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317B1 -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317B1
KR101954317B1 KR1020180105497A KR20180105497A KR101954317B1 KR 101954317 B1 KR101954317 B1 KR 101954317B1 KR 1020180105497 A KR1020180105497 A KR 1020180105497A KR 20180105497 A KR20180105497 A KR 20180105497A KR 101954317 B1 KR101954317 B1 KR 10195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ver
base cover
opening
recepta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7567A (en
Inventor
서영호
곽국현
Original Assignee
서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호 filed Critical 서영호
Priority to KR102018010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317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매립홈에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을 매립하고, 상기 수전내함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처로부터 냉수 및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온수배관의 일측과 수전연결유닛의 타측을 연결하고, 중앙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전내함 속커버를, 상기 수전내함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하는 수전내함 속커버 결합 단계, 중앙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연결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로 관통하여 상기 수전연결유닛과 상기 베이스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개구부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 및 수요처의 냉온수전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결합홀이 형성된 마감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마감커버로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마감커버를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하는 마감커버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압마개가 삽입 결합된 수전연결구 및 상기 수전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에는,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를 임시로 고정하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에 고정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수전연결유닛의 수전연결구를 베이스커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후,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수전연결구와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전연결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system for a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water inlet inner case having one open side in a buried groove formed in a wall of a building; a cold water inlet pipe formed in the water inlet inner case, And a second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A base cov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connection unit can be coupled through is formed and the receptacle connection hole is penetrated through the receptacle connection hole of the base cover to connect the receptacle connection unit and the base cover , The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cover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opening of the power receiver inner cover And a heat insulating joint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hot and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and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ustomer, is prepared, and the finishing cover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so that the inside of the wall- And a finishing cover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finishing cover with the base cover by shielding the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base cover with the cover, wherein the power receiving and connecting unit includes a waterproof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d /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rough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receptacl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receptacle, And is fitted in the receptacle fixing protrusion for temporarily fixing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receptacle is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by fixing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to the base cover.
Therefore, by simply passing the receptacle connector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from the rear of the base cover to the front and fastening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member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installa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complete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Figure R1020180105497
Figure R1020180105497

Description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본 발명은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시공 시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누수검사 공정단축과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djusting a position of a building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and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water- will be.

종래에는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ast, when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 house, an apartment, an office suite, a hotel, or the like is newly built or expanded, a cold / hot water pip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guided to a distributor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a sink, Bathroom, boiler room, multipurpose room, laundry room, auxiliary kitchen, etc., so that cold / hot water can be used.

최근 냉/온수 이중관 배관방식은 대체로 벽체 내부에 수전함이 내설되고, 벽체 건축마감 후 벽체 매립형 수전함 내부 냉/온수 결합부 누수 및 노후관 교체 시 개폐되는 기능을 갖는 마감커버에 수전을 설치하여 각 수요처에 수전함을 설치하고 마감부 전면에 노출 마감되는 냉/온수 혼합수전과 직접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한다.Recently, hot and cold water piping system has installed a water tank inside a wall, and after installing a wall, it is installed in a closed cover that h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water leakage and water leakage are replaced. The water supply box is installed at the customer and the hot / cold water suppl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xposed hot /

그런데 종래 벽체 내부에 내설되는 수전장치는 설치과정에서 이중관배관과 연결부속부분의 누수검사를 하고,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연결부속과 마감커버의 이음부속에서 누수검사를 해야 했기 때문에 불필요한 누수검사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aucet installed inside the wall was required to inspect the leakage of the double pipe pipe and the connecting part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to check the leakage from the joint parts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finish cover after the installation wa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increases.

또한, 수전장치의 설치 마감 공정 중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벽체에 고정 설치된 수전장치의 수전내함 속커버와 마감 커버의 결합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마감 공정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 마감 공정 마무리를 위해 벽체 및 마감재를 파손하여 수전장치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if the engaging position of the finishing cover is not coincident with the inside cover of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fixed to the wall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finishing cover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the finishing process becomes impossibl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ll and the finishing material must be damaged and moved to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position for finishing the finishing process.

