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134U -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134U
KR20190003134U KR2020190002208U KR20190002208U KR20190003134U KR 20190003134 U KR20190003134 U KR 20190003134U KR 2020190002208 U KR2020190002208 U KR 2020190002208U KR 20190002208 U KR20190002208 U KR 20190002208U KR 20190003134 U KR20190003134 U KR 201900031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tem
indicating whether
blockchain
item
attribu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심 블라고프
위톨드 라돔스키
Original Assignee
엔진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진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진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031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1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media of variable value, e.g. programmable cards, programmable tok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7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 A63F2300/5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details of game services offered to the player for trading virtual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2Usage or charge determination

Abstract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 및 추적하는 개선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블록체인 내에 디지털 아이템의 판매를 기록하고,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보유가치의 암호화폐를 할당한다. 그 후, 디지털 아이템은 암호화폐의 교환으로 반환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MANENT DATA RECORDS AND ASSETS FOR DIGITAL ITEMS IN A NETWORKED VIDEO GAME SYSTEM}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 및 추적하는 개선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블록체인 내에 디지털 아이템의 판매를 기록하고,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보유가치(reserve)의 암호화폐를 할당한다. 그 후, 디지털 아이템은 암호화폐의 교환으로 반환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높은 수준에서, 블록체인은 검증 가능하고 영구적인 방식으로 두 당사자 간의 거래를 기록할 수 있는 오픈된 분산 원장이다. 블록체인은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블록체인 내의 이전 블록의 암호 해시, 타임 스탬프 및 거래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장을 포함한다.
도 1은 블록체인 100i를 나타내며, 여기서 "i"는 블록체인(100)의 반복(iteration) 횟수이며, 각 반복은 이전 반복에 비하여 하나의 추가적인 블록을 포함한다.
블록체인 100i은 블록들 1011, 1012,..., 블록 101i를 포함한다. 단순화를 위해, 도 1에 블록 101i만이 도시되어 있다. 블록 101i는 헤더 102i와 원장 103i를 포함한다.
헤더 102i는, 여기서는 블록 101i-1인, 이전 블록 또는 이전 블록의 헤더의 해시 104i를 포함한다. 해시 104i는 알려진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입력에 기초하여 고정된 길이의 암호 해시를 생성할 수 있는데, 입력은 여기에서는 블록 101i-1 또는 블록 101i-1의 헤더의 내용이다. 해시 104i는 블록 101i를 인증하기 위한 메커니즘인데, 이는 오직 블록 101i-1 또는 블록 101i-1의 헤더의 내용 및 암호 해시 암수를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신뢰성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만이 블록 101i-1 또는 그 헤더의 해시 104i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암호 해시 함수의 예는 SHA 256 함수이며, 이는 임의의 주어진 입력에 대하여 256 비트(32바이트) 해시 출력을 생성한다.
헤더 102i는 또한 블록 101i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인 타임 스탬프 105i를 포함한다. 헤더 102i는 선택적으로 (블록에 대한 "작업 증명" 알고리즘 난이도 목표일 수 있는) 난이도 106i, (작업 증명 알고리즘을 위해 사용되는 카운터인) 논스 107i, 및 (원장 103i에 포함된 거래의 요약 또는 해시인) 머클 루트 108i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102i는 요구에 따라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장 103i는 블록 101i에 기록된 하나 이상의 거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원장(103)은 거래 109iA 및 109iB를 포함한다. 다양한 데이터 구조가 거래(109)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거래(109)는 거래에 관여된 주체, 거래의 대상(subject matter), 거래 조건(the terms of the transaction) 및 다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의 추가적인 예를 포함한다. 도 2는 블록체인 1001을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블록체인의 제일 첫 번째 반복을 나타낸다. 블록체인 1001은 오직 하나의 블록인 블록 1011을 포함한다. 블록 1011은 블록체인을 시작하는 첫 번째 블록이므로 때때로 "제네시스 블록"이라고 불린다.
블록 1011은 헤더 1021 및 원장 1031을 포함한다. 헤더 1021은 블록 1010의 해시 1041을 포함한다. 여기서, 블록 1010은 (블록 1011이 블록체인의 첫 번째 블록이므로)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아서, 해시 1041은 이 인스턴스에서는 블랭크이거나 널 값일 수 있다. 원장 1031은 세 개의 거래인 거래 1091A, 1091B, 및 1091C를 포함한다.
