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70B1 -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70B1
KR101643570B1 KR1020160046234A KR20160046234A KR101643570B1 KR 101643570 B1 KR101643570 B1 KR 101643570B1 KR 1020160046234 A KR1020160046234 A KR 1020160046234A KR 20160046234 A KR20160046234 A KR 20160046234A KR 101643570 B1 KR101643570 B1 KR 10164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late
pipe
sprinkler head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환병
Original Assignee
노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환병 filed Critical 노환병
Priority to KR102016004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A construction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e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e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burying groove and an installation groove; a step of installing a stand pipe; a step of fixating and disposing a fire extinguishing pipe; a step of connecting the fire extinguishing pipes; a step of installing a sprinkler head; and a step of finishing a ceiling.

Description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스프링클러 헤드 결합부의 누수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prinkler piping for fire extinguis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prinkler piping for fire extinguishing which can reduce the thickness of a building and can detect the leak of the sprinkler head coupling portion at an early stage.

종래의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식은 직경이 큰 하나의 배관을 세대에 인입하여 세대 내에 천장에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16층 이상 고층은 층고를 아래층 보다 10cm 내지 20cm 이상 높게 하고, 그 공간 내에 세대배관 및 부속류를 설치하며, 각 세대에 하향식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였다. In sprinkler piping construction method applied to a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one pipe having a large diameter is introduced into a household, and a piping is installed in a ceiling within a household, so that a floor height of 16 floors or more is higher than that of a lower floor by 10 cm to 20 cm or more, Generation piping and accessories are installed, and a downward sprinkler head is installed in each household.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식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용 소방배관이 건물 천장 슬래브 하부에 별도의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건물 층고가 높아짐으로 인하여 건축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 fire-fighting fire pip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is installed in a separate space under the ceiling slab of the building, so that the build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building height to secure the spac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천장 슬래브(1) 내부에 소방배관(2)을 매립하고 스프링클러를 설치할 위치의 슬래브 하부면이 개방되도록 상자형 빈공간(4)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T형 배관(3)을 통해 소방배관(2)을 연결한 다음, T형 배관(3)에 플렉시블한 연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6)를 연결하거나, 경우에 따라 T형 배관(3)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클러 헤드(6)를 설치 한 후, 천장마감재(5)로 천장부를 마감한 다음, 천장마감재(5) 시공 이후에는 스프링클러 헤드(6)와 천장마감재(5)와의 틈새를 보기 좋게 마감하기 위하여 보통 별도로 제작된 합성수지재질(플라스틱)의 헤드링(7)을 아래 쪽에서 끼워 넣음으로써 전반적인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이 고려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1, a fire pipe 2 is buried in the ceiling slab 1 and a box-like hollow space 4 is formed so that a lower surface of a slab at a position where a sprinkler is installed is opened, Type piping 3 through the T-type piping 3 and then connecting the sprinkler head 6 through the flexible connection pipe to the T-type piping 3, The sprinkler head 6 is installed and then the ceiling is closed with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and then the gap between the sprinkler head 6 and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is observed after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is installed A general sprinkler piping construction method is considered by fitting the head ring 7 of synthetic resin material (plastic), which is usually manufactured separately, in the lower side in order to finely finish.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래브(1) 내부에 소방배관(2)을 매립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은 시공 후 수압검사에서 하자가 있거나 사용함에 따라 배관에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골조 구조를 해체해야 하는 등 그 하자보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prinkler piping for the fire extinguishing pipe 2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slab 1, if there is a defect in the water pressure inspe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r when the leakage of the piping occurs due to the use thereof,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isadvantages such as failure to repair and maintenance.

