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747A - 밀대형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밀대형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747A
KR20190006747A KR1020170087828A KR20170087828A KR20190006747A KR 20190006747 A KR20190006747 A KR 20190006747A KR 1020170087828 A KR1020170087828 A KR 1020170087828A KR 20170087828 A KR20170087828 A KR 20170087828A KR 20190006747 A KR20190006747 A KR 20190006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groove
plate
coupling
m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739B1 (ko
Inventor
손길태
Original Assignee
손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길태 filed Critical 손길태
Priority to KR102017008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7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막대 혹은 파이프 형태의 밀대봉, 일 단은 밀대봉에 결합되고 다른 단에는 좁고 긴 선형 입구를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홈에 일 변이 삽입되어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걸레판을 구비하는 밀대형 청소도구에 있어서,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선형 입구와 나란한 단차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결합홈에 삽입되는 걸레판 표면에는 단차홈에 대응되어 단차홈에 안착되는 돌출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걸레판을 부착한 밀대 걸레를 상황에 맞게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걸레판을 결합부재에 단단히 결합시키면서도 필요시 요령있게 제거하여 간단한 형태로 사용하거나, 걸레판의 부분적 망실에 대응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내구성 있게 착탈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대형 청소도구{push stick typ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밀대형 청소도구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대 단부에 천 걸레를 설치할 수 있는 탄성 걸레판이 설치된 밀대형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청소도구들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과거의 밀대걸레는 통상 긴 막대 끝에 철물을 이용하여 다수의 섬유 다발로 이루어진 걸레를 고정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런 밀대걸레는 걸레를 빨고 물을 짜는 일이 쉽지 않아 우레탄폼 등 스폰지형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밀대걸레, 부직포나 천 걸레를 밀대 하단의 단단한 플라스틱 판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밀대걸레, 밀대 하단의 플라스틱 판을 원형으로 설치하고 플라스틱 판에 섬유다발로 이루어진 걸레를 장착하고 걸레를 빨 때에는 회전용기에 얹어 회전시켜 탈수를 하도록 이루어진 밀대걸레 등이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 다양한 청소 작업을 위해 밀대 막대의 끝단에 탄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의 걸레판을 설치하고, 이 걸레판 일면이나 양면에 각각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천 걸레를 결합시켜 청소 대상물을 닦거나, 천 걸레 없이 탄성 걸레판의 일 변(청소변)을 이용하여 대상물 표면에 잔류된 물이나 오염물과 닦아내도록 한 밀대형 청소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탄성 걸레판을 설치한 밀대걸레에서 가까운 거리의 대상물을 청소할 때 밀대에서 탄성 걸레판을 분리하여 탄성 걸레판만 사용하여 표면 물기 제거작업을 하는 것이 더 편리할 경우가 있다.
또한, 탄성 걸레판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표면의 거친 물체와 닿거나 외력을 받아 심하게 뒤틀리면서 훼손되어 전체가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특히, 대상물과 닿는 걸레판의 청소변은 청소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른 변에 비해 대상물과의 접촉을 용이하도록 얇고 뾰죽하게 형성되어 이러한 훼손의 위험은 더 높아지게 된다.
