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043A -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43A
KR20190004043A KR1020170084101A KR20170084101A KR20190004043A KR 20190004043 A KR20190004043 A KR 20190004043A KR 1020170084101 A KR1020170084101 A KR 1020170084101A KR 20170084101 A KR20170084101 A KR 20170084101A KR 20190004043 A KR20190004043 A KR 20190004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api
integrated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tem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806B1 (ko
Inventor
이상민
황기준
Original Assignee
(주)더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리스 filed Critical (주)더리스
Priority to KR102017008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상품 판매자용 사용자단말기들을 연계하기 위한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서로 다른 국가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서버들에서 제공하는 다수개의 템플릿들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문서를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상품정보문서내의 템플릿들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문서 내의 템플릿들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기초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online shopping mall based on API}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양식을 사용하는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단말기들간에 API 연동방식으로 연계하여 판매자들이 효율적으로 상품 관리가 가능한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경우 상품 등록, 상품 정보 변경, 주문, 발송 등이 발생할 때마다 쇼핑몰에 로그인하여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송장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쇼핑몰의 경우, 판매자들이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각각의 국가의 쇼핑몰서버에 별도로 접속하여 상품, 주문 등을 관리해야 하고, 상품등록시 상품별 카테고리에 맞는 포맷에 따라 양식을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상품 등록 및 관리에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발생하고 있다.
선행특허 제10-09999165호는 다수의 종합쇼핑몰에 등록된 상품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각 나라별 서로 다른 양식을 사용하는 글로벌 쇼핑몰내에 입점한 판매자들의 효율적인 상품 관리를 위한 API 연동 관련 기술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양식을 사용하는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단말기들간에 API 연동방식으로 연계하여 판매자들이 효율적으로 상품 관리가 가능한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상품 판매자용 사용자단말기들을 연계하기 위한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은, 사용자단말기가 서로 다른 국가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서버들에서 제공하는 다수개의 템플릿들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문서를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상품정보문서내의 템플릿들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문서 내의 템플릿들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기초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은 상기 단일화 API템플릿을 피드전송용 XML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전송용 XML을 다수개의 쇼핑몰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쇼핑몰서버에서 제공하는 API를 연동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매핑된 통합템플릿 자료를 API를 통해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서로 다른 국가의 쇼핑몰 서버에 API 연동방식으로 연계하여 상품관리, 주문관리, 배송관리, FBA Inbound(쇼핑몰 위탁판매), 통계분석이 간편해져 인건비와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나라별 서버에 로그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통합 관리가 가능해져 오배송, 배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 계정을 통합 관리하여 계정 정보 보안에 용이하며, 백업자료 및 통합관리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feed)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포트(report)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무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발송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BA 인바운드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유어스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예약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상품 정보가 저장된 상품정보문서를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한다(S110). 상기 상품정보문서는 각 셀에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엑셀(excel) 문서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개별 상품정보를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이후에,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상품정보문서내의 템플릿들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문서 내의 템플릿들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한다(S120). 상기 템플릿들은 상품 등록 및 수정 양식으로 국가별로 상이하며, 예컨대 미국 쇼핑몰서버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에는 약 37개의 카테고리가 포함되고, 각 나라별로 계산하면 37*n개로 늘어나 국가별로 통합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다른 국가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으로 새로 작성해야 하며, 또한 상기 템플릿이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문제가 있다.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은 모든 템플릿 항목을 총 4개의 통합 상품 테이블로 분류하여 통합할 수 있고, 템플릿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항목을 메인 테이블에 저장하고, 나머지 항목은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3개의 테이블에 나누어 저장한다. 템플릿의 각 항목은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국가의 템플릿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렬고유번호는 템플릿의 파일업로드 및 파일 추출을 위한 고유번호이며, 주기적으로 템플릿 형식이 변경되더라도 셀위치 변경 및 신규 추가 필드는 정렬고유번호만 추가하여 빠른 템플릿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이후에,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기초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한다(S13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와 반대로 정렬고유번호에 매칭되는 항목명으로 변환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한다.
