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61U - 풍지판 - Google Patents
풍지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2561U KR20190002561U KR2020180001508U KR20180001508U KR20190002561U KR 20190002561 U KR20190002561 U KR 20190002561U KR 2020180001508 U KR2020180001508 U KR 2020180001508U KR 20180001508 U KR20180001508 U KR 20180001508U KR 20190002561 U KR20190002561 U KR 2019000256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side wall
- window
- window fram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두 개의 변형 부분이 창호 틀에 장착한 풍지판 위로 창호 짝이 두 번에 걸쳐 면 접촉하게 하게 구성하여 우수나 이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변형 부분을 지지하는 측벽 부분이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은 두께로 구성하므로, 창호 짝이 이 변형 부분에 닿았을 때 쉽게 변형하여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을 신속하게 차단하거나 복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측벽 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바깥으로 볼록하게 구성하므로, 이 측벽 부분이 지지하는 변형 부분에 창호 짝이 지나가면서 변형 부분이 눌림에 따라 변형 부분과 측벽 부분이 쉽게 변형을 일으키면서 틈새를 없애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풍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틀에 시공한 창호 짝을 닫으면, 두 개의 창호 짝이 겹치는 부분에 설치한 풍지판이 창호 짝과 두 번에 걸쳐 면 접촉하게 하고, 두 개의 면 접촉하는 부분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구성하므로, 풍지판이 창호 짝과 접촉하는 면적을 늘려 빗물이나 이물이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특히 바깥쪽의 접촉 부분을 통해 빗물이나 이물이 안으로 들어오더라도 두 개의 면 접촉하는 부분 사이에 갇히게 하여 빗물이나 이물이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 프레임에는 창틀 프레임과 창짝 프레임 사이에 틈새를 없애 외부에서 우수나 이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이 풍지판(Filling Piece)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의 도면을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창틀 프레임(10)에는 창틀 프레임(10)과 창짝(20) 사이에 틈새를 막을 수 있도록 필링 피스(30)를 장착한다. 이때, 필링 피스(3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진 몸체부(31), 그리고 이 몸체부(31)의 한쪽 면에 여러 개로 분할 형성하되 서로 떨어지게 배치하여 틈새를 막아주는 여러 개의 분할 편(3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필링 피스(30)는 오래 사용하다 보면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에 의해 분할 편(33)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구부러짐에 따라 창호의 기밀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강풍과 폭우가 동반될 경우 필링 피스(30)의 분할 편(33) 사이로 바람과 함께 물이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선한 필링 피스(100)가 개발됐다. 개선한 필링 피스(100)는, 창틀 프레임(10)과 창짝(20) 사이의 틈새 공간(M)을 막아 기밀을 유지해주는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 피스에서, 상기 창틀 프레임(10)의 내주 면에 삽입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에 아치형 판체로 이격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창짝(20)의 닫힘 시 상기 틈새 공간(M)을 막아주는 탄성 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120)의 외주 면에는 창짝(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중심부(M)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밀착 부재(123)가 이격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창짝(20)의 닫힘 시 수직 중심부(M)가 창짝(20)의 저면에 맞닿아 눌려짐과 동시에 상기 밀착 부재(123)의 상단이 창짝(20) 저면측으로 선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측에는, 상기 창틀 프레임(10)에 구비된 레일(11)과 레일(11) 사이의 홈부(12)에 견고한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철부(111)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필링 피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창짝을 닫으면 탄성 부재가 변형되면서 틈새를 막아주는 구성으로, 창짝을 여닫는 횟수가 많아지고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이 탄성 부재가 경화로 탄성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2) 특히, 이 탄성 부재는 창짝과 면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물과 우수 등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나, 이처럼 탄성 부재의 파손은 이러한 기능을 잃게 되어 이물과 우수의 실내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3) 또한, 탄성 부재의 양쪽에 형성한 밀착 부재는 탄성 부재와 함께 창짝에 밀착하여 밀착성을 높이나 이들 밀착 부재는 창짝과 선 접촉하므로, 쉽게 변형이 되면서 이물과 우수 등의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4) 게다가, 이러한 밀착 부재는 편 형태로 돌출 성형하므로, 창짝을 자주 여닫거나 오랜 시간이 지나고, 특히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됨에 따라 쉽게 경화하여 깨지거나 부서져서 우수나 이물의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베이스 위로 돌출하게 형성한 두 개의 변형 부분이 창호 틀에 장착한 풍지판 위로 창호 짝이 두 번에 걸쳐 면 접촉하게 하게 구성하여 우수나 이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또한 두 개의 면 접촉하는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면 접촉 부분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면 접촉하는 부분을 통해 우수나 이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각 변형 부분을 지지하는 측벽 부분이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은 두께로 구성하여 변형 부분을 지지하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이 이 변형 부분에 닿았을 때 쉽게 변형하여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을 신속하게 차단하게 하고, 또한 이 변형 부분에서 창호 