이런 밀대 걸레에서 탄성 걸레판은 사용 중에 밀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통상 밀대의 하단에서 결합부재에 접착제 등으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걸레판이 훼손되면 밀대 전체를 버리고 새 것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밀대와 걸레판의 교체가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만든 것은 사용중에 착탈부가 헐겁게 되어 사용중에 수시로 걸레판이 밀대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볼트 너트와 같은 탈착용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부재 수 증가에 따른 비용부담의 문제와 착탈에 소요되는 시간의 증가 및 편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탈을 위한 구성이 있는 경우에도 그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나기 쉽고 제작비용을 높이는 문제가 있고, 반면, 단순한 착탈 구성인 경우, 오랜 시간 사용하면 재질의 한계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고 그 구성이 열화되어 시간이 지나면 쉽게 착탈되지 않거나, 쉽게 빠져버리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9579호 :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걸레판을 가진 밀대형 청소도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한편으로 밀대와 걸레판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착탈의 용이성을 유지하면서 추가 비용의 문제가 없는 걸레판을 가진 밀대형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걸레판을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걸레판의 훼손시에 쉽게 걸레판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밀대형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에 따라 교체 착탈을 위한 부분이 쉽게 망실, 훼손되지 않는 구성을 가진 밀대형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대형 청소도구는
막대 혹은 파이프 형태의 밀대봉,
일 단은 밀대봉에 결합되고 다른 단에는 좁고 긴 선형 입구를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
결합홈에 일 변이 삽입되어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걸레판을 구비하는 밀대형 청소도구에 있어서,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선형 입구와 나란한 단차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결합홈에 삽입되는 걸레판 표면에는 단차홈에 대응되어 단차홈에 안착되는 돌출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의 일부에는 걸레판이 삽입되는 결합홈 공간과 결합부재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결합부재 내부에서 밀대봉이 끼워지는 밀대홈 공간과 걸레판이 삽입되는 결합홈 공간은 서로 내부공간을 통해 연통되며, 연결구멍은 이런 결합부재 내부공간을 결합부재 외부 공간과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차홈은 선형 입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결합홈의 내측 양면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설치되고, 이 결합홈에 삽입되는 걸레판 양측 표면의 돌출단은 걸레판이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이런 단차홈에 놓여 서로 맞물리는 단턱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의 결합홈의 선형입구를 이루는 두 장변은 걸레판이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서로 접근하여 양쪽 단변에서는 서로 떨어지지만 장변 중앙부가 서로 닿거나 틈이 양 단변쪽에 비해 좁게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걸레판에 사용되는 청소포로는 고축사로 누벼 수축시킨 망사천과 베이스천을 합지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청소포의 베이스천은 수분흡수력이 망사천보다 크고 벨크로(찍찍이) 방식으로 걸레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걸레판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초기에는 직사각형의 한 변(청소변) 부분만 대상물의 청소면에 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힘을 주어 대상물의 청소면에 밀착시키면 90도 이상 구부러져 결합부재 밖으로 드러난 걸레판 면적의 2/3 이상이 청소면에 닿을 수 있는 고탄력 복원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성 걸레판의 대상물에 닿는 청소변(에지:edge)은 걸레판 양면이 서로 예각을 이루는 경사부에 의해 청소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끝단이 얇고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대상물과의 접촉시 대상물의 표면에 약간의 굴곡이 있어도 그 형태에 따라 청소변이 쉽게 변형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판을 부착한 밀대 걸레를 상황에 맞게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걸레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걸레판 에지를 이용하여 매끈한 유리나 타일면에 묻은 액상의 오염물이나 청소를 한 뒤 남아있는 물을 표면에서 긁어 내듯이 제거하면서 적은 힘으로도 능률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걸레를 부착하여 표면을 문질러 오염물을 닦아내듯이 제거하거나 액체를 흡수하면서 제거할 수도 있으며, 대상물 표면이 선 자세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경우 걸레판을 떼내어 밀대봉 없이 청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걸레의 선택에 있어서 표면이 망사형인 걸레를 사용하여 대상물 표면에 단단히 부착된 오염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판과 밀대의 나머지 부분을 착탈할 때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걸레판이 작업중에 쉽게 밀대 부분에서 이탈하여 사고를 일으키거나 불편을 유발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청소포를 제거하여 탄성 플레이트인 걸레판의 청소변으로 오염물과 물기를 표면에서 쓸어 제거하기 쉽고, 