이후에,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단일화 API템플릿을 피드전송용 XML로 변환한다(S140).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은 쇼핑몰서버들에 상기 단일화 API템플릿을 전송하기 위해 피드전송용 XML로 변환한다.
이후에,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피드전송용 XML을 다수개의 쇼핑몰서버에 전송한다(S150).
즉, 본 발명은 쇼핑몰서버에서 제공하는 API를 연동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매핑된 통합템플릿 자료를 API를 통해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서로 다른 국가의 쇼핑몰 서버에 API 연동방식으로 연계하여 상품관리, 주문관리, 배송관리가 간편해져 인건비와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9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상품관리부(110), 주문관리부(120), 멀티채널부(130), 재무관리부(140), 주문발송부(150), FBA 인바운드부(160), 셀유어스부(170), 스케쥴예약부(180), 데이터베이스(190)로 구성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 시스템(100)은 다수개의 쇼핑몰서버들(300)과 다수개의 사용자단말기들(200)을 API연동방식으로 연계하도록 쇼핑몰서버들(300)이 제공하는 API 전송자료를 분석 및 가공하고, 통합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수개의 쇼핑몰서버들(300)이 서로 다른 템플릿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품관리, 주문관리, 재무관리, 주문발송이 가능하다.
다수개의 쇼핑몰서버들(300)은 쇼핑몰서버1(300a), 쇼핑몰서버2(300b), 쇼핑몰서버3(300c), 쇼핑몰서버4(300d)로 구성될 수 있고, 쇼핑몰서버1(300a) 내지 쇼핑몰서버4(300d)는 각각 서로 다른 국가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템플릿을 사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컨대, 쇼핑몰서버1(300a)는 미국(US)에 배치되고, 쇼핑몰서버2(300b)는 일본(JP)에 배치되고, 쇼핑몰서버3(300c)는 영국(UK)에 배치되고, 쇼핑몰서버4(300d)는 독일(DE)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다. 쇼핑몰서버들(300)은 Inventory, Order, Multi-Channel, FBA Inbound 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부는 쇼핑몰 API 통합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품관리부(110)는 사용자가 상품정보문서를 업로드하면 사용 가능한 버전의 템플릿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품정보문서를 정렬 고유번호에 매칭하고 동일자료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API상품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주문관리부(120)는 사용자단말기가 주문수집요청하면, 국가별 주문 리포트를 호출하여 쇼핑몰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채널부(130)는 이미 수집된 주문 및 재고 자료를 토대로 멀티채널 가능주문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재무관리부(140)는 자료 분석을 위해 '다차원 배열(Multidimensional array)'를 이용하며 Finance 리포트에선 '3차원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주문발송부(15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발송 요청하면, 발송 내역을 수신하여 물류서버(400)에 전달한다. FBA 인바운드부(16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판매 기간 설정 및 리포트를 요청하면, 판매 리포트를 호출하고, 요청 결과를 수신하여 운송장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FBA주문량 산출 및 상품 리스트를 출력한다. 셀유어스부(170)는 쇼핑몰 서버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동일 상품을 자신의 상품으로 설정하여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200)가 상품을 검색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상품 검색을 호출하고, 결과를 파싱 및 출력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스케쥴예약부(180)는 크론 서버(500)는 매 1분마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로 정해진 스케쥴 실행이 있는지 체크하여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190)는 서로 다른 템플릿 항목을 통합 상품 테이블로 분류하여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feed)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포트(report)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API는 피드(feed)와 리포트(report)로 구분할 수 있다. 피드(feed)는 상품등록, 재고수정, 발송처리등 쇼핑몰 서버에 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되며 리포트(report)는 자료(주문정보, 재고정보)를 제공 받을 때 사용된다.