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116A -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116A
KR20190006116A KR1020170086002A KR20170086002A KR20190006116A KR 20190006116 A KR20190006116 A KR 20190006116A KR 1020170086002 A KR1020170086002 A KR 1020170086002A KR 20170086002 A KR20170086002 A KR 20170086002A KR 20190006116 A KR20190006116 A KR 2019000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vertical
sidewal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610B1 (ko
Inventor
연철수
Original Assignee
(합)강산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강산건업 filed Critical (합)강산건업
Priority to KR102017008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6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6Compacting soil locally before forming foundations; Construction of foundation structures by forcing binding substances into gravel fil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 수직벽체(200)의 축조시 메인블록(10)을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려 메인센터홀(10c) 및 메인사이드홀(10s)[메인하프홀(10h)의 조합에 의한 메인사이드홀(10s)]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가 위층의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 그리고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에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메인블록(10)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고, 슬래브벽체(300)의 축조시 서브블록(20)을 기초 수직벽체(200) 위에 쌓아 서브센터홀(20c) 및 서브사이드홀(20s)[서브하프홀(20h)의 조합에 의한 서브사이드홀(20s)]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가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 그리고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에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서브블록(20) 및 메인블록(10) 상호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연속 가능케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SUBSTRUCTURE OF DETACHED HOUSE AND THERE OF BUILDING METHOD}
본 발명은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을 통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으로 간단 견고하게 완성케 한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주거하는 주택은 지면을 터파기 한 후 모르타르를 붓고 양생시켜 기초를 다지고 그 위에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쌓아올려 난방 및 단열은 물론이거니와 견고함까지 갖춘 것이어야 한다.
도 9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95453호)에 따른 블록식 주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에 따라 바닥판, 지붕판 및 벽체가 각각 복수 개의 블록들로 조립되는 블록식주택의 시공방법은 원하는 크기의 바닥판, 지붕판 및 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정된 크기로 규격화되어 있는 블록들을 건축부지의 조건과 사용자의 선택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선택하고 블록식 주택을 건축설계하는 단계(S100);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내외장재와, 건축설계에 근거하여 프레임이 설치되는 위치에 요구되는 설비를 각각 구비하고, 인접하는 블록들을 서로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블록들을 제작하는 단계(S200); 이렇게 제작된 블록들을 건축부지로 운반하기 전에 블록들을 미리 조립하여 테스트 및 확인하는 가조립하는 단계(S300); 가조립하는 단계에서 테스트 및 확인을 마친 블록들을 건축부지로 운반하는 단계(S400); 및 건축부지에서 건축설계에 따라 블록들을 배치하고 인접하는 블록들의 프레임들을 프레임간 거리조정이 가능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조립하고, 인접하는 블록들의 설비들을 제2조립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하는 단계(S500)를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블록식 주택 시공방법은 블록들을 건축부지로 운반하기 전에 미리 조립하여 테스트 및 확인한 후 건축부지에서 건축설계에 따라 블록들을 배치하고 체결볼트로서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시공이 매우 더딜 뿐만 아니라 단열이나 안정성 및 견고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995453호 - 블록식 주택 시공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수직벽체의 축조시 메인블록을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려 메인센터홀 및 메인사이드홀[메인하프홀의 조합에 의한 메인사이드홀]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가 위층의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 그리고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에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메인블록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슬래브벽체의 축조시 서브블록을 기초 수직벽체 위에 쌓아 서브센터홀 및 서브사이드홀[서브하프홀의 조합에 의한 서브사이드홀]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가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 그리고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에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서브블록 및 메인블록 상호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연속하게 가능케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을 삽입시키고 내부토사층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서브숏횡축의 양측으로 노출된 기초 벽체수직철근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 벽체수직철근과 바닥 슬래브철근 상호간의 고정을 간단 견고 명료하게 완성토록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센터홀, 