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46U - 접의자 구조 - Google Patents

접의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46U
KR20190002646U KR2020180001651U KR20180001651U KR20190002646U KR 20190002646 U KR20190002646 U KR 20190002646U KR 2020180001651 U KR2020180001651 U KR 2020180001651U KR 20180001651 U KR20180001651 U KR 20180001651U KR 20190002646 U KR20190002646 U KR 201900026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s
seat
cross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87Y1 (ko
Inventor
엔 치 라이
Original Assignee
쿠 러 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 러 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 러 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80001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8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 두 개의 시트 레버(Seat lever), 두 개의 백(back) 레버, 두 개의 팔걸이, 하나의 연성 쿠션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를 포함하고, 두 개의 크로스 레버를 더 포함하며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고, 수납 후의 부피를 더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의자 구조

Description

접의자 구조{FOLDING CHAIR STRUCTURE}
본 고안은 접의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탈착 후 바인딩(binding) 수납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하는 접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구조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소파 의자, 침대식 의자, 높은 의자, 벤치, 식탁 의자, 접의자 등과 같이 상이한 디자인은 각각 상이한 용도를 구비하며, 상이한 의자는 각각 상이한 장점 및 적용성을 구비하고, 여기서 접의자는 접을 수 있어 재료 부피를 대폭 감소시키며, 세울 수 있어 일일이 접어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많은 이벤트 행사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접의자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조립하여 참가자에게 편안하고 편리한 좌석을 제공하며, 이벤트가 종료되면 신속하게 접을 수 있어, 집중적으로 수납 공간에 안착시키기 용이하고, 이 외에, 여행을 자주 다니는 사람들은 접의자의 조립이 용이하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접의자를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접의자의 쿠션 및 등받이는 고체식 디자인을 적용하므로, 시트를 접어 수납 부피를 감소시키더라도, 쿠션 및 등받이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어, 여전히 상당한 폭 및 길이를 구비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자는 다년간의 관련 산업에 종사한 개발 경험에 의해, 기존의 접의자가 직면한 문제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고, 해결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장기간의 연구 및 발전을 거친 결과,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고, 수납 후의 부피를 더 축소시킬 수 있는 접의자 구조를 성공적으로 고안해냈으며, 상기 접의자 구조는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접의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하는 접의자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 두 개의 시트 레버(Seat lever), 두 개의 백(back) 레버, 두 개의 팔걸이, 하나의 연성 쿠션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쿠션은 두 개의 시트 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시트 레버의 외측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하나의 받침 다리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백 레버의 하방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시트 레버 후방의 일단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연성 등받이는 두 개의 백 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의 선단 및 중간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받침 다리의 최상단 위치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걸이의 후단 위치는 백 레버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레버의 양단은 각각 하나의 제1 위치 결정 레버 및 제2 위치 결정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 결정 레버는 좁은 직경부 및 끝단에 형성된 넓은 직경부를 구비하고, 그 중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그 중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1 결합부로 정의되며, 다른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다른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2 결합부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샤프트(shaft) 단면에는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설치되는 횡단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는 횡단 홈의 일측에 설치되는 금속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탄성편에 대응되는 샤프트 단면의 일측은 경사 형태이며, 상기 금속 탄성편은 횡단 홈에 대응되고,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 고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샤프트는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을 가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은 인접한 연통 형태이며, 상기 제1 천공의 구경은 제2 위치 결정 레버의 넓은 직경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천공은 제2 위치 결정 레버의 좁은 직경부 및 넓은 직경부에 각각 대응되는 좁은 구경부 및 넓은 구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천공과 제2 천공의 연통 부위는 좁은 직경부가 통과되는 공간만 보류하고;