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용 API는 SOAP 방식으로 전문형태(Payload type)와 리턴값(Return Type)이 모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형태이다. 상기 XML은 실제 정보나 속성값을 추출해 내는 파싱(parsing)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용 API는 DOM (Document Object Model) 방식과 SAX (Simple API for XML)방식을 상황에 따라 선택 사용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전송하려는 정보를 쇼핑몰 서버(300)에서 정한 'XML' 형태로 변환하여 함수(SubmitFeed)를 호출한다. 호출을 수신한 쇼핑몰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요청된 XML양식를 체크(API Accesskey Check)한다. XML양식에 문제가 없으면 쇼핑몰 서버(300)는 해당 요청을 진행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요청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함수(GetFeedSubmissionList)를 주기적으로 호출한다. 이 함수는 1시간에 80회 호출 제한을 가진다. 이후 호출은 무시(Throttling)되며 매 45초 마다 1회 복구(Restore) 된다. 처리 결과는 '_SUBMITTED_', '_IN_PROGRESS_', '_DONE_', '_CANCELLED_' 상태(Status)를 가진다. 리턴된 상태가 '_DONE_'이 되면 처리가 완료됨을 뜻하고 함께 넘겨 받은 'FeedSubmissionId'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_DONE_'상태는 처리가 완료됨을 뜻하지 처리가 성공했음을 뜻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처리 결과를 알기 위해 함수(GetFeedSubmissionResult)를 호출한다. 이때 사용되는 ID가 'FeedSubmissionId'이고, 결과값은 'XML' 형태로 제공되며 역시 파싱하여 결과를 얻은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_SUBMITTED_'는 요청건이 쇼핑몰서버(300)에 접수된 단계이고, 상기 '_IN_PROGRESS_'는 요청건을 쇼핑몰 서버(300)에서 처리하고 있는 단계이고, 상기 '_DONE_'는 요청건을 쇼핑몰 서버(300)에서 완료한 단계이고, 상기 '_CANCELLED_' 은 처리가 불가능해서 요청건을 취소한 단계를 말한다.
또한, 쇼핑몰서버(300)는 자료 제공을 리포트(report) 형태로 제공한다. 리포트는 일반적으로 TEXT(UTF-8)이며 각 항목은 'TAB'문자로 구분되어 있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리포트를 받기 위해 쇼핑몰서버(300)에 리포트 타입, 사용자 정보(AccessKey)를 포함한 리포트 요청 함수(RequestReport)를 호출한다. 이를 수신한 쇼핑몰서버(300)는 사용자 정보(AccessKey) 올바른지 확인후 해당 리포트 진행 준비에 들어간다. 피드(Feed)와 마찬가지로 처리 결과는 '_SUBMITTED_', '_IN_PROGRESS_', '_DONE_', '_CANCELLED_' 상태(Status)를 가진다.
'_DONE_NO_DATA_' 또는 '_CANCELLED_'는 데이터가 없거나 요청 제한등으로 리포트를 받을수 없다. 상태가 '_DONE_'이면 요청한 리포트는 다운받을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이며 'ReportId'를 넘겨준다. 이 'ReportId'를 통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리포트를 다운받을수 있게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요청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함수( GetReportRequestList)를 주기적으로 호출한다. 이 함수는 1시간에 80회 호출 제한을 가진다. 이후 호출은 무시(Throttling)되며 매 45초 마다 1회 복구(Restore) 된다. 상태가 '_DONE_NO_DATA_' 또는 '_CANCELLED_'이 되면 다운 받을 자료가 없기때문에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리포트 상태가 '_DONE_'이면 함께 리턴되는 'ReportId'를 포함해서 'GerReport' 함수를 호출한다. 넘어온 결과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쇼핑몰서버(300)는 국가별, 카테고리별 상품 등록/수정 양식(이하 템플릿)이 모두 상이하며, 미국 기준으로 템플릿이 제공되는 카테고리 수는 약 37여개가 되며 여기에 국가까지 더해지면 고려해야 할 템플릿은 37 * n 개로 늘어난다. 템플릿이 다르기에 같은 상품이더라도 국가가 다르면 통합관리 할 수가 없으며, 다른 국가 쇼핑몰서버에 복사 등록하려면 해당 국가 템플릿 형식에 맞게 새로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 템플릿 양식은 비주기적으로 변경(업데이트)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쇼핑몰서버(300)에서 사용되는 모든 템플릿 항목을 총 4개의 통합상품 테이블로 나누어서 통합 하였다. 템플릿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항목(85개)을 메인 테이블에, 나머지 항목은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3개에 테이블에 나누어 저장된다. 사용자가 사용중인 템플릿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문서(엑셀파일)를 업로드하면 템플릿의 버전을 확인 후 업로드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한다.