도 3은 다른 블록인 블록 1012가 추가된 후의 블록체인 1011의 다음 반복인 블록체인 1002를 나타낸다. 블록 1012는 헤더 1022 및 원장 1032를 포함한다. 헤더 1022는 블록 1011 또는 헤더 1021의 해시 1042를 포함한다. 원장 1032는 두 개의 거래인 거래 1092A 및 1092B를 포함한다.
블록 및 블록체인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생성, 저장 및 검색된다. 블록체인을 생성 및/또는 저장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는 "노드"라고 불린다.
도 4는 노드로서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4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들 하드웨어 구성은 종래에 알려져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싱 유닛(401), 메모리(402), 비휘발성 스토리지(403), 포지셔닝 유닛(4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5), 영상 캡쳐 유닛(406),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407) 및 디스플레이(408)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서버,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게임 시스템, 스마트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은 컴퓨팅 디바이스(400)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401)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갖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모리(402)는 선택적으로 DRAM 또는 SRAM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스토리지(403)는 선택적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유닛(404)은 선택적으로 GPS 또는 GNSS 위성과 통신하는 GNSS 유닛 또는 GPS 유닛을 포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400)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위도 데이터 및 경도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5)는 선택적으로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이더넷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3G, 4G, GSM, 802.11, 상표 "블루투스"로 알려진 프로토콜, 등)을 포함한다. 영상 캡쳐 유닛(406)은 선택적으로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 및 노트북 컴퓨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표준 카메라를 포함한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407)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위한 그래픽을 생성하는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08)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407)에 의해 생성된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고, 선택적으로 모니터, 터치스크린 또는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도 5는 컴퓨팅 디바이스(40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상표 “Windows", "Linux", "Android", "iOS" 또는 그 외의 알려진 운용 시스템과 같은) 운용 시스템(501) 및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을 포함한다.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은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싱 유닛(401)에 의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코드의 라인들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은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의 예시를 포함하나,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에 대한 개선점을 포함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예시적인 종래 시스템 및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와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400i는 블록체인 1001을 저장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i는 블록체인 1001을 생성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또는 단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400)에 의하여 생성된 블록체인 1001을 저장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6b와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4002는 블록체인 1002를 생성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1001에 블록 1012를 추가하려고 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2는 블록체인 1002를 생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을 이용하여 처음에는 국부적으로 그렇게 하고, 이어서 블록체인 1001을 저장한 모든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400)(즉, 다른 노드)가 블록체인 1002를 생성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1001에 블록 1012를 추가하도록 한다.
도 6c와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4001은 컴퓨팅 디바이스 4002로부터 요청을 수신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1의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은 블록체인 1001 또는 그 헤더에 저장된 블록 1011의 해시를 블록 1012의 헤더 1042에 저장된 해시와 비교한다. 매칭되면 컴퓨팅 디바이스 4001은 요청이 적법하다고 판단하고, 체인에 블록 1012를 추가하여 블록체인 1001을 업데이트하며, 따라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 1002를 생성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1 및 4002는 그들 각자의 비휘발성 스토리지 디바이스(403)에 블록체인 1001 및 1002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e와 관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 4003은 이어서 블록체인에 블록 1013을 추가하도록 요청할 수 있을 것이며, 요청은 도 6b 및 도 6c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 4001 및 4002 (및 임의의 다른 노드들)에 전송될 것이다. 만약 블록 1013이 컴퓨팅 디바이스 4001 및 4002에 의하여 인증되면, 블록 1013은 블록체인 1002에 추가되어 블록체인 1003이 생성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다른 측면은 클라이언트-서버 비디오 게임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7a와 관련하여, 비디오 게임 시스템(700)은 서버(702) 및 사용자 X에 의하여 동작되는 클라이언트(7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702) 및 클라이언트(701)는 컴퓨팅 디바이스(400)와 유사한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702)는 클라이언트(701)가 참여하는 온라인 비디오 게임을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비디오 게임의 일부로서 서버(702)는 그 사용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디지털 아이템(703)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아이템(703)의 예는 "1인칭 슈팅" 비디오 게임에서의 무기, 사용자의 온라인 캐릭터를 위한 의상 물품, 음악 또는 비디오 클립, 특별 콘텐츠로의 액세스, 랭킹이나 레벨 증가와 같은 비디오 게임 경험치의 증가, 또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아이템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서버(702) 및 클라이언트(701)는 거래에 관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서버(702)는 신용카드 또는 온라인 결제 서비스와 같은 결제의 대가로 클라이언트(701)에게 디지털 아이템(703)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게임 시스템(700)의 한가지 단점은 디지털 아이템(703)이 전형적으로 특정 시점에서 더 이상 쓸모없고 상대적으로 무가치하게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b와 관련하여, 서버(702)가 비디오 게임을 중단하거나 또는 사용자 X가 비디오 게임을 완료하면, 디지털 아이템(703)은 사용자 X에게 있어서 존재하지 않거나 불필요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종래 기술의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인 측면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디지털 아이템은 궁극적으로 어떠한 가치도 가지지 않는 소모적인 자산이다.
