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664A -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 Google Patents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664A
KR20190003664A KR1020187034528A KR20187034528A KR20190003664A KR 20190003664 A KR20190003664 A KR 20190003664A KR 1020187034528 A KR1020187034528 A KR 1020187034528A KR 20187034528 A KR20187034528 A KR 20187034528A KR 20190003664 A KR20190003664 A KR 2019000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amping plate
openings
flow switch
resi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Original Assignee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filed Critical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부치크
Publication of KR201900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ith separate operating movements for separat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와 관련된 것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관통 주입 개구부들(4)과 하나의 유출 개구부(5)가 제공되는 바닥(3)과 커버(2)를 가진 비어있는 원통형 하우징(1)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각각 공급 덕트들(feed ducts)(6)과 배수 덕트(discharge duct)(7)에 그들이 연결되기 위한 하우징(1)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하우징(1)에 동축으로 장착되는 것은, 관통 개구부들(10)을 구비한 고정 클램핑 판(9) 및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8)이며, 상기 고정 클램핑 판은 공동(11)이 하우징(1)의 바닥(3)의 주입 개구부들(4)과 유출 개구부(5) 위에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클램핑 판(9)의 관통 개구부들(10) 내에는 상호 이동가능 밸브들(12)이 장착되고, 클램핑 판(9)의 표면과 하우징(1)의 바닥(3) 사이에는 요철형 포켓들(14)을 가진 복원성 탄성 횡경막(resilient elastic diaphragram)(13)이 배치되고; 고정 클램핑 판(9) 내의 관통 개구부들(10)과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은 하우징(1)의 바닥(3) 내의 주입 개구부들(4)과 반대로 그리고 동축으로 위치되고,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은 클램핑 판(9)의 밸브들(12)에 고정되거나 또는 거기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캠 디스크(8)는 축(15)에 단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은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 외부의 커버(2)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되며, 캠 디스크(8) 본체 내에, 고정된 클램핑 판(9)의 표면과 인접하는 표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블라인드 개구부(16)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캠 디스크(8)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클램핑 판(9) 내에서 관통 개구부들(10) 중의 하나와 교대하여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Description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본 발명은 맥주나 다른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등압 컨테이너로부터 소매 키오스크(kiosk), 가게, 식당 및 바에 있는 플라스틱 병들로 제공(dispense)하기 위한 장치들에서 유량 스위치들(flow switches)과 관련된 것이며, 식품 산업 및 상업 장비들에서 유용하다.
유량 스위칭 장치들은, 다양한 유형들의 음료들을 동시에 따르는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알려져 있으며(러시아 연방 실용신안 증명 제13369호, IPC B 67 D 1/00, 2000. 4. 10. 출간; 미국 등록특허 제6164083호, IPC B 67 D 5/62, 2000. 12. 26. 출간), 그 장치들은 탭(tap)들의 모음을 포함하고, 각각의 탭들은 음료가 있는 컨테이너에 연결된 파이프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컨테이너는 특정 유형의 음료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유량 스위칭 장치들은 2가지 이상의 종류의 음료들을 동시에 따를 때에는 작동하기가 불편하다.
유량 스위칭을 위한 멀티-웨이 콕(multi-way cock)이 공지되어 있는데(러시아 연방 특허 제2175735호, IPC F 16 K 11/074, 2001. 10. 11. 출간), 그 콕은: 주입 노즐(inlet nozzle) 및 몇 개의 유출 노즐(outlet nozzle)을 구비한 하우징, 커버, 스윙 스핀들(swing spindle), 및 두 개의 세라믹 디스크들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 게이트(gate)를 포함한다. 그 디스크 중의 하나는 하우징의 시트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고다른 하나는 스윙 스핀들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된 디스크에는 여러개의 관통창이 잇다; 그리고 거기에는 노즐들을 위한 모바일 디스크에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함몰부가 있다.