이때 각 항목은 맞는 정렬고유번호(Sort#)에 매칭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국가의 템플릿을 하나의 DB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일화 API 템플릿을 생성할 때는 입력과 반대로 정렬고유번호(Sort#)에 매칭되는 항목명으로 변환하여 생성한다.
즉, 단일화된 API 템플릿의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국가별, 카테고리별 상품정보의 포맷변환 및 등록이 용이하며, 단일화 API 템플릿을 이용하여 포맷변경에 따른 재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쇼핑몰서버(300)와 동기화된 자료를 보관하기 때문에 별도 보관이 필요없고,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을 통해 접근시 장소에 관계없이 관리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가 주문 수집을 요청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2개의 리포트를 요청하여 저장한다. 'New Orders'와 'Unshipped Orders' 리포트를 사용하는데 'New Orders' 리포트에서 판매 상품정보 및 고객 정보, Unshipped Orders'에서는 마감일(promise-date)을 가져온다. '마감일'은 쇼핑몰서버(300)의 발송 처리 기한으로 이를 넘기면 패널티가 부여되기 때문에 반드시 기한 내 처리가 되어야 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주문리스트에 이 '마감일'을 표기해주기 때문에 패널티 관리에 유리하다. 2개의 주문 리포트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먼저 'New Orders' 파일을 읽어들여 한 줄 씩 반복 처리(loop)하는데 첫 줄은 타이틀이므로 제외된다. 각 줄의 항목들은 'tab문자'로 구분되어 있기에 'tab문자' 기준으로 분리(explode)한 후 '주문 DB'에 저장한다.
이때, 일본 쇼핑몰서버의 경우 일본어 표기를 위해 TEXT(SHIFT_JIS)형태로 제공되며 이를 그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경우 영어, 숫자 이외의 문자는 '글자깨짐'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문자열을 UTF-8로 변환한다. 주문 역시 통합된 하나의 DB를 사용하며 저장시 입력되는 각 계정 국가 코드로 구분 처리한다. 사용자가 수집된 주문을 발송요청을 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계정 국가별로 주문을 그룹(group)화 하여 계정당 1회 전송을 한다. 이때 전송되는 주문수와 상관없이 처리시간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FBA(fulfillment by amazon)는 사용자가 직접 발송하는 것이 아니고 쇼핑몰 서버에서 관리하는 창고에서 상품을 발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FBA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동일 국가내 배송은 멀티채널을 이용하는게 비용적(배송비), 시간적(배송시간)으로 유리하다. 하지만 쇼핑몰서버(300)는 멀티채널이 가능한 주문 목록을 따로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단말기(200)는 주문 리포트와 FBA 재고 리포트를 토대로 직접 멀티채널이 가능한 주문을 추출해야 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이미 수집된 주문 및 재고 자료를 토대로 멀티채널 가능주문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멀티채널 발송은 FBA 창고가 있는 자국내 지역으로만 발송이 가능하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주문 목록중 우선 자국 상품만을 걸러낸다. 걸러낸 주문의 상품중 현재 FBA 재고가 존재하는 상품을 2차로 걸러낸다. '주문 DB'에서 멀티채널이 발송 가능한 국가를 걸러(Filter)내고 2차로 '재고 DB'과 조인(Join)하여 재고가 존재하는 주문만을 추가로 걸러(Filter)낸다. 이렇게 추출된 멀티채널 발송 가능 주문을 사용자가 확인하여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쇼핑몰서버에 발송요청(Feed)을 진행한다. 발송요청시 필요한 발송인정보(판매자 정보)는 '세팅'을 통해 미리 저장해 놓을수 있기에 건별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무관리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쇼핑몰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재무리포트도 다른 리포트와 마찬가지로 TEXT(UTF-8)이며 각 항목은 탭문자(tab) 구분되어 있다. 다만, 일반적인 리포트(주문이나 재고)의 경우 하나의 주문번호 또는 SKU(stock keeping unit)의 정보가 한 줄에 모두 나열되어 있지만 재무리포트는 주문별 항목(판매가, 수수료등등)에 따라 하나의 주문이 적게는 3줄, 많게는 20줄 이상의 값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그 항목 수도 '36개'나 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주문별 통계는 물론 전체 통계를 산출하는것도 쉽지 않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자료 분석을 위해 '다차원 배열(Multidimensional array)'를 이용하며 Finance 리포트에선 '3차원 배열'을 사용하였다. 1차는 'transaction-type'항목으로 'Order', 'Refund', 'Service'로 구분되며 2차는 'price-type'항목으로 상품가, 배송비, 프로모션. 3차로 MFN, AFN으로 세분화 한다. 이 다차원 배열을 기반으로 세부적인 합매금액, 수수료등을 산출할수 있으며 판매일을 기반으로 기간별 판매추이, 베스트 판매(반품) 상품을 차트로 표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발송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가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에 발송 요청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발송 내역을 수신하여 물류서버(400)에 전달한다. 물류서버(400)는 발송 주문을 저장하고 운송장번호를 리턴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운송장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운송장을 확인하고 쇼핑몰서버(300)로 발송을 요청하고,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쇼핑몰서버(300)로 발송 피드를 호출한다.
