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352A -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352A
KR20190005352A KR1020170085867A KR20170085867A KR20190005352A KR 20190005352 A KR20190005352 A KR 20190005352A KR 1020170085867 A KR1020170085867 A KR 1020170085867A KR 20170085867 A KR20170085867 A KR 20170085867A KR 20190005352 A KR20190005352 A KR 2019000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lutch case
pto
powe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727B1 (ko
Inventor
김택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F16D43/202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16D43/2024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ax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the axially moving part being coaxial with the rotation, e.g. a gear with face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 취출 시스템에 작업기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를 차단시켜 주는 클러치를 도입하여 과부하로 인해 발생한 충격이 엔진과 동력전달부품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엔진과 동력전달부품의 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과 PTO부(28)의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전달 또는 과부하전달시 동력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 되는 제1 클러치 케이스(46);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 1 슬라이드 결합 수단(66);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제2 수용홈(58)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 사이에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서로 연결해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탄력지지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Clutch Assembly of PTO System for Tractor providing Function for Overload Cutoff}
본 발명은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TO 동력전달축과 PTO 구동기어 및 PTO(Power Take Of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력 취출 시스템에 작업기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를 차단시켜 주는 클러치를 도입하여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엔진과 동력전달부품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트랙터에는 엔진 동력을 변속하기 위한 트랜스미션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랜스미션에는 엔진 동력이 주변속장치를 거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0)에는 변속을 위한 트랜스미션(1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트랜스미션(12)은 앞뒤로 서로 연결된 주변속부와 부변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변속부는 트랙터(10)의 변속을 담당하며, 상기 부변속부는 주변속부에 이어 그 속도를 더 증감할 수 있도록 하는 변속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트랙터(10)에서는 전륜(14)쪽에 엔진(16)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16)의 동력은 트랜스미션(12)에 의하여 후륜(18)으로 전달된다. 상기 후륜(18)쪽에는 각종 작업을 위한 작업기(20)가 장착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12)에는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22)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 취출 시스템(S1)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동력 취출 시스템(S1)은 PTO 동력전달축(24), PTO 구동기어(26) 그리고 상기 PTO 동력전달축(24) 및 상기 PTO 구동기어(2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기(20)로 동력을 전달시켜주는 PTO부(28)가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된 상기 동력 출력 시스템(S1)의 경우, 작업기(20)를 이용한 작업 중 작업기(20)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는 PTO부(28)와 PTO 구동기어(26) 및 PTO 동력전달축(24)과 엔진 동력전달축(22)을 통해 엔진(16)에 그대로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작업기(20)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는 엔진 동력전달축(2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엔진 동력전달축(22) 및 엔진(16)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충격에 의하여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22) 및 엔진(16)이 소손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TO 동력전달축과 PTO 구동기어 및 PTO(Power Take Off)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력 취출 시스템에 작업기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를 차단시켜 주는 클러치를 도입하여 과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엔진과 동력전달부품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그러한 과부하 차단을 통해 엔진과 동력전달부품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과 PTO부(28)의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 또는 과부하 전달시 동력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 케이스(46);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1 슬라이드 결합 수단(66);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제2 수용홈(58)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 사이에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탄력지지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드 결합수단(66)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70)과, 상기 제1 결합홈(70)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 오목홈(72)과, 상기 제1 오목홈(72)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돌기(74)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슬라이드 결합 수단(68);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를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탄력지지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드 결합수단(68)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76)과, 상기 제2 결합홈(76)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 오목홈(78)과, 상기 제2 오목홈(78)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돌기(80)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과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으로부터 이격 되는 위치에 서로 동일한 배열 구조로 형성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매개수단(50)은 전달부재(60)와 고정스페이서(62)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60)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페이서(62)는 상기 전달부재(60)의 배열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상기 전달부재(60)를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는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의 후방 지지를 위하여 제1 지지스페이서(82)가 결합 고정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는 상기 제2 탄력지지부재(54)의 후방 지지를 위하여 제2 지지스페이서(84)가 결합 고정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과 PTO부(28)의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 또는 과부하 전달시 동력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 케이스(46);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슬라이드 결합 수단(68);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제2 수용홈(58)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 사이에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를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탄력지지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는 PTO 동력전달축으로부터 과부하 전달시, 엔진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과 PTO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를 서로 차단시켜 줌으로써 엔진과 엔진 동력전달부품은 물론, PTO 동력전달부품의 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업용 트랙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과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이 엔진과 연결되는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과 엔진이 연결되는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부분 단면 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서 도시된 구성 일부를 분리하여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a는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b는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을 절개한 것으로, 도 6a는 A-A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B-B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의 동작 구현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는 무부하시 동력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b는 과부하시 동력이 차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과 엔진이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트랙터의 엔진(16)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동력 취출 시스템(S2)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이 동력 취출 시스템(S2)과 연결된다.