그리고 마감커버까지 설치된 상태는 고가의 마감재(천정, 마루, 벽지)가 시공된 상태이기 때문에 누수 문제가 발생하면 작업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나 마감커버가 부착된 수전장치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누수피해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dition of installing the finishing cover is expensive, finishing materials (ceilings, floors, wallpaper) are constructed. If there is a leakage problem, the operator must respond promptly. However, since the inside of the receiving apparatus with the finishing cover can not be confi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mage increases.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6264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6264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시공 시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누수검사 공정단축과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install, can shorten the leakage inspection process, and confirm whether or not to leak water by adjusting the posi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a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매립홈에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을 매립하고, 상기 수전내함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처로부터 냉수 및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온수배관의 일측과 수전연결유닛의 타측을 연결하고, 중앙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전내함 속커버를, 상기 수전내함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하는 수전내함 속커버 결합 단계, 중앙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연결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로 관통하여 상기 수전연결유닛과 상기 베이스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개구부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 및 수요처의 냉온수전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결합홀이 형성된 마감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마감커버로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마감커버를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하는 마감커버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일측에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압마개가 삽입 결합된 수전연결구 및 상기 수전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에는,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를 임시로 고정하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에 고정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a built-in power-receiving box having one open side in a buried groove formed in a wall of a building; A step of inserting a power receiving inner cover with one side of the cold / hot water pip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wer receiving connecting unit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the one side of the power receiving inner case opened, Wherein the base cover includes a base cover having two opening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receptacle hol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unit can be inserted and penetrated,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receptacle connector hole of the base cover, Unit and the base cover, and the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cover, A base cover engaging step for engaging with the first opening part and a finishing cover having a water receiving hole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old / hot water transition of the consum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part, And a finishing cover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finishing cover with the base cover by shielding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with the finishing cover so that the inside of the finishing cover is not visible,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or,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 through hole of the receptacle, And the other end of the receiving receptacl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receiving receptacle fixing member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embedded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by fixing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fixing protrusion to the base cover by temporarily fixing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when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is hooked through the power receiving connector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수전연결유닛의 수전연결구를 베이스커버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 후,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수전연결구와 체결하는 것만으로 수전연결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First, after the receptacle connector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is pierced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ase cover,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unit is fasten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unit,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둘째, 수전연결유닛이 일체화되어 제공되므로 누수 발생의 예방과 불필요한 누수검사를 줄일 수 있다.Second, since the water receiving unit is integr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ater leakage and reduce unnecessary water leak inspection.

셋째, 베이스커버를 갖춰 시공 건축구조물의 마감공정 이후, 냉온수전이 결합되는 마감커버의 위치와 수전내함 속커버의 위치가 정렬되지 않더라도 마감재의 손상 없이 베이스커버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여 마감커버를 결합할 수 있다.Third, after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structure with the base cover,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nishing cover to which the cold / hot water transition is coupled and the position of the cover inside the faucet are not aligned,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through the base cover without damaging the finishing material, .

넷째,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이중관 배관, 연결소켓, 수전연결유닛의 상태와 수전내함 내부의 누수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Fourth,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state of the double pipe pipe, the connection socket, the water connection unit, and the leakage of water inside the waterproof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내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내함 속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베이스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수전연결유닛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마감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proofing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resistant inner cover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ase cover of the wall-embedded type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receiving unit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nishing cover of the wall-embedded pow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1 to 7 show a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는, 수전내함(110), 수전내함 속커버(130), 베이스커버(150), 수전연결유닛(170) 및 마감커버(190)를 포함한다.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a water receiving inner cover 130, a base cover 150, a water receiving connecting unit 170, and a finishing cover 190 .

상기 수전내함(110)은 시공 건축물의 벽체(미도시)에 매립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수전내함(110)은 후면(111)과, 상기 후면(111)의 단부에서 상기 후면(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후면(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112, 113, 114, 115)들을 포함하여 내부공간(미표기)이 형성되며 전면(116)은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The waterproof underfloor 110 is embedded in a wall (not shown) of the construction building. 2,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includes a rear surface 111 and an en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11, which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rear surface 111,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111 An inner space (not marked) is formed including the side surfaces 112, 113, 114 and 115 extending along the front surface 116, and the front surface 116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pened rectangular parallelepiped.

