능, 깔끔하고 화려한 외관, 양호한 방진 성능 등과 같은 다수의 장점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은 태블릿 PC, 랩탑, 휴대폰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 및 다른 부품들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중심(central)”, “종 방향(longitudinal)”, “횡 방향(transverse)”, “길이(length)”, “폭(width)”, “두께(thickness)”, “상부(upper)”, “하부(lower)”, “전(front)”, “후(rear)”, “좌(left)”, “우(right)”, “수직(vertical)”, “수평(horizontal)”, “탑(top)”, “바텀(bottom)”, “내부(inner)”, “외부(outer)”, “시계방향(clockwise)”,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등과 같은 용어들은 도면에 기초하여 나타나 있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설명을 편하게 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장치 또는 제품이 필수적으로 특정의 방향을 가지고,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하는 것이 아니며, 이로 인해 본 개시의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또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기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 특징의 수량을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정의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 중, "다수"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면, "장착된(mounted)" "연결된(connected)", "결합된(coupled)", "고정된(fixed)" 및 유사한 용어들은,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정된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통합 연결; 또한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 매개 구조들(intervening structures)을 통한 직접 또는 간접적 연결; 또한, 특정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2개의 요소들의 내부적 연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면,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on)" 또는 "하(below)"에 있는 구조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과 직접 접촉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는 않으나, 그들 사이에 형성된 부가적인 특징을 통해 접촉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특징의 "상(on)", "위(above)", 또는 "상부(on top of)"에 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상(on)", "위(above)", 또는 "상부(on top of)"에 직접 또는 비스듬히 있거나 또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높이보다 더 높이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면 제2 특징의 "하(on)", "아래(above)", 또는 "하부(on top of)"에 있는 제1 특징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하(on)", "아래(above)", 또는 "하부(on top of)"에 직접 또는 비스듬히 있거나 또는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높이보다 더 낮게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일부 실시예", "하나의 실시예", "다른 예시", "예시", "구체적 예시" 또는 "일부 예시"에 대한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여러 위치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다른 예시에서", "예시에서", "구체적 예시에서" 또는 ""부 예시에서"와 같은 용어의 출현은 반드시 본 개시의 같은 실시예 또는 예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상기 실시예가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정신,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본 개시에 대한 변화,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1: 안테나 10: 금속 쉘
11: 제1 슬롯 12: 제2 슬롯
20: 여기 시트 21: 제1 브랜치
22: 제2 브랜치 23: 급전 신호 액세스 포인트
24: 신호선 30: 유전체 채움층
31: 절연부 32: 제1 채움부
33: 제2 채움부 34: 노치
40: 매칭 네트워크 50: 확장 공진 브랜치
51: 인덕터 소자 또는 커패시터 소자

Claims (19)

  1.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막힌(closed)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1 슬롯; 및 상기 금속 쉘의 종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슬롯과 연결된 제1 단부와 상기 금속 쉘의 에지로 연장되며 열린(opened thereat) 제2 단부를 구비한, 상기 금속 쉘을 관통하는 제2 슬롯;이 제공된 상기 금속 쉘;
    상기 금속 쉘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롯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롯을 덮는 여기 시트;
    상기 여기 시트와 상기 금속 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유전체 채움층; 및
    상기 금속 쉘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전체 채움층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여기 시트에 연결된 확장 공진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공진 브랜치는,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서로 교차하여 T 형상을 형성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과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금속 쉘의 일 에지(one edge)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안테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금속 쉘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1 슬롯과 연결된 하부 단부와 상기 금속 쉘의 상부 에지로 연장되고 열린(open) 상부 단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의 폭은, 0.5mm 내지 5mm 사이인 안테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의 폭은, 0.5mm 내지 5mm 사이인 안테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52mm 내지 72mm인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과 상기 제1 슬롯의 제2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15.5mm 내지 25.5mm인 안테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시트는,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금속 쉘의 종 방향으로 제1 슬롯과 상기 제1 슬롯과 인접한 금속 쉘의 일 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1 브랜치; 및
    상기 금속 쉘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브랜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브랜치보다 폭보다 큰 폭보다 가지며, 상기 제1 슬롯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롯을 덮는 제2 브랜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쉘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기 시트와 상기 금속 쉘에 각각 연결된 매칭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네트워크는, 상기 제2 브랜치에 연결되는 안테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랜치에는, 신호선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급전 신호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되는 안테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시트와 상기 금속 쉘의 내부면 사이의 거리는, 0.5mm 내지 2mm인 안테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채움층은,
    상기 금속 쉘과 상기 여기 시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제1 채움부; 및
    상기 절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롯을 채우도록 구성된 제2 채움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신호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노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채움층은, 통합 몰딩 방식(integration molding manner)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채움층은, 3 미만의 유전체 상수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안테나.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공진 브랜치는, 인덕터 소자 또는 커패시터 소자를 통해 상기 여기 시트에 연결되는 안테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공진 브랜치는, 15mm 내지 25mm의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20197000932A 2015-03-31 2016-03-28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20190007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145639.3A CN106159440B (zh) 2015-03-31 2015-03-31 天线和具有它的移动终端
CN201510145639.3 2015-03-31
PCT/CN2016/077488 WO2016155591A1 (en) 2015-03-31 2016-03-28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32A Division KR20170107579A (ko) 2015-03-31 2016-03-28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103A true KR20190007103A (ko) 2019-01-21