그러한 유량 스위치의 단점은 흐름들이 스위칭 중에 혼합될 수 있고 음료들을 따르는데 사용되면 3개 방향의 디스크 콕의 작동 신뢰성이 낮고 맥주나 다른 음료를 따르는 것이 끝난 후에 디스크와 밀봉들을 세척할 필요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것이다.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는 (제거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그 스위치는: 2개의 관통 주입 개구부들 및 하나의 유출 개구부가 제공된 바닥 및 커버를 가진 원통형 하우징, 하우징에 동축으로 장착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된 하부 디스크 및 회전가능한 상부 디스크; 상부 디스크는 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멀티-웨이 콕의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핸들에 단단하게 결합되고, 하부 디스크에 하우징의 바닥에 있는 개구부들과 동축으로 관통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낫-형상의 닫힌 슬롯이 상부 디스크의 본체에 하부 디스크와 면하는 쪽에 그리고 그 안의 개구부의 반대편에 그 유출 개구부와 통하는 하우징의 하나의 주입 개구부에 대하여 만들어지고, 거기서 환형(annular) 탄성 밀봉이 하우징의 커버 밑의 핸들 주위로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 디스크들을 서로 간에 그리고 하우징의 바닥 쪽으로 잡아 고정시키고(clamp), 탄성 밀봉 링들은 하우징의 바닥의 개구부들 내에 배치된다(러시아 연방 실용신안 특허 제36371호).
그러한 장치의 단점은 음료들을 따르도록 의도된 3개 방향의 카트리지 콕의 작동 신뢰성이 낮고 맥주나 다른 음료를 따르는 것이 끝난 후에 디스크와 밀봉들을 세척할 필요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것이다.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는 공지되어 있는데(러시아 연방 특허 제2337053호, IPC B 67 C 3/10, 2008. 5. 10. 출간), 그 장치는 3개 방향의 캠(cam) 유량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가스 실린더로부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에 연결된 채널을 구비한 하우징, 등압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에 연결된 채널, 추가적인 채널을 통해 가스와 음료 공급 파이프들에 연결된 채널들에 연결되는 배수 채널, 플라스틱 병의 목(neck)을 배수 채널의 열린 단부와 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어셈블리(상기 어셈블리는 배수 채널 근처의 하우징 상에 배치됨), 하우징에 장착되고 배수 채널에 연결되는 쓰로틀 밸브(throttle valve), 배수 채널에 배치되는 발포 억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가스 및 음료 공급 파이프들에 연결된 채널들은 그 안에 배치된 밸브들을 공급받고, 밸브 줄기(stem)는 한쪽 끝이 하우징 벽의 밀봉된 개구부를 통해 놓여있고 제어 핸들에 단단하게 결합된 축(shaft) 상에 음료를 따르는 메커니즘의 하우징의 공동(cavity)에 배치된 프로파일링된 편심(profiled eccentric)에 역학적으로 연결된다. 그 편심 프로파일은 교대로 밸브들을 개방하거나 그들을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설계가 충분치 못한 내구성과 신뢰성을 갖는다. 그 장치는 음료가 따라지는 유량 스위칭 메커니즘의 움직이는 부품들이 다소 큰 접촉면(밸브들과 회전가능한 캠의 모든 표면들)을 가지며, 이것은 그들의 감소된 내구성과 "프로파일링된-편심-밸브(profiled-eccentric-valve)" 마찰 쌍에서의 증가된 열화를 유도하고, 그 결과로서, 따르는 음료에 마모된 찌꺼기가 들어가게 된다. 게다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맥주를 생산, 저장 및 따르는데 사용되는 장비의 표면에 맥주 스케일(beer scale)의 얇은 코팅이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맥주 품질 및 장비 그 자체의 기술적 성능 모두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전형적인 맥주 박테리아가 아닌 외부 박테리아가 장비의 표면에 축적된 맥주 스케일 속에서 배양되어 오랫동안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 맥주의 맛과 색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장비 그 자체는, 그 표면 상에 적층 및 형성된 맥주 스케일과 함께, 튼튼함(robust)과 내구성이 감소된다(http://www.beermarket.net.ua/forum/viewtopic.hph?f=24&t=280).