메인센터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비롯한 바닥 슬래브철근에 모르타르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을 완성시킴으로써 메인블록에 의한 기초 수직벽체의 간단하고도 견고한 축조에 이은 서브블록에 의한 기초 슬래브벽체의 간단 및 견고한 축조 나아가 기초 벽체수직철근 및 바닥 슬래브철근 상호간의 간단 견고한 고정을 더불어 실현하여 단독주택 기초의 시공상의 간소함과 더불어 견고성을 동시에 보장하여 시공비를 크게 절약케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슬래브철근이 기초 벽체수직철근뿐만 아니라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을 따라 배치된 기초 벽체수평철근과 고정되도록 하여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의 견고한 기초 공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뿐만 아니라 서브블록의 상하에 배치된 메인블록의 하부메인횡홈 및 상부메인횡홈에 의해 조합된 원형의 홀에 기초 벽체수평철근이 끼워짐과 동시에 제2서브숏횡축에 의한 서브사이드홀의 오픈으로 기초 벽체수직철근 및 기초 벽체수평철근의 노출 가능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한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코너블록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앞코너러그가 위층의 제1앞속측벽, 제2앞속측벽, 제1앞장식측벽 및 제2앞장식측벽에 각각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앞코너블럭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 및 제2앞속측벽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앞코너홈 및 제2앞코너홈이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 또는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앞장식측벽 및 제2앞장식측벽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기초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거나 다양한 장식에 의한 단독주택의 고급스런 가치를 더욱 드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뒷코너블록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뒷코너러그가 위층의 제1뒷속측벽, 제2뒷속측벽, 제1뒷외측벽 및 제2뒷외측벽에 각각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뒷코너블럭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 및 제2뒷속측벽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뒷코너홈 및 제2뒷코너홈이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 또는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뒷장식측벽 및 제2뒷장식측벽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간소한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단독주택의 뒤편의 간소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코너수직홀 및 뒷코너수직홀에 기초 코너수직철근이 삽입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보장케 하고, 기초 벽체수평철근은 기초 수직벽체의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을 따라 배치되면서 제1앞코너홈, 제2앞코너홈, 제1뒷코너홈 및 제2뒷코너홈으로 연장되어 기초 코너수직철근에 고정되도록 하여 기초 수직벽체와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 상호간의 일체화된 견고함을 보장케 할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사선홈 및 뒷사선홈을 통한 철근의 대각선 끼움을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앞코너수직홀 및 뒷코너수직홀에 삽입된 기초 수직내진바와, 기초 수직내진바에 고정되어 앞사선홈 및 뒷사선홈을 경유하여 바닥 슬래브철근을 가로지르는 기초 사선내진바를 포함하여 지진이나 충격 또는 기타 진동에 의한 내구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은,
지면을 터파기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1)과,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 그리고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메인센터홀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메인에지를 부여하여 메인하프홀을 완성하는 메인블록을 상기 메인에지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메인하프홀의 조합으로 메인사이드홀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리면서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수직벽체 축조 스텝(S12)과,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 그리고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서브센터홀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서브횡축러그 및 제2서브숏횡축러그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서브종축러그 및 제2서브종축러그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서브횡축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서브에지를 부여하여 서브하프홀을 완성하는 서브블록을 상기 서브에지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서브하프홀의 조합으로 서브사이드홀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 위에 쌓으면서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슬래브벽체 축조 스텝(S13)과,
상기 기초 수직벽체 안쪽으로 내부토사층을 채워 다지는 스텝(S14)과,
상기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을 삽입시키고 상기 내부토사층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2서브숏횡축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직철근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을 고정시키는 스텝(S15)과,
상기 서브센터홀, 메인센터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비롯한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에 모르타르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을 완성시키는 스텝(S16)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는,
