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97U -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 Google Patents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97U
KR20190002597U KR2020180001573U KR20180001573U KR20190002597U KR 20190002597 U KR20190002597 U KR 20190002597U KR 2020180001573 U KR2020180001573 U KR 2020180001573U KR 20180001573 U KR20180001573 U KR 20180001573U KR 20190002597 U KR20190002597 U KR 201900025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ipe
hot water
distributor
branch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열
Original Assignee
김용
윤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윤종열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2020180001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97U/en
Publication of KR20190002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97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24D3/1075Built up from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5Water supply lines as such, e.g. showe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7Casings or frame structures for hydraul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 형상의 분배기함을 이용하여 수평형 분기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온수 분배기 연결부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씽크대 하부에서,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의 분배기함; 상기 분배기함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관; 상기 분배기함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메인관에 결합되되,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배기함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배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ink sink by installing a horizontal branch pipe using a box-shaped distributor box, and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connection part. A box-type distributor box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ink base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 main tube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or box and capable of moving a fluid; And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inside the distributor box,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bottom, and allowing a plurality of fluids to extend through the distributor box to move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수평형 온수 분배기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본 고안은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형상의 분배기함을 이용하여 수평형 분기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온수 분배기 연결부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horizontal branch pipe using a box-shaped distributor box,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ink sink, and to maintain the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connection portion. It relates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that can be facilitated.

일반적으로 온수 분배기는 각 방 및 거실 등과 같이 난방을 필요로 하는 곳에 난방수를 공급하거나, 욕실, 세탁실, 주방과 같이 냉, 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 냉, 온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In general, a hot water distributor is used to supply heating water to a place requiring heating, such as each room and living room, or to supply cold and hot water to a place requiring cold and hot water, such as a bathroom, a laundry room, and a kitchen.

도 1을 참조하면, 주택,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하거나 증축하는 경우, 종래의 온수 분배기(30)는 씽크대(10)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바닥(20)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에 온수 분배기(30)가 설치되고, 온수 분배기(30)의 메인관(31)에 냉, 온수가 공급되면, 메인관(31)에서부터 분기되는 분기배관(32)을 통해 냉, 온수를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하였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building or expanding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 house or an apartment,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30 extends to the bottom 20 while being installed under the sink 10. Specifically, when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is installed under the sink 11 of the sink 10, and cold and hot water are supplied to the main pipe 31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is branched from the main pipe 31. The branch pipe (32) was supplied where cold and hot water is needed.

그러나 종래의 온수 분배기(3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온수 분배기(30)는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에 노출되면서 설치되며, 온수 분배기(30)의 메인관(31)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배관(32)은 모두 수직형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30 has the following problems.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30 is installed while being exposed under the sink 11 of the sink 10, and the branch pipe 32 branched from the main pipe 31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is provided. All are installed while extending vertically.

하지만, 이와 같이 분기배관(32)이 수직형으로 연장되면서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에 설치되는 온수 분배기(30)에 의해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 공간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branch pipe 32 extends vertically as described above, and occupies a lot of space below the sink 11 of the sink 10 by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installed below the sink 11 of the sink 10.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space under the sink 11 of the sink 10.

또한, 온수 분배기(30)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는 수직형으로 연장되는 분기배관(32)을 따라 방바닥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온수 분배기(30)의 누수를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방바닥으로 스며드는 누수에 의해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because the water leaks into the floor along the branch pipe 32 extending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leak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30.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damage caused by leakage into the floor.