이로써, 양손으로 연성 쿠션 및 연성 등받이를 마주 접거나 펼칠 경우, 받침 다리, 시트 레버, 백 레버 및 팔걸이도 동기적으로 연동되어 접히거나 펼쳐진 형태로 될 수 있고, 의자 본체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크로스 레버의 제2 위치 결정 레버를 제1 천공에 관통시키고, 넓은 직경부가 제1 천공을 우회한 후 제2 천공의 넓은 구경부에 반대로 끼워지며, 계속하여 제1 위치 결정 레버를 횡단 홈에 밀어 넣으면, 금속 탄성편의 경사면이 금속 탄성편을 밀게 되어,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위치 고정홀에 대응되면 금속 탄성편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의자 구조는 두 개의 보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받침 다리의 내측면에는 각각 삽입이 형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받침 다리는 각각 시트의 전후 양단에 대응되어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의 양단은 각각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각각 연결 레버가 피봇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은 걸림턱에 끼움 설치된다.
상술한 고안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응용은 매우 광범위하고,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며, 수납 후의 부피를 더 축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접의자는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당한 실용성과 진보성을 구비한 창작으로, 산업계에서 널리 보급되고, 업체에 공개될 가치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가 펼쳐진 상태의 입체 외관 모식도이다.
도2 내지 도4는 본 고안의 제2 위치 결정 레버가 제2 결합부에 조립된 동작 모식도이다.
도5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제2 위치 결정 레버가 제2 결합부에 조립된 단면 모식도이다.
도7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제1 결합부에 조립된 동작 모식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보강 레버와 시트 레버의 분해 상태의 부분 입체 모식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접힌 상태의 실시 모식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접히고 감기는 방식으로 수납된 실시 모식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실시 모식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접히고 감기는 방식으로 수납된 실시 모식도이다.
본 고안은 접의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하는 접의자에 관한 것이며, 도1 내지 도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10), 두 개의 시트 레버(Seat lever)(11), 두 개의 백(back) 레버(12), 두 개의 팔걸이(13), 하나의 연성 쿠션(20)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쿠션(20)은 두 개의 시트 레버(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시트 레버(11)의 외측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하나의 받침 다리(10)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백 레버(12)의 하방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시트 레버(11) 후방의 일단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연성 등받이(20)는 두 개의 백 레버(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13)의 선단 및 중간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받침 다리(10)의 최상단 위치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걸이(13)의 후단 위치는 백 레버(12)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레버(40)의 양단은 각각 하나의 제1 위치 결정 레버(41) 및 제2 위치 결정 레버(4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 결정 레버는 좁은 직경부(421) 및 끝단에 형성된 넓은 직경부(422)를 구비하고, 그 중 하나의 시트 레버(11)의 선단 위치 및 그 중 하나의 백 레버(12)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1 결합부(50)로 정의되며, 다른 하나의 시트 레버(11)의 선단 위치 및 다른 하나의 백 레버(12)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2 결합부(60)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결합부(50)의 샤프트(shaft) 단면에는 제1 위치 결정 레버(41)가 설치되는 횡단 홈(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50)는 횡단 홈(51)의 일측에 설치되는 금속 탄성편(52)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탄성편(52)에 대응되는 샤프트 단면의 일측은 경사 형태이며, 상기 금속 탄성편(52)은 횡단 홈(51)에 대응되고, 제1 위치 결정 레버(41)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 고정홀(521)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60)의 샤프트는 제1 천공(61) 및 제2 천공(62)을 가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천공(61) 및 제2 천공(62)은 인접한 연통 형태이며, 상기 제1 천공(61)의 구경은 제2 위치 결정 레버(42)의 넓은 직경부(422)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천공(62)은 제2 위치 결정 레버(42)의 좁은 직경부(421) 및 넓은 직경부(422)에 각각 대응되는 좁은 구경부(621) 및 넓은 구경부(62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천공(61)과 제2 천공(62)의 연통 부위는 좁은 직경부(621)가 통과되는 공간만 보류하고;