지면을 터파기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 그리고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메인센터홀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메인에지를 부여하여 메인하프홀을 완성하는 메인블록을 상기 메인에지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메인하프홀의 조합으로 메인사이드홀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리면서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수직벽체를 축조시키고,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 그리고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서브센터홀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서브횡축러그 및 제2서브숏횡축러그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서브종축러그 및 제2서브종축러그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서브횡축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서브에지를 부여하여 서브하프홀을 완성하는 서브블록을 상기 서브에지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서브하프홀의 조합으로 서브사이드홀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 위에 쌓으면서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슬래브벽체를 축조시키고, 상기 기초 수직벽체 안쪽으로 내부토사층을 채워 다지며, 상기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을 삽입시키고 상기 내부토사층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2서브숏횡축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직철근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을 고정시키고, 상기 서브센터홀, 메인센터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비롯한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에 모르타르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을 완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 수직벽체의 축조시 메인블록을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려 메인센터홀 및 메인사이드홀[메인하프홀의 조합에 의한 메인사이드홀]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가 위층의 제1메인종축 및 제2메인종축 그리고 제1메인횡축 및 제2메인횡축에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메인블록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초 슬래브벽체의 축조시 서브블록을 기초 수직벽체 위에 쌓아 서브센터홀 및 서브사이드홀[서브하프홀의 조합에 의한 서브사이드홀]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 및 제2메인종축러그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 및 제2메인횡축러그가 제1서브종축 및 제2서브종축 그리고 제1서브횡축 및 제2서브숏횡축에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서브블록 및 메인블록 상호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연속하게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을 삽입시키고 내부토사층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배근하면서 제2서브숏횡축의 양측으로 노출된 기초 벽체수직철근에 바닥 슬래브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 벽체수직철근과 바닥 슬래브철근 상호간의 고정을 간단 견고 명료하게 완성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브센터홀, 메인센터홀, 서브사이드홀 및 메인사이드홀을 비롯한 바닥 슬래브철근에 모르타르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을 완성시킴으로써 메인블록에 의한 기초 수직벽체의 간단하고도 견고한 축조에 이은 서브블록에 의한 기초 슬래브벽체의 간단 및 견고한 축조 나아가 기초 벽체수직철근 및 바닥 슬래브철근 상호간의 간단 견고한 고정을 더불어 실현하여 단독주택 기초의 시공상의 간소함과 더불어 견고성을 동시에 보장하여 시공비를 크게 절약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초 슬래브 벽체 위에 메인블록을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림과 동시에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에서 만나도록 한 1층 수직벽체 안쪽의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 위에 스트로폼 및 시멘트를 혼합한 기포콘크리트층을 타설 및 양생시켜 내부토사층 및 바닥 슬래브콘크리층에 의한 냉기 또는 열기를 기포콘크리트층으로 차단하여 단열을 기한 상태에서 기포콘크리트층 위에 배관층을 형성시켜 온수배관의 열손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철근이 기초 벽체수직철근뿐만 아니라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을 따라 배치된 기초 벽체수평철근과 고정되도록 하여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의 견고한 기초 공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뿐만 아니라 서브블록의 상하에 배치된 메인블록의 하부메인횡홈 및 상부메인횡홈에 의해 조합된 원형의 홀에 기초 벽체수평철근이 끼워짐과 동시에 제2서브숏횡축에 의한 서브사이드홀의 오픈으로 기초 벽체수직철근 및 기초 벽체수평철근의 노출 가능으로 실현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쇄석을 쌓은 후 메인블록,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을 쌓아올릴 수 있도록 하여 쇄석을 통한 수평을 잡아주면서 메인블록 및 서브블록을 통한 결로나 수분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쇄석의 하부에 수평이 되도록 펼쳐놓은 방수지 위에 내부토사층을 채우면서 다지도록 하여 내부토사층으로부터 발생된 수분이나 결로가 방수지를 경유하여 흐르면서 쇄석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쇄석에 수평상태로 만나도록 기초 수직벽체 바깥쪽에 유공관을 매설한 후 외부토사층을 채워 다지도록 하여 내부토사층으로부터 발생된 결로나 수분이 방수지를 거쳐 쇄석으로 흐른 후 유공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침수되는 빗물 역시 유공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토사층 위에 제1단열재를 펼친 후 바닥 슬래브철근을 배근토록 하여 내부토사층으로부터 올라오는 여름철 열기 및 겨울철 냉기를 미연에 차단토록 할 수 있고, 기포콘크리트층 위에 제2단열재를 펼친 후 배관층을 형성토록 하여 기포콘크리트층을 통한 열기나 냉기를 차단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코너블록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앞코너러그가 위층의 제1앞속측벽, 제2앞속측벽, 제1앞장식측벽 및 제2앞장식측벽에 각각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앞코너블럭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 및 제2앞속측벽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앞코너홈 