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61U - 향기 나는 귀걸이 - Google Patents

향기 나는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61U
KR20190002661U KR2020180001675U KR20180001675U KR20190002661U KR 20190002661 U KR20190002661 U KR 20190002661U KR 2020180001675 U KR2020180001675 U KR 2020180001675U KR 20180001675 U KR20180001675 U KR 20180001675U KR 20190002661 U KR20190002661 U KR 201900026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molding
earrings
scented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세민
Original Assignee
서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세민 filed Critical 서세민
Priority to KR2020180001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661U/ko
Publication of KR20190002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 나는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가 구비되어 신체의 귀에 착용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귀의 귓뽈에 착용되는 귀걸이 본체, 본체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산체가 부착될 수 있는 수용부, 귓뽈을 뚫고 고정되도록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돌출부 및 수용부에 물딩 결합되며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를 포함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기 나는 귀걸이{PERFUME EARRINGS}
본 고안은 향기 나는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의 본체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에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성을 표현하면서도 향수향이 발산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히 여성들이 신체나 의복 일부에 향수를 뿌려 향기를 발산시켜 줌으로서, 타인과의 대화 또는 접촉 시 불쾌감을 없애기 위해 좋은 향으로 매력을 발산시키기 위하여 향수를 사용하였는데, 신체나 의복에 뿌린 향수는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향기가 모두 발산되어 장시간 효력이 발생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향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발산효과를 유지하고 싶은 욕구가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귀걸이라 하면 여성들이 애용하는 장신구로서 귀금속으로 제작되며 여러가지 아름다운 형태로 제작되어 아름다움을 표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귀걸이가 단순치장 및 표출용만이 아닌 기능적인 요소까지 구비할 수 있도록, 종래 귀걸이에 원통형의 향수통이 고리에 의해 매달린 제품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귀걸이는 향수통의 자중이 사용자의 귓볼에 집중되므로 통증을 느낄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향수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디자인상 별로 효과적이질 못해 거의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99849호인 "향수 흡수제가 내장된 귀걸이"를 살펴보면 상, 하단 일측으로 각각 홈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경첩으로 연결된 고정편이 형성된 바닥판의 일측 중앙으로 함실을 형성하되, 이에 향수가 흡수된 흡수체가 삽설하고, 함실 양측단으로 통기홈과 일측에 걸림구가 형성된 뚜껑을 경첩으로 설치하고, 바닥판 주위로 다수개의 무늬통공을 형성하며, 하단 일측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단 일측에 경첩으로 바닥판에 설치된 뚜껑부에는 일측으로 걸림편을 형성하며 중앙과 코너부에 각각 장식용 보석을 삽설 하여서 결합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귀걸이는 향수 흡수제에 포함되어 있던 향기가 모두 발산되면 새로운 향수 흡수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귀걸이에는 상기 향수 흡수제를 내장시킬 수 없어 사용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향수 흡수제 내장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특정 귀걸이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활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 제20-019984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귀걸이의 본체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에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성을 표현하면서도 향수향이 발산되는 새로운 구조의 향기 나는 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가 구비되어 신체의 귀에 착용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귀의 귓뽈에 착용되는 귀걸이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산체가 부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귓뽈을 뚫고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에 물딩 결합되며 상기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를 포함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향수몰딩체는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몰딩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파우치는 멜트잇 파우더를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멜트잇 파우더에 색상파우더를 넣고 저어준 이후, 상기 발산체를 첨가하여 액상물질로 형성시키고, 상기 액상물질을 상기 수용부에 부은 후 건조하여 몰딩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향수몰딩체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몰딩파우치의 일면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타원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보다 소정의 면적으로 작게 형성된 체결홈부, 상기 체결홈부의 테두리중 원의 중심으로부터 단방향 지름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의 단방향 지름의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된 보조체결홈부 및 상기 체결홈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면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 시, 상기 몸체부를 밀어내도록 타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판형상의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홈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는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츨 수용부에 부어 몰딩시킴으로써, 귀걸이의 장식효과를 가지면서 향수가 발산되어 사용자의 개성을 충족하면서도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는 가열된 멜트잇 파우더에 원하는 색상의 색상파우더를 넣어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몰딩파우치를 형성함으로써, 화려하면서도 향수가 발산되는 귀걸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는 체결부를 통해, 몰딩파우치와 수용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여 몰딩파우치의 교체가 간편하여 매일 새로운 향이 나는 귀걸이로 사용할 수 있고, 복수개의 본체 및 복수개의 향수몰딩체를 구비하여 하나의 귀걸이로 사용하여 하나의 귀걸이로 다양한 디자인이 변형하여 경제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향수몰딩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부를 통해 향수몰딩체 및 수용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향기 나는 귀걸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향수몰딩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부를 통해 향수몰딩체 및 수용부의 결합되는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10)는 귀걸이 본체(100), 수용부(200), 고정돌출부(300) 및 향수몰딩체(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10)는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11)가 구비되어 신체의 귀에 착용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귀의 귓뽈에 착용되는 귀걸이 본체(100), 본체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산체가 부착될 수 있는 수용부(200), 귓뽈을 뚫고 고정되도록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돌출부(300) 및 수용부에 물딩 결합되며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귀의 귓뽈에 착용되는 것으로, 액세서리 또는 보석 및 다양한 형상의 아이템이 부착되어 사용자의 욕구충족을 위한 장신구로 쓰인다.
