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277U -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 Google Patents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277U
KR20190003277U KR2020180002858U KR20180002858U KR20190003277U KR 20190003277 U KR20190003277 U KR 20190003277U KR 2020180002858 U KR2020180002858 U KR 2020180002858U KR 20180002858 U KR20180002858 U KR 20180002858U KR 20190003277 U KR20190003277 U KR 201900032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tain
protrusion
lightweight
natural honey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20180002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277U/ko
Publication of KR20190003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연적인 벌집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벌꿀이 효율적으로 채집되도록 소초의 단면 형상을 기하학적 고려에 의해 최적화한 경량 소초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에 의하면, 합성 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소광의 프레임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성형함으로서 경량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소초광에 의한 꿀벌의 채밀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초광의 내구성을 연장할 수 있게 되므로 양봉사육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을 용이하게 하여 소초광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질의 봉산물을 대량으로 생산 수확할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light base of beehive with natural honeycomb structure}
본 고안은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연적인 벌집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벌꿀이 효율적으로 채집되도록 소초의 단면 형상을 기하학적 고려에 의해 최적화한 경량 소초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초라 함은 벌들이 벌집을 지을 때 쉽게 짓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밀납으로서 육각 형태로 제작되는 얇은 판을 가리키며, 소초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틀형태를 소광이라 하며, 소초와 소광의 합일체를 소초광이라 부른다. 그리고 소초, 소광, 벌집의 합일체를 소비라 부르고 있다.
종래의 양봉작업에서는 벌들이 벌집을 쉽게 짓도록 하기 위하여 밀랍으로 육각 형태의 돌기를 지닌 소초에 소초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소광을 결합시켜 벌통내부에 직립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벌들의 활동에 의해 벌집을 형성하게 하고, 형성된 벌집에 벌의 활동에 의해 꿀이 채집되면 소초광을 수집하고 채밀작업을 통해 순수한 꿀만을 채밀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인 소초광(4)은 육각형의 허니셀이 다수로 구획된 사각판 형태의 소초(3)와 이 소초의 둘레를 감싸도록 된 사각틀 형태의 소광(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소초광(4)은 다수가 벌통에 삽입되어 상기 소초(3)에 형성된 벌집모양의 허니셀을 따라 벌들이 집을 짓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소초광(4)에 있어서, 상기 소초(3)는 실제로 벌들이 집을 짓는데 사용하는 밀납에 의해 판 형태로 성형한 것이고, 상기 소초광(4)은 목재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소초(3)의 경우에 밀납에 의해 판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강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고, 이를 위해 상기 소초광(4)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소초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와이어(5)에 의해 상기 소초(3)를 지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강성의 취약함이나 위치이탈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소초(3)를 보강하기 위해 와이어(5)를 결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5)를 소초광(4) 상에 결속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소초(3)의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해 재사용의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소초광(4) 자체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목재를 재단하거나 못 등을 사용하여 조립 및 제작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따른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에 의해 소초(3)를 성형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합성수지에 의해 소초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베이스벽과 벌방유도벽 만을 일체로 성형한 후에 벌방유도벽을 따라 벌들이 밀납을 분비하여 벌방벽을 형성하도록 제작되거나 상기 벌방벽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 제작하게 되는데,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는 소초(3)는 벌들의 생육환경에 적합하도록 표면에 밀납을 코팅하여 완성하게 된다.
