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23A - 전기 모기장 - Google Patents

전기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23A
KR20190004423A KR1020170084617A KR20170084617A KR20190004423A KR 20190004423 A KR20190004423 A KR 20190004423A KR 1020170084617 A KR1020170084617 A KR 1020170084617A KR 20170084617 A KR20170084617 A KR 20170084617A KR 20190004423 A KR20190004423 A KR 20190004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electric mosquito
mosquito
wire
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준
Original Assignee
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준 filed Critical 임상준
Priority to KR102017008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423A/ko
Publication of KR2019000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전기 모기장은 측면과 상부 면으로 이루어지는 모기장이 구비되고,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과;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살충부재가 상기 상부 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철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고,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절연망이 상기 철망에 이격되게 장착되어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철망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기장 내부로 들어온 모기도 박멸할 수 있고, 경첩에 의하여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조명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모기장{ELECTRIC MOSQUITO NET}
본 발명은 전기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장 내부로 들어온 모기와 같은 해충도 박멸할 수 있고,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장은 주로 여름철에 실내 또는 야외에서 내부로 모기 및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모기장 속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모기 및 해충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 통풍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망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05-0039816호(2005.04.29. 공개) 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371967호(2014.03.07. 공고) 문헌3: 공개특허공보 10-2010-0119203호(2010.11.09. 공개) 문헌4: 공개특허공보 10-2007-0005300호(2007.01.10. 공개) 문헌5: 공개특허공보 10-2004-0086044호(2004.10.08. 공개)
한편, 종래의 모기장은 모기 및 해충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막는 기능만을 중점을 두고 제조되므로, 모기 및 해충이 상기 모기장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거나, 상기 모기장 내부의 모기는 퇴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모기장 내부로 침입한 모기를 퇴치하기 위하여 모기장 내부에 살충제를 분사하여 사용자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장 내부로 들어온 모기와 같은 해충도 박멸할 수 있고,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모기장l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측면과 상부 면으로 이루어지는 모기장이 구비되고,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과;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살충부재가 상기 상부 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철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절연망이 상기 철망에 이격되게 추가로 장착되어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철망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살충부재는 상기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로 장착되는 상기 살충부재는 경첩에 의하여 서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절연망은 상기 철망의 전후에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 면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에는 출입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모기장에는 하부 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판에는 압전소자가 구비되어서 전기가 발전되고, 발전된 전기는 상기 철망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살충부재는 상부에 형성되는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그물 크기는 상기 절연망의 그물 크기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되고, 상기 철망과 상기 절연망 사이에는 서로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간격유지편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조명등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기장 내부로 들어온 모기도 박멸할 수 있고, 경첩에 의하여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여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조명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충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충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
도 8은 살충부재가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살충부재의 사시도와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모기장에는 살충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살충부재(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31)과,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31) 내측에 장착되는 철망(33)과, 상기 철망(3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망(33)의 양면에는 각각 절연망(35)이 장착된다.
상기 철망(33)은 상기 전원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하여 고전압이 발생하고, 이와 같이 고전압이 인가된 상기 철망(33)에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접촉하게 되면 살충이 되게 된다.
상기 절연망(35)은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유지편(40)에 의하여 상기 절연망(35)이 상기 철망(33)으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상기 철망(33)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망(33)의 그물 크기는 상기 절연망(35)의 그물 크기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원부(미도시)는 건전지, 충전기 또는 후술하는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전된 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의 외주 면은 절연체로 이루어져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프레임(31)에 접촉되어도 안전한 상태가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기장(10)은 망사 원단(20)으로 제조된 통상의 모기장의 상부에 형성되는 4곳의 모서리에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침입하는 모기와 같은 해충은 상기 망사 원단(20)에 의하여 차단되고, 모기장(10) 내부로 침입한 모기는 상기 살충부재(30)에 의하여 살충 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모기장(10) 내부로 출입하는 동안에 모기장(10)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되고, 이와 같이 개방된 부위에 의하여 침입한 모기나, 모기장(10) 설치 전에 침입한 모기는 상부 면의 모서리 부위에 숨는 경향이 있고, 이와 같은 모서리의 구석진 부위로 숨는 모기는 상기 살충부재(30)에 의하여 박멸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전체는 상기 살충부재(3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측면은 망사 원단(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살충부재(30)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면적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큰 면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살충부재(30)는 고정줄(10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는 5면 전체가 상기 살충부재(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충부재(30)를 출입문(70)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 면에 하부판(60)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60)에는 압전소자(미도시)에 의하여 전기가 발전된다.
상기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는 압전효과를 나타내는 물질(PZT 티탄산지르콘산연)을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요소부품으로 피에조 소자라고도 부른다.
상기 압전소자 상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체중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며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압전소자는 외부에서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하(전기)를 발생시키고, 외부로부터 전압을 걸어주면 기계적인 힘을 전기적 신호로,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힘으로 변화시키는 소자로서 이러한 압전소자로는 현재 세라믹을 재료로 하는 압전세라믹(piezoelectric ceramics)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60) 상부 면에 위치하고 움직이면 압전소자에 압력이 전달되어 압전소자에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므로 압전소자에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압전소자에 발생하는 전기량은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조명등(미도시)에 공급되어서 야외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살충부재(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50)에 의하여 절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첩되는 상기 살충부재(30)에 의하여 이동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모기장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전기 모기장, 20: 망사 원단,
30: 살충부재, 31: 프레임,
33: 철망, 35: 절연망,
40: 간극유지편, 50: 경첩,
60: 하부판, 70: 출입문,
100: 고정줄, 200: 전선,
300: 경첩