가장 최근의 해결책(원형)은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유량을 스위칭하기 위한 3개 방향 콕이다(국제 출원 WO2015/156697, IPC F 16 K 11/00, 2015. 10. 15. 출간). 3개 방향 유량 스위치는 시트들(seats)과 그 시트들에 장착된 스프링이 탑재된 밸브들을 가진 축-대칭 공동을 포함하고, 밸브 줄기는 회전 요소(rotary element)의 프로파일링된 표면에 역학적으로 결합되며, 회전 요소는 밸브들을 교대로 개방하거나 상기 밸브들이 그들의 최초 닫힘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 핸들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시트들을 가진 축-대칭 공동들은 내부 채널들을 통해 배수 채널로 그리고 가스 및 음료 공급 파이프들로 연결된다. 3개 방향 유량 스위치는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밸브 플러그들을 수용하기 위한 시트들을 가진 축-대칭 공동들은 유량 스위치의 내부 채널들 안에, 상기 내부 채널들에 비하여 가로축으로 배치된다; 스프링들과 회전 요소를 가진 밸브 줄기들의 부품들은 유량 스위치의 내부 채널들의 공동들 외부에 배치된다. 밸브들과 줄기들과 접촉하게 된 회전 요소를 가진 밸브들은 허용 압축 응력 [σcompr]=55~100MPa인 열가소성 수지 물질로 만들어진다. 회전 요소의 프로파일링된 표면과 접촉하게 된 밸브 줄기들의 표면은 2차 곡선의 일부분처럼 연장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도 유량 스위치의 설계로서 충분치 않은 내구성과 신뢰성을 가진다. 장치는 음료가 따라질 유량 스위칭 메커니즘의 움직이는 부품들의 접촉 표면을 가지는데(밸브들의 표면), 이것이 그들의 내구성 감소와 열화 증가를 유도한다. 게다가, 위에 서술한 것처럼, 맥주 스케일의 얇은 코팅이 맥주를 따르는데 사용되는 장비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맥주 품질 및 장비 그 자체의 기술적 성능 모두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 표면에 맥주 스케일이 적층되고 형성된 장비는, 튼튼함과 내구성이 감소된다(http://www.beermarket.net.ua/forum/viewtopic.php?f=24&t=280).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에서 언급된 기술적 결과는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가, 본 발명에 따른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스위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관통 주입 개구부들(through inlet openings)과 하나의 유출 개구부(outlet opening)가 제공되는 바닥과 커버를 가진 비어있는 원통형 하우징(hollow cylindrical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각각 공급 채널들과 배수 채널(discharge channel)에 그들이 연결되기 위한 하우징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radially) 그리고 등간격으로(equidistantly) 배치되고,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rotatable cam disk) 및 관통 개구부들을 구비한 고정 클램핑 판(fixed clamping plate)이 하우징 내에 동축으로 장착(coaxially mounted)되며, 상기 고정 클램핑 판은 공동(cavity)이 하우징의 바닥의 주입 개구부들과 유출 개구부 위에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호 이동가능 밸브들(reciprocally movable valves)은 클램핑 판의 관통 개구부들 내에 배치되고, 요철형 포켓들(convexo-concave pockets)을 가진 복원성 탄성막(resilient elastic membrane)은 클램핑 판의 표면과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 클램핑 판 내의 관통 개구부들과 복원성 탄성막의 포켓들은, 하우징의 바닥 내의 주입 개구부들과 반대로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원성 탄성막의 포켓들은 클램핑 판의 밸브들에 고정되거나 또는 거기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고, 캠 디스크는 축(shaft)에 단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은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 외부의 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되고, 캠 디스크 본체 내에, 고정된 클램핑 판의 표면과 인접하는 표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블라인드 개구부(blind opening)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캠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클램핑 판 내에서 관통 개구부들 중의 하나와 교대하여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캠 디스크에는 그 안에 형성된 블라인드 개구부가 고정 클램핑 판의 관통 개구부들과 동축으로 정렬되었을 때 위치 잠금(position lock)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 잠금은 돌출부들(protrusions)을 구비한 곡선형 탄성 요소들(상기 요소들은 캠 디스크의 본체에서 그 원통형 표면의 측면 상에 형성됨)과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의 오목부들(depressions)을 나타내고, 상기 요소들과 오목부들은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량 스위치는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의 탈착가능한 부분의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거가능한 카트리지(removable cartridge)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에서,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은 발표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의 