사용자단말기(200)가 해외로 상품을 발송하기 위해서는 해외 배송 업체를 이용해야 하며 양식은 업체마다 다르기에 해당 배송 업체가 요구하는 양식에 맞는 형태로 작성 후 요청해야 한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해외 발송 대행 업체와 연동하여 별도의 요청 양식 없이 원하는 주문을 시스템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BA 인바운드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200)는 판매 기간 설정 및 리포트를 요청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판매 리포트를 호출하고, 요청 결과를 수신하여 FBA 판매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FBA주문량 산출 및 상품 리스트를 출력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발송 상품을 선택하고 plan 생성을 요청한다. 판매율이 낮은(회전율이 낮은) 상품은 곧 창고 비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판매될 상품을 예측하고 FBA 상품을 보내는것이 중요하다. 판매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지난 판매율을 참고하며 이때 사용되는 리포트는 'Settlement Reports' 이다. 사용자는 예측에 사용될 기간을 설정하여 'Settlement Reports' 리포트를 요청한다. API는 해당 리포트를 읽어들여 판매상품별로 그룹(group)화 하여 '상품별 총 판매수량'을 구한다. 이 '상품별 총 판매수량'을 판매기간으로 나누어 '일 판매수량'을 도출할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기간에 일판매량을 곱해서 발송할 수량들을 산출한다. 이렇게 정해진 상품들을 가지고 Plan 생성을 진행하는데 이때 필요한 발송인 정보 역시 '세팅'을 통해 미리 정해 놓을수 있다. Plan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사용자는 배송지 주소가 포함된 운송장을 출력하여 상품을 패킹(packing)한다. 만약 Plan된 상품수와 발송될 상품수가 다를경우 이를 수정하여 쇼핑몰서버에 재전송 할수 있다. 패킹된 상품을 모두 발송하고 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를 통해 운송장번호를 입력하여 인바운드(inbound)를 완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유어스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셀유어스는 쇼핑몰 서버에 이미 다른 판매자가 등록하여 판매중인 동일 상품정보에 사용자의 상품을 설정하여 판매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단말기(200)가 상품을 검색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은 상품 검색을 호출하고, 결과를 파싱 및 출력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사용자단말기(200)가 상품을 선택하고, SKU, 판매가격을 입력 후 등록 요청하면 상품 등록 피드를 호출한다. 쇼핑몰서버(300)는 이미 다른 판매자가 판매등록한 동일한 상품에 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상품을 등록하기 위해선 상품을 검색하여 ASIN(해외쇼핑몰인 아마존의 상품고유코드)를 알아야 하며, 다른 판매자의 금액을 참고하여 판매 가능한 적정 가격을 정해야 한다. 이렇게 결정된 상품을 Sellercentral 에 하나하나 수동으로 상품등록을 해야 하는데 등록할 상품 수가 많을경우 상품수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사용자는 ASIN, 상품명, 최저가, 최고가, 이미지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판매할 SKU, 판매가격을 포함하여 임시저장 장소(이후 카트)에 저장해놓는다. 이후 카트에 담긴 모든 상품을 한 번에 전송(Feed)하여 등록을 완료한다. 수동과는 달리 상품등록은 상품수와 무관하게 한번에 처리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예약부의 동작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주문수집, 재고수집 등 매일 반복되는 단순 작업들을 위해 로그인하기에는 비효율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케쥴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고 미리 정해놓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는 리눅스 스케쥴 기능인 'Cron Job'을 이용한다. 크론 서버(500)는 매 1분마다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로 정해진 스케쥴 실행이 있는지 체크하여 전송한다. 실행할 스케쥴이 존재할경우 쇼핑몰 API 통합관리시스템(100)는 해당 스케쥴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 110; 상품관리부
120; 주문관리부 130; 멀티채널부
140; 재무관리부 150; 주문발송부
160; FBA 인바운드부 170; 셀유어스부
180; 스케쥴예약부 19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단말기 300; 쇼핑몰 서버

Claims (5)

  1.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상품 판매자용 사용자단말기들을 연계하기 위한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단말기가 서로 다른 국가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서버들에서 제공하는 다수개의 템플릿들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문서를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