및 제2앞코너홈이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 또는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앞장식측벽 및 제2앞장식측벽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기초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거나 다양한 장식에 의한 단독주택의 고급스런 가치를 더욱 드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뒷코너블록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뒷코너러그가 위층의 제1뒷속측벽, 제2뒷속측벽, 제1뒷외측벽 및 제2뒷외측벽에 각각 껴 맞춰지면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뒷코너블럭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 및 제2뒷속측벽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뒷코너홈 및 제2뒷코너홈이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 또는 서브블록의 상부서브횡홈 및 하부서브횡홈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뒷장식측벽 및 제2뒷장식측벽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간소한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단독주택의 뒤편의 간소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코너수직홀 및 뒷코너수직홀에 기초 코너수직철근이 삽입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보장케 하고, 기초 벽체수평철근은 기초 수직벽체의 메인블록의 상부메인횡홈 및 하부메인횡홈을 따라 배치되면서 제1앞코너홈, 제2앞코너홈, 제1뒷코너홈 및 제2뒷코너홈으로 연장되어 기초 코너수직철근에 고정되도록 하여 기초 수직벽체와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 상호간의 일체화된 견고함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사선홈 및 뒷사선홈을 통한 철근의 대각선 끼움을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앞코너수직홀 및 뒷코너수직홀에 삽입된 기초 수직내진바와, 기초 수직내진바에 고정되어 앞사선홈 및 뒷사선홈을 경유하여 바닥 슬래브철근을 가로지르는 기초 사선내진바를 포함하여 지진이나 충격 또는 기타 진동에 의한 내구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앞코너블록 및 뒷코너블록이 기둥과 같이 튼튼하고 견고하게 단독주택을 받쳐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블록식 주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을 터파기하여 기초콘크리트층(100)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S11),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 그리고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메인센터홀(1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를 돌출시키면서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를 돌출시키고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형성시키며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메인에지(10e)를 부여하여 메인하프홀(10h)을 완성하는 메인블록(10)을 메인에지(1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메인하프홀(10h)의 조합으로 메인사이드홀(1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리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수직벽체(200)를 축조하고(S12),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 그리고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서브센터홀(2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서브횡축러그(21a) 및 제2서브숏횡축러그(22a)를 돌출시키면서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서브종축러그(23a) 및 제2서브종축러그(24a)를 돌출시키고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형성시키며 제1서브횡축(21)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서브에지(20e)를 부여하여 서브하프홀(20h)을 완성하는 서브블록(20)을 서브에지(2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서브하프홀(20h)의 조합으로 서브사이드홀(2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기초 수직벽체(200) 위에 쌓으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슬래브벽체(300)를 축조하고(S13), 기초 수직벽체(200) 안쪽으로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지고(S14),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51)을 삽입시키고 내부토사층(500)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하면서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기초 벽체수직철근(51)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시킨 후(S15), 서브센터홀(20c), 메인센터홀(10c),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비롯한 바닥 슬래브철근(52)에 모르타르(M)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을 완성시키는 공정(S16)을 포함한다.
기초 수직벽체(200)의 축조시 메인블록(10)을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려 메인센터홀(10c) 및 메인사이드홀(10s)[메인하프홀(10h)의 조합에 의한 메인사이드홀(10s)]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가 위층의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 그리고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에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메인블록(10)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축조시 서브블록(20)을 기초 수직벽체(200) 위에 쌓아 서브센터홀(20c) 및 서브사이드홀(20s)[서브하프홀(20h)의 조합에 의한 서브사이드홀(20s)]을 완성할 때 아래층의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 그리고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가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 그리고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에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서브블록(20) 및 메인블록(10) 상호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연속 가능케 할 수 있다.