탈착가능한 부분의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장치의 하우징의 상기 탈착가능한 부분의 본체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버, 캠 디스크, 밸브들 및 고정된 클램핑 판을 가진 하우징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탄성막은 에컨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복원성 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결과는 절연 복원성 탄성막(insulating resilient elastic membrane)을 사용하여 발포 또는 탄산 음료들이 지나가는 밸브 부품들의 접촉을 제거함으로써 음료를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유량 스위치의 내구성, 동작 신뢰성 및 유지관리편의성을 증가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에 의해 도시된다. 도 1은 유량 스위치의 개략도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A-A 평면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B-B 평면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4는 도 1의 C-C 평면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모든 공급 채널들이 폐쇄된 유량 스위치의 개략도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6은 제1 공급 채널이 개방된 것을 보여준다. 도 7은 제2 공급 채널이 개방된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2가지 종류의 음료들을 공급하기 위한 3개의 공급 채널들을 가진 유량 스위치의 개략도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 9는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이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의 탈착가능한 부품의 공동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탈착가능한 부품의 본체와 통합된, 음료를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다. 도 10은 유량 스위치가 제거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만들어진 음료를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도시한다.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에 의해 포함되는 유량 스위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관통 주입 개구부들(4)과 하나의 유출 개구부(5)가 제공되는 바닥(3)과 커버(2)를 가진 비어있는 원통형 하우징(1)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각각 공급 채널들(6)과 배수 채널(7)에 그들이 연결되기 위한 하우징(1)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8) 및 관통 개구부들(10)을 구비한 고정 클램핑 판(9)이 하우징(1) 내에 동축으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 클램핑 판은 공동(cavity)이 하우징(1)의 바닥(3)의 주입 개구부들(4)과 유출 개구부(5) 위에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상호 이동가능 밸브들(12)은 클램핑 판(9)의 관통 개구부(10) 내에 배열된다. 요철형 포켓들(14)을 가진 복원성 탄성막(13)은 클램핑 판(9)의 표면과 하우징(1)의 바닥(3)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클램핑 판(9) 내의 관통 개구부들(10)과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은 하우징(1)의 바닥(3) 내의 주입 개구부들(4)과 반대로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된다. 클램핑 판(9)의 밸브들(12)은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에 고정되거나 또는 거기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캠 디스크(8)는 축(15)에 단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은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 외부의 커버(2)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된다. 캠 디스크(8)는 그 본체 내에, 고정된 클램핑 판(9)의 표면과 인접하는 표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블라인드 개구부(16)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캠 디스크(8)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클램핑 판(9) 내에서 관통 개구부들(10) 중의 하나와 교대하여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캠 디스크(8)에는 그 안에 형성된 블라인드 개구부(16)가 고정 클램핑 판(9)의 관통 개구부들(10)과 동축으로 정렬되었을 때 위치 잠금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 잠금은 돌출부들(18)을 구비한 곡선형 탄성 요소들(17)(상기 요소들은 캠 디스크(8)의 본체에서 그 원통형 표면의 측면 상에 형성됨)과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의 오목부들(19)을 나타내고, 상기 요소들과 오목부들은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커버(2), 캠 디스크(8), 밸브들(12) 및 고정된 클램핑 판(9)을 가진 하우징(1)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복원성 탄성막(13)은 복원성 탄성 플라스틱, 예컨대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도 10), 하우징(1)과 함께 유량 스위치는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22)의 탈착가능한 부분(21)의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거가능한 카트리지(20)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9), 하우징(1)은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22)의 탈착가능한 부분(21)의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탈착가능한 부분(21)의 본체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다른 어셈블리들이나 부분들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이하에서 주어진다. 