Family

ID=570055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932A KR20190007103A (ko) 2015-03-31 2016-03-28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1020177025132A KR20170107579A (ko) 2015-03-31 2016-03-28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32A KR20170107579A (ko) 2015-03-31 2016-03-28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61477B2 (ko)
EP (1) EP3278399A4 (ko)
JP (1) JP6554550B2 (ko)
KR (2) KR20190007103A (ko)
CN (1) CN106159440B (ko)
WO (1) WO2016155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8486A1 (en) 2016-08-08 2018-02-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housing
CN106848537A (zh) * 2017-01-13 2017-06-13 深圳市中天迅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采用金属外壳终端设备的近场通信天线装置
KR20180130412A (ko) * 2017-05-29 2018-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257605B (zh) * 2017-07-13 2020-03-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壳体、制备方法和移动终端
CN107634304B (zh) * 2017-09-04 2024-04-19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7611565B (zh) * 2017-09-13 2020-1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gps-wifi天线及移动终端
CN108666741B (zh) * 2018-05-14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08539420B (zh) * 2018-05-16 2020-12-08 西安电子科技大学 具有金属窄边框的八频段平板电脑天线
CN111326858B (zh) * 2018-12-17 2021-09-03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结构
TWI688159B (zh) * 2019-01-18 2020-03-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行動裝置
WO2021045241A1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2290197B (zh) * 2020-09-21 2023-07-14 深圳市思讯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tws真无线耳机的微型定向高增益天线
CN112563743A (zh) * 2020-12-03 2021-03-26 西安朗普达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手机天线
CN112751175B (zh) * 2020-12-30 2023-07-25 深圳市艾斯龙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系统及耳机
WO2024122607A1 (ja) * 2022-12-09 2024-06-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0670A1 (en) * 2007-10-19 2009-04-23 Nxp B.V. Dual band slot antenna
US20090256766A1 (en) * 2008-04-09 2009-10-15 Bury Sp Z O.O. Mobile phone antenna integrated with battery
TWI389392B (zh) * 2009-01-23 2013-03-11 Univ Nat Chiao Tung Flat antenna
CN102074803A (zh) 2009-11-20 2011-05-25 联想(北京)有限公司 微带馈电缝隙天线及移动终端
KR101092094B1 (ko) 2010-05-13 2011-12-12 라디나 주식회사 확장된 그라운드를 이용한 광대역 안테나
US8766858B2 (en) * 2010-08-27 2014-07-01 Apple Inc. Antennas mounted under dielectric plates
US9450291B2 (en) 2011-07-25 2016-09-20 Pulse Finland Oy Multiband slot loop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TWI483460B (zh) * 2011-12-28 2015-05-01 Acer Inc 通訊裝置及其天線結構
TWI550951B (zh) * 2012-07-06 2016-09-2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天線組件及具有該天線組件之無線通訊裝置
CN103579754B (zh) * 2012-07-24 2016-12-21 联想(北京)有限公司 天线和用于形成天线的方法
TWI557995B (zh) * 2012-10-19 2016-11-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多頻天線組件及具有該多頻天線組件的可攜帶型電子裝置
TW201427181A (zh) 2012-12-25 2014-07-01 Compal Electronics Inc 多頻天線
KR101439001B1 (ko) 2013-01-25 2014-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의 급전 구조체
CN103531908B (zh) 2013-10-30 2016-02-03 电子科技大学 多频带平面印刷天线
CN203950905U (zh) * 2014-05-26 2014-11-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天线和具有该天线的电子设备
CN105226371B (zh) * 2014-05-26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子设备的天线系统和具有该天线系统的电子设备
CN104134857B (zh) * 2014-08-01 2016-05-18 清华大学 一种八频段平面印刷手机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5005A (ja) 2018-06-07
JP6554550B2 (ja) 2019-07-31
CN106159440A (zh) 2016-11-23
KR20170107579A (ko) 2017-09-25
WO2016155591A1 (en) 2016-10-06
US20180090819A1 (en) 2018-03-29
US10361477B2 (en) 2019-07-23
CN106159440B (zh) 2019-07-26
EP3278399A1 (en) 2018-02-07
EP3278399A4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7103A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
KR101904064B1 (ko) 모바일 폰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폰
WO2017000887A1 (e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CN105932408B (zh) 一种高隔离度的金属边框lte调谐天线
TWI599105B (zh) 行動通訊裝置
US100691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of the same
FI114587B (fi) Tasoantennirakenne
EP3149804B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of the same
CN108321501A (zh) 一种金属边框天线
WO2017024670A1 (zh) 一种天线系统以及通信电子设备
CN105098332A (zh) 一种天线系统以及通信电子设备
CN105071023A (zh) 手机天线
CN206022622U (zh) 一种耦合寄生低剖面高隔离度mimo天线
CN105846076B (zh) 天线
CN205159516U (zh) 背腔缝隙天线结构
CN103825080A (zh) 一种适用于移动终端的新型宽频带lte天线
CN206432382U (zh) 天线和移动终端
KR101024350B1 (ko) 내장형 복합구조 안테나
CN109301449B (zh) 一种多频外置天线
CN108023183B (zh) 移动终端的天线结构及移动终端
CN104900985B (zh) 天线及无线通讯设备
CN106063035A (zh) 一种天线及无线设备
CN207705390U (zh) 一种移动终端
KR20120058435A (ko) 단말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내장형 안테나
KR20110103820A (ko) 내장형 복합구조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