이와 함께, 누수가 발생하여 메인관(31)과 분기배관(32) 사이의 배관을 해체할 때, 수직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분기배관(32)에 의해 메인관(31)과 분기배관(32) 사이의 배관을 해체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leakage occurs and the pipe between the main pipe 31 and the branch pipe 32 is dismantled, the main pipe 31 and the branch pipe 32 are formed by the branch pipe 32 extending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ismantle the pipe between.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형상의 분배기함을 이용하여 수평형 분기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온수 분배기 연결부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horizontal branch pipe using a box-shaped distributor box,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ink sink, It relates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that can facilitate maintenan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씽크대 하부에서,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의 분배기함; 상기 분배기함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관; 상기 분배기함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메인관에 결합되되,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배기함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배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sink, the bottom of the box-type distributor box empty; A main tube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or box and capable of moving a fluid; And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inside the distributor box,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bottom, and allowing a plurality of fluids to extend through the distributor box to move to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메인관은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기배관은 구부러져 있는 엘보우를 통해 상기 메인관에 결합되며, 상기 분기배관과 상기 메인관은, 상기 엘보우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pipe of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ottom, the branch pipe is coupled to the main pipe through the elbow bent, the branch pipe and the main The tube is preferably joined while forming a step by the elb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엘보우는, 25도 또는 45도로 구부러지거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bow of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t is preferable to bend at 25 degrees or 45 degrees, or bent at a right ang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메인관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메인관,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메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유입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유입 메인관에 결합되는 유입 분기배관과, 상기 공급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공급 메인관에 결합되는 공급 분기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엘보우는, 상기 유입 메인관과 상기 유입 분기배관을 결합시키는 유입 엘보우와, 상기 공급 메인관과 상기 공급 분기배관을 결합시키는 공급 엘보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pipe of the horizontal type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let main pipe, the fluid is supplied comprises a supply main pipe is supplied, the branch pipe, the inlet main pipe And an inlet branch pipe coupled to the inlet main pipe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main pipe, and a feed branch pipe coupled to the inlet main pipe whil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main pipe. It is preferred to include an inlet elbow for coupling the pipe, and a supply elbow for coupling the supply main pipe and the supply branch pi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공급 엘보우 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의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분배기함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ly elbow or the supply branch pipe of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uid supply of the supply branch pipe, the valv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It is preferably arranged to look a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분배기함에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tributor box of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eferably further included a leak sensor that can detect the leakage of flui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평형 온수 분배기의 상기 분배기함은 상면이 열려있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씽크대의 하부 바닥판에는 개폐 가능한 점검구가 마련되며, 상기 점검구는 상기 분배기함 상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tributor box of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made of a box shape,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bottom bottom plate of the sink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heck opening, the inspection opening i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It is preferably arranged on top of.

본 고안은 박스 형상의 분배기함을 바닥에 설치함에 따라 씽크대 개수대 하부의 수납공간을 차지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씽크대 개수대 하부의 수납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ccupy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sink by installing a box-shaped distributor box on the floor,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ink sink.

이와 함께, 본 고안은 분배기함에 수평형으로 분기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연결부 누수 시 배관 및 수리가 용이하며, 연결부 누수시 분배기함에 누수된 물이 담겨 누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배기함에 누수 센서를 마련함에 따라 누수 여부 파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pipe and repair when the connection is leaked by installing the branch pipe horizontally in the distributor box, the water leaked in the distributor box when the connection is leaked to prevent the leakage damage, the leak sensor in the distributor As it is prepared, it is easy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leak.

도 1은 종래의 온수 분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가 씽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가 씽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기함에 메인관과 수평형의 분기배관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기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기함에 메인관과 수평형의 분기배관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배기함에 메인관과 수평형의 분기배관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low the sink.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low the sink.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of the horizontal type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main pipe and the horizontal branch pipe is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main pipe and the horizontal branch pipes are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박스 형상의 분배기함을 이용하여 수평형 분기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온수 분배기 연결부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by installing a horizontal branch pipe using a box-shaped distributor box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ink sink, and can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connection part. To a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씽크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분배기함(110), 메인관(120), 분기배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2 and 3,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in the lower sink, including the distributor box 110, the main pipe 120, branch pipe 130 It can be don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함(110)은 씽크대(10) 하부에서, 바닥(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20 under the sink 10,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empty inside.

상기 분배기함(110)은 후술할 상기 메인관(120), 상기 분기배관(130)이 설치될 수 있는 곳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함(110)을 관통하면서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 상기 메인관(120), 상기 분기배관(1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분배기함(110)에서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이 설치된 것을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The distributor box 110 is a place where the main pipe 120, the branch pipe 13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installed,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distributor while penetrating the distributor box 110 The main pipe 120, the branch pipe 130 may be installed in the box 110.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box 110.)