짝이 벗어남에 따라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게 한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측벽 부분이 서로 마주하여 휘어짐에 따라 바깥으로 볼록하게 돌출한 형태가 되게 구성하므로, 이 측벽 부분이 지지하는 변형 부분에 창호 짝이 지나가면서 변형 부분이 눌림에 따라 변형 부분과 측벽 부분이 쉽게 변형을 일으키면서 틈새를 없애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 풍지판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은, 창호 틀(S)에 장착하여 창호 짝(F)과의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풍지판에서, 창호 틀(S)의 바닥에 밀착하게 설치하는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측벽 부분(2); 상기 두 개의 측벽 부분(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에 일체로 돌출 성형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3); 및 이웃한 측벽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에 베이스(1)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볼록하게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두 개의 변형 부분(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1)에는, 창호 틀(S)과 마주하는 면에 유도 홈(1')을 형성하되, 상기 유도 홈(1')은 양단이 각각 두 개의 측벽 부분(2)을 형성한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노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도 홈(1')은, 상기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와 교차한 직선 형태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S"자가 연속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 부분(2)은, 상기 베이스(1)에서 바깥으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벽 부분(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바깥으로 휘어지게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 부분(4)은, 상기 베이스(1)에서 멀리 돌출할수록 얇아지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1)에는, 상기 측벽 부분(2)을 형성하지 않은 양쪽 가장자리에 베이스(1) 밖으로 끝이 돌출하여 창호 틀(S)에 걸려서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쇠(1")를 인서트 사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창호 짝을 슬라이딩함에 따라 두 개의 변형 부분이 창호 틀과 창호 짝 사이에 생긴 틈새를 막아 주므로, 우수와 이물 등을 이중으로 막아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두 번에 걸쳐 우수와 이물 등의 실내 유입을 막아주므로, 어느 하나의 변형 부분이 파손이나 변형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변형 부분을 통해 우수와 이물 등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 또한, 이들 변형 부분은 창호 틀에 고정하는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얇게 제작하므로, 창호 짝이 이 변형 부분과 겹쳐짐에 따라 변형 부분이 쉽게 변형하여 창호 짝과의 사이에 생긴 틈새를 막아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또한, 이들 변형 부분을 지지하는 측벽 부분은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구성하므로, 변형 부분이 쉽게 변형할 수 있게 하여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5) 그리고, 두 개의 측벽 부분은 서로 마주하며 바깥으로 돌출하여 휘어지게 구성하므로, 변형 부분에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됨에 따라 측벽 부분이 휘어졌다가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복원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복원력은 변형 부분이 창호 짝과의 사이에 생긴 틈새를 없앨 때, 이 변형 부분을 강하게 밀어내면서 밀착 효과를 높여 주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풍지판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창호 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창호 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창호 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창호 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베이스(1), 두 개의 측벽 부분(2),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3), 그리고 두 개의 변형 부분(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변형 부분(4)은 이웃한 측벽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를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10) 밖으로 돌출하게 구성함으로써, 변형 부분(4)의 두 번 볼록하게 돌출한 부분 사이에 공간이 만들어지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이 창호 짝에 밀착할 때 두 번에 걸쳐 면 접촉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 부분(2)은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하는 데, 베이스(1)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구성하므로, 상기 측벽 부분(2)의 끝에 형성한 변형 부분(4)이 쉽게 변형하여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고, 변형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때 쉽게 돌아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 부분(2)은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게 일체로 돌출 성형하는 데, 이때 이들 측벽 부분(2)이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휘어지게 구성함으로, 변형 부분(4)이 눌림에 따라 측벽 부분(2)도 신축적으로 휘어지면서 변형 부분(4)이 쉽게 변형되게 하고, 변형 부분(4)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는 측벽 부분(2)도 쉽게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변형 부분(4)은 베이스(1)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F)과 접촉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얇게 제작하게 되어 변형 부분(4)이 쉽게 변형하면서 창호 짝(F)과의 밀착력을 높여 우수나 이물 등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S"는 통상적으로 격자 형태로 제작하는 창호 틀을, "F"은 통상적으로 격자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창호 틀(S) 안에서 여닫을 수 있게 제작한 창호 짝을 각각 나타낸다.