상기 측면들은 도 2의 도시를 기준으로 상면(112), 하면(113), 좌측면(114) 및 우측면(115)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면(114) 및 상기 우측면(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결합 커넥터홀(114a, 115a)들이 형성되어 있다. The side surfaces include an upper surface 112, a lower surface 113, a left surface 114, and a right surface 115 with reference to the view of FIG. On the left side surface 114 and the right side surface 115, coupling connector holes 114a and 115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로는 수요처에 배출되기 위해 외부에서 냉수 및 온수가 공급된다. 상기 냉수 및 온수는 이중관 배관(1, 3)을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결합 커넥터홀(114a, 115a)들에 상기 이중관 배관(1,3)이 결합되어 상기 이중관 배관(1, 3)과 상기 수전내함(110)이 연결된다.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is supplied with cold water and hot water from the outside to be discharged to a customer.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supplied through the double pipe pipes 1 and 3. The double pipe pipes 1 and 3 are coupled to the coupling connector holes 114a and 115a to connect the double pipe pipes 1 and 3, The inner box 110 is connected.

상기 결합 커넥터홀(114a, 115a)에는 연결소켓(5)이 삽입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중관 배관(1, 3)의 선단이 상기 연결소켓(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connection socket 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connector holes 114a and 115a so that the tip ends of the double pipe pipes 1 and 3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ocket 5 and are coupled.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중앙에 제1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전내함(110)의 개구된 상기 전면(116)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속커버 몸체(131),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 및 체결돌기(137)를 포함한다.The waterproof inner cover 130 has a first opening 13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116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housing 110. 3, the underwater imager under cover 130 includes a quick cover body 131, protruding plates 133a, 133b, 133c, and 133d, and a fastening protrusion 137. [

상기 속커버 몸체(131)는 중앙을 관통하는 제1 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인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속커버 몸체(131)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전면(116)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전면(116)이 완전히 차폐되지 않고 상기 제1 개구부(131a)에 의해 상기 수전내함(110)의 상기 내부공간(미표기)과 연통된다.The inner cover body 131 has a first opening 131a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having a rectangular shape. Even if the inner cover body 131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116 of the power receiving inner case 110, the front surface 116 of the power receiving inner case 110 is not completely shielded,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unrepresented)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상기 속커버 몸체(131)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131a)도 상기 속커버 몸체(131)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제1 개구부(131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131a formed in the inner cover body 131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imilar to the inner cover body 13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opening 131a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는 상기 속커버 몸체(131)의 전면에 상기 속커버 몸체(13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둘러싸며 형성한다.The protruding plates 133a, 133b, 133c and 133d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over body 131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inner cover body 131 and surround the first opening 131a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속커버 몸체(131)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131a)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둘러싸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 133b, 133c, 133d)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측(133a), 하측(133b), 좌측(133c) 및 우측(133d)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통해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opening 131a formed in the inner cover body 13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plates 133a, 133b, 133c, and 133d surrounding the first opening 131a, The upper side 133a, the lower side 133b, the left side 133c, and the right side 133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through the first opening 131a.

상기 체결돌기(137)는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내측에 돌출되되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137)가 상측의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a)와 하측의 상기 돌출 플레이트(133b)의 내측에 형성된다.The fastening protrusions 137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plate and exten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power take-off inner cover 130 to the rear surface.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rotrusion 137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plate 133a and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plate 133b.