한편, 소방배관(2)과 스프링클러 헤드(6)의 결합은 대부분 천장마감재(5)가 시공되기 직전에 실시되는데 이 경우 공사여건이나 시간상 스프링클러 헤드(6) 결합 후 누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압력시험을 실시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다른 어느 부위보다도 공사 완료 후 누수사고의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The combination of the fire pipe 2 and the sprinkler head 6 is performed almost immediately before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is applied. In this case, a pressure tes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leaks occurs after the joining of the sprinkler head 6 It is not easy to carry out the construc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incidence is frequently incurred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특히, 스프링클러 헤드(6)와 소방배관(2)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 또는 스프링클러 헤드(6)와 소방배관(2)이 플렉시블한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 모두 스프링클러 헤드(6)가 연결되는 나사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면 스프링클러 헤드(6) 몸체 외부를 타고 물이 흘러 내리다가 스프링클러 헤드(6) 몸체에 밀착되어 설치된 헤드링(7)을 따라 주변의 천장마감재(5)로 퍼지게 되고, 주변의 천장마감재(5)가 충분히 젖고 나서야 천장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누수의 발견이 지체되고 천장 마감재의 불필요한 훼손이 많이 발생되고 있어 누수 발생여부를 조기에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rinkler head 6 and the fire-fighting pipe 2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rinkler head 6 and the fire-fighting pipe 2 are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connection pipe, When water leaks from the joint portion, water flows on the outside of the sprinkler head body 6 and is spread on the surrounding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along the head ring 7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inkler head body 6,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 falls down to the ceiling only after it is sufficiently wetted, discovery of the leaking water is delayed, and unnecessary damage of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is frequently caused, so that a method of promptly confirming the occurrence of the leakag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배관을 천장 슬래브 내에 배치하되, 소방배관이 배치된 슬래브의 하부를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방배관의 수리가 용이하며,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를 확인할 수 있는 헤드링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스프링클러 헤드 누수의 조기 발견이 가능하여 누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e-fighting pipe is disposed in the ceiling slab, the lower part of the slab in which the fire-fighting pipe is disposed is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rinkler piping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sprinkler head leakage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by applying a head ring which can confirm the leakage of the he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헤드의 상부에 천장 슬래브 하면으로부터 내부로 천설된 상자 형상의 매립홈과 상기 매립홈을 연결하되 배관 경로 상에 천장 슬래브 하면으로부터 내부로 천설된 배관 설치홈을 형성하는 매립홈 및 설치홈 형성 단계; 소화수원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각 세대 또는 각 층의 천장 슬래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입상관을 설치하는 입상관 설치 단계; 분할된 다수의 소방배관 중 하나를 상기 입상관과 연결시켜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분기시키고, 그 외의 다수의 소방배관을 매립홈에 삽입 배치하여 고정하되, 매립홈에 배치 고정된 소방배관들의 양단이 설치홈에 위치되도록 하는 소방배관 배치 고정 단계; 상기 매립홈에서 T관을 이용하여 T관의 상부 양단에 소방배관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소방배관 연결단계; 상기 T관의 하부 단부에 플랙시블한 연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단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되는 지점에 홀이 형성된 천장마감재 통해 천장을 마감처리한 후, 천장마감재와 스프링클러 헤드의 틈을 커버하는 헤드링을 설치하는 천장마감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링은 중앙부 쪽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원판형의 하부판과, 스프링클러 헤드와 헤드링을 결합시켜주는 원통형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에 의해 하단이 밀폐되고, 스프링클러 헤드 몸체 외부를 감싸주는 원통형의 외부판 및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에 모여진 누수된 소화수에 의해 색이 변함으로써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누수확인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누수확인부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으며,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의 경사가 낮은 지점에서 외부판을 관통하여 하부판의 원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홈 형태의 누수확인시트 설치홈과, 상기 누수확인시트 홈에 삽입 배치되는 누수확인시트와, 상기 외부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누수확인시트 설치홈의 소정위치에는 하부판을 관통하는 형태의 누수확인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rinkler head, comprising: a box-shaped embedd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a ceiling slab and a box-shaped embedd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Forming a buried groove and an installation groov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ourc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eiling slab of each generation or each floor;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fire-extinguishing pipes is connected to the inlet correlation and branched from the inlet correlation, and a plurality of other fire-extinguishing pipe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lling grooves, and both ends of the fire- A fire piping arrangement fixing step of positioning the fire piping to be positioned in the groove; A fire pip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fire pipe ends to both ends of the T pipe using the T pipe in the embedding groove; Installing a sprinkler head on a lower end of the T pipe through a flexible connection pipe; And a ceiling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ceiling through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having a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sprinkler head is located and then installing a head ring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the sprinkler head, A cylinder-shaped fixing plate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hermetically closed at the lower end by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cylindrical outer surface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prinkler head body; And a water leakage confirmation unit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capable of confirming leakage by changing color due to leaking water collected in a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And a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A leakage check sheet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extending through the outer plate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ation is low and exte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ottom plate; a leakage check sheet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leakage check sheet groove; And a leakage confirmation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akage 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plate.