청소포를 거꾸로 부착하여 흡습성이 보다 나은 베이스천을 바깥으로 하여 청소면을 닦아 물기와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므로 이 밀대형 청소도구 만으로도 효율적인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대형 청소도구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결합부재의 투시적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루는 결합부재 및 그에 결합되는 걸레판의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결합부재의 결합홈 입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5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걸레판의 사시도, CC'선에 따른 측단면도, BB'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걸레판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2는 이 실시예의 결합부재의 투시적 평면도, 도3은 이 실시예의 결합부재 및 여기에 결합되는 걸레판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청소도구는 크게 파이프 형태의 밀대봉(10)과 이 밀대봉의 손잡이(11) 반대편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결합부재에 결합 설치되는 걸레판(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밀대봉(10)은 밀대형 청소도구에 흔히 사용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삽입형 2단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즉, 직경이 작은 하단 파이프(14)가 직경이 큰 상단 파이프(15)에 삽입되면 길이가 줄어들고 인출되면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들 파이프의 연결부인 상부 파이프(15) 하단에는 회전식으로 조이고 풀리는 길이조절 밸브(13)가 설치된다. 상부 파이프(15)의 상단부에는 걸이용 홀(12)을 가진 손잡이(11)를 구비된다. 하부 파이프(14)의 하단부에는 밀대봉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파이프를 관통하는 홀(1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20)는 상부(24)가 밀대봉(10)의 하부 파이프(14) 하단을 수용하는 밀대홈을 가진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21)는 직사각형 걸레판의 한 장변 부분을 수용하는 결합홈(22)을 가진 넓고 납작한 판 형태를 이룬다.
하부 파이프(14)가 투입되는 결합부재 상부(24)의 밀대홈과 하부의 결합홈(22)은 결합부재(20) 내부공간을 통해 서로 연통되고, 내부공간이 결합부재 외부공간과 통하도록 결합부재(20)에는 연결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를 이루기 위해 결합부재(20)를 만들 때 몰드를 이용하여 결합부재 전체를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 결합부재(20)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며, 가령, 사출성형으로 결합부재를 반쪽씩 만들어 이들의 주변을 융착시켜 하나의 결합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파이프(14)와 결합부재 상부(24) 밀대홈 사이의 결합방식을 살펴보면, 밀대홈 내측면에 암형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 파이프 외측면에 수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는 방식이나, 단순한 슬리브 형태로 마찰을 이용하여 압입하여 결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지만, 나사결합은 하부 파이프 외측면과 밀대홈 내측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단순 슬리브 결합은 자주 착탈하면서 사용하면 서로 끼워지는 마찰면이 헐거워져 사용중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하부 파이프(14)와 결합부재 상부(24)에 결합시 서로 정합될 수 있는 관통홀(25) 및 홀(16)을 형성하고 결합핀(미도시)을 이들 관통홀(25) 및 홀(16)에 끼워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결합부재 하부(21)의 결합홈(22)은 직사각형 걸레판(30)의 한 장변(청소변의 대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좁고 길게 형성된다. 이때, 걸레판(30)의 두께가 결합홈(22) 입구의 좁은 폭에 해당되고 걸레판(30)의 장변 길이가 결합홈(22) 입구의 길이에 해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밀대형 청소도구의 한 구성요소인 걸레판(30)은 이 실시예에서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직사각형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외력이 작용할 때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도록 연질의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형성한다.
이런 탄성에 따라 밀대형 청소도구를 청소 대상물에 접근시키면 통상 처음에는 청소변(에지)만 대상물에 닿지만 힘을 주면 걸레판(30)이 휘어지면서 걸레판 양면 가운데 한 쪽면의 상당부분이 청소 대상물에 닿아 넓은 면적에 걸쳐 대상물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두 장변 가운데 한 장변(33)이 결합부재(20)에 삽입되어 결합부재에 결합된다. 삽입된 장변의 반대쪽 변(대변)은 청소변(32)으로 단부가 얇고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이 있는 연성재질의 걸레판(30)에서 더 부드러운 부분을 이루어 대상물의 청소면에 닿을 때 걸레판 청소변(32)이 더 쉽게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 표면이나 유리창, 욕조 타일 등을 청소할 때 청소 후 청소 대상물 표면에 남아있는 물방울이나 물기를 긁어내듯이 제거할 때 더 효율적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은 결합홈(22)과 여기에 결합되는 걸레판(30)을 걸레판 단변과 평행한 중심축(단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킨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 단면에서 보면, 결합홈(22)은 입구에서 깊이 방향으로 일정 구간에서 폭이 좁고 그 구간을 지나 더 깊은 곳에서는 폭이 더 증가되어 그 구간과 단차를 이루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걸레판(30)에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장변(33)과 평행하면서 걸레판 양면의 다른 부분과 단차지게 돌출된 부분, 즉, 돌출단(34)이 있다.