구체적으로, 상기 분배기함(110)은 씽크대 바닥판(12)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부가 바닥(20)에 매립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분배기함(110)에 설치되는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을 관통하면서 바닥(2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ile the distributor box 11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bottom plate 12, a part of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embedded in the bottom 20, installed in the distributor box 110 The branch pipe 130 may be extended into the bottom 20 while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관(120)은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메인관(120)은 냉, 온수, 난방수 등 유체가 모일 수 있는 관으로, 상기 메인관(120)은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서 바닥(20)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4 and 5, the main pipe 120 is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or box 110 and is made of a pipe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The main tube 120 is a tube in which fluids such as cold, hot water, and heating water may be collected. The main tube 120 may be installed whil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ottom 20 inside the distributor box 110. It can be.

상기 메인관(12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 및 타측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관(12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될 수 있는 데,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메인관(120)의 외주면이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과 타측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과 타측이 일체로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메인관(120)의 외주면에는 접촉, 결합면적을 넓히기 위한 부재가 사용되면서, 상기 메인관(120)이 상기 분배기함(11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main tube 120 is integrally coupled wi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and ma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he main tube 120 may be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tube 120 i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as shown in Figs. It can be combined integrally with. (At this time,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pipe 120 and the distributor box 110 is integrally coupl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pipe 120 is used, while the member is used to widen the contact area, the The main pipe 12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distributor box 110.)

상기 메인관(120)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메인관(121)과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 메인관(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 메인관(121)은 후술할 상기 유입 분기배관(13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관이며, 상기 공급 메인관(122)은 후술할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관이 된다. The main pipe 120 may include an inlet main pipe 121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and a supply main pipe 122 capable of supplying the fluid. The inlet main pipe 121 is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branch pipe 131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ly main pipe 122 is a pipe that can supply fluid to the supply branch pipe 132 to be described later do.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120)과 연통되면서 상기 메인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메인관(120)에서 분기되는 복수 개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으로,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4 and 5, the branch pipe 130 is coupled to the main pipe 12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120 inside the distributor box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ottom. It is an extension. The branch pipe 130 is a pip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fluids branched from the main pipe 120 may move, and the branch pipe 130 may extend through the distributor box 110.

상기 분기배관(130)은 종래의 수직형 분기배관(32)과 다르게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분기배관(130)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바닥으로 스며들지 않고, 상기 분배기함(110)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branch pipe 130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oor, unlike the conventional vertical branch pipe (32). As the branch pipe 13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occurring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does not penetrate to the bottom, and into the distributor box 110. You can fall.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유입 메인관(121)과 연통되면서 상기 유입 메인관(12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유입 분기배관(131)과 상기 공급 메인관(122)과 연통되면서 상기 공급 메인관(122)에 결합되는 공급 분기배관(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nch pipe 1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main pipe 121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inlet branch pipe 131 and the supply main pipe 122 coupled to the inlet main pipe 121, the supply main pipe It may include a feed branch pipe 132 is coupled to the 122.

즉, 복수 개의 상기 유입 분기배관(131)은 상기 유입 메인관(121)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 메인관(121)에 유체를 공급하고, 복수 개의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은 상기 공급 메인관(122)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 메인관(122)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plurality of inflow branch pipes 131 are connected to the inflow main pipe 121 to supply fluid to the inflow main pipe 121, and the plurality of supply branch pipes 132 are the supply main pipe. Is connected to the 122,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fluid from the supply main pipe (122).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이 접하는 부분은 실링이 될 수 있다.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may extend to the outside while passing through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wherei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and the main pipe ( The contact portion 120 and the branch pipe 130 may be a sealing.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이 상기 분배기함(110)을 관통할 때, 상기 메인관(120) 및 상기 분기배관(130)과 상기 분배기함(1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에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분배기함(110)과 상기 메인관(120) 및 상기 분기배관(130)이 접하는 부분은 실링이 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passes through the distributor box 110, between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and the distributor box 110.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space that may occur, and a portion where the distributor box 110 and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a sealing through the sealing member.

이와 같이 상기 분배기함(110)과 상기 메인관(120) 및 상기 분기배관(130)이 접하는 부분이 실링이 되면,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분배기함(110) 외부로 누수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누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distributor box 110,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portion, when the leak occurs to prevent the leak out of the distributor box 110. It becomes possible. This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due to leakage.