이후, 기초 수직벽체(200) 안쪽으로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지며, 이러한 내부토사층(500)의 채움은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51)을 삽입시킨 후에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축조시 서브블록(20)의 구성 중 제1서브횡축(21)에 서브에지(20e)를 부여하는 반면 제2서브숏횡축(22)에 서브에지(20e)를 없애거나 축소시켜 서브사이드홀(20s)이 내부토사층(500) 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51)을 삽입시키고 내부토사층(500)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하면서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기초 벽체수직철근(51)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 벽체수직철근(51)과 바닥 슬래브철근(52) 상호간의 고정을 간단 견고 명료하게 완성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센터홀(20c), 메인센터홀(10c),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비롯한 바닥 슬래브철근(52)에 모르타르(M)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을 완성시킴으로써 메인블록(10)에 의한 기초 수직벽체(200)의 간단하고도 견고한 축조에 이은 서브블록(20)에 의한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간단 및 견고한 축조 나아가 기초 벽체수직철근(51) 및 바닥 슬래브철근(52) 상호간의 간단 견고한 고정을 더불어 실현하여 단독주택 기초의 시공상의 간소함과 더불어 견고성을 동시에 보장하여 시공비를 크게 절약케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은 기초 슬래브벽체(300) 위에 메인블록(10)을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림과 동시에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하는 1층 수직벽체(400)를 축조하면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 위에 스트로폼 및 시멘트를 혼합한 기포콘크리트층(700)을 타설 및 양생하고(S17),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온수배관(P)을 설치하면서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배관층(800) 형성 공정(S18)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슬래브 벽체 위에 메인블록(10)을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림과 동시에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1층 수직벽체(400) 안쪽의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 위에 스트로폼 및 시멘트를 혼합한 기포콘크리트층(700)을 타설 및 양생시켜 내부토사층(500) 및 바닥 슬래브콘크리층에 의한 냉기 또는 열기를 기포콘크리트층(700)으로 차단하여 단열을 기한 상태에서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배관층(800)을 형성시켜 온수배관(P)의 열손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S13 스텝은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따라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을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S15 스텝은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기초 벽체수평철근(53)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슬래브철근(52)이 기초 벽체수직철근(51)뿐만 아니라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따라 배치된 기초 벽체수평철근(53)과 고정되도록 하여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의 견고한 기초 공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은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뿐만 아니라 서브블록(20)의 상하에 배치된 메인블록(10)의 하부메인횡홈(10b) 및 상부메인횡홈(10a)에 의해 조합된 원형의 홀에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이 끼워짐과 동시에 제2서브숏횡축(22)에 의한 서브사이드홀(20s)의 오픈으로 기초 벽체수직철근(51) 및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의 노출 가능으로 실현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2 스텝은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쇄석(S)을 쌓은 후 메인블록(10),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을 쌓아올릴 수 있도록 하여 쇄석(S)을 통한 수평을 잡아주면서 메인블록(10) 및 서브블록(20)을 통한 결로나 수분의 배출을 가능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14 스텝은 쇄석(S)의 하부에 수평이 되도록 펼쳐놓은 방수지(B) 위에 내부토사층(500)을 채우면서 다지도록 하여 내부토사층(500)으로부터 발생된 수분이나 결로가 방수지(B)를 경유하여 흐르면서 쇄석(S)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쇄석(S)에 수평상태로 만나도록 기초 수직벽체(200) 바깥쪽에 유공관(U)을 매설한 후 외부토사층(900)을 채워 다지도록 하여 내부토사층(500)으로부터 발생된 결로나 수분이 방수지(B)를 거쳐 쇄석(S)으로 흐른 후 유공관(U)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침수되는 빗물 역시 유공관(U)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S15 스텝은 내부토사층(500) 위에 제1단열제(D1)를 펼친 후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토록 하여 내부토사층(500)으로부터 올라오는 여름철 열기 및 겨울철 냉기를 미연에 차단토록 하고, 상기 S18 스텝은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제2단열제(D2)를 펼친 후 배관층(800)을 형성토록 하여 기포콘크리트층(700)을 통한 열기나 냉기를 차단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적용된 앞코너블록(3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 그리고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에 의해 앞코너수직홀(3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제1앞속측벽(31), 제2앞속측벽(32),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의 상부 안쪽 중심에 앞코너러그(3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앞코너홈(31a) 및 제2앞코너홈(32a)이 각각 구비된다.
앞코너블록(30)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앞코너러그(30g)가 위층의 제1앞속측벽(31), 제2앞속측벽(32),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에 각각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앞코너블록(30)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앞코너홈(31a) 및 제2앞코너홈(32a)이 메인블록(10)의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 또는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기초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거나 다양한 장식에 의한 단독주택의 고급스런 가치를 더욱 드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적용된 뒷코너블록(4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 그리고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에 의해 뒷코너수직홀(4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제1뒷속측벽(41), 제2뒷속측벽(42),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의 상부 안쪽 중심에 뒷코너러그(4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이 각각 구비된다.
뒷코너블록(40)을 적층시킬 때 아래층의 뒷코너러그(40g)가 위층의 제1뒷속측벽(41), 제2뒷속측벽(42),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에 각각 껴 맞춰지면(G)서 지지토록 하여 복수 층으로 뒷코너블록(40)을 쌓더라도 위아래간의 정확하고도 견고한 맞물림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이 메인블록(10)의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 또는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에 수평상태로 연속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뒷장식측벽 및 제2뒷장식측벽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간소한 받침기둥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단독주택의 뒤편의 간소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기초 코너수직철근(55)을 삽입시켜 견고한 지지력을 보장케 하고,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은 기초 수직벽체(200)의 메인블록(10)의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따라 배치되면서 제1앞코너홈(31a), 제2앞코너홈(32a),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으로 연장되어 기초 코너수직철근(55)에 고정되도록 하여 기초 수직벽체(200)와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 상호간의 일체화된 견고함을 보장케 한다.
