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108U -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 Google Patents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108U
KR20190003108U KR2020180002516U KR20180002516U KR20190003108U KR 20190003108 U KR20190003108 U KR 20190003108U KR 2020180002516 U KR2020180002516 U KR 2020180002516U KR 20180002516 U KR20180002516 U KR 20180002516U KR 20190003108 U KR20190003108 U KR 20190003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elding torch
manual welding
main body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2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3108U/ko
Publication of KR20190003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1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5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consumable electrode-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용접토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검 또는 휴식을 위해 수동용접토치를 바닥에 놓거나 또는 사물에 거치하였을 경우 타 구조물 또는 물건 등에 스위치가 간섭되어 수동용접토치가 계속 작동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용접토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와,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모두 온 모드로 전환되었을 시에 작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Manual welding torch with dual switch}
본 고안은 수동용접토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검 또는 휴식을 위해 수동용접토치를 바닥에 놓거나 또는 사물에 거치하였을 경우 타 구조물 또는 물건 등에 스위치가 간섭되어 수동용접토치가 계속 작동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용접토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용접토치(1)는 전방에 용접노즐(3)이 위치하고 용접노즐(3)의 후방으로 토치 바디(5)가 연결되며, 토치 바디(5)의 후방에는 수동용접토치의 본체(7)가 연결된다. 그리고 수동용접토치(1)의 후방으로 용접케이블(9)이 연결되며, 용접케이블(9)의 내부에는 와이어 및 호스가 내재되어 용접에 필요한 와이어의 공급 및 분위기 가스의 공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동용접토치(1)를 이용하여 용접이 진행될 경우 용접노즐(3)을 개선부 즉 용접 부위에 위치하고, 작업자가 본체(7)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의 하부에 위치한 노브스위치(7N)를 누르면, 와이어 및 분위기 가스가 용접노즐(3)로 공급되어 용접노즐(3) 전방에서 아크가 발생하고 아크 열에 의해 와이어 및 모재가 용융되어 용접이 이루어진다.
한편,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또는 용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파지하고 있는 본체(7)를 놓고, 휴식 또는 점검 작업을 수행한다.
수동용접토치(1)를 바닥에 놓거나 구조물에 걸어 놓을 경우, 수동용접토치(1)의 본체(7)의 후방에 연결된 용접케이블(9)이 상당한 강성과 탄성을 갖고 있어 작업자가 수동용접토치(1)를 놓은 자리에 수동용접토치(1)가 위치하지 않고 용접케이블(9)의 탄성에 의해 위치가 다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용접토치(1)의 위치가 작업자의 의도와 달리 변경됨에 따라 노브스위치(7N)가 인접한 구조물 또는 물건 등에 접하여 가압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노브스위치(7N)가 작업자의 의도와 달리 가압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노즐(3)로 분위기 가스와 와이어가 계속해서 공급됨에 따라 자칫 화재발생의 위험이 있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용접노즐(3) 밖으로 인출된 와이어의 재사용이 어려워 불필요하게 자재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6223호(2014.04.18; 공개일)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수동용접토치를 바닥 또는 구조물에 놓더라도 작업자의 의도와 달리 수동용접토치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는 작동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2중 스위치 구조를 구비한 수동용접토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용접토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와,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모두 온 모드로 전환되었을 시에 작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장착된 본체와,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토치 바디와, 토치 바디의 전방에 장착된 용접노즐과,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된 용접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측면에 제1스위치가 장착되고, 본체의 저면에 제2스위치가 장착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방향이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수동용접토치를 바닥에 놓거나 또는 구조물에 걸어 위치할 경우 2개의 스위치가 모두 온 모드로 전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작동 오류의 확률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화재 발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는 본체를 파지하고 작업하는 특성에 맞춰 제1스위치는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본체의 저면에 제2스위치인 노브스위치를 설치하여 인체 공학적인 설계를 통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용접토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용접토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동용접토치의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배선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용접토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동용접토치의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배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용접토치(100)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본체(130)와, 본체(130)의 전방으로 연장된 토치 바디(120)와, 토치 바디(120)의 전방에 형성된 용접노즐(110)과, 본체(130)의 후방으로 연장된 용접케이블(140)을 구비하며, 작업자가 본체(130)를 파지하였을 경우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된 제1스위치인 토글스위치(151)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장착된 제2스위치인 노브스위치(152)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수동용접토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자는 수동용접토치(100)의 본체(130)를 파지한 상태로, 아래보기 자세를 취할 경우 본체(130)에 장착된 노브스위치(152)는 바닥을 향해 위치하고, 토글스위치(151)는 작업자의 몸쪽 방향을 향하도록 본체(130)에 장착된다. 즉 오른손잡이의 작업자가 본체(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아래보기 자세를 취할 경우 본체(130)의 저면에 노브스위치(152)가 위치하고 본체(130)의 좌측편에 토글스위치(151)가 위치하여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토글스위치(151)를 조작 가능하며 나머지 손가락으로 노브스위치(152)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왼손잡이용 수동용접토치(100)는 본체(130)의 우측편에 토글스위치(151)가 위치하여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토글스위치(151)를 조작 가능하며 나머지 손가락으로 노브스위치(152)를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체(130)에 형성된 토글스위치(151)와 노브스위치(152)의 작동에 있어서, 제1스위치인 토글스위치(151)는 온(on)/오프(off) 모드 전환이 가능하며, 노브스위치(152)는 작업자가 가압하면 온(on) 모드가 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오프(off) 모드가 된다.
이때 수동용접토치(100)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토글스위치(151)가 온 모드이면서 노브스위치(152) 또한 온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다.
만약, 토글스위치(151)가 오프 모드일 경우에는 노브스위치(152)가 온 모드일 경우라도 수동용접토치(100)는 작동하지 않으며, 토글스위치(151)가 오프 모드이며 노브스위치(152) 또한 오프 모드일 경우에도 수동용접토치(100)는 작동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수동용접토치(100)가 작동한다는 의미는 제1스위치인 토글스위치(151)가 온 모드 상태에서 제2스위치인 노브스위치(152) 또한 온 모드로 전환되어야만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토글스위치(151)는 본체(130)의 측면에 위치하고 노브스위치(152)는 본체(130)의 저면에 위치함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용접토치(100)를 평편한 바닥에 높더라도 토글스위치(151) 또는 노브스위치(152) 중 어느 한 쪽이 접하게 되는데, 본체(130)의 저면은 좁고 측면은 넓기 때문에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2개의 스위치(151, 152)가 동시에 접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작업자가 바닥에 수동용접토치(100)를 바닥에 놓으면서 토글스위치(151)가 상부를 향하도록 놓게 되면 수동용접토치(100)가 용접케이블(140)의 탄성에 의해 위치가 다소 이동하더라도 2개의 스위치(151, 152)가 구조물 또는 물체에 동시에 접하는 경우는 발생하기 어려우며, 작업자가 토글스위치(151)를 오프 모드로 전환한 후 바닥에 놓을 경우 종래와 같이 수동용접토치(100)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용접토치의 배선도로서, 배선도에서 A는 전류, V는 전압을 나타내며, 수동용접토치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는 sol이고,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모터는 M, 그리고 제1스위치인 토글스위치는 도면부호 '151'과 제2스위치인 노브스위치는 도면부호 '152'로 병기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스위치(151)와 노브스위치(152)는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서, 토글스위치(151)의 온 모드와 노브스위치(152)의 온 모드가 만족되어야 전류가 공급되어 수동용접토치(100)로 작업이 가능하다.
100 : 수동용접토치
110 : 용접노즐
120 : 토치 바디
130 : 본체
140 : 용접케이블
151, 152 : 스위치