또한, 상기 분배기함(110)은 바닥(20)에 설치될 수 있는데, 바닥(20)에 상기 분배기함(110)을 설치할 때 바닥(20)에 굳지 않은 시멘트 몰탈 등이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배기함(110)과 상기 메인관(120) 및 상기 분기배관(130)이 접하는 부분을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실링을 하면, 상기 분배기함(110)을 바닥(20)에 설치할 때 굳지 않은 시멘트 몰탈 등이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20, the cement mortar not hardened to the bottom 20 when the distributor box 1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20, the distributor box 110 There is a risk of getting into it. However, if the distributor box and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through the sealing member, when the distributor box 110 is installed on the floor 20 is not hardened Cement mortar and the like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istributor box (110).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을 연결, 결합시키는 엘보우(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엘보우(140)는 일측에 대하여 타측이 구부러져 있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으로, 상기 엘보우(140)의 일측은 상기 메인관(120)에, 상기 엘보우(140)의 타측은 상기 분기배관(130)에 연결, 결합된다.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lbow 140 for connecting and coupling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Referring to FIG. 4, the elbow 140 is a tube in which a fluid having the other side bent with respect to one side is movable, and one side of the elbow 140 is in the main tube 120 and the other of the elbow 140. The side is connected and coupled to the branch pipe 130.

상기 엘보우(140)를 통해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을 연결, 결합하면, 단차를 형성시키면서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을 연결,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관(120)이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기배관(130)이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엘보우(140)를 통해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이 연결, 결합되면,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은 높이차를 형성하면서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관(120)이 상기 분기배관(13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단차(높이차)를 형성한다.When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are connected and coupled through the elbow 140,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can be connected and coupled while forming a step. do.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the main pipe 12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oor, and the branch pipe 13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oor, and the main through the elbow 140. When the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are connected and coupled,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may be connected and coupled while forming a height difference. At this time, the main pipe 120 is located higher than the branch pipe 130 to form a step (height difference).

상기 엘보우(140)는 25도 또는 45도로 구부러지거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엘보우(140)가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은, 상기 엘보우(140) 일측과 상기 엘보우(140) 타측이 직각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진 것을 나타낸다. The elbow 140 is preferably bent at 25 degrees or 45 degrees or bent at a right angle. Here, the elbow 140 is bent at a right angle, indicating that one side of the elbow 140 and the other side of the elbow 140 are bent while forming a right angle.

또한, 상기 엘보우(140)가 구부러지는 각도는, 상기 엘보우(140)의 타측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기 엘보우(140)의 타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과 교차하는 수평선과, 상기 엘보우(14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선의 각도(예각)를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angle at which the elbow 140 is bent is a horizontal line intersecting with a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ther side of the elbow 140 when the other side of the elbow 140 is set vertically, and the elbow 140 of the elbow 140. The angle (acute angle) of the line extending from one side is shown.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은 유체의 흐름을 위해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엘보우(140)의 구부러지는 각도는 25도 또는 45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의 단차를 높게 형성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tep for the flow of the fluid, the bending angle of the elbow 140 is made of 25 degrees or 45 degrees the main pipe 120 And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being able to form a high step of the branch pipe 130.

상기 엘보우(140)는 상기 유입 메인관(121)과 상기 유입 분기배관(131)을 결합시키는 유입 엘보우(141)와 상기 공급 메인관(122)과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을 결합시키는 공급 엘보우(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입 메인관(121)과 상기 유입 분기배관(131)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상기 유입 엘보우(141)가 되며, 상기 공급 메인관(122)과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을 연결시키는 것이 상기 공급 엘보우(142)가 된다. The elbow 140 is an inlet elbow 141 for coupling the inlet main pipe 121 and the inlet branch pipe 131 and a supply elbow for coupling the supply main pipe 122 and the supply branch pipe 132. And 142. That is, the inlet elbow 141 is connected between the inlet main pipe 121 and the inlet branch pipe 131 to connect the supply main pipe 122 and the supply branch pipe 132. The supply elbow 14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 엘보우(142) 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의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밸브(150)는 상기 공급 메인관(122)에서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밸브(150)를 통해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열어줄 수 있게 된다. 6 and 7, the supply elbow 142 or the supply branch pipe 132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150 for controlling the fluid supply of the supply branch pipe 132. The valve 150 is to control the fluid supplied from the supply main pipe 122 to the supply branch pipe 132, it is possible to block or open the supply of fluid through the valve 150. .