따라서, 걸레판(30)을 장변(33)으로부터 결합홈(22)에 일정 구간만큼 삽입하면 이들 단차진 부분인 돌출단(34)과 결합홈 내면의 단차진 부분(단차홈)은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을 이루면서 걸레판(30)을 결합홈(22)에서 뺄 때 이탈을 어렵게 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도4는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홈(22') 입구를 마주볼 때의 결합부재(20') 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 저면도에서 보면 결합부재 하부의 결합홈(22') 입구는 대략 좁고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결합홈(22') 입구를 이루는 주변부에서 이 직사각형의 두 장변에 해당하는 부분이 직사각형 결합홈 내측으로 휘어져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접촉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결합부재(20')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변형될 수 있으므로 걸레판을 이 결합홈(22') 입구를 통해 결합홈에 끼워넣을 때에는 결합홈 가운데 부분을 벌려서 끼워넣거나, 걸레판의 장변의 일측 모서리를 결합홈(22')의 폭이 유지가 되는 양 단부 가운데 한쪽부터 끼워넣고 점차 걸레판 장변의 중앙부도 결합홈(22')으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결합부재(22')에 걸레판을 결합시킬 수 있다.
걸레판(30)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의 결합홈(22') 입구를 이루는 두 장변 부분에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걸레판(30)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결합홈(22')의 두 장변의 중간 부분은 양단부에 비해 변형된 거리가 더 크므로 더 강하게 걸레판과 밀착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결합홈(22') 내면과 걸레판 삽입부의 표면 사이에서 마찰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결국 걸레판(30) 표면과 결합홈(22) 내면에 설치된 단차진 부분에 의한 걸림턱의 작용과 결합홈 입구를 이루는 두 장변 부분이 그들 장변의 양단보다 가운데 영역에서 서로 접근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결합부재를 형성한 점 등에 의해 본 발명에서 걸레판은 결합부재의 결합홈(22')에 더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걸레판(30)은 필요에 따라 밀대에서 탈착을 위해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위에서 본 것과 같은 결합상태를 강화하는 구성은 걸레판의 탈착을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걸레판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결합부재(20)에 연결구멍(23)을 설치하고 있다.
밀대형 청소도구에서 결합부재 상부(24)의 밀대홈과 밀대봉(10)의 결합이나 결합부재 하부(21)의 결합홈(22)과 걸레판(30)의 결합은 통상의 경우, 밀착상태를 유지하므로 이 상태에서 걸레판을 결합홈(22)에서 뽑아내듯이 제거할 경우, 결합부재 내부 공간에 어느 정도 진공이 발생하여 걸레판(30) 제거를 힘들게 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연결구멍(23)이 있으면 걸레판(30)을 결합홈(22)에서 제거할 때에도 연결구멍(23)을 통해 결합부재(20) 외부 공기가 결합부재(20)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어와 진공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아울러, 도5(c)의 걸레판 단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걸레판(30')에 돌출단(34')을 형성할 때에 결합홈의 길이방향 양단에 대응되는 돌출단(34') 양단부에는 돌출단이 경사를 이루어 높이가 점차 낮아져 양 끝단에는 돌출단이 실질적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중간 부분에서만 돌출단(34')을 만드는 것도 걸레판(30')을 이격시킬 때 이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걸레판을 제거할 때 걸레판(30')의 중앙부를 결합홈(22')에서 외측을 향해 잡아당기면 중앙은 결합부재의 결합홈(22') 입구 주변부의 형태에 의한 복원력이 크고 돌출단(34')과 단차홈의 걸림턱 작용도 강하여 잘 빠져나오지 않지만, 결합홈(22')의 길이방향 양단부 가운데 어느 한 쪽에서 걸레판(30')을 결합홈(22')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이 부분에서는 결합홈(22')의 틈새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복원력에 의해 결합홈 입구 주변부가 걸레판을 강하게 잡는 문제도 없고 돌출단(34')에 의한 걸림턱 작용도 없어서 비교적 쉽게 걸레판을 빼낼 수 있고, 이 부분부터 걸레판을 계속 당겨 빼내면 결합홈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다른 쪽은 지렛의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이 부분부터 걸레판을 점차로 제거하면서 다른 부분의 걸림턱 작용도 회피 