그리고, 앞코너블록(30)은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앞사선홈(30s)을 포함하고, 뒷코너블록(40)은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뒷사선홈(40s)을 더 포함하여, 앞사선홈(30s) 및 뒷사선홈(40s)을 통한 철근의 대각선 끼움을 가능케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삽입된 기초 수직내진바(56)와, 기초 수직내진바(56)에 고정되어 앞사선홈(30s) 및 뒷사선홈(40s)을 경유하여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가로지르는 기초 사선내진바(57)를 포함하여 지진이나 충격 또는 기타 진동에 의한 내구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은 모르타르(M)가 채워져 양생되도록 하여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이 기둥과 같이 튼튼하고 견고하게 단독주택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주택 관련 건축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G : 지면 100 : 기초콘크리트층
S : 쇄석 200 : 기초 수직벽체
300 : 기초 슬래브벽체 400 : 1층 수직벽체
B : 방수지 500 : 내부토사층
D1 : 제1단열재 600 :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
D2 : 제2단열재 700 : 기포콘크리트층
800 : 배관층 P : 온수배관
U : 유공관 900 : 외부토사층
10 : 메인블록 11 : 제1메인횡축
11a : 제1메인횡축러그 12 : 제2메인횡축
12a : 제2메인횡축러그 13 : 제1메인종축
13a : 제1메인종축러그 14 : 제2메인종축
14a : 제2메인종축러그 10a : 상부메인횡홈
10b : 하부메인횡홈 10c : 메인센터홀
10e : 메인에지 10h : 메인하프홀
10s : 메인사이드홀 20 : 서브블록
21 : 제1서브횡축 21a : 제1서브횡축러그
22 : 제2서브숏횡축 22a : 제2서브숏횡축러그
23 : 제1서브종축 23a : 제1서브종축러그
24 : 제2서브종축 24a : 제2서브종축러그
20a : 상부서브횡홈 20b : 하부서브횡홈
20c : 서브센터홀 20e : 서브에지
20h : 서브하프홀 20s : 서브사이드홀
30 : 앞코너블록 31 : 제1앞속측벽
31a : 제1앞코너홈 32 : 제2앞속측벽
32a : 제2앞코너홈 33 : 제1앞장식측벽
34 : 제2앞장식측벽 30h : 앞코너수직홀
30g : 앞코너러그 30s : 앞사선홈
40 : 뒷코너블록 41 : 제1뒷속측벽
41a : 제1뒷코너홈 42 : 제2뒷속측벽
42a : 제2뒷코너홈 43 : 제1뒷외측벽
44 : 제2뒷외측벽 40h : 뒷코너수직홀
40g : 뒷코너러그 40s : 뒷사선홈
51 : 기초 벽체수직철근 52 : 바닥 슬래브철근
53 : 기초 벽체수평철근 55 : 기초 코너수직철근
56 : 기초 수직내진바 57 : 기초 사선내진바
M : 모르타르

Claims (26)

  1. 지면(G)을 터파기하여 기초콘크리트층(100)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스텝(S11)과,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 그리고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메인센터홀(1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메인에지(10e)를 부여하여 메인하프홀(10h)을 완성하는 메인블록(10)을 상기 메인에지(1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메인하프홀(10h)의 조합으로 메인사이드홀(1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리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수직벽체(200) 축조 스텝(S12)과,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 그리고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서브센터홀(2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서브횡축러그(21a) 및 제2서브숏횡축러그(22a)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서브종축러그(23a) 및 제2서브종축러그(24a)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서브횡축(21)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서브에지(20e)를 부여하여 서브하프홀(20h)을 완성하는 서브블록(20)을 상기 서브에지(2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서브하프홀(20h)의 조합으로 서브사이드홀(2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위에 쌓으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슬래브벽체(300) 축조 스텝(S13)과,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안쪽으로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지는 스텝(S14)과,
    상기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51)을 삽입시키고 상기 내부토사층(500)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직철근(51)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시키는 스텝(S15)과,
    상기 서브센터홀(20c), 메인센터홀(10c),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비롯한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에 모르타르(M)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을 완성시키는 스텝(S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슬래브벽체(300) 위에 메인블록(10)을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림과 동시에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하는 1층 수직벽체(400)를 축조하면서 상기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 위에 스트로폼 및 시멘트를 혼합한 기포콘크리트층(700)을 타설 및 양생하는 스텝(S17)과,
    상기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온수배관(P)을 설치하면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배관층(800) 형성 스텝(S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3 스텝은 상기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따라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을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S15 스텝은 상기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평철근(53)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12 스텝은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쇄석(S)을 쌓은 후 상기 메인블록(10),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을 쌓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14 스텝은 상기 쇄석(S)의 하부에 수평이 되도록 펼쳐놓은 방수지(B) 위에 상기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S)에 수평상태로 만나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바깥쪽에 유공관(U)을 매설한 후 외부토사층(900)을 채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5 스텝은 상기 내부토사층(500) 