Claims (11)

  1. 측면과 상부 면으로 이루어지는 모기장에 있어서,
    외곽을 이루는 프레임과;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측에 장착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지는 살충부재가 상기 상부 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장착되고, 상기 철망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2. 제 1항에 있어서,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지는 절연망이 상기 철망에 이격되게 추가로 장착되어서, 신체의 일부가 상기 철망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부재는 상기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4. 제 3항에 있어서, 복수로 장착되는 상기 살충부재는 경첩에 의하여 서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망은 상기 철망의 전후에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 면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에는 출입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장에는 하부판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압전소자가 구비되어서 전기가 발전되고, 발전된 전기는 상기 철망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부재는 상부에 형성되는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의 그물 크기는 상기 절연망의 그물 크기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되고, 상기 철망과 상기 절연망 사이에는 서로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간격유지편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는 조명등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모기장.
KR1020170084617A 2017-07-04 2017-07-04 전기 모기장 KR20190004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17A KR20190004423A (ko) 2017-07-04 2017-07-04 전기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17A KR20190004423A (ko) 2017-07-04 2017-07-04 전기 모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23A true KR20190004423A (ko) 2019-01-14

Family

ID=6502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17A KR20190004423A (ko) 2017-07-04 2017-07-04 전기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4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4514A (zh) * 2020-03-31 2020-06-12 上海环东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声光耦合效应的驱蚊设备
CN113854778A (zh) * 2021-11-04 2021-12-31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的灭蚊防蚊电蚊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4514A (zh) * 2020-03-31 2020-06-12 上海环东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声光耦合效应的驱蚊设备
CN113854778A (zh) * 2021-11-04 2021-12-31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的灭蚊防蚊电蚊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4306A (ko) 전격 방충장치
KR20190004423A (ko) 전기 모기장
JPH0332333B2 (ko)
US10151141B2 (en) Insect killing door system
KR200459586Y1 (ko) 감전방지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파리채
KR101415958B1 (ko) 전기 해충퇴치장치
CN211859273U (zh) 一种户外防虫配电箱
TWI759599B (zh) 具有驅蟲功能的門窗遮蔽結構
JP6713620B2 (ja) 静電場発生装置、飛動生物除去装置及び植物保護装置
JP2016220629A (ja) 携帯型害虫誘引捕捉装置及び携帯型静電場スクリーン発生装置
JPS60137320A (ja) 防虫装置付収納家具
KR101720232B1 (ko) 스위치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102635471B1 (ko) 모기 침입 방지장치
JPS6240238A (ja) 昆虫を防除する網戸装置
KR20230066496A (ko) 창틀에 부착하는 해충 퇴치 기구
JPS6112232A (ja) 電撃防虫具
JPH0332332B2 (ko)
KR20240120111A (ko) 자석을 이용한 확장형 모기퇴치기 연결구조
JPS623730A (ja) 防虫装置付き家具
KR20210123166A (ko) 해충 퇴치용 액자
KR20220089346A (ko) 벌레 퇴치가 용이한 방충망 결합 구조
JPS60214829A (ja) 防虫装置
JPH028721B2 (ko)
CA2364970A1 (en) Insect exterminator
JPS619241A (ja) 防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