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81U -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81U
KR20190002581U KR2020180001534U KR20180001534U KR20190002581U KR 20190002581 U KR20190002581 U KR 20190002581U KR 2020180001534 U KR2020180001534 U KR 2020180001534U KR 20180001534 U KR20180001534 U KR 20180001534U KR 20190002581 U KR20190002581 U KR 201900025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coupled
limit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의경
Original Assignee
한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경 filed Critical 한의경
Priority to KR2020180001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581U/ko
Publication of KR20190002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와 관련된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일단이 등받이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다리로 연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좌판이 놓여지고 다른 일단은 별도의 다리로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좌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Frame for chair and folderable chai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접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의자용 프레임과 이러한 의자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접힘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기본적인 다리, 좌판 및 등받이의 구성 외에도 사용처에 따라 목 받침, 팔걸이 등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안마를 위한 전동기구를 비롯하여 평탄하게 변형되는 가변형 의자 등 변형의 예는 무수하다.
의자의 편의성을 개선하는 방안 중 하나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접힘이 가능한 의자는 보관 및 이동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힘이 가능한 대표적인 구조 중 하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413호에 기재되어 있다.
선행문헌에는 의자의 좌판을 중심으로 하여 상측과 하측에 링크 구조가 있고 의자 역시 링크 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의자가 접히면서 좌판이 함께 접히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의자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필요하게 되며 반복 사용에 의해 각 부품들의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링크 구조의 정확도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9413호 (2005.07.01)
본 고안은 링크 구조 없이 프레임의 접힘과 좌판의 접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이 향상된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시한다.
또한, 의자가 펼쳐질 때 다리의 각도를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를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의자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일단이 등받이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다리로 연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좌판이 놓여지고 다른 일단은 별도의 다리로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좌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한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외측에 일정 각도를 따라 절개된 홈이 형성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한부재에 형성된 홈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상기 의자용 프레임, 상기 의자용 프레임의 제1프레임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등받이 및 상기 의자용 프레임의 제3프레임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회전이 가능한 좌판을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게 의자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조립,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프레임의 접힘과 좌판의 접힘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링크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의자가 펼쳐질 때 다리의 각도를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을 포함한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자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고안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을 포함한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10)은, 제1프레임(1), 제2프레임(2), 연결부재(3) 및 제3프레임(4)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은 일단이 등받이(30)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다리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프레임(1)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등받이(30)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의 단부에는 등받이(30)가 결합되고 다리로 연결되는 다른 일단은 절곡되어 다리를 형성한다.
제2프레임(2)은 제1프레임(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좌판(20)이 놓여지며 다른 일단은 별도의 다리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프레임(2)은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에는 좌판(20)의 일측이 놓여지고 하부는 절곡되어 다리를 형성한다.
연결부재(3)는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 사이에 개재되어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의 접힘이 가능하다. 연결부재(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제3프레임(4)은 제2프레임(2)에 결합되는 한편 이 제3프레임(4)에 좌판(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좌판(20)도 접힘이 가능하게 된다. 제3프레임(4)은 제2프레임(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3)과 제3프레임(4)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ㅏ'자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의자용 프레임(10)에 있어서 등받이(30)가 제1프레임(1)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좌판(20)이 제3프레임(4)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의자(100)를 이룬다. 의자(100)로 사용할 때, 좌판(20)의 일측은 제3프레임(4)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은 제2프레임(2)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좌판(2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의자용 프레임(10)과 의자(100)는, 간단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조립,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별도의 링크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이 절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3)는, 축부재(31), 제한부재(32) 및 걸림부재(33)를 포함한다.