위에 제1단열제(D1)를 펼친 후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18 스텝은 상기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제2단열제(D2)를 펼친 후 상기 배관층(8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블록(3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 그리고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에 의해 앞코너수직홀(3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앞속측벽(31), 제2앞속측벽(32),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의 상부 안쪽 중심에 앞코너러그(3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앞코너홈(31a) 및 제2앞코너홈(32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뒷코너블록(4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 그리고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에 의해 뒷코너수직홀(4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뒷속측벽(41), 제2뒷속측벽(42),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의 상부 안쪽 중심에 뒷코너러그(4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기초 코너수직철근(55)이 삽입되고,
    상기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은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의 메인블록(10)의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앞코너홈(31a), 제2앞코너홈(32a),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초 코너수직철근(5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블록(30)은 상기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앞사선홈(30s)을 포함하고,
    상기 뒷코너블록(40)은 상기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뒷사선홈(40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삽입된 기초 수직내진바(56)와,
    상기 기초 수직내진바(56)에 고정되어 상기 앞사선홈(30s) 및 뒷사선홈(40s)을 경유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가로지르는 기초 사선내진바(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은 모르타르(M)가 채워져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시공방법.
  14. 지면(G)을 터파기하여 기초콘크리트층(100)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 그리고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메인센터홀(1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메인횡축러그(11a) 및 제2메인횡축러그(12a)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메인종축러그(13a) 및 제2메인종축러그(14a)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종축(13) 및 제2메인종축(1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메인횡축(11) 및 제2메인횡축(12)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메인에지(10e)를 부여하여 메인하프홀(10h)을 완성하는 메인블록(10)을 상기 메인에지(1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메인하프홀(10h)의 조합으로 메인사이드홀(1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리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수직벽체(200)를 축조시키고,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 그리고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이 서로 대향되는 구조를 유지토록 모르타르를 블로킹시켜 서브센터홀(20c)을 완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서브횡축(21) 및 제2서브숏횡축(22)의 상부 안쪽중심에 제1서브횡축러그(21a) 및 제2서브숏횡축러그(22a)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부 바깥쪽중심에 제1서브종축러그(23a) 및 제2서브종축러그(24a)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서브종축(23) 및 제2서브종축(24)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1서브횡축(21)의 양단을 외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시킨 서브에지(20e)를 부여하여 서브하프홀(20h)을 완성하는 서브블록(20)을 상기 서브에지(20e)가 서로 전후 수직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상기 서브하프홀(20h)의 조합으로 서브사이드홀(20s)을 완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위에 쌓으면서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한 기초 슬래브벽체(300)를 축조시키고,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안쪽으로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지며, 상기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따라 기초 벽체수직철근(51)을 삽입시키고 상기 내부토사층(500) 위에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하면서 상기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직철근(51)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시키고, 상기 서브센터홀(20c), 메인센터홀(10c), 서브사이드홀(20s) 및 메인사이드홀(10s)을 비롯한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에 모르타르(M)를 채운 후 양생시켜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을 완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슬래브벽체(300) 위에 메인블록(10)을 지그재그 반복 쌓아올림과 동시에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에서 만나도록 하는 1층 수직벽체(400)를 축조하면서 상기 바닥 슬래브콘크리트층(600) 위에 스트로폼 및 시멘트를 혼합한 기포콘크리트층(700)을 타설 및 양생시키고, 상기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온수배관(P)을 설치하면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배관층(800)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슬래브벽체(300)의 서브블록(20)의 상부서브횡홈(20a) 및 하부서브횡홈(20b)을 따라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을 배치시키고, 상기 제2서브숏횡축(22)의 양측으로 노출된 상기 기초 벽체수평철근(53)에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고정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층(100) 위에 쇄석(S)을 쌓은 후 상기 