여왕벌이 산란 후 부화되어 출봉하면서 탈피를 하는데 이를 반복하면서 소초(3)의 육각방 벽면이 두꺼워져 2 내지 4년 정도 사용한 후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하게 되는데, 밀랍이나 밀랍에 파라핀 등이 혼합된 재질의 소초(3)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소초를 만드는 밀랍은 용해점이 62∼63℃이고 비중이 0.961∼0.973이며 말랑말랑하고 약간의 접착성이 있는 비결정 물질로서 형태가 불안정하여 20℃ 이하에서는 딱딱한 고체로 변하지만 벌통 내에서 35℃이상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누굴누굴해진다. 따라서 변화가 오는 정도로 강도가 약한 밀랍을 주성분으로 제작한 소초는 보강철사로 내구성을 유지시켜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가로로 철사를 고정함과 동시에 세로로 철사를 보강하나, 세로로 보강된 철사가 상대와 하대에 결속되어 있지 않아 소비광이 소광의 하대방향으로 쳐지는 현상과 소비면의 벌들을 분리하거나 꿀을 짤 때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소광으로부터 소초가 분리되거나 늘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1042호(2013.06.28.) 한국 등록특허 제10-0969197호(2010.07.02.)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좀 더 효율적인 소초광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경량 합성수지 소초광이 위와 같은 목적에 부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틀, 상하 가로틀 및 세로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소광; 및
상기 소광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허니셀이 구획 형성된 망 위에 밀납이 3~5 mm로 코팅된 소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틀은 측단면 구조상 상하부에 각각의 제1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세로틀의 두께는 10 mm 내외이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는 25~27mm 내외이며,
상기 상부틀은 벌통에 착탈가능하게 걸쳐지도록 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폭은 35~37mm이고, 상기 소광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에 의하면, 합성 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소광의 프레임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성형함으로서 경량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소초광에 의한 꿀벌의 채밀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초광의 내구성을 연장할 수 있게 되므로 양봉사육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을 용이하게 하여 소초광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질의 봉산물을 대량으로 생산 수확할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초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세로틀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소초를 소광에 결합시키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있어서,
상부틀, 상하 가로틀 및 세로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소광; 및
상기 소광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허니셀이 구획 형성된 망 위에 밀납이 3~5 mm로 코팅된 소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틀은 측단면 구조상 상하부에 각각의 제1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세로틀의 두께는 10 mm 내외이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는 25~27mm 내외이며,
상기 상부틀은 벌통에 착탈가능하게 걸쳐지도록 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폭은 35~37mm이고, 상기 소광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소초광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가로틀 및 세로틀은 중심부에 일정 깊이 및 폭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초가 슬라이딩 결합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초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사시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정면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초광의 세로틀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소초를 소광에 결합시키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은 상부틀(40), 상하 가로틀(10, 30) 및 세로틀(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소광; 및 상기 소광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허니셀이 구획 형성된 망 위에 밀납이 3~5 mm로 코팅된 소초(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광은 플라스틱 소재,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의 이루어지는 것이 가볍고 대량 생산의 측면에서 경제적이다
상기 세로틀(20)은 측단면 구조상 상하부에 각각의 제1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를 가지고, 상기 세로틀(20)의 두께는 10 mm 내외이고, 상기 제1 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는 25~27mm 내외이며, 상기 상부틀(40)은 벌통에 착탈가능하게 걸쳐지도록 단부(4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폭은 35~3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의 수치는 가로 길이 50~51cm 및 높이 35cm 전후의 벌통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오랜 기간 생산성 있는 채집 경험을 기초로 하여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있어서는 미세한 수치의 차이가 고안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돌출부에 의해서 벌꿀이 이를 기반으로 안정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돌출부(21, 22)에 설정된 수치를 벗어나게 되면 꿀벌이 적층된 벌집이 무너지거나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는 꿀벌이 모아지는 형태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는 한편, 모아진 꿀벌이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토대 및 지지 기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돌출부(21, 22)와 세로틀(20)의 두께의 조합은 최적의 꿀벌 생산을 위한 프레임들의 치수를 제공하는 한편, 안정된 소초광의 구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설정한 구조를 벗어날 경우에는 애써 모아진 꿀이 무너지거나 꿀벌의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제1 돌출부(21) 및 제2 돌출부(22)의 세로 길이는 10~50mm가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21, 