Claims (3)

  1. 전원을 공급하는 제1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와,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모두 온 모드로 전환되었을 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용접토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가 장착된 본체(130)와,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토치 바디(120)와,
    토치 바디의 전방에 장착된 용접노즐(110)과,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된 용접케이블(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용접토치.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130)의 측면에 제1스위치가 장착되고, 본체(130)의 저면에 제2스위치가 장착되어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방향이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용접토치.
KR2020180002516U 2018-06-08 2018-06-08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KR201900031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16U KR20190003108U (ko) 2018-06-08 2018-06-08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16U KR20190003108U (ko) 2018-06-08 2018-06-08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108U true KR20190003108U (ko) 2019-12-18

Family

ID=6902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16U KR20190003108U (ko) 2018-06-08 2018-06-08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310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223A (ko) 2012-10-10 2014-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겸용 용접토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223A (ko) 2012-10-10 2014-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겸용 용접토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191B1 (ko) 산업용 로봇의 조작에 이용되는 교시 장치
US20090152254A1 (en) Control assembly for a welding gun
US7642486B2 (en) Welding device with arc termination control
US20110005905A1 (en) Locking switch device for a power tool
EP2745653B1 (en) Plasma torch and torch handle having ergonomic features
CA28777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eeding filler material to a welding operation
KR20190003108U (ko) 이중 스위치 구조의 수동용접토치
JP2015205332A (ja) 半自動ティグ溶接トー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KR102595076B1 (ko) 플라즈마토치의 손잡이
KR100449371B1 (ko) 포크리프트의 조작 레버 및 포크리프트
KR100995373B1 (ko) 아크용접기용 콘트롤유닛
JP3668962B2 (ja) レーザ加工用トーチ
JP7157275B1 (ja) 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10051595A (ko) 스폿 용접건용 전극팁 커버유닛
KR100978218B1 (ko) 용접기용 공용 접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136707A (ja) アーク処理用トーチ、アーク処理システム
KR200418989Y1 (ko) 용접기 홀더
CN105689845A (zh) 一种半自动化点焊机
KR200468178Y1 (ko) 이산화탄소 용접용 토치노즐의 결합구조.
KR100924659B1 (ko) 입체문자채널용 용접장치
JPH1158020A (ja) アーク溶接トーチ
JPH0661370U (ja) 溶接トーチ
KR19980060496U (ko) 아아크용접기용 원격조정장치
JPH10230358A (ja) Tig溶接と焼け取り兼用tig溶接装置
JP2007275919A (ja) 電気溶接機用ト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