공급 채널들(6) 및 배수 채널(7)은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22)의 본체의 하단부(23) 내에 배치된다. 하나의 공급 채널(6)이 음료 공급 연결에 연결되고, 다른 공급 채널(6)은 가스 공급 연결에 연결된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배수 채널(7)은 음료를 따르고 가스를 소비자 컨테이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공급하기 위한 환형 유출부(24)를 구비한다. 장치의 하우징(22)의 축상 채널(25)은 조절가능한 쓰로틀 밸브(26)를 통해 가스를 소비자 컨테이너로부터 대기 중으로 제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우징(22)의 본체의 상부 탈착가능한 부분(21)은 나사 조인트(threaded joint)를 수단으로 역학적으로 그 하부(23)에 결합된다. 제어 핸들(28)을 가진 하우징(22)의 이동 부품(27)은 하우징(22)의 본체의 하부(23) 주위에 배치되며, 예컨대 베이어닛(bayonet) 또는 나사 조인트를 수단으로, 회전적으로 그리고 상호간에 이동가능하도록 하부(23)에 역학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22)의 이동 부품(27)은 빈 원통 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단부에, 소비자 컨테이너의 목을 쥐고 그것을 배수 채널(7)의 환형 유출부(24)로 연결하기 위한 C-형상의 스푼(spoon)(29)을 포함한다. 환형 복원성 탄성 밀봉 요소(30)는 배수 채널(7)의 환형 유출부(24) 주위에 배치되어 소비자 컨테이너의 목을 배수 채널(7)의 환형부(24)에 단단히(tightly) 연결한다. 제어 핸들(31)은 유량 스위치의 캠 디스크(8)의 축(15)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두 가지 유형의 음료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2가지 유형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3개의 공급 채널들을 가진 유량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도 8).
발포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에서, 장치는 청구된 유량 스위치를 포함하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한다. 핸들(31)의 중립 위치에서, 유량 스위치의 공급 채널들(6)의 유입 개구부(4)가 폐쇄된다(도 5). 컨테이너의 목은 음료 공급 채널(7)의 환형 유출부(24) 아래에 위치하여 하우징(22)의 이동 부품(27)의 슬롯으로 들어간다. 이 경우에, C-형상 스푼(29)은 그 목의 구슬에 의해 컨테이너를 쥐게 된다. 게다가, 핸들(28)이 함께 회전되어 스푼(29)과 함께 하우징(22)의 이동 부품(27)이 회전하고 상승하여 컨테이너의 목을 환형 구슬에 의해 환형 복원성 탄성 요소(30)에 단단히 조이고, 소비자 컨테이너의 공동을 채널(7)의 환형 유출부(24)로 연결한다. 이 경우에, 쓰로틀(26)은 폐쇄된다. 유량 스위치의 핸들(31)은 중립 위치에 있다. 그런 후에 유량 스위치의 핸들(31)은 캠 디스크(8)와 함께 회전되어 하우징(1)의 오목부들(19) 내의 요소들(17)의 제1 고정 위치로 가고, 거기서 블라인드 개구부(16)가 밸브(12) 위에 위치하여, 탄성막(13)을 통해, 채널(6)로부터 오는 가스의 압력 작용 하에서, 상승하여 상기 블라인드 개구부(16)에 피팅되어 채널(6)로부터 가스로의 접근을 개방하여(도 7) 공동을 통해(11) 채널로(7) 그리고 더하여 소비자 컨테이너의 내부 볼륨으로 간다. 이 경우에, 원통으로부터의 CO2 가스는 소비자 컨테이너로 들어가고, 그 안의 압력은 음료가 있는 케그(keg) 내의 압력과 평형을 이룬다. 게다가, 유량 스위치의 핸들(31)은 캠 디스크(8)와 함께 회전되어 하우징(1)의 오목부들(19) 내의 그 요소들(17)의 다음 고정된 위치로 가고, 거기서 블라인드 개구부(16)는 밸브(12) 위에 위치하여, 탄성막(13)을 통해, 채널(6)로부터 오는 음료의 압력 작용 하에서, 상승하고 상기 블라인드 개구부(16)에 피팅되어 채널(6)로부터 공동(11)을 통과하여 채널(7)로 그리고 더 가서 소비자 컨테이너의 내부 볼륨으로 음료로의 통로를 개방한다(도 6). 이 경우에, 음료 공급 연결을 가진 채널(6)은 채널(7)을 통해 소비자 컨테이너의 내부 볼륨과 통하게 된다. 채워질 컨테이너 내의 압력과 음료가 있는 케그의 압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음료는 상기 컨테이너로 들어가지 않는다. 쓰로틀 밸브(26)가 개방되면, CO2 가스(도 10)는 컨테이너로부터 빠져나와 대기로 들어간다. 음료가 있는 케그와 소비자 컨테이너 내의 압력이 하락하고, 그에 따라 음료가 컨테이너에 채워진다. 컨테이너에 음료를 채운 후에, 케그로부터의 더 공급되는 것을 멈추기 위하여, 유량 스위치의 핸들(31)이 회전되어 그 중립적인 시작 위치(도 5)로 캠 디스크(8)와 함께 하우징(1)의 오목부들(19)의 그 요소들(17)의 다음 고정 위치로 간다. 컨테이너의 목에 있는 잔여 가스와 음료로부터 생성된 부분적으로 용해된 가스는 쓰로틀 밸브(26)의 채널을 통해 대기 중으로 제거된다. 컨테이너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평형을 이룬 후에, 장치 하우징(22)의 이동 부품(27)의 핸들(28)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따르는 장치로부터 제거된 컨테이너의 목과 채널(7)의 환형 유출부(24)의 연결이 차단되고, 뚜껑으로 폐쇄되고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음료를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동작이 완결된 후에, 유량 스위치의 세척이 필요하지 않은데, 유량 스위치의 모든 이동가능한 부품들이 복원성 탄성막(13)을 수단으로 하여 음료로부터의 접촉이 절연되기 때문이다. 막(13)이 계속적인 사용 및 열화된 후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장치 동작의 설명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음료를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유량 스위치의 증가된 내구성, 동작 신뢰성 및 유지보수편의성이 절연 복원성 탄성막(13)을 사용하여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의 밸브 부분들의 접촉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Claims (5)