이로써, 양손으로 연성 쿠션(20) 및 연성 등받이(30)를 마주 접거나 펼칠 경우, 받침 다리(10), 시트 레버(11), 백 레버(12) 및 팔걸이(13)도 동기적으로 연동되어 접히거나 펼쳐진 형태로 될 수 있고(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 상태), 쿠션 및 등받이는 연성 재질로 제조되어, 시트가 바인딩식으로 수납되도록 하며(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의자 본체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크로스 레버(40)의 제2 위치 결정 레버(42)를 제1 천공(61)(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관통시키고, 넓은 직경부(422)가 제1 천공(61)을 우회한 후 제2 천공(62)의 넓은 구경부(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반대로 끼워지며, 계속하여 제1 위치 결정 레버(41)를 횡단 홈(51)에 밀어 넣으면, 금속 탄성편(52)의 경사면이 금속 탄성편(52)을 밀게 되어, 제1 위치 결정 레버(41)가 위치 고정홀(521)에 대응되면 금속 탄성편(5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음).
더 나아가, 상기 접의자 구조는 두 개의 보강 레버(14)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받침 다리(10)의 내측면에는 각각 삽입홀(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받침 다리(10)는 각각 시트의 전후 양단에 대응되어 각각 걸림턱(102)(도9를 참조하면, 삽입홀(101) 및 걸림턱(102)은 모두 시트의 앞 다리 위치로 도시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14)의 양단은 각각 삽입홀(101)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 리브(141)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14)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각각 연결 레버(142)가 피봇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레버(142)의 일단은 걸림턱(102)에 끼움 설치되며; 이로써 연결 레버(142)와 걸림턱(102)의 탈착 가능한 결합을 통해, 보강 레버(14)는 받침 다리(10) 사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시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술한 고안 내용은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제1 실시예이고, 이는 크로스 레버(40)가 완전히 탈착되며,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제2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의 크로스 레버(40)는 접이 수납 가능한 반탈착식 디자인이고, 이와 이전의 실시예의 차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제2 위치 결정 레버(42) 및 제2 결합부(60)를 생략하고, 원래 부위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40)를 시트 레버(11) 및 백 레버(12)에 피봇 설치하는 것으로 대체되며; 이의 완전한 기술특징은,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10), 두 개의 시트 레버(11), 두 개의 백 레버(12), 두 개의 팔걸이(13), 하나의 연성 쿠션(20)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쿠션(20)은 두 개의 시트 레버(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시트 레버(11)의 외측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하나의 받침 다리(10)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백 레버(12)의 하방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시트 레버(11)의 후방의 일단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연성 등받이(20)는 두 개의 백 레버(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13)의 선단 및 중간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받침 다리(10)의 최상단 위치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걸이(13)의 후단 위치는 백 레버(12)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레버(40)의 일단은 제1 위치 결정 레버(41)를 구비하며, 그 중 하나의 시트 레버(11)의 선단 위치 및 그 중 하나의 백 레버(12)의 상단 위치는 제1 결합부(50)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의 시트 레버(11)의 선단 위치 및 다른 하나의 백 레버(12)의 상단 위치는 각각 크로스 레버(40)의 타단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50)의 샤프트 단면에는 제1 위치 결정 레버(41)가 설치되는 횡단 홈(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50)는 횡단 홈(51)의 일측에 설치되는 금속 탄성편(52)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탄성편(52)에 대응되는 샤프트 단면의 일측은 경사 형태이고, 상기 금속 탄성편(52)은 횡단 홈(51)에 대응되며, 제1 위치 결정 레버(41)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 고정홀(521)을 구비하고;
도12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제2 실시예의 수납 상태 실시 모식도이고, 제1 실시예의 크로스 레버(40)가 완전히 탈착된 경우와 비교하면, 제2 실시예의 크로스 레버(40)는 접힌 형태로 수납된다.
상술한 고안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본 고안의 접의자 구조의 응용은 매우 광범위하고, 탈착 후 바인딩 수납이 용이하며, 수납 후의 부피를 더 축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접의자는 사용자가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신속한 조립, 탈착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서술은 단지 본 고안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대하여 어떠한 형식으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므로, 동일한 고안 사상 하에서 진행한 본 고안 고안에 관한 어떠한 보정 또는 변경은 구현 가능한 다른 실시형태이고 동일한 효과를 구비하며, 모두 여전히 본 고안 고안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종합해보면, 본 고안 고안의 접의자 구조는, 구조 디자인 및 사용 실용성 면에서, 실용성에 부합되고, 개시된 구조 고안도 전례없는 창의적 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신규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또한 본 고안 고안은 종래의 구조보다 더 향상된 효과를 구비하므로, 진보성을 구비하고, 이는 특허법의 고안 특허 출원에 관한 규정에 완전히 부합되므로, 법에 따라 특허청에 특허 출원을 제출하며, 빠른 시일 내에 본안의 특허권을 수여하도록 간청한다.
10 받침 다리 101 삽입홀
102 걸림턱 11 시트 레버
12 백 레버 13 팔걸이
14 보강 레버 141 블록 리브
142 연결 레버 20 연성 쿠션
30 연성 등받이 40 크로스 레버
41 제 1 결정 레버 42 제 2 결정 레버
421 좁은 직경부 422 넓은 직경부
50 제 1 결합부 51 횡단 홈
52 금속 탄성편 521 위치 고정홀
60 제 2 결합부 61 제 1 천공
62 제 2 천공 621 좁은 구경부
622 넓은 구경부