혹은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5(b)에서 보이듯이 돌출단(34')의 장변(33)쪽은 단차가 급격한 단턱으로 형성되지 않고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걸레판(30')을 결합부재(20')의 결합홈에 삽입할 때에는 걸림턱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잘 삽입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장변쪽의 반대편에 있는 청소변(32)은 끝단이 얇고 뾰족하게 형성되어 탄성이 있는 연성재질의 걸레판(30')에서 부드러운 부분을 이루어 대상물의 청소면에 닿을 때 걸레판(30') 청소변(32)이 더 쉽게 청소면에 밀착되고, 차량 표면이나 유리창, 욕조 타일 등을 청소할 때 청소 후 청소 대상물 표면에 남아있는 물방울이나 물기를 긁어내듯이 제거할 때 더 효율적으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5(b)의 도면번호 36은 걸레판 표면에서 걸레 혹은 청소포가 찍찍이 방식으로 부착될 때 한쪽 벨크로면을 이루는 접착부(36)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레판에 사용되는 청소포로는 고축사로 누벼 수축시킨 망사천과 베이스천을 합지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청소포의 베이스천은 수분흡수력이 망사천보다 큰 것을 사용하여 표면 청소를 할 때 오염물 제거를 위한 수분 공급의 역할을 하고, 망사천은 그 강한 망사 재질의 직조 굴곡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표면으로부터 긁어 제거하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결합홈 내면의 단차진 홈 부분과 걸레판의 돌출단은 선형 입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일부가 부분적으로 훼손되는 경우에도 다른 부분에 의해 제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록 도4 및 도5의 실시예에서 양 단부에는 단차진 홈 부분과 돌출단이 탈착의 편의를 위해 형성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이 부분은 작은 부분이므로 착탈에 있어서 걸림턱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고, 착탈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걸레판 및 결합부재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양 단부로부터 걸림턱이 조금씩 뭉게지고 단차가 줄어들 수도 있지만 길게 형성된 구간이 모두 없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충분히 걸림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능상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걸레판 부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흰색 부분으로 나타난 걸레판은 붉은 색상으로 나타난 결합부재와 결합된 상태이며, 앞선 실시예에 비해 장변이나 단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홀들이 걸레판의 중간중간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찍찍이(벨크로) 부분이 걸레판 본체에 대해 별도로 제작된 테이프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 걸레판 앞뒷면의 전반에 걸쳐 벨크로를 이루는 돌기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걸레판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걸레판 제작에 있어서 부품수와 결합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밀대봉 11: 손잡이
14: 하부 파이프 16: 홀
20, 20': 결합부재 21: 하부(결합부재 하부)
22, 22': 결합홈 23: 연결구멍
24: 상부(결합부재 상부) 25: 관통홀
30, 30': 걸레판 32: 청소변
33: 장변 34, 34': 돌출단

Claims (5)

  1. 막대 혹은 파이프 형태의 밀대봉, 일 단은 상기 밀대봉에 결합되고 다른 일 단에는 좁고 긴 선형 입구를 가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재, 상기 결합홈에 일 변이 삽입되어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의 걸레판을 구비하는 밀대형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선형 입구와 나란한 단차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기 걸레판 표면에는 상기 단차홈에 대응되어 상기 단차홈에 안착되는 돌출단이 상기 선형 입구와 나란히 길게 설치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걸레판이 삽입되어 결합된 후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상기 선형 입구를 이루는 두 장변은 상기 걸레판이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선형 입구를 이루는 두 단변에 의해 상기 선형 입구의 양쪽 단부에서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두 장변 중앙부에서는 서로 닿거나 상기 두 장변 사이의 틈이 상기 양쪽 단부에서의 이격된 간격보다 