상기 동력 출력 시스템(S2)은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 PTO 동력전달축(44), PTO 구동기어(26), PTO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작업기(20)로 전달하게 되는 상기 PTO부(2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상기 PTO 동력전달축(44) 간에 동력 연결 또는 부하 차단을 위하여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상기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b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대칭을 이루며 분할된 구조로 양편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연결시켜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과,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를 각각 탄력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와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는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가 서로 마주하고 있는 면에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수용홈(56, 58)이 서로 동일한 배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과,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매개수단(50)은 전달부재(60)와 고정스페이서(6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전달부재(60)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과의 결합 및 이탈시에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동작 구현을 위해 원형 구조를 갖는 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스페이서(62)는 상기 전달부재(60)의 중심을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전달부재(60)의 임의적인 위치 이동은 물론, 배열 구조가 임의 적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제1 슬라이드 결합수단(66)을 통해 결합 되고,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는 제2 슬라이드 결합수단(68)을 통해 상기 PTO 동력전달축(44)과 결합 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 결합수단(66)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70)과, 상기 제1 결합홈(70)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 오목홈(72)과, 상기 제1 오목홈(72)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돌기(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슬라이드 결합수단(68)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76)과, 상기 제2 결합홈(76)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 오목홈(78)과, 상기 제2 오목홈(78)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돌기(8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연동 회전을 하면서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취하고 있고,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도 상기 PTO 동력전달축(44)과 연동 회전을 하면서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이 관통하는 형태로 제1 지지스페이서(82)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이 관통하는 형태로 제2 지지스페이서(84)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스페이서(82, 84)의 후방에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스페이서(82, 84)가 후방을 향해 위치 이동을 하지 못하도록 스냅링으로 이루어진 고정구(86)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각각 고정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스페이서(82, 84)를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스페이서(82, 84)의 후방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상기 고정구(86)가 사용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고정구(86)의 결합 없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스페이서(82, 84)가 위치 고정되는 상태로 결합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스페이서(82)와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사이에는 제1 탄력지지부재(52)가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스페이서(84)와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사이에는 제2 탄력지지부재(54)가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가 해당하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를 탄력 지지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의 둘레를 감싸지 않는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를 탄력 지지하는 구조도 무방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6)으로부터 발생한 동력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과 연동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로 전달되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가 회전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회전력은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상기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상기 제2 수용홈(58) 사이에 결합 되어 있는 상기 전달부재(60)을 통해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 전달되어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2클러치 케이스(48)가 회전을 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이 회전을 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의 동력은 상기 작업기(20)를 사용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이용된다.
위와 같이 상기 엔진(16)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기(20)를 이용한 작업중 상기 작업기(20)에서 발생한 작업 과부하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으로 전달되게 되면,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전달된 과부하는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로 전달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PTO 동력전달축(44)과 연동하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 전달된 과부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6)로 전달된 과부하가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의 탄성력보다 크거나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제2 탄력지지부재(54)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재(60)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상기 제1 수용홈(56) 또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상기 제2 수용홈(58) 중 어느 하나의 제1 수용홈(56) 또는 제2 수용홈(58)으로부터 이탈되고 제1 클러치 케이스(46) 또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 또는 제2 탄력지지부재(54)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또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 또는 제2 탄력지지부재(54)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달부재(60)가 상기 제1 수용홈(56) 또는 제2 수용홈(5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완전히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와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간에 동력 차단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만 헛도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 전달된 과부하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상기 전달부재(60)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상기 제1 수용홈(56) 및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상기 제2 수용홈(58) 둘 다로부터 빠져나오는 이탈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는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클러치 케이스(48)는 상기 제2 탄력지지부재(54)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및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상기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달부재(60)가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으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게 되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와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간에 동력 차단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만 헛도는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부터 전달되는 과부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 및 상기 엔진(16)에 충격 발생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배경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와 같이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 및 상기 엔진(1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에 전달된 과부하가 해소되거나 또는 과부하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재(52, 54)의 탄성력 미만인 경우, 후방으로 이동되었던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또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1 또는 제2 탄력지지부재(52, 54)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가 서로 합쳐지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상기 제1 수용홈(56)과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상기 제2 수용홈(58) 사이에 상기 전달부재(60)가 재결합되면서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회전력이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로 전달되게 되고 그에 따라 차단되었던 동력이 재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트랙터