상기 밸브(150)는 밸브소켓(151)과 조작장치(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밸브소켓(151)이 상기 공급 엘보우(142) 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에 결합되며, 상기 밸브소켓(151) 상부에 상기 밸브(150)를 열고 닫는 것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장치(15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valve 150 may include a valve socket 151 and a manipulator 152. The valve socket 151 is coupled to the supply elbow 142 or the supply branch pipe 132, the operation device 152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50 on the valve socket 151 top ) May be provided.

상기 밸브(150)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분배기함(11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기함(110)은 바닥(20)에 설치되면서 상면이 열려있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밸브(150)는 이와 같이 열려있는 상기 분배기함(11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alve 150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bottom 20, and the valve 150 may be install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110 opened in this way. Do.

구체적으로는 상기 밸브(150)의 상기 조작장치(152)가 상기 분배기함(11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장치(152)를 통해 상기 밸브(15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조작장치(152)를 상기 분배기함(110)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설치해야 사용자가 상기 조작장치(152)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device 152 of the valve 150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he user can open or close the valve 150 through the operation device 152, and the user must install the operation device 152 to 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110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device 152 can be easily access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바닥(2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닥(20)은 온돌마루(21), 온돌 파이프가 매장되어 있는 시멘트 몰탈(22), 경량기포콘크리트(23), 흡음제(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분기배관(13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을 관통하면서 바닥(20)의 시멘트 몰탈(22)에 매장되어 있는 온돌파이프와 연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ranch pipe 130 may extend to the bottom 20 through one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he bottom 20 may include an ondol floor 21, a cement mortar 22 in which an ondol pipe is buried, a lightweight foam concrete 23, and a sound absorbing agent 24. The branch pipe 130 may include the distributor. While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box 11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ndol pipe buried in the cement mortar 22 of the bottom (20).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 분기배관(131)과 상기 공급 분기배관(132)이 시멘트 몰탈(22)의 온돌 파이프와 연통되어, 냉, 온수나 난방수를 필요한 지점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inflow branch pipe 131 and the supply branch pipe 132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ondol pipe of the cement mortar 22, it is possible to supply cold, hot water or heating water to the required point.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함(110)에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센서(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누수센서(112)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분기배관(130)의 연결부위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tributor box 110 may further include a leak sensor 112 that may detect a leak of fluid. The leak sensor 112 may detect a leak of fluid, and may be provided below a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pipe 120 and the branch pipe 130.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누수센서(112)는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엘보우(140)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분기배관(130)과 상기 엘보우(140)가 연결되는 지점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eak sensor 112 may be provided below the point where the main pipe 120 and the elbow 140 is connected and the branch pipe 130 and the point where the elbow 140 is connected. have.

종래에는 상기 분기배관(130)이 수직형으로 연장됨에 따라, 누수가 발생시 상기 분기배관(130)을 따라 바닥(20)에 누수가 스며들어 누수 여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수평형으로 상기 분기배관(130)을 연장함에 따라, 누수가 발생시 상기 분배기함(110)에 모일 수 있게 되고, 상기 분배기함(110)에서 누수가 모이는 지점에 상기 누수센서(112)를 마련함에 따라, 사용자가 누수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related art, as the branch pipe 130 extends vertically, when the leak occur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leaks into the bottom 20 along the branch pipe 130 and leaks. However,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ranch pipe 130 extends horizontally, when the leakage occurs can be collected in the distributor box 110, in the distributor box 110 By providing the leak sensor 112 at the point where the leak is coll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leak.

상기 누수센서(112)와 연동되며, 상기 누수센서(112)에 감지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알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누수센서(112)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릴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알림부를 통해 누수를 인식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leak sensor 112, a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leak sensor 112 may be further included. When the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sensor 112, the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the user to recognize the leak. If the user can recognize the leak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various devices may be used.