또한, 본체(100)는 일정크기의 판 또는 독특한 디자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도록 원하는 형상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일면에 후술하는 수용부(200)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향수몰딩체(400)가 수용부(200)에 부착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미도시)
여기서 지지대는 향수몰딩체(400)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용부(200)는 본체(100)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산체(11)가 부착된다.
즉, 수용부(200)는 발산체(11)가 부착되도록 본체(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벽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200)는 귀걸이의 형상의 특징을 살리도록 본체(100)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됨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고정돌출부(300)는 귓뽈을 뚫고 고정되도록 본체(10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출부(300)는 소정의 지름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 체결되는 체결편이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향수몰딩체(400)는 수용부(200)에 몰딩 결합되며 발산체(11)가 믹스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향수몰딩체(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수 물질인 발산체(11)를 믹스하여 탄성력이 있는 액상형태로 형성시켜 수용부에 붓고, 건조하여 굳은 상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향수몰딩체(400)는 몰딩파우치(410)를 포함한다.
몰딩파우치(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파우치는 멜트잇 파우더를 가열하고, 가열된 멜트잇 파우더에 색상파우더를 넣고 저어준 이후, 발산체(11)를 첨가하여 액상물질로 형성시키고, 액상물질을 수용부(200)에 부은 후 건조하여 몰딩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몰딩파우치(410)는 멜트잇 파우더를 준비(S1)하고, 멜트잇 파우더를 용기에 부어 가열 온도를 60도 내지 80도로 가열한다.(S2)
여기서, 가열 온도는 60도 내지 80도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멜트잇 파우더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멜트잇 파우더가 가열되어 액상물질로 변형되면 원하는 색상의 색상파우더를 넣고 교반시킨다.(S3) 이로 인해, 몰딩파우치(410)는 멜트잇 파우더의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프래그런스 오일로 이루어진 발산체(11)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액상물질의 온도를 낮추도록 한다.(S4) 이때, 발산체(11)는 프래그런스 오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향수액 또는 아로마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액상물질을 수용부(200)에 부은 후 건조하여 몰딩파우치(410)로 형성시킨다.(S5)
이와 같은, 몰딩파우치(410)로 형성되는 향수몰딩체(400)는 멜트잇 파우더와 믹스된 발산체(11)에 의하여 향기가 은은하게 오랜시간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체(100)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몰딩파우치(410)를 수용부(200)에 붓기전에 복수개의 본체(100)를 지지대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100)가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가 되면, 소량의 액상물질을 수용부(200)에 부은 후, 건조하여 몰딩파우치(410)가 형성되게 한다.
이로 인해, 향수몰딩체(400)는 수용부(200)의 형상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몰딩파우치(410)를 형성함과 아울러, 귀에 본체(100)를 착용 시, 별도의 향수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간편하게 향수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향수몰딩체(400)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귀걸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기재 및 도면에 귀걸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순히 향수몰딩체(400)가 사용되는 실시예인 것으로, 귀걸이 뿐만 아니라 향수몰딩체(4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반지, 팔찌, 목걸이 및 악세서리의 장식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나는 귀걸이(10)의 향수몰딩체(400)는 체결부(420)를 더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체결부(420)는 수용부(200)의 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몰딩파우치(4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체결부(420)는 몸체부(421), 체결홈부(422), 보조체결홈부(423) 및 텐션부(424)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421)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후술하는 체결홈부(422)에 용이하게 체결되기 위해 타원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몸체부(421)는 전술한 몰딩파우치(410)가 형틀에서 완전히 굳기 전에 형틀과 분리한 이후, 몰딩파우치(410)의 일측에 결합시키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421)는 후술하는 체결홈부(422)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몰딩파우치(410)가 수용부(20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몰딩파우치(410)는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수용부(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틀 또는 구 형상으로 제작하여 몸체부(421)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귀걸이 본체(100)에 향수몰딩체(400)를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하여 향수몰딩체(400)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체결홈부(422)는 몸체부(4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용부(200)의 일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몸체부(421)의 테두리보다 소정의 면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는 체결홈부(422)에 수용된 몸체부(421)가 이탈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체결홈부(423)는 체결홈부(422)의 테두리중 원의 중심으로부터 단방향 지름의 양측에 몸체부(421)의 단방향 지름의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즉, 보조체결홈부(423)는 몸체부(421)의 형상보다 전체적으로 작게 형성된 체결홈부(422)에 수용 결합되도록 적어도 몸체부(421)의 단방향 지름의 테두리가 수용될 정도의 홈이 체결홈부(422)의 단방향 지름의 테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텐션부(424)는 체결흠부(4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면이 몸체부(421)와 접촉 시, 몸체부(421)를 밀어내도록 타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텐션부(424)는 체결홈부(422)에 수용된 몸체부(421)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421)의 테두리가 체결홈부(422)의 내측면 테두리에 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향기 나는 귀걸이
100 : 귀걸이 본체
200 : 수용부
300 ; 고정돌출부
400 : 향수몰딩체
410 : 몰딩파우치
420 ; 체결부
421 : 몸체부
422 : 체결홈부
423 : 보조체결홈부
424 : 텐션부