이때, 상기 연결관에는 보온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connection pipe.

또한,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은, 누수된 소화수가 유입되어 상기 공간 일측에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leaking water is introduced and converged to one side of the space.

삭제delete

아울러, 상기 누수확인시트는, 염화코발트 종이에 불투습성 재질을 코팅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확인시트 설치홈에 삽입 배치 시,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부분에 흡수홀이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eakage check sheet is formed by coating a moisture-impermeable material on cobalt chloride paper. When the leak-confirmation sheet is inserted into the leak-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an absorption hole is formed in a portion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배관을 천장 슬래브 내에 배치하되, 소방배관이 배치된 슬래브의 하부를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소방배관의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fighting pipe is disposed in the ceiling slab,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ab in which the fire-fighting pipe is disposed can be open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uilding and repairing the fire-fighting pipe.

또한, 헤드링에 형성된 누수확인부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의 연결부에서 누수발생 시, 누수에 의한 전장마감재의 손상 이전에 누수확신시트의 색변화를 통해 누수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or not a leak is caused by a change in the color of the leak-proof sheet prior to the damage of the electric-field finishing material due to leakage when leakage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도 1은 스프링클러 배관(소방배관)을 슬래브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배관의 계통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이 슬래브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헤드링 설치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rinkler pipe (fire pipe) is installed inside a slab.
2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sprinkler piping system.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sprinkler pipe for fire f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figh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slab.
FIG. 5 is a view showing the AA of FIG. 4 cut. FIG.
6 is a view showing a head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head ring is installed in FIG. 5;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배관이 슬래브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절단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sprinkler pipe for fire f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e-fighting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slab.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이하 '소방배관'으로 지칭함)을 설치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천장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소방배관(20)이 설치될 위치에 매립홈(40a)과 소방배관 설치홈(40b)의 형상을 가진 거푸집을 미리 설치한 다음 천장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여 천장 슬래브 하부에 매립홈(40a)과 소방배관 설치홈(40b)을 각각 형성한다.(매립홈 및 설치홈 형성 단계: S100) Referring to FIGS. 3 to 5, a ceiling slab concrete is firstly prepared as a preliminary work for installing a fire-extinguishing sprinkler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e-fighting pipe'). The mold having the shape of the embedding groove 40a and the fire pipe installation groove 40b is installed in advance at the position where the sprinkler head 60 and the fire pipe 20 are to be installed before placing the ceiling slab concrete, The buried grooves 40a and the fire pipe installation grooves 40b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slab.

그 다음에 해당 건물에 구비된 소화수원(저수 탱크)에 입상관(미도시)을 연결 설치한다. 이때, 소화수원은 건물의 지하 또는 지상에 구비되고, 입상관은 상기 소화수원에 연결되어 건물의 외벽 내측에 수직으로 형성한다.(입상관 설치 단계: S200)After that, the building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igestive water source (reservoir) provided in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digestion water source is provided in the basement or ground of the building, and the inlet correlation is connected to the digestion water source and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그 다음으로, 다수의 분할된 소방배관(20)을 준비한 후, 하나의 분할된 소방배관(20)을 각층(각 세대)의 천장 슬래브(10) 위치 부근에서 상기 입상관과 연결시켜 분기시킨 후, 다수의 나머지 소방배관을 매립홈(40a)에 삽입 배치하여 고정한다.(소방배관 배치 고정 단계: S300) Next, after preparing a plurality of divided fire-fighting piping 20, one divided fire-fighting pipe 20 is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inlet correlation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of the ceiling slab 10 of each layer (each generation) , And a plurality of remaining fire-extinguishing pipe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burying grooves 40a. (Fire-fighting pipe arrangement fixing step: S300)

