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471B1 - 모기 침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모기 침입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5471B1 KR102635471B1 KR1020210127377A KR20210127377A KR102635471B1 KR 102635471 B1 KR102635471 B1 KR 102635471B1 KR 1020210127377 A KR1020210127377 A KR 1020210127377A KR 20210127377 A KR20210127377 A KR 20210127377A KR 102635471 B1 KR102635471 B1 KR 102635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member
- prevention device
- intrusion prevention
- mosquito
- hold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의 세로 경계 및 방충망이 설치되는 창틀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제1 안내공과 측면에 형성된 제2 안내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2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차단부재로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 사이의 틈과 배수공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과 함께 실내의 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여 모기가 들어오기 힘든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하고 미세 조정을 통해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이나 방충망과 창문 사이의 틈을 통해 모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 일반 거주용 건물의 창틀에는 메시형의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어 모기 등의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창틀에 방충망을 설치하더라도 창틀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이나, 방충망과 수직의 창문 사이의 틈을 통해 모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방충의 효과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기존의 방충망을 통해 해충의 유입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지만 완벽하게 차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이나 방충망과 창문 사이의 틈을 통해 모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모기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의 세로 경계 및 방충망이 설치되는 창틀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형성된 제1 안내공과 측면에 형성된 제2 안내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2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제2 차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내에는 신장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를 원상으로 축소시키기 위한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복원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은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창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와 제1 차단부재 및 제2 차단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과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의 세로 경계 및 방충망이 설치되는 창틀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제1 안내공과 측면에 형성된 제2 안내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2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차단부재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 사이의 틈과 배수공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과 함께 실내의 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여 모기가 들어오기 힘든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하고 미세 조정을 통해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내에는 신장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를 원상으로 축소시키기 위한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복원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이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가 신장된 후 상기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에 의해 스스로 축소되는 경향을 갖도록 하고, 신장 후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사용이 한층 편리하고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분리할 경우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와 제1 차단부재 및 제2 차단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스위치를 켰을 때 모기 등 해충이 감전되도록 하여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충망과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방충망에 근접한 모기를 감전시키도록 하여 방충 효과를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차단부재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차단부재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1000)는, 서로 이웃하는 창문(910)과 방충망(920)의 세로 경계 및 방충망(920)이 설치되는 창틀(930)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모기 침입 방지장치(100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하고 미세 조정을 통해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1000)는, 상면에 형성된 제1 안내공(110)과 측면에 형성된 제2 안내공(120)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제1 안내공(110)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제1 차단부재(210) 및, 상기 제2 안내공(120)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제2 차단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차단부재(210)는 신장되었을 때 상기 방충망(920)의 수직틀과 상기 방충망(920)에 이웃하는 창문(910)의 수직틀 사이의 틈을 막도록 상기 창문(910)의 수직틀과 방충망(920)의 수직틀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부재(220)는 신장되었을 때 창틀(930)의 하단 가이드 레일(931)에 접촉하여 가이드 레일(931)에 형성된 배수공(940)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단부재(210)(220)로 틈과 배수공(940)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과 함께 실내의 빛이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여 모기가 들어오기 힘든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 내에는 신장된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를 원상으로 축소시키기 위한 제1 복원수단(310)과 제2 복원수단(320)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가 신장된 상태에서 복원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유지수단(410)과 제2 유지수단(420)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의 줄자와 같이,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가 신장된 후 상기 제1 복원수단(310)과 제2 복원수단(320)에 의해 스스로 축소되는 경향을 갖도록 하고, 신장 후 상기 제1 유지수단(410)과 제2 유지수단(420)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를 자유롭게 신축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한층 편리하게 되고, 모기 침입 방지장치를 분리할 경우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복원수단(310)과 제2 복원수단(320)은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유지수단(410)과 제2 유지수단(420)은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미도시)로 구성되어, 줄자에서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한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가 눌려서 그 자리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지수단(410)과 제2 유지수단(420)은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자석(411)(42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의 단부와 마주보는 창틀(930)의 상단과 하단의 내측에 형성된 자석(미도시)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지수단(410)과 제2 