상기 체결돌기(137)에는 전면에서 후면을 관통하는 체결홀(137a)이 형성된다. 후술되겠지만,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는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체결홀(137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상기 베이스커버(150)가 결합된다.The fastening protrusion 137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37a pass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nderwater impermeable cover 130 is engaged with the base cover 150. A coupling member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base cover 15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137a so that the power receiver inner cover 130 and the base cover 150 are coupled.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중앙에 제2 개구부(15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개구부(151a)가 상기 제1 개구부(131a)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냉수 및 온수가 배출되는 수요처의 냉온수전(미도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동하여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된다.The base cover 150 has a second opening 151a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engaged with the power receiving inner cover 130 so that the second opening 151a communicates with the first opening 131a. The base cover 15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ing 131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ld / hot water discharge (not shown) of the customer where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discharged, (130).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커버몸체(151), 수전연결구 관통홀(153) 및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151)는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제2 개구부(151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인 평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cover 150 is formed with a cover body 151, a receptacle through hole 153, and a position adjusting through hole 155. The cover body 15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e second opening 151a is formed at the cen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s, a rectangular plate-like plate is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작업자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2 개구부(151a)의 크기를 상기 제1 개구부(131a)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작업자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econd opening 151a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irst opening 131a. Since the second opening 151a is formed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observe the internal state of the water receiving case 110, the size of the second opening 151a is equal to the size of the first opening 131a An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it larger than this. That is, the operator may be formed only to the extent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the internal state of the power receiving case 110.

상기 제2 개구부(151a)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일 뿐, 원형, 삼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econd opening 151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bu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or the like.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개구부(151a)에는 투명한 소재의 플레이트를 결합하거나 여닫이 혹은 미닫이 형태의 커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수전내함의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예방하면서 누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opening 151a may be formed by joining a pl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cover in the form of a hinged or sliding door so that even if leakage occurs in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leakage occurs.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상기 제2 개구부(15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커버몸체(15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후술되는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관통하는데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외주면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eceptacle through hole 153 is formed through the cover body 15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151a. The receptacle hole 153 is formed to penetrate a part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receptacle 175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passes through, and the receptacle connecting through hole 153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transverse sectional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receptacle 175.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몸체(151)에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네 개의 영역(151b, 151c, 151d, 151e)에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areas 151b, 151c, 151d, and 151e are formed on the cover body 151 at predetermined distanc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ening 151a, The position adjusting through holes 155 are formed.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기준으로 좌측 상측에는 제1 영역(151b), 우측 상측에는 제2 영역(151c), 좌측 하측에는 제3 영역(151d), 우측 하측에는 제4 영역(151e)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된 매트릭스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A first area 151b on the upper left side, a second area 151c on the upper right side, a third area 151d on the lower left side, and a fourth area 151e on the lowe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ening 151a . And the position adjusting through holes 155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regions in a matrix array in which the set interval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paced.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150)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커버몸체(15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임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돌기(157)는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외주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며 형합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base cover 150 further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or fixing protrusion 157.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protrusion 157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151.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protrusion 157 serves to temporarily fix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is hooked through the receptacle connector hole 153. Therefore,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protrusion 157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nd cover a part or all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상기 수전내함(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일부는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서 결합되어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된다.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is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and a part thereof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131a and penetrates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base cover 150, And is connected to the cold / hot water discharge.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은 제2 엘보우(173), 수전연결구(175), 수압마개(175b), 고정부재(177) 및 연질 파이프(172)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수전내함(110)에는 제1 엘보우(17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상기 이중관 배관(1, 3)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의 일부를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으로 배출하기 위해 분기시키며, 상기 냉수 또는 온수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수요처로 유동시킨다.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includes a second elbow 173, an electricity receptacle 175, a hydraulic plug 175b, a fixing member 177 and a soft pipe 172. Before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elbow 171. The first elbow 171 is branched for discharging a portion of cold water or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ouble pipe line 1 or 3 to the cold / hot water discharge (not shown) of a customer, Some are flowing to other consumers.