22)는 상부 가로틀(10)과 세로틀(20) 및 세로틀(20)과 하부 가로틀(3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5에 그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로틀(10)과 하부가로틀(30)의 전체 폭을 25~27mm 정도 되게 하고, 세로틀(20)의 폭을 10mm 전후로 마련하여 가로틀(10, 30)과 세로틀(20)을 결합시킴으로써 위와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소초(50)를 소광에 결합시키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가로틀(30) 및 세로틀(20)은 중심부에 일정 깊이 및 폭의 홈(24, 31)이 형성되어 상기 소초(50)의 단부가 상기 홈의 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가로틀(30)과 세로틀(20)을 결합시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틀(30)과 세로틀(20)의 단부에서의 결합형태는 맞물림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가로틀(30) 또는 세로틀20)의 단부(또는 가장자리)에는 결합돌부(33)와 결합홈부(25)가 맞물려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소초(50)의 가장자리와 가로틀(10, 30) 및 세로틀(20)의 직접 결합은 느슨한 소초(50)의 결합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소초(50)와 소광의 결합을 확고하게 하기 위하여 소초(50)의 가장자리에 'ㄷ' 자형 결합 보강재(32)를 결합시키고 상기 보강재(32)가 상ㄱ 홈(24, 21)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ㄷ' 자형 결합 보강재(32)는 내측은 소초(50)와의 맞물림이 가능하여 확고히 결합되도록 탄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고, 외측은 상기 홈(24, 3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가로틀(10, 30)과 세로틀(2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 및 형상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예로는 쫄대, 폴대, C자 또는 ㄷ자형 폴더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ㄷ' 자형 결합 보강재(32)는 소초(50)와의 탄성 결합을 유도하여 소초광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탈착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은 합성 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소광의 프레임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조립식으로 성형함으로서 경량으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소초광에 의한 꿀벌의 채밀작업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초광의 내구성을 연장할 수 있게 되므로 양봉사육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꿀벌들의 생육 및 번식과 꿀 저장 및 채밀을 용이하게 하여 소초광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질의 봉산물을 대량으로 생산 수확할 수 있으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 가로틀
20: 세로틀
21:제1 돌출부
22: 세로틀 본체
23: 제2 돌출부
30:하부 가로틀
40: 상부틀
50: 소초

Claims (2)

  1. 상부틀, 상하 가로틀 및 세로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의 소광; 및
    상기 소광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허니셀이 구획 형성된 망 위에 밀납이 3~5 mm로 코팅된 소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틀은 측단면 구조상 상하부에 각각의 제1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세로틀의 두께는 10 mm 내외이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는 25~27mm 내외이며,
    상기 상부틀은 벌통에 착탈가능하게 걸쳐지도록 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폭은 35~37mm이고, 상기 소광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가로틀 및 세로틀은 중심부에 일정 깊이 및 폭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초가 슬라이딩 결합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양봉용 경량 소초광.
KR2020180002858U 2018-06-21 2018-06-21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KR201900032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8U KR20190003277U (ko) 2018-06-21 2018-06-21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58U KR20190003277U (ko) 2018-06-21 2018-06-21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77U true KR20190003277U (ko) 2019-12-31

Family

ID=6902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58U KR20190003277U (ko) 2018-06-21 2018-06-21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27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97B1 (ko)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042A (ko) 2011-12-20 2013-06-28 (주)비센 내구성이 보강된 소초광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97B1 (ko)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042A (ko) 2011-12-20 2013-06-28 (주)비센 내구성이 보강된 소초광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336Y1 (ko) 내면 돌기형 토종 벌통
KR100912223B1 (ko) 양봉용 소비
KR100912713B1 (ko) 꿀벌친화형 인공소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양봉용 소비
KR20130071042A (ko) 내구성이 보강된 소초광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172086A (zh) 一种蜂箱和中蜂的饲养方法
KR20190003277U (ko) 자연적 벌집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량 소초광
JP4260569B2 (ja) 受粉用ミツバチの紙製巣箱
KR200345465Y1 (ko) 양봉용 소비
RU2640283C2 (ru) Многокорпусный улей
CN201001336Y (zh) 盒式方格簇
CN105230578B (zh) 一种自动上蔟和快速采茧装置
CN109566474B (zh) 一种中蜂组合蜂箱
CN203251782U (zh) 一种新型蜂具塑料半巢脾
CN1596634A (zh) 多用塑料蜂窝蔟
CN208016728U (zh) 智能养蚕自动上蔟组件
CN204540385U (zh) 一种自逸式网箱型鲆鲽类鱼苗分级筛
CN209251454U (zh) 一种工厂化生产用简便方格簇具
CN215602625U (zh) 多功能组合蜜蜂土活养殖两用框
CN206390014U (zh) 一种可拆替的组合式巢框
CN205694986U (zh) 一种蜂箱
CN208370662U (zh) 双王群中心巢蜱多功能蜂箱
CN219478959U (zh) 一种全龄工厂化养蚕用分区型饲养搁板
CN204722070U (zh) 一种具有智能化的蚕具
CN205511588U (zh) 一种新型蜂王浆台基条
CN215074761U (zh) 一种提高蜂蜜产量和取蜜简单的蜂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