    (b)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상품정보문서내의 템플릿들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문서 내의 템플릿들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기초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단일화 API템플릿을 피드전송용 XML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e)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이 상기 피드전송용 XML을 다수개의 쇼핑몰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정렬고유번호는 템플릿의 파일업로드 및 파일 추출을 위한 고유번호인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5. 다수개의 해외 쇼핑몰서버들과 상품 판매자용 사용자단말기들을 연계하기 위한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양식의 템플릿을 사용하는 다수개의 쇼핑몰서버들;
    서로 다른 국가에서 운영되는 쇼핑몰서버들에서 제공하는 다수개의 템플릿들을 포함하는 상품정보문서를 쇼핑몰 API통합관리시스템에 입력하는 다수개의 사용자단말기들;
    상기 상품정보문서내의 템플릿들의 버전을 확인하고, 상기 상품정보문서 내의 템플릿들의 컬럼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렬고유번호에 기초하여 단일화 API템플릿을 생성하는 API통합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API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170084101A 2017-07-03 2017-07-03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5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01A KR102255806B1 (ko) 2017-07-03 2017-07-03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01A KR102255806B1 (ko) 2017-07-03 2017-07-03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43A true KR20190004043A (ko) 2019-01-11
KR102255806B1 KR102255806B1 (ko) 2021-05-26

Family

ID=6502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101A KR102255806B1 (ko) 2017-07-03 2017-07-03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0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644B1 (ko) * 2020-09-15 2021-03-29 김윤경 이용자 유효값의 선택적 소싱을 이용하여 광고 리타겟이 가능한 개인화 쇼핑몰 플랫폼 시스템
KR102270273B1 (ko) * 2020-03-04 2021-06-28 주식회사 이크레모스 상품의 해외 판매를 위한 추천 상품 선정 및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090948A (ko) * 2020-01-13 2021-07-21 김재준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334336B1 (ko) * 2020-06-16 2021-12-06 히든커머스 (주)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KR102340946B1 (ko) 2020-07-08 2021-12-20 황호진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6426A (ko) 2020-07-08 2022-01-17 황호진 해외 직접 구매와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9795A (ko) * 2020-08-26 2022-03-08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 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평가 및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9289A (ko) * 2020-08-28 2022-03-08 쿠팡 주식회사 제품 등록을 위한 메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203480A1 (ko) *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풀필먼트 기반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128A (ja) * 2002-01-18 2003-10-03 Internet Disclosure Co Ltd 書類作成システム及び作成管理プログラム
KR20040007545A (ko) * 2001-06-07 2004-01-2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소프트웨어 객체와 구조화 언어 요소 기반 문서간의 매핑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330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휴이넘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9240A (ko) * 2013-03-27 2014-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오픈 api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133977A (ko) * 2013-05-10 2014-11-21 강호남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545A (ko) * 2001-06-07 2004-01-2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소프트웨어 객체와 구조화 언어 요소 기반 문서간의 매핑시스템 및 방법