상기 제1 엘보우(171)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T자형 엘보우'가 적용된다.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연질 파이프(171a)에 의하여 상기 이중관 배관(1, 3)과 연통되게 연결된다.The first elbow 171 is illustratively a 'T-shaped elbow'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lbow 171 is connected to the double pipe 1, 3 by a flexible pipe 171a.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상기 제1 엘보우(171)를 통해 분기된 상기 냉수 또는 상기 온수를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으로 유동시킨다. 상기 제2 엘보우(173)는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유입부(173a-1)와 배출부(173a-2)를 포함하는 엘보우 몸체(173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예시적으로 배관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스피캇 엘보우가 적용되며,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The second elbow 173 flows the cold water or the hot water branched through the first elbow 171 to the cold / hot water before consumption. The second elbow 173 includes an elbow body 173a including an inlet 173a-1 and an outlet 173a-2, as shown in FIG. The discharge portion 173a-2 of the second elbow 173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2 엘보우(173)와 상기 제1 엘보우(171)는 연질 파이프(172)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연질 파이프(172)의 일측이 상기 제1 엘보우(17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질 파이프(172)의 타측이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유입부(173a-1)에 삽입 결합된다.The second elbow 173 and the first elbow 17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pipe 172. One side of the flexible pipe 1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lbow 171 and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pipe 172 is inserted into the inflow portion 173a-1 of the second elbow 173 .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타측에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삽입 결합되며, 일측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150)에 걸리고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해 고정된다.The outlet 173a-2 of the second elbow 173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When a part of the receptacle 175 penetrates the base cover 150, And is fixed by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member 177.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75a-1)이 형성된 몸체(175a)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75a)의 타측(175a-2) 내부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엘보우(173)의 상기 배출부(173a-2)가 삽입 결합된다.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includes a body 175a having a hollow 175a-1 form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charging portion 173a-2 of the second elbow 173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175a-2 of the body 175a as described above.

상기 몸체(175a)의 일측 내주면에는 나사산(175a-3)이 형성되어 수압마개(175b)가 체결 결합된다. 상기 몸체(175a)의 일측 외주면에도 나사부(175a-4)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이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면서 수전연결구(175)가 커버몸체(151)에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가 상기 나사부(175a-4)에 체결 결합된다.A thread 175a-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175a so that the hydraulic stopper 175b is tightly coupled. The threaded portion 175a-4 is also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75a.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penetrates through the receptacle connector through hole 153 of the base cover 150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177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175a-4 so as to be fixed by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177 when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175 is caught by the cover body 151. [

상기 몸체(175a)의 길이방향 중앙 외주면에는 상기 몸체(175a)의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돌출되는 걸림돌기(175a-5)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일측이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할 때, 상기 걸림돌기(175a-5)가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커버몸체(151)에 걸림되는 것이다.A protrusion 175a-5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75a is formed on a longitudinally center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75a. As described above, when one side of the receiving receptacle 175 passes through the receptacle through hole 153, the catch protrusion 175a-5 is caught by the cover body 151 of the base cover 150 will be.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175a-2) 외주면에 나사산(미표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엘보우(173)는 상기 배출부(173a-2)를 둘러싸며 형성된 마개부(173a-3)의 내주면에 나사산(미표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엘보우(173)와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연결될 때 상기 마개부(173a-3)와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The second elbow 173 is formed with a cap 173a-3 formed to surround the discharging portion 173a-2, and a second elbow 173a-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175a-2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And when the second elbow 173 and the receptacle 17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g 173a-3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ptacle 175 are screwed into a screw- Lt; / RTI >

한편,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 내부에는 크랩링(175c), 와셔(175d) 및 제1 실링부재(175e)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크랩링(175c), 상기 와셔(175d) 및 상기 제1 실링부재(175e)는 상기 수전연결구(175)와 상기 제2 엘보우(173) 사이의 누수방지 및 상기 마개부(173a-3)의 이탈을 방지한다.Meanwhile, a cage ring 175c, a washer 175d, and a first sealing member 175e are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receptacle 175. The claw ring 175c, the washer 175d and the first sealing member 175e are provided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and the second elbow 173 and to prevent leakage of the plug 173a-3 Thereby preventing escape.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 내부에도 제2 실링부재(175f)가 삽입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에 삽입되는 상기 수압마개(175b)와의 사이에 누수 발생을 방지한다.The second sealing member 175f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receptacle 175 to prevent leakage of water between the receptacle 175b and the other end of the receptacle 175.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을 관통하면 상기 수전연결구(175)의 타측에 체결 결합하여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의 내주면에 나사산(177a)이 형성되어 있다.Whe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receptacle 175 passes through the receptacle through hole 153 of the base cover 150 as described above,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177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ceptacle fitting hole 175 Thereby fix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Therefore, a thread 177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fixing member 177. [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수전연결유닛(170) 중 상기 연질 파이프(172), 상기 제2 엘보우(173) 및 상기 수전연결구(175)는 일체화되어 시공 현장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분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전연결구(175) 및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에 의한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한 번의 누수검사만 진행하면 된다.The flexible pipe 172, the second elbow 173 and the receptacle 175 of the receptacle connection unit 170 as described above are integrally provid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at is,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to connect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to the base cover 150,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receptacle connector 176 by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member 177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is completed, only one leak inspection is required.