좁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상기 결합홈의 선형 입구의 양 단부에 대응하는 양 단부에서 상기 걸레판 표면과 단차가 없거나 상기 돌출단 중앙부에 비해 상기 걸레판 표면과의 단차가 줄어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서 상기 밀대봉이 끼워지는 밀대홈과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재 내부 공간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결합부재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의 대상물에 닿는 청소변(에지:edge)은 걸레판 양면이 서로 예각을 이루는 경사부에 의해 청소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 끝단이 얇고 뾰족하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대상물과의 접촉시 대상물의 표면에 약간의 굴곡이 있어도 그 형태에 따라 청소변이 쉽게 변형 밀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걸레판에 벨크로 방식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청소포로서 고축사로 누벼 수축시킨 망사천과 상기 망사천에 비해 수분흡수력이 큰 베이스천을 합지시킨 것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형 청소도구.
KR1020170087828A 2017-07-11 2017-07-11 밀대형 청소도구 KR10195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28A KR101953739B1 (ko) 2017-07-11 2017-07-11 밀대형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28A KR101953739B1 (ko) 2017-07-11 2017-07-11 밀대형 청소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47A true KR20190006747A (ko) 2019-01-21
KR101953739B1 KR101953739B1 (ko) 2019-03-04

Family

ID=6527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28A KR101953739B1 (ko) 2017-07-11 2017-07-11 밀대형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7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191A (ja) * 2007-01-16 2008-07-31 Seiwa Kk 清掃用具
KR200469579Y1 (ko) 2012-07-03 2013-10-23 이윤희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US20160106289A1 (en) * 2014-10-16 2016-04-21 Konneen Willis Ice Scraping Device
KR101753852B1 (ko) * 2015-12-15 2017-07-04 주식회사 클렘본 청소 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3191A (ja) * 2007-01-16 2008-07-31 Seiwa Kk 清掃用具
KR200469579Y1 (ko) 2012-07-03 2013-10-23 이윤희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US20160106289A1 (en) * 2014-10-16 2016-04-21 Konneen Willis Ice Scraping Device
KR101753852B1 (ko) * 2015-12-15 2017-07-04 주식회사 클렘본 청소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739B1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713A (en) Toilet mop
US8136196B2 (en) Dusting tool
US10034593B2 (en) Broom stick and mop adapter apparatus
US20070174987A1 (en) Cleaning device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200484056Y1 (ko) 유리창 청소도구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JP2012147958A (ja) 清掃用器具
KR101753852B1 (ko) 청소 도구
KR101652858B1 (ko) 공동주택용 계단 논슬립
JP4365231B2 (ja) 柄付き清掃具
JP6440965B2 (ja) 面清掃具
US20090044359A1 (en) Suction brush having hair removal unit for vacuum cleaner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US20190246864A1 (en) Double-Handle Mop
JP2005237589A (ja) 清掃具
KR200480521Y1 (ko)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결합판
KR101471790B1 (ko) 롤 브러시 고정형 청소기
US20110259379A1 (en) Wash wand attachment system
CN212816157U (zh) 清洁工具
US20080109978A1 (en) Mini duster
JP2005270164A (ja) 研磨具
CN210446074U (zh) 清洁器具
CN210204639U (zh) 一种清洁用具
JPH09140651A (ja) 掃除具
US20190125159A1 (en) D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