메인블록(10), 앞코너블록(30) 및 뒷코너블록(40)을 쌓아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S)의 하부에 수평이 되도록 펼쳐놓은 방수지(B) 위에 상기 내부토사층(500)을 채워 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S)에 수평상태로 만나도록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 바깥쪽에 유공관(U)을 매설한 후 외부토사층(900)을 채워 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토사층(500) 위에 제1단열제(D1)를 펼친 후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배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콘크리트층(700) 위에 제2단열제(D2)를 펼친 후 상기 배관층(8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블록(3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 그리고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에 의해 앞코너수직홀(3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앞속측벽(31), 제2앞속측벽(32), 제1앞장식측벽(33) 및 제2앞장식측벽(34)의 상부 안쪽 중심에 앞코너러그(3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앞코너홈(31a) 및 제2앞코너홈(32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뒷코너블록(40)은 상호 수직으로 만나는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 그리고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에 의해 뒷코너수직홀(40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제1뒷속측벽(41), 제2뒷속측벽(42), 제1뒷외측벽(43) 및 제2뒷외측벽(44)의 상부 안쪽 중심에 뒷코너러그(40g)가 각각 돌출되면서 상기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의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기초 코너수직철근(55)이 삽입되고,
    상기 기초 벽체수평철근(53)은 상기 기초 수직벽체(200)의 메인블록(10)의 상부메인횡홈(10a) 및 하부메인횡홈(10b)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앞코너홈(31a), 제2앞코너홈(32a), 제1뒷코너홈(41a) 및 제2뒷코너홈(42a)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초 코너수직철근(5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블록(30)은 상기 제1앞속측벽(31) 및 제2앞속측벽(3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앞사선홈(30s)을 포함하고,
    상기 뒷코너블록(40)은 상기 제1뒷속측벽(41) 및 제2뒷속측벽(42)이 만나는 상하부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뒷사선홈(40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에 삽입된 기초 수직내진바(56)와,
    상기 기초 수직내진바(56)에 고정되어 상기 앞사선홈(30s) 및 뒷사선홈(40s)을 경유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철근(52)을 가로지르는 기초 사선내진바(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코너수직홀(30h) 및 뒷코너수직홀(40h)은 모르타르(M)가 채워져 양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독주택 기초 구조.
KR1020170086002A 2017-07-06 2017-07-06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8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02A KR101984610B1 (ko) 2017-07-06 2017-07-06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02A KR101984610B1 (ko) 2017-07-06 2017-07-06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116A true KR20190006116A (ko) 2019-01-17
KR101984610B1 KR101984610B1 (ko) 2019-06-03

Family

ID=6527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02A KR101984610B1 (ko) 2017-07-06 2017-07-06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148B1 (ko) 2021-12-17 2023-04-27 박소정 지반 기초구조물 및 지반기초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12Y1 (ko) * 2001-11-24 2002-04-13 김용식 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KR100995453B1 (ko) 2009-12-11 2010-11-18 김진경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12Y1 (ko) * 2001-11-24 2002-04-13 김용식 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KR100995453B1 (ko) 2009-12-11 2010-11-18 김진경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610B1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808B2 (en) Polystyrene wal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n insulated foam building
CA2515662C (en) Pre-cast concrete wall with truss ledge
US6494004B1 (en) Self jigging concrete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EP2167751B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1083670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저류조용 벽체구조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US20050262786A1 (en) Concrete foundation wall with a low density core and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1984610B1 (ko) 단독주택 기초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87644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JP2000120077A (ja) 住宅基礎及びその工法並びに住宅構造
JP3750135B1 (ja) 建物基礎および建物基礎工法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KR102052890B1 (ko) 외단열 지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331466B2 (ja) 地中等の蓄熱を利用した床の構築方法及び床構造
CN212926850U (zh) 一种被动式四季花园房地面保温结构
JPS6043529A (ja) べた基礎とその施工方法
JP4362610B2 (ja) 建物の床構造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20200026521A (ko) 조립식주택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RU224407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опалубка для бетонирования стен строит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