종래에는 수전연결구가 마감거버에 부착되어 납품되고 내함에 기 설치된 제2 엘보우의 마개를 열고 수전연결구와 결합을 해야 했기 때문에 마감커버를 설치한 후 누수검사를 다시 해야만 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질 파이프(172), 상기 제2 엘보우(173) 및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일체화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한 번의 누수검사만 진행하면 되므로 중복되는 누수검사로 인한 공기의 증가 및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past, the water supply connector was attached to the finishing gerber, and the cap of the second elbow installed in the inner chamber had to be opened and coupled with the water receiving connector. However, since the soft pipe 172, the second elbow 173, and the receptacle 175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leakage inspection is perform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air and an increase in cost.

상기 마감커버(190)는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차폐한다. 상기 마감커버(190)에는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결합된다. 즉, 상기 마감커버(190)에 의해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상기 수전연결유닛(170)과 연결되는 것이다.The finishing cover 190 is engaged with the base cover 150 to shield the second opening 151a. (Not shown) of the customer is coupled to the finishing cover 190. That is, the cold / hot water discharg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by the finishing cover 190.

상기 마감커버(190)는 도면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마감커버 몸체(19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nishing cover 190 includes a finishing cover body 191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nishing cover body 19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owever, since it is limited to only this embodiment, it can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various shapes.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에는 상기 마감커버 몸체(191)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수전 결합홀(19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냉온수전(미도시)이 상기 수전 결합홀(193)에 관통하여 결합된다.A pair of receiving holes 193 are formed in the finishing cover body 191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nishing cover body 19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t is, the cold / hot water discharge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water receiving hole 193 and is coupl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ll-mount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시공하는 건축구조물의 벽체(미도시)에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를 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벽, 조적벽에 매립홈(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매립홈(미도시)에 상기 수전내함(110)을 매립하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을 설치한 후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를 상기 수전내함(110)과 결합한다. (Not shown) is formed in a concrete wall and a masonry wall to construct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on a wall (not shown) of a building to be installed. The water receptacle 110 is embedded in the buried groove (not shown) and the water receptacle cover 130 is coupled to the water receptacle 110 after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is installed.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결합하기 전,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압검사를 먼저 시행한다.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수압검사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벽체(미도시)에 견출도장, 타일마감, 석고보드마감과 같은 마감공정을 진행한다. In this state, before the base cover 150 is joined, the water pressure inspection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is performed first.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water pressure inspection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the wall (not shown) is subjected to a finishing process such as overcoating, tile finishing, and gypsum board finishing.

그리고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의 상기 수전연결구(175)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153)로 관통하고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177)로 고정시킨다.The receiving receptacle 175 of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passes through the receptacle through hole 153 of the base cover 150 and is fixed to the receptacle fitting member 177.

상기 수전연결구(175)가 고정된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한다. 이때, 수요처의 상기 냉온수전의 위치와 상기 수전내함(110)과 수전내함 속커버(130)가 매립설치 된 위치가 정렬되지 않더라도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상기 제1 개구부(131a)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할 수 있다.And the base cover 150 to which the receptacle connector 175 is fixed is engaged with the receptacle 130. At this time, even if the location of the customer's location before the cold / hot water and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110 and the water receiving inner cover 130 are buried are not aligned, the base cov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ter receiving inner cover 130 And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ne opening 131a.

그리고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의 상기 체결홀(137a)과 상기 베이스커버(150)의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 중 상기 체결홀(137a)과 동축 상에 위치한 위치조정용 관통홀(155)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 후 체결하여 상기 베이스커버(150)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130)와 결합시키며, 필요 시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용 관통홀(155)들의 이격 거리만큼 이동시켜 결합시킨다.The position adjusting through hole 155 located coaxially with the fastening hole 137a of the fastening hole 137a of the underwater impervious under cover 130 and the position adjusting through hole 155 of the base cover 150 (Not shown) to engage the base cover 150 with the underwater impervious under cover 130. If necessary, the position adjusting through-holes 155 may be formed in the base cover 150, (155).