이때, 소방배관(20)의 매립홈(40a) 삽입 설치는 매립홈(4a)을 따라 일단이 매립홈(40a)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바 및 고정바의 타단에 'U'형의 걸림부를 고정 설치한 후, 상기 걸림부에 소방배관을 고정함으로써 소방배관(20)을 고정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다수의 소방배관(20)의 배치 시, 소방배관(20)이 다수로 분할되어 있음에 따라 소방배관(20)의 양단부(소방배관이 연결되는 지점)가 설치홈(40b)에 위치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은 소방배관(20)의 설치에 따라 소방배관(20)이 천장 슬래브(1)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소방배관(20)과 스프링클러 헤드(60)의 연결지점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소방배관 누수 등 이상 발생 시에 구조물을 훼손함이 없이 신속한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mbedding groove 40a of the fire-fighting pipe 2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mbedding groove 40a along one end of the embedding groove 4a and a U- The fire-fighting pipe 20 can be fixedly arranged by fixing the fire-fighting pipe to the catching portion. Since the fire pipe 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re pipes 20 when the divided fire pipe 20 is disposed, the both ends of the fire pipe 20 are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groove 40b Posi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fire-fighting piping 20, the fire-fighting piping 2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slab 1 to reduce the building heigh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e-fighting piping 20 and the sprinkler head 60 As the poin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repair quickly without damaging the structure in case of fire pipe leakage or the like.

이후 소방배관(20)의 배치 및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설치홈(40b)에서 T관(30)을 이용하여 T관(30)의 상부 양단에 분할 배치된 소방배관(20)을 각각 연결한다.(소방배관 연결단계: S400) When the installation and fixing of the fire-fighting pipe 20 is completed, the fire-fighting pipes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pipe 30 by using the T-pipe 30 in the installation groove 40b (Fire piping connection step: S400)

그 다음으로, 상기 T관(30)의 하부 단부에 보온재로 감싸진 플렉시블한 연결관(61)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61)의 타단에 스프링클러 헤드(60)를 설치한다.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단계: S500)Next, one end of a flexible connection pipe 61 surrounded by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 pipe 30, and a sprinkler head 6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61. (Sprinkler head installation step: S500)

이후, 스프링클러 헤드(6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천장마감재(50)를 이용하여 천장을 마감 처리한다.(천장마감 단계:S600) 이때, 천장 마감재(50)는 SMC 패널, 불연천장재, 알루미늄 천장재 등 건물 성향에 맞게 용이하게 선택 시공될 수 있다. 한편, 천장마감재(50)를 이용한 천장마감시, 스프링클러 헤드(60)가 위치되는 지점의 천장마감재(50)는 스프링클러 헤드(60)가 노출될 수 있는 홀이 있으며, 이 홀과 스프링클러 헤드(60) 사이의 공간을 메워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헤드링(62)이 체결된다.Thereafter,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kler head 60 is completed, the ceiling is finished using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Ceiling finishing step: S600) At this time,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is an SMC panel, a fireproof ceiling material, It can be easily selected to suit the building tend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ceiling finish using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at the position where the sprinkler head 60 is located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sprinkler head 60 can be exposed, To tighten the head ring 62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aesthetic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헤드링 설치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head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head ring is installed in FIG. 5; FIG.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헤드링(62)은 천장마감재(50)에 밀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60)와의 틈새를 가려주는 하부판(62a)과, 스프링클러 헤드(60)와 헤드링(62)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판(62b), 스프링클러 헤드(60) 몸체 외부를 감싸주는 외부판(62c)으로 구성된다. 하부판(62a)은 천장 아래쪽에서 볼 때 돌출된 스프링클러 헤드(60) 반사판과 천장마감재(50)의 높이차를 보기 좋게 마감해 주기 위하여 중앙부 쪽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다. 6 and 7, the head ring 62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62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to cover the gap with the sprinkler head 60, a sprinkler head 60, A fixing plate 62b for engaging the head ring 62 and an outer plate 62c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sprinkler head 60. [ The lower plate 62a is incli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finely finis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reflector of the sprinkler head 60 protruded when viewed from below the ceiling and the ceiling finish material 50. [