  1. 발포 및/또는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flow switch)로서, 상기 유량 스위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관통 주입 개구부들(through inlet openings)(4)과 하나의 유출 개구부(outlet opening)(5)가 제공되는 바닥(3)과 커버(2)를 가진 비어있는 원통형 하우징(hollow cylindrical housing)(1)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들은 음료를 따르는 장치의 각각 공급 채널들(6)과 배수 채널(discharge channel)(7)에 그들이 연결되기 위한 하우징(1)의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radially) 그리고 등간격으로(equidistantly) 배치되고, 관통 개구부들(through openings)(10)을 구비한 고정 클램핑 판(fixed clamping plate)(9) 및 회전가능한 캠 디스크(rotatable cam disk)(8)가 하우징(1) 내에 동축으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 클램핑 판은 공동(cavity)(11)이 하우징(1)의 바닥(3)의 주입 개구부들(4)과 유출 개구부(5) 위에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호 이동가능 밸브들(reciprocally movable valves)(12)은 클램핑 판(9)의 관통 개구부(10) 내에 배치되고, 또한 요철형 포켓들(convexo-concave pockets)(14)을 가진 복원성 탄성막(resilient elastic membrane)(13)은 클램핑 판(9)의 표면과 하우징(1)의 바닥(3)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 클램핑 판(9) 내의 관통 개구부들(10)과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은 하우징(1)의 바닥(3) 내의 주입 개구부들(4)과 반대로 그리고 동축으로 배치되고, 복원성 탄성막(13)의 포켓들(14)은 클램핑 판(9)의 밸브들(12)에 고정되거나 또는 거기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며, 캠 디스크(8)는 축(15)에 단단하게 결합(rigidly coupled)되며, 상기 축은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 외부의 커버(2)의 개구부를 통해 확장되며, 또한 캠 디스크(8) 본체 내에, 고정된 클램핑 판(9)의 표면과 인접하는 표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블라인드 개구부(blind opening)(16)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캠 디스크(8)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된 클램핑 판(9) 내에서 관통 개구부들(10) 중의 하나와 교대하여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유량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캠 디스크(8)에는, 그 안에 형성된 블라인드 개구부(16)가 고정 클램핑 판(9)의 관통 개구부들(10)과 동축으로 정렬되었을 때 위치 잠금(position lock)이 제공되며, 상기 위치 잠금은 돌출부들(protrusions)(18)을 구비한 곡선형 탄성 요소들(curved elastic elements)(17)과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의 내부 원통형 표면 상의 오목부들(depressions)(19)을 나타내고, 상기 요소들은 캠 디스크(8)의 본체에서 그 원통형 표면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요소들과 오목부들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유량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22)의 탈착가능한 부분(21)의 공동(cavity) 내에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을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거가능한 카트리지(removable cartridge)(20)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유량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량 스위치의 하우징(1)은 발포 및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의 하우징(22)의 탈착가능한 부분(21)의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은 탈착가능한 부분(21)의 본체에 통합되고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유량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2), 캠 디스크(8), 밸브(12) 및 고정된 클램핑 판(9)을 가진 하우징(1)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탄성막(13)은 에컨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은 복원성 탄성 플라스틱(resilient elastic plastic)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유량 스위치.
KR1020187034528A 2016-07-27 2016-07-27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KR201900036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RU2016/000486 WO2018021924A1 (ru) 2016-07-27 2016-07-27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664A true KR20190003664A (ko) 2019-01-09