Claims (3)

  1. 접의자 구조로서,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 두 개의 시트 레버(Seat lever), 두 개의 백(back) 레버, 두 개의 팔걸이, 하나의 연성 쿠션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를 포함하는 접의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 쿠션은 두 개의 시트 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시트 레버의 외측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하나의 받침 다리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백 레버의 하방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시트 레버 후방의 일단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연성 등받이는 두 개의 백 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의 선단 및 중간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받침 다리의 최상단 위치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걸이의 후단 위치는 백 레버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레버의 양단은 각각 제1 위치 결정 레버 및 제2 위치 결정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 결정 레버는 좁은 직경부 및 끝단에 형성된 넓은 직경부를 구비하고, 그 중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그 중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1 결합부로 정의되며, 다른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다른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각각 제2 결합부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샤프트(shaft) 단면에는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설치되는 횡단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는 횡단 홈의 일측에 설치되는 금속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탄성편에 대응되는 샤프트 단면의 일측은 경사 형태이며, 상기 금속 탄성편은 횡단 홈에 대응되고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 고정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부의 샤프트는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을 가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천공 및 제2 천공은 인접한 연통 형태이며, 상기 제1 천공의 구경은 제2 위치 결정 레버의 넓은 직경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천공은 제2 위치 결정 레버의 좁은 직경부 및 넓은 직경부에 각각 대응되는 좁은 구경부 및 넓은 구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천공과 제2 천공의 연통 부위는 좁은 직경부가 통과되는 공간만 보류하는 접의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보강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받침 다리의 내측면에는 각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네 개의 받침 다리는 각각 시트의 전후 양단에 대응되어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의 양단은 각각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볼록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보강 레버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각각 연결 레버가 피봇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 레버의 일단은 걸림턱에 끼움 설치되는 접의자 구조.
  3. 접의자 구조로서, 의자 본체는 네 개의 받침 다리, 두 개의 시트 레버, 두 개의 백 레버, 두 개의 팔걸이, 하나의 연성 쿠션 및 하나의 연성 등받이를 포함하는 접의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성 쿠션은 두 개의 시트 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시트 레버의 외측의 양단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하나의 받침 다리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백 레버의 하방의 일단은 각각 하나의 시트 레버의 후방의 일단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연성 등받이는 두 개의 백 레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팔걸이의 선단 및 중간에 근접하는 위치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받침 다리의 최상단 위치에 피봇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팔걸이의 후단 위치는 백 레버의 중간 위치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의자 본체는 두 개의 크로스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레버의 일단은 제1 위치 결정 레버를 구비하며, 그 중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그 중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제1 결합부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의 시트 레버의 선단 위치 및 다른 하나의 백 레버의 상단 위치는 각각 크로스 레버의 타단에 피봇 설치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샤프트 단면에는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설치되는 횡단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부는 횡단 홈의 일측에 설치되는 금속 탄성편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탄성편에 대응되는 샤프트 단면의 일측은 경사 형태이고, 상기 금속 탄성편은 횡단 홈에 대응되며, 제1 위치 결정 레버가 걸림 고정되는 위치 고정홀을 구비하는 접의자 구조.

KR2020180001651U 2018-04-13 2018-04-13 접의자 구조 KR200490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51U KR200490587Y1 (ko) 2018-04-13 2018-04-13 접의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51U KR200490587Y1 (ko) 2018-04-13 2018-04-13 접의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46U true KR20190002646U (ko) 2019-10-23
KR200490587Y1 KR200490587Y1 (ko) 2019-12-03

Family

ID=6838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51U KR200490587Y1 (ko) 2018-04-13 2018-04-13 접의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53A (ko) 2020-12-21 2022-06-28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의자
EP4248802A1 (en) * 2022-03-24 2023-09-27 Cixi Mujixiong Outdoor Products Co.,Ltd. Folding chair and fold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054A (en) * 1995-02-23 1996-03-12 Tomlinson; Richard S. Adjustable knock down chair
US6217111B1 (en) * 2000-04-04 2001-04-17 Shin Yeh Enterprise Co., Ltd. Foldable chair assembly
CN201452326U (zh) * 2009-04-18 2010-05-12 陈庆顺 一种折叠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054A (en) * 1995-02-23 1996-03-12 Tomlinson; Richard S. Adjustable knock down chair
US6217111B1 (en) * 2000-04-04 2001-04-17 Shin Yeh Enterprise Co., Ltd. Foldable chair assembly
CN201452326U (zh) * 2009-04-18 2010-05-12 陈庆顺 一种折叠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553A (ko) 2020-12-21 2022-06-28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접이식 의자
EP4248802A1 (en) * 2022-03-24 2023-09-27 Cixi Mujixiong Outdoor Products Co.,Ltd. Folding chair and fol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87Y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114B1 (en) Ready to assemble sectional sofa and method
US20140021749A1 (en) Folding chair
US20150201759A1 (en) Chair
KR200490587Y1 (ko) 접의자 구조
KR101727880B1 (ko) 접이식 의자
JP3690310B2 (ja) 折り畳み椅子
JP2017507767A (ja) 簡易椅子のフレーム構造体
US2687768A (en) Plywood chair structure
US8197003B2 (en) Convertible seating device
KR200427977Y1 (ko) 조립식 의자
CN215226117U (zh) 折叠椅
TWM572692U (zh) Folding chair structure
JP2007125351A (ja) 組立椅子
JP6595047B2 (ja) 椅子
US20050263045A1 (en) Folding table
KR200435610Y1 (ko) 의자
KR200449058Y1 (ko) 의자의 팔걸이
US2695826A (en) Folding table with paired legs
KR20140049242A (ko) 등받이 틸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의자
KR102466799B1 (ko) 접이식 의자
KR101727814B1 (ko) 접이식 의자
TWM552772U (zh) 摺疊椅
JP3129207U (ja) 連結スツール
KR100772813B1 (ko) 의자
TWM570067U (zh) Retractable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