마지막으로 상기 마감커버(190)를 상기 베이스커버(150)와 결합시키면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감커버(190)가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에 냉온수전류가 부착되는 마감공정 때가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상기 베이스커버(150) 상기 제2 개구부(151a)를 통해 내부의 누수 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Finally, when the finish cover 190 is coupled with the base cover 150, the installation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100 is completed.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ish cover 190 is not coupled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in which the cold / hot water current is adhered to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170, the operator is able to contact the base cover 150 through the second opening 151a It is easy to recognize and cope with the leakage of the inside.

즉, 단기적인 성격을 갖는 수압시험으로 발견하지 못한 누수 뿐 아니라, 상기 수전연결유닛(170)에 냉온수전류를 설치하기 전 까지 장기적으로 누수여부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누수사고로 인해 마감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leaks not found by a hydraulic test having a short-term nature but also long-term leakage until the cold / hot water current is installed in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17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110: 수전내함
130: 수전내함 속커버 131: 속커버 몸체
131a: 제1 개구부 137: 결합돌기
150: 베이스커버 151: 커버몸체
151a: 제2 개구부 153: 수전연결구 관통홀
155: 위치조정용 관통홀 157: 수전연결구 고정돌기
170: 수전연결유닛 171: 제1 엘보우
171a: 연질 파이프 173: 제2 엘보우
175: 수전연결구 175b: 수압마개
177: 수정연결구 고정부재 190: 마감커버
191: 마감커버 몸체 193: 수전 결합홀
100: Wall-mounted type water receiving device 110:
130: under head cover 130: inner cover body
131a: first opening 137: engaging projection
150: base cover 151: cover body
151a: second opening part 153:
155: Through hole for position adjustment 157: Fixing projection for receiving receptacle
170: water receiving unit 171: first elbow
171a: Soft pipe 173: Second elbow
175: an anchor connection 175b: a hydraulic plug
177: Fixing connector fixing member 190: Finishing cover
191: Finishing cover body 193:

Claims (2)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매립홈에 일면이 개구된 수전내함을 매립하고, 상기 수전내함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처로부터 냉수 및 온수가 각각 공급되는 냉온수배관의 일측과 수전연결유닛의 타측을 연결하고, 중앙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전내함 속커버를, 상기 수전내함의 개구된 상기 일면에 결합하는 수전내함 속커버 결합 단계;
중앙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연결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로 관통하여 상기 수전연결유닛과 상기 베이스커버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개구부를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의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 및
수요처의 냉온수전이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수전결합홀이 형성된 마감커버를 준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통하여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마감커버로 상기 베이스커버의 제2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마감커버를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하는 마감커버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일측이 상기 냉온수배관의 일측과 연결되는 연질 파이프;
일측이 상기 연질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엘보우;
일측에 상기 냉온수전과 연결되는 수압마개가 삽입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엘보우의 타측이 결합된 수전연결구; 및
상기 수전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전연결구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질 파이프, 상기 제2 엘보우 및 상기 수전 연결구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몸체; 및
상기 커버몸체에 상기 제2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매트릭스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위치 조정용 관통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커버 결합 단계에는,
상기 수전연결유닛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커버의 수전연결구 관통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면, 상기 베이스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수전연결구 고정부재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타측이, 상기 베이스커버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전연결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전연결구가 상기 수전연결구 관통홀을 관통하여 걸리면 상기 수전연결구를 임시로 고정하는 수전연결구 고정돌기에 끼워져서, 상기 수전연결유닛을 상기 베이스커버에 고정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Hot water pipes from which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respectively supplied from the supply source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and connecting unit are formed in the water receiving inner case, And a first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and joining the cover to the first opening of the receptacle;
A base cover having a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provided with a receptacl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can be inserted and penetrated through the receptacle through hole of the base cover A base cover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with the base cover and coupling the second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cover to the first opening of the power receiver inner cover; And
And a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so that the inside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device can not be seen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cover, And a finishing cover engaging step of engaging the finishing cover with the base cover,
The power reception connecting unit includes:
A soft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ld / hot water pipe;
A second elbow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pipe;
A water inlet plug connected to the cold / hot water inlet on one side and an other side of the second elbow on the other side; And
And a receptacle connector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flexible pipe, the second elbow,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integrally formed,
The bas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having the second opening and the receptacl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cover body in a matrix arrangemen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ening,
In the base cover engaging step,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on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penetrates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receptacle connector hole of the base cover, the receptacle connector fix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The other end of the receptacl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ase cover and is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ptacle. When the receptacle is hooked through the receptacle through hole, the receptacle Wherein the water receiving unit is fixed to the base cover by being fit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전내함 속커버 결합 단계는,
상기 수압마개가 상기 수전연결구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공급처의 냉온수배관과 상기 수전연결유닛의 타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벽체매립형 수전장치의 누수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수압 검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inserting the in-
And a water pressure inspecting step of insp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leakage of the wall-embedded type water receiving apparatus in a state where the water pressure plug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ld /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ush type water receiving device.
KR1020180105497A 2018-09-04 2018-09-04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KR101954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97A KR101954317B1 (en) 2018-09-04 2018-09-04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497A KR101954317B1 (en) 2018-09-04 2018-09-04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85A Division KR101915143B1 (en) 2017-04-19 2017-04-19 Wall water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67A KR20180117567A (en) 2018-10-29
KR101954317B1 true KR101954317B1 (en) 2019-06-11