상기 고정판(62b)은 스프링클러 헤드(60) 몸체 외부에 있는 다수의 돌기와의 적정한 마찰력으로 고정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The fixing plate 62b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height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fixed by a proper friction force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outside the sprinkler head 60 body.

또한, 외부판(62c)은 스프링클러 헤드(60) 몸체와 연결관과의 나사 이음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원통형의 형상으로 고정판(62b)의 외측에 형성된다. The outer plate 62c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plate 62b in the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crew joint between the body of the sprinkler head 60 and the connecting pipe.

이러한 형태의 고정판(62b) 및 외부판(62c)은 폐쇄된 동심원의 원통형으로 하부는 하부판(62a)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판(62b) 또는 외부판(62c)의 내면을 타고 흐른 물이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 저장되게 된다. 아울러,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의 바닥면은 한 방향으로 경사(C)지게 형성되어, 이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 모이는 누수된 소화수가 경사(C)가 낮은 쪽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The fixed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of this type are formed as a closed concentric circular cylinder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to be closed by the lower plate 62a so that water flow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62b or the outer plate 62c And is stor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fixed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is inclined C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So that the leaked digestion water gather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ope C is collected.

한편, 헤드링(62)에는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연결관(61)과의 연결지점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누수확인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d ring 62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akage confirmation part for confirming the occurrence of water leakage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prinkler head 60 and the connection pipe 61.

상기 누수확인부는 상기 하부판(62a)의 상면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는 홈 형태의 누수확인시트 설치홈(62d)을 포함한다. 누수확인시트 설치홈(62d)은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서 하부판(62a)의 외각 원주측까지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서 경사(C)가 낮은 지점에서 하부판(62a)의 원주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The leakage check section includes a leak-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62d) of a groov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62a). The leakage 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62d is formed from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ower plate 62a.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62b and the outer plate 62c from the point of low inclination C to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ottom plate 62a.

또한, 상기 외부판(62c)의 외측에 위치하는 누수확인시트 설치홈(62d)의 소정위치에는 하부판(62a)을 관통하는 형태의 누수확인홀(62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누수확인시트 설치홈(62d)에는 누수확인시트(62f)가 삽입 배치된다. A leakage confirmation hole 62e penetrating the lower plate 62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sheet installation groove 62d located outside the outer plate 62c. The leak-confirmation sheet installation groove 62d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and arranged with a leak-confirmation sheet 62f.

상기 누수확인시트(62f)는 수분이 접촉하면 색(수분흡수전은 푸른색, 수분흡수 후에는 붉은색)이 변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염화코발트 종이에 불투습성 재질을 코팅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염화코발트 종이를 불투습성 재질을 코팅하는 이유는 스프링클러 헤드(60) 연결지점으로부터 발생되는 누수된 소화수 이외의 다른 영향(대기중의 습도, 또는 작업자의 접촉)에 의해 누수확인시트(62f)의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water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has a property of changing color (blue before water absorption and red when water is absorbed) upon contact with water, and may be formed by coating a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on cobalt chloride paper have. The reason why the cobalt chloride paper is coated with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is that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or the water repellent material) is coated by other influences (humidity in the atmosphere, or operator's contact) other than the water leakage water generated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prinkler head 60 To prevent the color of the color image from changing.