가령, 상기 알림부는 상기 누수센서(112)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소리가 발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누수센서(112)에서 누수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빛을 방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사용자가 상기 알림부의 신호(소리 또는 빛과 같이 상기 알림부에서 방출하는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씽크대(10)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 device that generates sound when a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sensor 112. In addition, when the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sensor 112,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 device for emitting ligh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If the user can recognize the signal (signal emitted from the notification unit, such as sound or light) of the notification unit, it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locations, preferably installed outside the sink 10 desirabl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함(110)은 공간을 나눌 수 있는 격벽(11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111)을 통해 나누어진 공간 중 일부에는 상기 메인관(120)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관(120)의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1)의 높이는 박스 형상의 상기 분배기함(111)의 둘레 높이 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격벽(111) 상부에 상기 차단밸브의 일부를 올려 두면서, 상기 격벽(111)을 통해 상기 차단밸브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11)은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차단밸브의 지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격벽(111)을 생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111 capable of dividing a space, and a part of the space divid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ipe 120. A shutoff valve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fluid supply of the main pipe 120.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11 may be mad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istribution box 111 of the box shape, while placing a part of the blocking valve on the partition wall 111,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1 The shutoff valve may be supported. The partition wall 111 may be used to support the main pipe 120 and the shutoff valve, and may be used by omitting the partition wall 111 as necessary.

상기 메인관(120)은 상기 분배기함(110)의 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메인관(12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메인관(120)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120)과 상기 배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The main pipe 120 penetrates one side of the distributor box 110 and may be connected to a pipe to supply fluid to the main pipe 120 or to supply fluid from the main pipe 120. A shutoff val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pipe 120 and the pipe in the distributor box 110.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유입 메인관(121)과 상기 유입 메인관(121)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입배관(125) 사이에 마련되는 유입 차단밸브(123)와, 상기 공급 메인관(122)과 상기 공급 메인관(122)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공급배관(126) 사이에 마련되는 공급 차단밸브(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hutoff valve is an inlet shutoff valve 123 provided between the inlet main pipe 121 and the inlet pipe 125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inlet main pipe 121, and the supply main pipe 122. ) And a supply shutoff valve 124 provided between the supply pipe 126 receiving the fluid from the supply main pipe 122.

상기 유입 차단밸브(123)는 상기 유입 메인관(121)에 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유입 차단밸브(123)를 통해 상기 유입 메인관(121)에 유체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차단밸브(124)는 상기 공급 메인관(122)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공급 차단밸브(124)를 통해 상기 공급 메인관(122)에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inlet shutoff valve 123 may control that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inlet main pipe 121, and may block the fluid supply to the inlet main pipe 121 through the inlet shutoff valve 123. . The supply shutoff valve 124 may control the supply of fluid from the supply main pipe 122, and may block the supply of fluid from the supply main pipe 122 through the supply shutoff valve 124. Can b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씽크대 하부 바닥판(12)에는 점검구(1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160)는 개폐 가능한 것으로, 상기 씽크대(10)에서 상기 씽크대(10) 내부의 상기 개수대(11) 하부에, 상기 씽크대 하부 바닥판(12)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2 and 3, a check hole 160 may be provided in the sink bottom lower plate 12. The inspection opening 160 is openable, and may be provided in the sink base lower bottom plate 12 in the sink base 10 under the sink 11 in the sink base 10.

상기 분배기함(110)은 바닥(20)에 설치되며, 상면이 열려있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점검구(160)는 상기 분배기함(110) 상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씽크대 하부 바닥판(12)에서 상기 점검구(160)를 열면, 상기 분배기함(110)이 바로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상기 점검구(16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The distributor box 11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20 and may have a box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he check hole 160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110. That is, when the check opening 160 is opened on the sink bottom bottom plate 12, the check opening 16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ributor box 110 can be immediately seen.

상기 점검구(160)는 상기 밸브(150)를 조작하거나, 상기 메인관(120), 상기 분기배관(130), 상기 엘보우(140) 등의 배관을 해체 및 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점검구(160)를 통해 사용자는 온수 분배기의 조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The inspection opening 160 may be used when the valve 150 is operated, or when the main pipe 120, the branch piping 130, the elbow 140, and the like are dismantled and repaired. The user 160 may facilitate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penser.

종래에는 개수대(11) 하부에서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직형으로 연장되는 분기배관을 포함하는 온수 분배기에 의해, 온수 분배기의 조작 및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상기 점검구(160)를 열고 온수 분배기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음에 따라, 온수 분배기의 조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Conventionally, the hot water distributor, which occupies a space under the sink 11 and includes a branch pipe extending vertically, has difficulty i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However, as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the check opening 160 and look at the hot water dispenser from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hot water dispenser becomes easy.