Family

ID=6101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528A KR20190003664A (ko) 2016-07-27 2016-07-27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20190003664A (ko)
CN (1) CN109071199A (ko)
BR (1) BR112018076663A2 (ko)
EA (1) EA034185B1 (ko)
UA (1) UA123223C2 (ko)
WO (1) WO2018021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5098U1 (ru) * 2018-05-03 2018-11-21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Сотенко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8266A (en) * 1991-05-26 1994-08-26 Feldman Joseph Dosage valve extract for use in systems for making carbonated sweetened beverages
GB2309772A (en) * 1996-02-01 1997-08-06 Douglas Richard Leeming Regulating the temperature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RU36371U1 (ru) * 2003-11-12 2004-03-10 Бучик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а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SG162759A1 (en) * 2005-06-06 2010-07-29 Advanced Tech Materials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and processes
RU105903U1 (ru) * 2010-12-24 2011-06-27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учик Корпус аппарат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UA72646U (ru) * 2011-02-14 2012-08-27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учик Аппарат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нескольких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UA113590C2 (uk) * 2014-04-10 2017-02-10 Сєргєй Алєксандровіч Бучік Апарат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ння пінних і газованих напої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6663A2 (pt) 2019-04-02
CN109071199A (zh) 2018-12-21
WO2018021924A1 (ru) 2018-02-01
EA034185B1 (ru) 2020-01-15
EA201800590A1 (ru) 2019-03-29
UA123223C2 (uk)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8828C1 (ru) Трехходовой кран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в открытую тару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S9834428B2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6259106B2 (ja) 発泡飲料および炭酸飲料を手動で注出するための器具
UA98592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ння газованих напоїв
KR20190003667A (ko)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KR20190003664A (ko) 발포 탄산 음료들을 수동으로 따르는 장치를 위한 유량 스위치
RU22668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RU36371U1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а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RU23370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пегас-м"
RU2753791C1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аппарата для розлива нескольких пенящихся 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RU2786581C1 (ru) Переключатель потоков аппарата для розлива нескольких пенящихся 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WO20091234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RU94560U1 (ru) Механизм крепления горловины емкости к сливному каналу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EP3421413A1 (en) Automatic device for pouring pressurized foamed and carbonated beverages into containers
RU98754U1 (ru) Механизм крепления горловины емкости к сливному каналу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RU126694U1 (ru) Пеногаситель безкартриджевый "кентавр"
WO2020263121A1 (ru) Аппарат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UA113590U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сиркових мас із кріопорошк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