유지수단(420)은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후크(미도시)로 구성되어 창틀(93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고리(미도시)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손잡이(50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를 용이하게 잡아서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에는 상기 창틀(930)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931)이 삽입되는 설치홈(130)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가 창틀(930)에 콤팩트하게 흔들림 없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210)와 제2 차단부재(2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610)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610)와 제1 차단부재(210) 및 제2 차단부재(2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620)가 설치되어 있어, 차단부재(210)(220)가 창틀(930)과 방충망(920) 사이의 틈과 배수공(940)을 모두 차단한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스위치(620)를 켜서 차단부재(210)(220)에 전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모기 등 해충이 감전되도록 하여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충망(920)과 배터리(6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방충망(920)에 근접한 모기를 감전시키도록 하여 방충 효과를 한층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류가 흐르는 상기 차단부재(210)(220)와 방충망(920)에 의해 실내를 향해 접근하는 모기를 감전시켜서 박멸함으로써 모기 퇴치효과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1000))의 차단부재(210)(220)가 신장된 상태에서 틈과 배수공(940)을 차단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창문(910)이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창문(910)과 횡방향으로 이웃한 상태에서 닫힐 때 상기 방충망(920)과 대향하는 내측 창문(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침입 방지장치(1000)는 상기 방충망(920)과 내측 창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술되지 않은 구성부호 170은 배터리(610)를 설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케이스(100)의 앞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커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제1 안내공
120... 제2 안내공
130... 설치홈
210... 제1 차단부재
220... 제2 차단부재
310... 제1 복원수단
320... 제2 복원수단
410... 제1 유지수단
411... 자석
420... 제2 유지수단
421... 자석
500... 손잡이
610... 배터리
620... 스위치
910... 창문
920... 방충망
930... 창틀
931... 가이드 레일
940... 배수공
1000... 모기 침입 방지장치
110... 제1 안내공
120... 제2 안내공
130... 설치홈
210... 제1 차단부재
220... 제2 차단부재
310... 제1 복원수단
320... 제2 복원수단
410... 제1 유지수단
411... 자석
420... 제2 유지수단
421... 자석
500... 손잡이
610... 배터리
620... 스위치
910... 창문
920... 방충망
930... 창틀
931... 가이드 레일
940... 배수공
1000... 모기 침입 방지장치
Claims (10)
- 서로 이웃하는 창문과 방충망의 세로 경계 및 방충망이 설치되는 창틀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제1 안내공과 측면에 형성된 제2 안내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제1 차단부재; 및
상기 제2 안내공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제2 차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 내에는 신장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를 원상으로 축소시키기 위한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가 신장된 상태에서 복원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수단과 제2 복원수단은 태엽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수단과 제2 유지수단은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창틀의 하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설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와 제1 차단부재 및 제2 차단부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과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 침입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7377A KR102635471B1 (ko) | 2021-09-27 | 2021-09-27 | 모기 침입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7377A KR102635471B1 (ko) | 2021-09-27 | 2021-09-27 | 모기 침입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4809A KR20230044809A (ko) | 2023-04-04 |
KR102635471B1 true KR102635471B1 (ko) | 2024-02-08 |
Family
ID=859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7377A KR102635471B1 (ko) | 2021-09-27 | 2021-09-27 | 모기 침입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547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476B1 (ko) * | 2015-07-14 | 2016-02-05 | 김민주 | 해충 먼지 차단 장치 |
KR102006578B1 (ko) | 2018-11-29 | 2019-10-08 | 박사민 | 탈부착이 가능한 창틀 청소 겸용 틈막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5360Y1 (ko) * | 1996-04-17 | 1998-10-15 | 김재현 | 복수 미닫이 창의 회권식 방충망 |
KR20130104388A (ko) * | 2012-03-14 | 2013-09-25 | (주)엘지하우시스 |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
KR20200059969A (ko) * | 2018-11-21 | 2020-05-29 | 주식회사 유일라이트메탈 |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
KR20210069248A (ko) | 2019-12-03 | 2021-06-11 |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기능성 전기 방충 창호 시스템 |
KR102570364B1 (ko) * | 2020-02-25 | 2023-08-23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 방충망 장치 |
-
2021
- 2021-09-27 KR KR1020210127377A patent/KR1026354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476B1 (ko) * | 2015-07-14 | 2016-02-05 | 김민주 | 해충 먼지 차단 장치 |
KR102006578B1 (ko) | 2018-11-29 | 2019-10-08 | 박사민 | 탈부착이 가능한 창틀 청소 겸용 틈막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4809A (ko) | 2023-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4233B1 (ko) | 접철식 방충망을 겸비한 접철식 방진망 | |
KR101866294B1 (ko) |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 |
KR20200059969A (ko) |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 |
KR20100104306A (ko) | 전격 방충장치 | |
KR102668099B1 (ko) | 창틀 프레임의 배수공에 설치되는 방충캡 | |
KR20130104388A (ko) |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 |
KR101807569B1 (ko) | 방충망 일체형 창호 구조체 | |
KR20180114378A (ko) |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 |
KR102635471B1 (ko) | 모기 침입 방지장치 | |
KR102216108B1 (ko) |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 | |
KR20210076568A (ko) |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 |
KR200447294Y1 (ko) | 롤타입 환경 방충망 | |
KR200466679Y1 (ko) | 롤 방충망 | |
KR20100079432A (ko) | 방충망이 내장된 창호 | |
KR101930728B1 (ko) | 일체형 방충망 창호 | |
KR20150061910A (ko) | 롤방충망의 원터치식 개폐장치 | |
KR20160009438A (ko) |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 |
KR20190016794A (ko) | 방충망장치 | |
KR20100036114A (ko) | 이중방충망 | |
KR102098823B1 (ko) | 방충망 구조체 | |
KR20220001288U (ko) | 전기 방충망 | |
KR101451621B1 (ko) | 방충 부재를 이용한 방충 구조체 | |
KR102121491B1 (ko) |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 |
KR20180040815A (ko) | 창호용 빗물 유입방지 장치 | |
KR102024984B1 (ko) | 들창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