한편, 불투습성 재질로 코팅된 상기 누수확인시트(62f)의 일단 측에는 상기 누수확인시트(62f)에 수화수가 흡수될 수 있는 흡수홀(62g)이 타공되며, 상기 흡수홀(62g)은 누수확인시트(62f)가 누수확인시트 설치홈(62d)에 설치될 시, 고정판(62b)과 외부판(62c)의 공간(S)에 위치된다. 이때, 외부판(62c)을 기준으로 외부판(62c) 외측에 위치되는 누수확인시트(62f)의 일부는 누수확인홀(62e)을 덮게되며, 외부판(62c)과 누수확인시트(62f)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방수(실링: 62h)처리 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ne end side of the water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coated with the impermeable material, an absorption hole 62g capable of absorbing hydration water is formed in the water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The seat 62f is locat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when the sheet 62f is installed in the leakage check sheet mounting groove 62d. At this time, a part of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plate 62c with respect to the outer plate 62c covers the leakage confirmation hole 62e, and the outer plate 62c and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Sealing: 62h) is performed at the intersection point.

상기와 같이 설명한 누수확인부에 의한 누수확인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연결관(61)의 연결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된 소화수는 스프링클러 헤드(60) 몸체를 타고, 고정판(62b) 또는 외부판(62c)을 따라 흘러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 모이게 된다. 이때,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 모인 누수된 소화수는 경사(C)에 의해 누수확인시트(62f) 측으로 수렴되게 된다.The leakage water is leaked from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prinkler head 60 and the connection pipe 61. The leaking water is leaked from the sprinkler head body 60, Flows along the fixing plate 62b or the outer plate 62c and is collect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At this time, the leaking water collect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is converged toward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by the inclination C. [

이후 누수확인시트(62f) 측에 수렴된 소화수는 흡수홀(62g)을 통해 흡수되고, 흡수된 수화수에 의해 누수확인시트(62f)의 색이 푸른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소화수의 흡수에 의해 붉은색으로 색이 변하면, 감시자는 천장 하부에서 하부판(62a)에 형성된 누수확인 홀(62e)을 통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인지함으로써 누수 발생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digested water converged on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side is absorbed through the absorption hole 62g, and the color of the leak confirmation sheet 62f is changed from blue to red due to the absorbed water. If the color changes to red due to the absorption of the digested water, the supervisor can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leak is generated by recognizing that the leak is generated through the leak confirmation hole 62e formed in the lower plate 62a in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이와 같은 누수확인부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60)의 연결부에서 누수발생 시, 누수에 의한 전장마감재(50)의 손상 이전에 누수확신시트(62f)의 색변화를 통해 누수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누수가 발생되는 초기 시점부터 누수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ak check section, when leakage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60, whether or not the leakage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leak-proof sheet 62f before the damage of the electric-field finishing material 50 due to leakage have.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leakage has occurred from the initial point of occurrence of leakage.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60)의 누수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음에 따라, 천장마감재(50)의 손상 또는 실내로 유입되는 소화수에 의해 전자기기와 같은 물건들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of the sprinkler head 60 e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50 or damage to objects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due to the digestion water flowing into the room.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60)의 누수여부가 최초로 발생되어 누수확인시트(62f)의 색이 변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다소 경과된 경우라도, 고정판(62b)과 외부판(62c) 사이의 공간(S)에 소정량의 누수된 소화수가 모여 저장됨에 따라, 누수 확인을 위한 검사주기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갑작스런 누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가 발생되어 누수확인시트의 색이 변한 헤드링은 교체해줌으로써 관련부분의 관리 및 보수 또한 상당히 용이한 장점이 있다.Even if the leakage of the sprinkler head 60 occurs for the first time and the time elapses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lor of the leakage confirmation sheet 62f has changed, the space S between the fixing plate 62b and the outer plate 62c, A predetermined amount of leaking digestion water is collected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spection period for checking the leak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a sudden leakage of water. Also, the head ring, which has changed the color of leak-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related part are also considerably facilit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슬래브 20: 소방배관
30: T관
40a: 배립홈 40b: 설치홈
50: 천장마감재 60: 스프링클러 헤드
61: 연결관 62: 헤드링
62a: 하부판 62b: 고정판
62c: 외부판 62d: 누수확인시트 설치홈
62e: 누수확인홀 62f: 누수확인시트
62g: 흡수홀 62h: 실링부
10: slab 20: fire pipe
30: T tube
40a: Arrangement groove 40b: Arrangement groove
50: ceiling finish material 60: sprinkler head
61: Connector 62: Head ring
62a: Lower plate 62b: Fixing plate
62c: outer plate 62d: leak 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62e: Leak check hole 62f: Leak check sheet
62g: absorption hole 62h: sealing part