제한부재(32)는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에 결합되고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321)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제한부재(32)는 제1프레임(1)에 결합되어 있다. 제한부재(32)는 용접에 의해 제1프레임(1)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재(33)는 제한부재(32)와 대응되도록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에 결합되고 제한부재(32)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321)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면에서 걸림부재(33)는 제2프레임(2)에 결합되어 있다. 걸림부재(33)는 용접에 의해 제2프레임(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축부재(31)가 제1프레임(1), 제한부재(32), 걸림부재(33) 및 제2프레임(2)을 차례로 관통하여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을 축결합시킨다. 축부재로는 나사나 리벳 등의 여러 가지 공지된 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는, 날개(332)를 가진 걸림부재(33)와 다각 기둥 형태의 돌기(321)를 가진 제한부재(32)를 포함하여 각 프레임의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한다.
상세하게는 걸림부재(33)는, 축부재(31)와 결합되고 제한부재(32)에 형성된 돌기(321)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 몸체(331)에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돌기(321)와 접촉하는 날개(332)가 형성된다.
한편 제한부재(32)는 축부재(31)와 결합되는 평판(322)에 일정 각도로 다각 기둥 형태의 돌기(32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일례로 원기둥 형태의 한 쌍의 돌기(321)가 도시되어 있다.
걸림부재(33)의 날개(332)가 한 쌍의 돌기(321)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프레임의 접힘이 가능하다.
한 쌍의 돌기(321)가 배치되는 각도는 돌기(321) 자체의 크기를 고려하여 의도한 각도 범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의자(100)가 펼쳐지는 각도로 150도 정도의 각도를 의도하는 경우 돌기의 중심으로부터 축부재를 거쳐 다른 돌기의 중심이 이루는 각도는 15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각 기둥 형태의 돌기(321)는 별도로 제작하여 평판(322)에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돌기(321)의 일단을 나사로 형성하여 평판(322)에 체결한 후 너트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으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각도 제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신속하게 의자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는 걸림부재(33)의 형태가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제한부재(32)의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33)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한부재(32)는 축부재(31)와 결합되는 평판(322)에 일정한 각도를 두고 프레싱된 형태의 돌기(321)가 형성된 것이다.
돌기(321)를 프레싱하여 형성하는 방법은 일자 형태의 절개홈(323)을 형성한 후 프레싱하여 삼각뿔 형태로 돌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소재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기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솟아오른 'ㅅ'자 형태의 돌출면(324)이 날개(332)와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절개홈(323)은 원의 중심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한 쌍의 돌기(321)의 돌출면(324)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솟아오른 돌출면(324) 전체가 날개(332)와 접하도록 각도를 주어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는,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31)와,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에 결합되고 외측에 일정 각도를 따라 절개된 홈(325)이 형성되는 제한부재(32) 및 제한부재(32)와 대응되도록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에 결합되고 제한부재(32)에 형성된 홈(325)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돌출부(333)가 형성된 걸림부재(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부재(32)와 걸림부재(33)는 기본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판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 제한부재(32)에는 원호 형상의 홈(325)이 형성되고 걸림부재(33)에는 외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33)를 구비함으로써 이 돌출부(333)가 제한부재(32)의 홈(325)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한편 홈(325)의 양 끝단부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각도가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부재(32)와 걸림부재(33)의 홈 가공과 돌출부의 가공이 단순하여 가공이 편리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한부재와 걸림부재의 형상을 유사하게 할 수 있어 부품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는 걸림부재 없이 다음과 같은 제한부재를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는,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31) 및 제1프레임(1)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1) 또는 제2프레임(2)의 회전에 의해 제2프레임(2)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제한부재(32)를 포함한다. 제한부재(32)는 제1프레임(1)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한부재(32)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짧은 파이프의 형상으로서 절곡된 양 끝단부(326)가 내측을 바라보는 상태로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의자(100)가 펼쳐질 때는 양 끝단부(326)에 제2프레임(2)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걸려 적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리 부분이 벌어지는 각도의 조절은 제한부재(32)의 'ㄷ'자 형태의 크기를 조절하여 달성할 수 있으며 이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이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의 제한부재(32)는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이 필요하지만 제1프레임(1)이나 제2프레임(2)의 외측에 배치되고 양 끝단부(326)가 제2프레임(2)이나 제1프레임(1)에 이르도록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축부재(31)에 결합될 뿐 고정시키지 않고 