JP2003281128A (ja) * 2002-01-18 2003-10-03 Internet Disclosure Co Ltd 書類作成システム及び作成管理プログラム
KR2009009330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휴이넘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9240A (ko) * 2013-03-27 2014-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오픈 api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133977A (ko) * 2013-05-10 2014-11-21 강호남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948A (ko) * 2020-01-13 2021-07-21 김재준 제3 웹사이트의 유효자원 정렬을 통한 구매대행자용 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270273B1 (ko) * 2020-03-04 2021-06-28 주식회사 이크레모스 상품의 해외 판매를 위한 추천 상품 선정 및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334336B1 (ko) * 2020-06-16 2021-12-06 히든커머스 (주)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KR102340946B1 (ko) 2020-07-08 2021-12-20 황호진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6426A (ko) 2020-07-08 2022-01-17 황호진 해외 직접 구매와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7106A (ko) 2020-07-08 2022-03-07 황호진 해외 직접 구매와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9795A (ko) * 2020-08-26 2022-03-08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 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평가 및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307913B2 (en) 2020-08-26 2022-04-19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evaluation and migration
KR20220029289A (ko) * 2020-08-28 2022-03-08 쿠팡 주식회사 제품 등록을 위한 메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644B1 (ko) * 2020-09-15 2021-03-29 김윤경 이용자 유효값의 선택적 소싱을 이용하여 광고 리타겟이 가능한 개인화 쇼핑몰 플랫폼 시스템
WO2022059849A1 (ko) * 2020-09-15 2022-03-24 김윤경 이용자 유효값의 선택적 소싱을 이용하여 광고 리타겟이 가능한 개인화 쇼핑몰 플랫폼 시스템
WO2022203480A1 (ko) *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풀필먼트 기반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서비스 제공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806B1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043A (ko) Api 연동방식의 해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266666B (zh) 贸易伙伴网络中的商务文档以及基于该文档的接口定义
JP5324797B2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200200690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CN101137943A (zh) 估计到达时间(eta)系统和方法
CN112150243A (zh) 一种基于业务中台的数字商城系统
EP36373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nvironmental impact
US20210241357A1 (en) Customizable and extensible managed integration platform
KR20170014336A (ko) 대화형 데이터 구조를 갖는 이알피 시스템
JP2023087077A (ja) ふるさと納税支援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576458B1 (ko) 요식업 빅데이터 기반 식/부자재 주문관리 시스템
US20160253728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JPH10120121A (ja)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KR101928234B1 (ko) 가변적 상품 유통 가격 기반의 유통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통 가격 관리 방법
JP2003346023A (ja) 受発注処理システム
CN104205134A (zh) 便携终端管理服务器及便携终端管理程序
US20160104230A1 (en) Cooperation server,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US20160253729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CN107506970B (zh) 一种项目数据处理的方法和系统
JP6081180B2 (ja) 自動発注システムおよび自動発注方法
JP4927150B2 (ja) 貿易決済関連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190080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acquisitions
Supangi et al. Analysis of Implementation and Proposal Development of ERP System in CV Indah Jaya
KR100734104B1 (ko)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72842A (ko) 자동 발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2

Effective date: 202003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