<베이스>
베이스(1)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여, 창호 틀(S)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베이스(1)는 창호 틀(S)에 창호 짝(F)을 안내하는 가이드 사이나, 이 가이드와 창호 틀(S)의 가장자리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므로, 양쪽 가장자리가 나란한 평행사변형이나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베이스(1)는, [도 6] 및 [도 7(b)]와 같이, 창호 틀(S)에 마주하는 바닥 면에 유도 홈(1')을 형성한다. 유도 홈(1')은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S)에 장착했을 때 실내 측의 우수나 이물 등을 실외 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하는 홈을 말한다.
이러한 유도 홈(1')은, [도 6]과 같이 풍지판을 창호 틀(S)에 장착했을 때, 우수나 이물이 창호 틀(S)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므로,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직선 형태로 형성하면 유도 홈(1')으로 유도되던 우수나 이물 등이 다시 실내 측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유도 홈(1')은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와 교차하게 형성하여 풍지판을 창호 틀(S)에 장착했을 때, 이 유도 홈(1')이 창호 틀(S)과 소정의 각도만큼 교차한 형태가 되게 형성하거나, 단차 형태로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S"자가 연속한 형태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베이스(1)에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S)에 끼워서 삽입할 때 이 창호 틀(S)에 걸려서 억지로 변형되면서 풍지판을 고정할 수 있게 걸림 쇠(1")를 갖춘다. 이때, 걸림 쇠(1")는 베이스(1)와 같이 고무나 실리콘 등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금속과 같이 견고한 재질을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을 창호 틀(S)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 부분>
측벽 부분(2)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일체로 돌출 성형한다. 이때, 측면 부분(2)은 후술할 변형 부분(4)을 지지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변형 부분(4)이 쉽게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변형 부분(4)이 원래 상태로 복원할 때는 쉽게 복원할 수 있게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측벽 부분(2)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유도 홈(1')의 양끝을 형성한 양쪽 가장자리에 일체로 돌출 성형한다.