상기 점검구(160)는 개폐가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점검구(16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씽크대 하부 바닥판(12)과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점검구(160)가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The check hole 16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various device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check hole 16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e side may be hinged to the sink bottom bottom plate 12, the check hole 160 may be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종래의 온수 분배기는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에서 공간을 차지하면서 설치함에 따라 개수대(11) 하부 공간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씽크대(10) 하부 바닥(20)에 상기 분배기함(110)을 설치하고,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서 수평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분기배관(130)을 마련함에 따라 씽크대(10)의 개수대(11)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1 is limited by installing while occupying a space in the sink 11 below the sink 10. However,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or box 1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bottom 20 of the sink 10, the branch pipe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distributor box 110. By providing the 1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utilize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1 of the sink 10.

또한, 종래의 온수 분배기는 수직형으로 연장되는 분기배관에 의해 누수가 발생시, 누수가 분기배관을 따라 방바닥으로 스며드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누수 발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바닥으로 스며드는 누수에 의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has a problem that when the leak occurs by the branch pipe extending vertically, the water leaks into the floor along the branch pip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leak.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additional damage may occur due to leakage into the floor.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다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상기 분배기함(110) 내부에서 수평형으로 상기 분기배관(130)을 연장함에 따라, 누수가 상기 분배기함(110)에 모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누수가 방바닥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며, 누수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ranch pipe 130 extends horizontally in the distributor box 110, the leakage can be collected in the distributor box 110, This prevents leakage into the floor and has the advantage of easy leak detection.

또한, 상기 분배기함(1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누수센서(112)와 상기 알림부를 통해 누수 발생시 사용자가 누수 발생 여부를 즉시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누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leak sensor 112 and the notification unit provided in the distribution box 110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know whether the leak occurs when the leak occurs, through which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the damage damage .

이와 함께, 종래의 온수 분배기는 수직형으로 연장되는 분기배관에 의해 연결부위의 누수시 배관 해체 및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온수 분배기는 개수대(11) 하부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분기배관이 수직형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온수 분배기의 배관을 해체 및 교체하기 위해 공간이 좁은 개수대(11) 하부로 들어가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tributo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smantle and replace the pip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leaks by a branch pipe extending vertically. Specifically, since the conventional hot water dispenser occupies the space below the sink 11 and the branch pipe is vertically extended, the user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11 in order to dismantle and replace the piping of the hot water distributo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be done.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형 온수 분배기는, 개수대(11)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씽크대 하부 바닥판(12)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점검구(160)를 통해, 상기 분배기함(110)의 상부에서 상기 분배기함(110)을 바라보면서 배관 해체 및 교체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이 용이 해지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horizontal h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1, and through the check hole 160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12 of the sink, the distribution box 110 of the Looking at the distributor box 110 from the top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y to dismantle and replace the pipe work.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분배기함 111...격벽
112...누수센서 120...메인관
121...유입 메인관 122...공급 메인관
123...유입 차단밸브 124...공급 차단밸브
125...유입배관 126...공급배관
130...분기배관 131...유입 분기배관
132...공급 분기배관 140...엘보우
141...유입 엘보우 142...공급 엘보우
150...밸브 151...밸브소켓
152...조절장치 160...점검구
110 Distributor 111 Bulkhead
112 Leakage sensor 120 Main tube
121 Inlet main line 122 Inlet main line
123 ... inlet shutoff valve 124 ... supply shutoff valve
125 Inlet piping 126 Supply piping
130 ... branch piping 131 ... inflow branch piping
132 Supply branch piping 140 Elbow
141 Inlet elbow 142 Supply elbow
150 ... valve 151 ... valve socket
152 ... Regulator 160 ... Checkout

Claims (7)