Claims (5)

스프링클러헤드의 상부에 천장 슬래브 하면으로부터 내부로 천설된 상자 형상의 매립홈과 상기 매립홈을 연결하되 배관 경로 상에 천장 슬래브 하면으로부터 내부로 천설된 배관 설치홈을 형성하는 매립홈 및 설치홈 형성 단계;
소화수원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고, 타단이 각 세대 또는 각 층의 천장 슬래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입상관을 설치하는 입상관 설치 단계;
분할된 다수의 소방배관 중 하나를 상기 입상관과 연결시켜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분기시키고, 그 외의 다수의 소방배관을 매립홈에 삽입 배치하여 고정하되, 매립홈에 배치 고정된 소방배관들의 양단이 설치홈에 위치되도록 하는 소방배관 배치 고정 단계;
상기 매립홈에서 T관을 이용하여 T관의 상부 양단에 소방배관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소방배관 연결단계;
상기 T관의 하부 단부에 플렉시블한 연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단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위치되는 지점에 홀이 형성된 천장마감재 통해 천장을 마감처리한 후, 천장마감재와 스프링클러 헤드의 틈을 커버하는 헤드링을 설치하는 천장마감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링은
중앙부 쪽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원판형의 하부판과,
스프링클러 헤드와 헤드링을 결합시켜주는 원통형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에 의해 하단이 밀폐되고, 스프링클러 헤드 몸체 외부를 감싸주는 원통형의 외부판 및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에 모여진 누수된 소화수에 의해 색이 변함으로써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누수확인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누수확인부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깊이를 갖으며,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의 경사가 낮은 지점에서 외부판을 관통하여 하부판의 원주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홈 형태의 누수확인시트 설치홈과,
상기 누수확인시트 설치홈에 삽입 배치되는 누수확인시트와,
상기 외부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누수확인시트 설치홈의 소정위치에는 하부판을 관통하는 형태의 누수확인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A filling groove and an installation groove forming step of connecting the buried grooves to the box-shaped embedding grooves which are tilted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slab to the sprinkler head,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ourc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eiling slab of each generation or each floor;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fire-extinguishing pipes is connected to the inlet correlation and branched from the inlet correlation, and a plurality of other fire-extinguishing pipe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lling grooves, and both ends of the fire- A fire piping arrangement fixing step of positioning the fire piping to be positioned in the groove;
A fire pipe connection step of connecting fire pipe ends to both ends of the T pipe using the T pipe in the embedding groove;
Installing a sprinkler head at a lower end of the T pipe through a flexible connection pipe;
And a ceiling finishing step of finishing the ceiling through a ceiling finishing material having a hole at a position where the sprinkler head is located and then installing a head ring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ceiling finishing material and the sprinkler head,
The head ring
A disk-shaped bottom plat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A cylindrical fixed plate for coupling the sprinkler head and the head ring,
A cylindrical outer plat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plate and hermetically closed at the lower end by the lower plate and covering the outside of the sprinkler head body,
And a water leakage confirmation unit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capable of checking whether the water leaks due to a change in color due to leaking water collected in a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The leakage check unit
A leak-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to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lower plate at a position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is low, and,
A leakage check sheet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leakage 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And a leakage confirmation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akage check sheet installation groov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plate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bottom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보온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ipe is formed wit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은, 누수된 소화수가 유입되어 상기 공간 일측에 수렴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is inclined so that the leaking water is introduced and converged to one side of the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수확인시트는,
염화코발트 종이에 불투습성 재질을 코팅한 구조로 형성되고, 누수확인시트 설치홈에 삽입 배치 시, 상기 고정판과 외부판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부분에 흡수홀이 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k check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Characterized in that a cobalt chloride paper is coated with a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and an absorption hole is punctured in a portion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outer plate when the cap is inserted into the leak- Piping construction method.
KR1020160046234A 2016-04-15 2016-04-15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KR101643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4A KR101643570B1 (en) 2016-04-15 2016-04-15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34A KR101643570B1 (en) 2016-04-15 2016-04-15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570B1 true KR101643570B1 (en) 2016-07-28