12 : 트랜스미션
14 : 전륜
16 : 엔진
18 : 후륜
20 : 작업기
22, 40 : 엔진 동력전달축
24, 44 : PTO 동력전달축
26 : PTO 구동기어
28 : PTO부
42 :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
46 : 제1 클러치 케이스
48 : 제2 클러치 케이스
50 : 동력전달매개수단
52 : 제1 탄력지지부재
54 : 제2 탄력지지부재
56 : 제1 수용홈
58 : 제2 수용홈
60 : 전달부재
62 : 고정스페이서
66 : 제1 슬라이드 결합수단
68 : 제2 슬라이드 결합수단
70 : 제1 결합홈
72 : 제1 오목홈
74 : 제1 가이드돌기
76 : 제2 결합홈
78 : 제2 오목홈
80 : 제2 가이드돌기
82 : 제1 지지스페이서
84 : 제2 지지스페이서
86 : 고정구

Claims (11)

  1.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과 PTO부(28)의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 또는 과부하 전달시 동력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 케이스(46);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1 슬라이드 결합 수단(66);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제2 수용홈(58)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 사이에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 탄력지지부재(5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결합수단(66)은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70)과, 상기 제1 결합홈(70)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1 오목홈(72)과, 상기 제1 오목홈(72)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돌기(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슬라이드 결합 수단(68);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를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탄력지지부재(5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결합수단(68)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에 형성되는 제2 결합홈(76)과, 상기 제2 결합홈(76)에 내주 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제2 오목홈(78)과, 상기 제2 오목홈(78)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드돌기(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은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과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의 중심으로부터 이격 되는 위치에 서로 동일한 배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매개수단(50)은 전달부재(60)와 고정스페이서(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60)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페이서(62)는 상기 전달부재(60)의 배열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상기 전달부재(60)를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는 상기 제1 탄력지지부재(52)의 후방 지지를 위하여 제1 지지스페이서(82)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는 상기 제2 탄력지지부재(54)의 후방 지지를 위하여 제2 지지스페이서(84)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11. 엔진(16)의 엔진 동력전달축(40)과 PTO부(28)의 PTO 동력전달축(44) 사이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 또는 과부하 전달시 동력을 차단하는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를 포함하며,
    상기 과부하 차단 클러치부(42)는,
    상기 엔진 동력전달축(40)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 케이스(46);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 케이스(48);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가 상기 PTO 동력전달축(4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 2 슬라이드 결합 수단(68);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의 제1 수용홈(56)과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의 제2 수용홈(58) 및,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6, 58) 사이에 결합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클러치 케이스(46, 48) 간 동력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동력전달매개수단(50);
    상기 제2 클러치 케이스(48)를 상기 제1 클러치 케이스(46)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 탄력지지부재(5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KR1020170085867A 2017-07-06 2017-07-06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KR10220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67A KR102204727B1 (ko) 2017-07-06 2017-07-06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67A KR102204727B1 (ko) 2017-07-06 2017-07-06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52A true KR20190005352A (ko) 2019-01-16
KR102204727B1 KR102204727B1 (ko) 2021-01-19

Family

ID=6528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67A KR102204727B1 (ko) 2017-07-06 2017-07-06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5929U (ko) * 1986-01-17 1987-07-23
US6312339B1 (en) * 1997-07-25 2001-11-06 Martina Kuerten Safety coupling
CN103511488A (zh) * 2012-06-30 2014-01-15 徐州康腾传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机械传动联轴器结构
CN204716802U (zh) * 2015-06-28 2015-10-21 乌鲁木齐拓荒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扭矩过载联轴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5929U (ko) * 1986-01-17 1987-07-23
US6312339B1 (en) * 1997-07-25 2001-11-06 Martina Kuerten Safety coupling
CN103511488A (zh) * 2012-06-30 2014-01-15 徐州康腾传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机械传动联轴器结构
CN204716802U (zh) * 2015-06-28 2015-10-21 乌鲁木齐拓荒者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扭矩过载联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727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028B2 (ja) 電磁噛み合いクラッチ
CA1114206A (en) Two-speed power take-off
EP3099952B1 (en) Composite friction and dog clutch
JPH0786372B2 (ja) トルク制限クラッチ
KR102284192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더블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CN113339419B (zh) 一种弹性牙嵌式离合器
KR102297197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더블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CN112879460A (zh) 离合器及驱动系统
KR20190005352A (ko) 과부하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트랙터용 동력 취출 시스템의 클러치 어셈블리
KR102284200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더블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KR102284189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변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US20240102536A1 (en) Electric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284199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더블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KR102284201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더블 클러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KR102284191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변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KR102284190B1 (ko) 차량용 전동 구동 장치의 변속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 장치
JP6066618B2 (ja) 駆動軸組立体
CN106481691B (zh) 双向超越离合器以及包括双向超越离合器的动力传递系统
JP2009197999A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KR20210094885A (ko) 전기 자동차 파킹 장치
US20230217860A1 (en) Clutch and work machine having same
GB2128272A (en) Friction clutch with power take-off
KR101695425B1 (ko) 농기계용 조인트장치
US20240060540A1 (en) Double clutch assembly of electric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electric driv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20240117847A1 (en) Speed shifting structure of electric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electric driving apparatus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