구매 시에 각 디지털 아이템에 대해 내제적으로 보유되는 가치를 제공하여 디지털 아이템이 보유된 가치에 기초하여 반환되거나 교환될 수 있는 개선된 비디오 게임 시스템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을 생성 및 추적하는 개선된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블록체인 내에 디지털 아이템의 판매를 기록하고,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보유가치의 암호화폐를 할당한다. 그 후, 디지털 아이템은 암호화폐의 교환으로 반환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의 반복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블록체인의 다른 반복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및 도 6e는 기존 블록체인에 블록을 추가하는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7a는 종래 기술의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아이템의 구매를 나타낸다.
도 7b는 종래 기술의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디지털 아이템이 쓸모없게 된 것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8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쓸모없게 된 디지털 아이템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 11은 제1 디지털 아이템이 관여된 거래로부터 획득된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제2 디지털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비디오 게임 시스템(800)을 나타내며, 이 예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4001과 컴퓨팅 디바이스 400k를 포함하며, 컴퓨팅 디바이스 4001을 사용하여 사용자 X가 참여하는 비디오 게임을 함께 운용한다. 많은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400)가 또한 동일한 비디오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k는 노드이며,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을 포함한다.
도 8의 예에서, 사용자 X는 결제(801)에 대한 대가로 컴퓨팅 디바이스 400k로부터 디지털 아이템(703)의 구매를 개시한다. 결제(801)는 신용카드 또는 온라인 결제 서비스에 의하여, 또는 아래에 설명되는 가상화폐(cyber currency)와 같은 가상화폐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컴퓨팅 디바이스 400k의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은 블록 101N을 생성하여 구매 거래를 기록하고 디지털 아이템(703)에 대한 보유된 가치를 암호화폐의 형태로 저장하며, 이는 3 단계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1. 블록체인 상의 스마트 계약이 활성화되고, 디지털 아이템을 나타내는 토큰이 생성된다. 이 예에서, 스마트 계약은 토큰 110N을 포함하는 거래 109N으로서 기록된다. 토큰 110N은 디지털 아이템(703)을 나타낸다.
2. 보유된 양의 암호화폐가 에스크로에 유지되고 디지털 아이템에 첨부된다. 여기서, 거래 109N은 디지털 아이템(703)에 연관된 암호화폐의 양(예를 들어, 0.5 엔진(Enjin) 코인)을 나타내는 암호화폐 111N을 포함한다. 거래 109N에 기록된 스마트 계약은 이 보유된 양의 암호화폐가 디지털 아이템(703)이 파괴되지 않는 한 릴리즈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암호화폐 111N 대신에 전통적인 화폐 (예를 들어, US 달러)가 기록될 수 있다.
3. 디지털 아이템(703)에 대한 구체적 속성을 나타내는 다수의 스마트 계약이 다른 거래에서 또는 거래 109N의 부분으로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고 기록될 수 있다. 이들 속성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a. 디지털 아이템(703)이 거래 가능한지 여부: 거래 가능한 아이템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거래될 수 있다.
b. 디지털 아이템(703)이 사용자 X에게 귀속되어 있는지 여부: 귀속 아이템은 거래될 수 없으며, 그 소유자(여기서는 사용자 X)에 의하여 멜팅(melting) 될 수 있다.
c. 디지털 아이템(703)이 오직 화이트리스트 주소로 이전될 수 있는지 여부: 이것은 화이트리스트 주소 외로의 이전을 제한한다.
d. 디지털 아이템(703)이 다른 아이템과 결합될 수 있는지 여부: 이것들은 복수의 토큰을 하나로 결합하는 토클 번들을 가능하게 한다.
e. 디지털 아이템(703)이 고정 최대 공급량(fixed maximum supply)의 일부인지 여부: 이것은 레어 아이템의 고정된 공급을 사전 설정한다(예를 들어, 특정 아이템의 오직 100개의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이 존재할 수 있다).
f. 디지털 아이템(703)이 연간 공급량 % 증가 대상인지 여부: 이것은 시간 경과에 따라 아이템 인플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동적 공급을 제공한다.