Family

ID=5668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34A KR101643570B1 (en) 2016-04-15 2016-04-15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5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8B1 (en) * 2018-10-12 2019-06-03 한정화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KR20190125235A (en) 2019-09-19 2019-11-06 거림소방(주) Standard modularized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pip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200491807Y1 (en)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Sprinkler head protection device having water leak sensing device
KR20220001888A (en) 2020-06-30 2022-01-06 거림소방(주) Standard modular piping for custom sprinkler instal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73A (en) * 1998-07-21 2000-02-08 Nohmi Bosai Ltd Sprinkler head
JP2001058013A (en) * 1999-08-20 2001-03-06 Sekisui Chem Co Ltd Piping structur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0431866Y1 (en) * 2006-07-23 2006-11-27 연규문 An ornamental ring of sprinkler head
KR100955049B1 (en) * 2007-02-12 2010-04-28 주식회사 미토코리아 Sprinkler Pip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473A (en) * 1998-07-21 2000-02-08 Nohmi Bosai Ltd Sprinkler head
JP2001058013A (en) * 1999-08-20 2001-03-06 Sekisui Chem Co Ltd Piping structure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0431866Y1 (en) * 2006-07-23 2006-11-27 연규문 An ornamental ring of sprinkler head
KR100955049B1 (en) * 2007-02-12 2010-04-28 주식회사 미토코리아 Sprinkler Pip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28B1 (en) * 2018-10-12 2019-06-03 한정화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KR20190125235A (en) 2019-09-19 2019-11-06 거림소방(주) Standard modularized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pip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200491807Y1 (en) * 2019-09-27 2020-06-08 주식회사 피에프이엔씨 Sprinkler head protection device having water leak sensing device
KR20220001888A (en) 2020-06-30 2022-01-06 거림소방(주) Standard modular piping for custom sprinkler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70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ire extinguishing sprinkler piping
US8813336B1 (en) Sleeve coupling
KR101809911B1 (en) drain water modularized piping in building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by
KR102398398B1 (en) Construction device for granular tube attached with fireproof filler
KR101915143B1 (en) Wall water panel
KR200417638Y1 (en) piping inspect of a wall reclamation style that insulation attached
KR102007127B1 (en) 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KR10195431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wall water panel
KR20190002597U (en) Horizon type hot water distributor
KR101375123B1 (en) Safety diagnosis system of underground cable
JP6463208B2 (en) Drainage pip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80075437A (en) Sprinkler pip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KR100935550B1 (en) Alarm valve assembly of sprinkler system with verification function
CN103003499B (en) Box-type distributor and plumbing system using same
FI84743C (en)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AV LAECKAGE I ROERLEDNING FOERANLEDDA VATTENSKADOR I BYGGNADER.
KR20100037227A (en) A water supply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50097400A (en) Establishment structure of fire pipe in apartment house and establishment method by using of it
KR200496747Y1 (en) Fixing device for riser pipe
JP2016130426A (en) Coupling, pipe and piping structure
KR20190116784A (en) Wall water panel
KR20210001184A (en) Sleeve for heating pipe
JP7297139B1 (en) Inspection method for water stoppage of outer layer member in drainage collecting pipe
JP4145058B2 (en) Outer wall penetration structure of vertical piping
JP2006322606A (en) Smoke insulation sheet and structure
KR20130017385A (en) A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pipe connecting structure of pipe la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