한편, 상기 측벽 부분(2)은, [도 7] 및 [도 8(a)]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 성형하게 되는 데, 이때 베이스(1)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1)에서 바깥으로 돌출한 끝 부분에는 후술할 변형 부분(4)을 일체로 성형하는 데, 이 변형 부분(4)에 창호 짝(F)이 닫히면서 외력이 가해졌을 때 변형 부분(4)과 함께 측벽 부분(2)의 끝 부분이 쉽게 변형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벽 부분(2)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 성형하는 데, 이때 마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휘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벽 부분(2) 끝에 일체로 형성한 변형 부분(4)에 힘이 가해질 때 측벽 부분(2)이 바깥으로 휘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복원력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지지 부분>
지지 부분(3)은, [도 5]·[도 7] 및 [도 8]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에 상기 두 개의 측벽 부분(2) 사이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지지 부분(3)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후술할 변형 부분(4)의 길이 중간 부분을 지지하여, 변형 부분(4)이 이 지지 부분(3)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휘어진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기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 부분(3)은 베이스(1) 위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두 개의 측벽 부분(2) 사이에 두 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두 개의 지지 부분(3)은 이웃한 측벽 부분(2)과 같은 형태로 휘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이웃한 측벽 부분(2)가 같은 형태로 휘거나 펼쳐지면서 복원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3)은, [도 8]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에서 돌출한 측벽 부분(2)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변형 부분(4)이 측벽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에 돌출하게 형성하는 데, 이때 변형 부분(4)의 돌출 부분이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가 더 높게 돌출하게 구성하므로, 창호 짝(F)이 변형 부분(4)을 누를 때 창호 짝(F)과의 면 접촉 면적을 늘려 밀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지지 부분(3)은 두 개를 형성함으로써, 이웃한 측면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변형 부분(4)을 돌출 성형하고, 이웃한 두 개의 지지 부분(3)을 변형 부분(4)으로 연결하게 구성하므로, 돌출한 두 개의 변형 부분(4) 사이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틈새는 변형 부분(4)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유도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먼지나 이물 등이 어느 하나의 변형 부분(4)을 넘어오더라도 다른 변형 부분(4)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3)은 두 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를 형성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변형 부분>
변형 부분(4)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양단이 상술한 두 개의 측벽 부분(2)에 일체로 형성하고, 길이 중간 부분이 상술한 지지 부분(3)과 일체로 이루어지게 성형한다.
이때, 상기 변형 부분(4)은, [도 5]·[도 7] 및 [도 8]과 같이, 측벽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에 연결한 변형 부분(4)의 일부가 베이스(1)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호 짝(F)을 닫거나 열 때 창호 짝(F)이 이 볼록한 부분을 누름에 따라 창호 짝(F)에 변형 부분(4)이 밀착하면서 우수나 이물 등이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형 부분(4)은, [도 8(a)]와 같이, 돌출한 부분이 베이스(1)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호 짝(F)을 닫을 때 이 창호 짝(F)과 먼저 접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제작함으로써, 변형 부분(4)이 창호 짝(F)과 잘 밀착하고, 창호 짝(F)을 닫을 때는 쉽게 복원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풍지판은 변형 부분이 마치 3자 형태로 휘어지게 구성하므로, 두 개의 돌출 부분이 창호 짝와 차례로 맞닿으면서 변형을 일으키고, 이에 풍지판과 창호 짝 사이에 두 번에 걸쳐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우수와 이물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변형 부분의 돌출 부분 중에서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돌출 부분을 통해 이러한 우수나 이물의 실내 유입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풍지판이 쉽게 변형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서, 천연고무나 인조고무, 그리고 실리콘과 같이 자체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베이스
1' : 유도 홈
1" : 걸림 쇠
2 : 측벽 부분
3 : 지지 부분
4 : 변형 부분
1' : 유도 홈
1" : 걸림 쇠
2 : 측벽 부분
3 : 지지 부분
4 : 변형 부분
Claims (7)
- 창호 틀(S)에 장착하여 창호 짝(F)과의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풍지판에서,
창호 틀(S)의 바닥에 밀착하게 설치하는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하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측벽 부분(2);
상기 두 개의 측벽 부분(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에 일체로 돌출 성형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분(3); 및