g. 디지털 아이템(703)이 연간 공급량 % 감소 대상인지 여부: 이것은 시간에 따라 아이템 디플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동적 공급을 제공한다.
h. 디지털 아이템(703)이 고정된 양만큼의 주기적 증가/감소 대상인지 여부: 이것은 수요 때문에 변하는 동적 공급을 제공한다.
i. 디지털 아이템(703)이 대여될 수 있는지 여부: 이 옵션은 사용자가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에 대여하고 대가로 결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대여는 고정된 시간 동안 설정될 수 있고 반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j. 디지털 아이템(703)이 판매 수수료 대상인지 여부: 아이템의 발행자(minter)는 그 아이템의 모든 판매에 대한 수수료를 획득하도록 약정(opt)할 수 있다.
k. 디지털 아이템(703)이 멜팅 수수료 대상인지 여부: 아이템의 발행자는 그 아이템의 모든 멜팅에 대하여 수수료를 획득하도록 약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400k는 원장 103N에 거래 상세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101N에 거래 109N을 기록한다. 여기서 거래 109N은 사용자 X가 디지털 아이템(703)을 구매하고 암호화폐 111N이 디지털 아이템(703)에 대한 보유가치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도 9와 관련하여, 이어서 컴퓨팅 디바이스 400K는 이전에 블록체인 100N-1을 저장한 모든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즉, 노드)에 블록 101N을 그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새로운 반복의 블록체인 100N을 저장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는, 두 개의 예시적 디바이스인 컴퓨팅 디바이스 4001 및 4002가 도시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1 및 4002가 예를 들어, 블록체인 프로세싱 엔진(502)을 사용하여 블록 101N의 해시 104N을 블록 101N-1 또는 그 헤더를 사용하여 계산된 실시간 해시와 비교함으로써 요청을 인증한다. 매칭이 발견되면, 컴퓨팅 디바이스(400)는 블록체인 100N-1이 블록 101N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하며, 이로써 블록체인 100N을 생성 및 저장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 X는 아이템(703)이 쓸모없게 되면 가치를 되찾는 옵션을 갖는다. 도 10a에서, 컴퓨팅 디바이스 400k가 (아마 사용자 수가 감소하거나 또는 회사가 그 사업 운용을 종료하였기 때문에) 비디오 게임의 운용을 중지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400k는 그러면 디지털 아이템(703)이 취소되고 암호화폐 111N이 사용자 X에게 제공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블록 101N+X의 원장 103N+X에 새로운 거래 109N+X를 기록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 X는 다른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그런 형태의 암호화폐를 수용하는 임의의 다른 거래에서 암호화폐 111N을 사용하기 위하여 암호화폐 111N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b는 다른 잠재적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 X는 (사용자 X는 비디오 게임을 완료하였거나 또는 그 비디오 게임을 더 이상 플레이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또는 그 또는 그녀가 디지털 아이템(703)을 다른 아이템으로 교체하고 싶기 때문에) 더 이상 디지털 아이템(703)을 소유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 4001은 컴퓨팅 디바이스 400k에 요청을 전송할 것이며, 그러면 디지털 아이템(703)에 대한 토큰 110N이 이제 취소되었다는 것을 나타냄으로써 디지털 아이템(703)을 "멜팅"할 것이며, 암호화폐 111N을 사용자 X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400k의 오퍼레이터("발행자"라고도 불릴 수 있음)에게 제공할 것이다. 이것은 2 단계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1. 멜팅된 아이템 내에 유지된 양의 암호화폐(111N)가 제거되고,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아이템의 소유자(사용자 X)에게 가며, 선택적으로, 그 일부는 발행자에게 간다. 소유자 및 발행자에게 할당된 비율은 아이템(703)이 처음 생성되었을 때 사전 설정되며, 선택적으로 판매시에 거래 109N에 기록될 수 있다.
2. 아이템(703)은 블록 101N+X가 블록체인에 추가될 때 블록체인(10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되며, 토큰 110N은 더 이상 토큰으로서 이용 불가능하다.