유체를 분기할 수 있는 온수 분배기에 있어서,
씽크대 하부에서,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의 분배기함;
상기 분배기함의 내부에 마련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메인관;
상기 분배기함 내부에서 상기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메인관에 결합되되,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배기함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분기배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In the hot water distributor that can branch the fluid,
A box-type distributor box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ink stand and having an empty interior;
A main tube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or box and capable of moving a fluid;
And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inside the distributor box,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a bottom, and allowing a plurality of fluids to extend through the distributor box to move outward.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분기배관은 구부러져 있는 엘보우를 통해 상기 메인관에 결합되며,
상기 분기배관과 상기 메인관은, 상기 엘보우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tube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ottom,
The branch pipe is coupled to the main pipe through the bent elbow,
The branch pipe and the main pipe,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form a step by the elbow.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25도 또는 45도로 구부러지거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bow is a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bent at 25 degrees or 45 degrees, or bent at a right ang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 메인관,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 메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유입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유입 메인관에 결합되는 유입 분기배관과, 상기 공급 메인관과 연통되면서 상기 공급 메인관에 결합되는 공급 분기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엘보우는, 상기 유입 메인관과 상기 유입 분기배관을 결합시키는 유입 엘보우와, 상기 공급 메인관과 상기 공급 분기배관을 결합시키는 공급 엘보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ipe is made of an inlet main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and a supply main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s supplied.
The branch pipe, the inlet branch pipe is connected to the inlet main pipe whi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main pipe, the supply main pipe is made to include a supply branch pipe coupled to the supply main pipe,
The elbow, the inlet elbow for coupling the inlet main pipe and the inlet branch pipe, the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ly elbow for coupling the supply main pipe and the supply branch pi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엘보우 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에는, 상기 공급 분기배관의 유체 공급을 제어할 수 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분배기함의 상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ly elbow or the supply branch pipe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uid supply of the supply branch pipe,
The valve is a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face the top of the distributor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함에는 유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ributor box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leak sensor for detecting the leakage of fl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함은 상면이 열려있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씽크대의 하부 바닥판에는 개폐 가능한 점검구가 마련되며,
상기 점검구는 상기 분배기함 상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온수 분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ributor box is formed in a box shape, the upper surface is open, the lower bottom plate of the sink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check opening,
The check opening is a horizontal hot water distribu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or box.
KR2020180001573U 2018-04-09 2018-04-09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KR2019000259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73U KR20190002597U (en) 2018-04-09 2018-04-09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73U KR20190002597U (en) 2018-04-09 2018-04-09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97U true KR20190002597U (en) 2019-10-17

Family

ID=6838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73U KR20190002597U (en) 2018-04-09 2018-04-09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97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90B1 (en) * 2020-04-01 2020-12-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시스템 Multifunctional hot water distributor
KR20220131712A (en) 2021-03-22 2022-09-29 김동학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 on the bottom of the sink
KR102450249B1 (en) * 2022-06-16 2022-09-30 이주환 Ceiling-mounted hot and cold water distributor
KR20230000777A (en) * 2021-06-25 2023-01-03 유한책임회사 세익 Hot water integrated distribu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90B1 (en) * 2020-04-01 2020-12-04 주식회사 아이엠아이시스템 Multifunctional hot water distributor
KR20220131712A (en) 2021-03-22 2022-09-29 김동학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 on the bottom of the sink
KR20230000777A (en) * 2021-06-25 2023-01-03 유한책임회사 세익 Hot water integrated distribution system
KR102450249B1 (en) * 2022-06-16 2022-09-30 이주환 Ceiling-mounted hot and cold water distribu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597U (en)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KR101915143B1 (en) Wall water panel
KR10195431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KR100964959B1 (en) Water supply distributor of box type and water supply equip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1798582B1 (en) Walls buried-type multi-layered Water pipes case
US10435872B2 (en) Leakage prevention module
KR10164357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KR100782676B1 (en) Box style water panel connecting system
KR100684256B1 (en) Cold and hot water distributor of ceiling filled-up type toilet
KR100761927B1 (en) Hot and cold water distributting box of slave laying type
KR101029791B1 (en) Cold and hot water distributor of ceiling buried type having a drain pipe
KR100643084B1 (en) Piping system and the form of construction work of building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CN103003499B (en) Box-type distributor and plumbing system using same
KR20190116784A (en) Wall water panel
EP052188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ue to plumbing leaks in buildings
KR101818139B1 (en) Open panel wall water service box with water leakage control function
KR20050033807A (en) Water supply system having drainpipe
KR200338297Y1 (en) Water supply system having drainpipe
KR100732939B1 (en) That inspect piping of wall reclamation styleand form of construction work of double pipe
JP2005098089A (en) Header unit
CN101024969B (en) Water draining-collecting apparatus
JP5598987B2 (en) Bathroom unit structure
KR20230061147A (en) Heating and hot water integrated piping unit with leak detection and blocking function
KR100904508B1 (en) A valve socket and water distribu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