Family

ID=641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497A KR101954317B1 (en) 2018-09-04 2018-09-04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3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55B1 (en)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Built-in water service box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23054B1 (en)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Built-in water service box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0057B (en) * 2023-08-09 2024-02-20 江苏智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Household wall-mounted energy storag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55B1 (en)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for construction with iron reinforcing rod dodging groov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425509B1 (en) *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Wall water open panel
KR101493948B1 (en)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Flush faucets wall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97B1 (en) * 2006-03-13 2007-11-29 주식회사 국민에너지 That inspect piping of wall reclamation styleand form of double pipe
KR200426264Y1 (en) 2006-05-04 2006-09-18 이근상 Wall water pa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55B1 (en)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Built-in wall water service box for construction with iron reinforcing rod dodging groov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425509B1 (en) * 2013-08-20 2014-08-04 (주)케이에스피아이피 Wall water open panel
KR101493948B1 (en) * 2014-01-27 2015-02-17 주식회사 엔에코 Flush faucets wall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55B1 (en)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Built-in water service box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23054B1 (en) * 2019-10-07 2021-03-03 김정혁 Built-in water service box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67A (en)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43B1 (en) Wall water panel
KR10195431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KR100515761B1 (en) Execute method of water pipe arrangement
US5653254A (en) Housing for angle stop valve for connection to hot and cold water supply line and sink faucets
JP5569736B2 (en) Water supply / drainage system in buildings
KR20190002597U (en)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KR101798582B1 (en) Walls buried-type multi-layered Water pipes case
KR10164357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KR100713588B1 (en) Terminal box for connecting pipe of air conditioner
KR100782676B1 (en) Box style water panel connecting system
KR100684256B1 (en) Cold and hot water distributor of ceiling filled-up type toilet
KR102058117B1 (en) Wall water panel
KR20080076267A (en) Box buried in wall
US6862918B2 (en) Device for testing domestic water piping systems and methodology
CN103003499B (en) Box-type distributor and plumbing system using same
KR101804247B1 (en) Open-type faucet supporter having separable connectors
KR102286404B1 (en) Double pipeing system into structure
KR100742403B1 (en) Water supply system having drainpipe
KR20180138340A (en) Open-type faucet supporter having the water leakage sense
EP052188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ue to plumbing leaks in buildings
KR101818139B1 (en) Open panel wall water service box with water leakage control function
KR200338297Y1 (en) Water supply system having drainpipe
KR20210001184A (en) Sleeve for heating pipe
KR101766250B1 (en) Open-type faucet supporter having separable connectors
JP2002266390A (en) Installation method for water supply socket to existing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