도 11과 관련하여, 도 10a 및 도 10b의 이벤트 이후의 어떤 시점에, 사용자 X는 컴퓨팅 디바이스 400k 또는 (또한 블록체인 100N에 대한 노드인)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400m으로부터 디지털 아이템(901)을 구매하기를 원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사용자 X는 디지털 아이템(901)을 위해 추가적인 결제를 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컴퓨팅 디바이스 400k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400m은 구매에 대하여 암호화폐 111N을 적용할 수 있다. 구매는 새로운 블록 101N+Y에 기록된 새로운 거래 109N+Y로서 기록될 것이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형예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한 참조는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대신에 하나 이상의 청구항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커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단지 참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Claims (12)

  1. 프로세싱 유닛, 메모리 및 블록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스토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블록체인의 일부이며, 상기 블록은
    헤더 - 상기 헤더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블록체인의 이전 블록의 해시; 및
    타임 스탬프를 포함함 -; 및
    비디오 게임에서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아이템의 구매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장 - 상기 거래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에 연관되고 상기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토큰; 및
    상기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암호화폐 가치를 포함함-
    을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거래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식별된 사용자에게 귀속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미리 결정된 세트의 식별된 사용자에게만 이전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다른 아이템과 결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고정 최대 공급량의 일부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연간 공급량 퍼센티지 증가의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연간 공급량 퍼센티지 감소의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고정된 양만큼의 주기적 조정의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대여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판매 수수료의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속성 데이터는 상기 디지털 아이템이 디지털 아이템의 멜팅에 대한 수수료의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2020190002208U 2018-06-13 2019-05-29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3134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07,124 2018-06-13
US16/007,124 US20190385136A1 (en) 2018-06-13 2018-06-13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manent Data Records and Assets for Digital Items in a Networked Video Gam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34U true KR20190003134U (ko) 2019-12-23

Family

ID=6884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08U KR20190003134U (ko) 2018-06-13 2019-05-29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385136A1 (ko)
KR (1) KR201900031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53821A1 (en) * 2020-07-24 2023-05-18 Pocketful of Quart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tokens for gam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9150A (zh) * 2020-03-27 2020-08-04 宁波图灵奇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云游戏推送方法及装置
CN111355980B (zh) * 2020-04-16 2022-05-03 中奥科技发展(深圳)有限公司 用于数字化视频产品的版权归属处理方法及系统
US11819760B2 (en) * 2021-12-01 2023-11-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Tracking and processing history data of a non-fungible token based digital asse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055B2 (en) * 2003-08-29 2011-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ownership of digital items in a network data processing system
US8192286B2 (en) * 2005-04-19 2012-06-05 Sony Online Entertainment Llc System for secure transfer of online privileges
US8799168B2 (en) * 2005-04-19 2014-08-05 Sony Online Entertainment Llc Secure transfer of online privileges including non-financial options
US8126778B2 (en) * 2007-03-19 2012-02-28 Ebay Inc. Network reputation and payment service
WO2017004527A1 (en) * 2015-07-02 2017-01-05 Nasdaq, Inc. Systems and methods of secure provenance for distributed transaction databases
US11651359B2 (en) * 2016-10-05 2023-05-16 The Toronto-Dominion Bank Distributed electronic ledger with metadata
US20190232172A1 (en) * 2018-01-30 2019-08-01 Roblox Corporation Chain of custody in gaming platforms
US20190299105A1 (en) * 2018-03-27 2019-10-03 Truly Simplistic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digital assets in a gaming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53821A1 (en) * 2020-07-24 2023-05-18 Pocketful of Quart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tokens for g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5136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570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US11899809B2 (en) Proof-of-approval distributed ledger
US11694207B2 (en) Securing an exchange item associated with fraud
KR101835520B1 (ko) 밸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KR20190003134U (ko) 네트워크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자산 및 영구 데이터 기록을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043672B1 (ja) 非代替性トークン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出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570757B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众筹方法、装置及系统
US20200042988A1 (en) Stable Cryptocurrency Coinage
CN112200571B (zh) 基于区块链的资源发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35521B1 (ko) 블록체인 내의 블록별로 밸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US20190114707A1 (en) Distribution of Blockchain Tokens
KR102295236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소장품 소유권을 분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거래 서버
JP6404435B1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CN112200567B (zh) 基于区块链的资源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35519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CN112767163B (zh) 基于区块链的数字商品交易方法和装置
CN112200568B (zh) 基于区块链的账户创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35518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합 포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원 서버
JP201810136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7852333A (zh) 用于可公开验证的授权的系统和方法
CN112200572A (zh) 基于区块链的资源发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8230648A1 (ja) ランダム仲介手数料設定機能を有する不動産仲介システム、不動産仲介方法、及び不動産仲介プログラム
KR20190114292A (ko)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레디 펜딩 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 방법
JPWO2018092443A1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装置、デジタルコンテンツ商取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04791A1 (en) Guaranteeing server and method for transaction on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