Claims (3)

  1. 향수 물질을 발산하기 위한 발산체가 구비되어 신체의 귀에 착용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귀의 귓뽈에 착용되는 귀걸이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산체가 부착될 수 있는 수용부;
    상기 귓뽈을 뚫고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에 물딩 결합되며 상기 발산체가 믹스된 향수몰딩체를 포함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수몰딩체는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몰딩파우치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파우치는 멜트잇 파우더를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멜트잇 파우더에 색상파우더를 넣고 저어준 이후, 상기 발산체를 첨가하여 액상물질로 형성시키고, 상기 액상물질을 상기 수용부에 부은 후 건조하여 몰딩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향수몰딩체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몰딩파우치의 일면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타원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보다 소정의 면적으로 작게 형성된 체결홈부;
    상기 체결홈부의 테두리중 원의 중심으로부터 단방향 지름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의 단방향 지름의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된 보조체결홈부; 및
    상기 체결홈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면이 상기 몸체부와 접촉 시, 상기 몸체부를 밀어내도록 타면에 스프링이 결합된 판형상의 텐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홈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나는 귀걸이.
KR2020180001675U 2018-04-16 2018-04-16 향기 나는 귀걸이 KR201900026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75U KR20190002661U (ko) 2018-04-16 2018-04-16 향기 나는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75U KR20190002661U (ko) 2018-04-16 2018-04-16 향기 나는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61U true KR20190002661U (ko) 2019-10-24

Family

ID=6838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75U KR20190002661U (ko) 2018-04-16 2018-04-16 향기 나는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6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46A (ko) 2021-07-13 2023-01-20 송낙문 서방형 방향성 악세사리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49Y1 (ko) 2000-05-12 2000-10-16 유태우 귀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49Y1 (ko) 2000-05-12 2000-10-16 유태우 귀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46A (ko) 2021-07-13 2023-01-20 송낙문 서방형 방향성 악세사리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661U (ko) 향기 나는 귀걸이
KR102535057B1 (ko)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KR200407517Y1 (ko) 착탈식 펜던트를 갖는 장신구
KR200490794Y1 (ko) 안정적으로 향을 발산하는 악세사리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장식구.
TW200420247A (en) Fragrant body ornament decorations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19990038052U (ko) 귀걸이
KR20110008651U (ko) 다기공 발향체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KR200323056Y1 (ko) 향기를 내는 비즈 목걸이
KR200338250Y1 (ko) 향기나는 팔찌
JPH11271689A (ja) 眼鏡部品及び枠
KR200352745Y1 (ko) 향기가 발산되는 금속이 구비된 돌하루방 장신구
JP3129194U (ja) 芳香を発散する装身具,身飾品
KR200199849Y1 (ko) 귀걸이
JP2000139529A (ja) 身廻り装飾具
KR20050032632A (ko) 향기나는 팔찌
JP3108418U (ja) ペンダント
KR20230163223A (ko)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품
JP2001238942A (ja) 身廻品の芳香装置
JP3181615U (ja) 芳香を放つ装飾具
KR200231829Y1 (ko) 기능성 펜던트
JP3108423U (ja) 芳香を発生する身飾具
JPH0847409A (ja) 装飾品
KR200335718Y1 (ko) 교체가능한 액세사리 취부구조
KR200205468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