축부재(3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한부재의 양 끝단부(326)에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이 각각 걸려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의자가 접혀질 때는 제한부재를 각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제2프레임(2)이 걸림부재(33)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걸림부재(33)가 필요하지 않아 부품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공할 부품도 줄어들어 작업이 편리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연결부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는 원리가 제4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제한부재(32)의 형태가 변형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저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4실시예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한부재(32)는 '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짧은 파이프의 형상으로서 제한부재(32)의 내부의 관통홀(327)로는 제2프레임(2)이 통과하는 상태로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의자(100)가 펼쳐질 때는 양 끝단부(326)에 제2프레임(2)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걸려 적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한부재(32)는 기본적으로 제4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하지만 'ㄷ'자 형태의 단면보다는 '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가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이므로 더 얇은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지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한부재(32)의 폭을 크게 하여 관통홀(327)에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이 모두 통과하는 구조를 채택하면 제한부재(32)는 축부재(31)에 결합될 뿐 고정되지 않고 축부재(31)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한부재(32)에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이 각각 걸려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의자가 접혀질 때는 제한부재를 각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제1프레임 2 : 제2프레임
3 : 연결부재
31 : 축부재
32 : 제한부재 321 : 돌기 322 : 평판 323 : 절개홈
324 : 돌출면 325 : 홈 326 : 끝단부 327 : 관통홀
33 : 걸림부재 331 : 몸체 332 : 날개 333 : 돌출부
4 : 제3프레임
100 : 의자 10 : 의자용 프레임 20 : 좌판 30 : 등받이

Claims (5)

  1. 의자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일단이 등받이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다리로 연결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 좌판이 놓여지고 다른 일단은 별도의 다리로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좌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프레임
    을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돌출되는 한쌍의 돌기가 형성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한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외측에 일정 각도를 따라 절개된 홈이 형성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한부재에 형성된 홈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축결합시키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걸려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제한부재
    를 포함하는 의자용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프레임,
    상기 의자용 프레임의 제1프레임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등받이 및
    상기 의자용 프레임의 제3프레임에 연결되어 결합되고 회전이 가능한 좌판
    을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KR2020180001534U 2018-04-06 2018-04-06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KR201900025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34U KR20190002581U (ko) 2018-04-06 2018-04-06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34U KR20190002581U (ko) 2018-04-06 2018-04-06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81U true KR20190002581U (ko) 2019-10-16

Family

ID=6838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34U KR20190002581U (ko) 2018-04-06 2018-04-06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58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13Y1 (ko) 2005-04-13 2005-07-14 임주택 접이식의자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413Y1 (ko) 2005-04-13 2005-07-14 임주택 접이식의자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7151C (en) Folding x-frame chair with extended backrest
US9345329B2 (en) C-folding chair
EP3189751B1 (en) A folding chair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US4609225A (en) Folding chair with membrane shell
KR101468703B1 (ko) 의자용 등받이
US7017991B1 (en) Folding lounge chair
GB2120538A (en) Furniture construction
FR2721811A1 (fr) Fauteuil de relaxation
US11399998B2 (en) Foldable electric bed
US3851914A (en) Collapsible chair
KR20150046490A (ko) 의자
KR20190002581U (ko) 의자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자
US3359036A (en) All-purpose back-rest
US4299423A (en) Knockdown settee
JP2019030642A (ja) 折り畳み式椅子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US4366599A (en) Chair hinge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JPH0612680Y2 (ja) 折畳椅子
JPH09201215A (ja) ステッキ・椅子
JPH0132902Y2 (ko)
CN218551828U (zh) 一种折叠椅
US6517152B1 (en) Folding chair enabling reduced collapse height and volume
KR102561324B1 (ko) 절첩식 휠 보행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