이웃한 측벽 부분(2)과 지지 부분(3) 사이에 베이스(1)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볼록하게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두 개의 변형 부분(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1)에는,
창호 틀(S)과 마주하는 면에 유도 홈(1')을 형성하되, 상기 유도 홈(1')은 양단이 각각 두 개의 측벽 부분(2)을 형성한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 쪽으로 노출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2항에서,
상기 유도 홈(1')은,
상기 베이스(1)의 양쪽 가장자리와 교차한 직선 형태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한 번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S"자가 연속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1항에서,
상기 측벽 부분(2)은,
상기 베이스(1)에서 바깥으로 멀어질수록 얇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1항에서,
상기 측벽 부분(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바깥으로 휘어지게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1항에서,
상기 변형 부분(4)은,
상기 베이스(1)에서 멀리 돌출할수록 얇아지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베이스(1)에는,
상기 측벽 부분(2)을 형성하지 않은 양쪽 가장자리에 베이스(1) 밖으로 끝이 돌출하여 창호 틀(S)에 걸려서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쇠(1")를 인서트 사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지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508U KR200490286Y1 (ko) | 2018-04-04 | 2018-04-04 | 풍지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508U KR200490286Y1 (ko) | 2018-04-04 | 2018-04-04 | 풍지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561U true KR20190002561U (ko) | 2019-10-14 |
KR200490286Y1 KR200490286Y1 (ko) | 2019-10-22 |
Family
ID=6816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508U KR200490286Y1 (ko) | 2018-04-04 | 2018-04-04 | 풍지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28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9029B1 (ko) * | 2019-12-30 | 2020-09-23 | (주) 한길 | 창틀용 필링피스 |
KR20210119811A (ko) * | 2020-03-25 | 2021-10-06 | 주식회사 대신시스템 | 차음 성능 향상을 위한 창호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777A (ja) * | 1992-09-11 | 1994-04-05 | Misawa Homes Co Ltd | サッシ枠と窓枠との水密パッキン |
JP2008038440A (ja) * | 2006-08-04 | 2008-02-21 | Tsuchiya Tsco Co Ltd | 隙間材 |
KR20140022151A (ko) * | 2012-08-13 | 2014-02-24 | (주)엘지하우시스 |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
KR101520155B1 (ko) | 2012-09-14 | 2015-05-14 | (주)엘지하우시스 |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
KR200479065Y1 (ko) * | 2014-04-16 | 2015-12-15 | 이석춘 | 창문용 바람막이 |
-
2018
- 2018-04-04 KR KR2020180001508U patent/KR20049028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777A (ja) * | 1992-09-11 | 1994-04-05 | Misawa Homes Co Ltd | サッシ枠と窓枠との水密パッキン |
JP2008038440A (ja) * | 2006-08-04 | 2008-02-21 | Tsuchiya Tsco Co Ltd | 隙間材 |
KR20140022151A (ko) * | 2012-08-13 | 2014-02-24 | (주)엘지하우시스 |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
KR101520155B1 (ko) | 2012-09-14 | 2015-05-14 | (주)엘지하우시스 |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
KR200479065Y1 (ko) * | 2014-04-16 | 2015-12-15 | 이석춘 | 창문용 바람막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9029B1 (ko) * | 2019-12-30 | 2020-09-23 | (주) 한길 | 창틀용 필링피스 |
KR20210119811A (ko) * | 2020-03-25 | 2021-10-06 | 주식회사 대신시스템 | 차음 성능 향상을 위한 창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286Y1 (ko) | 2019-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0286Y1 (ko) | 풍지판 | |
US10895100B2 (en) | Threshold gasket assembly | |
US5463831A (en) | Weather strip for motor vehicle | |
EP3147445B1 (en) | Door or window | |
JP2015151822A (ja) | カバー材及び樹脂サッシ | |
KR101520155B1 (ko) |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 |
KR200484152Y1 (ko) |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용 그레이팅 | |
CN107199863B (zh) | 敞篷车的排水结构 | |
KR101212248B1 (ko) | 손 끼임에 의한 부상 방지기능을 갖는 문짝과 문틀 또는 창과 창틀 | |
JP6240035B2 (ja) |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とその支持構造 | |
KR101948734B1 (ko) | 창호용 누수방지 부재 | |
KR101199847B1 (ko) | 선박용 도어의 패킹구조 | |
KR200455083Y1 (ko) | 문짝용 방풍부재 | |
KR102278145B1 (ko) |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 |
KR102130424B1 (ko) | 풍지판 | |
KR20170055191A (ko) |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 |
KR102053896B1 (ko) | 무피스 결합구조를 갖는 호차 | |
KR200387080Y1 (ko) | 문짝 아래쪽 틈새 차단구 | |
KR200381393Y1 (ko) | 유리도어 하부프로파일 유니트 | |
KR101769584B1 (ko) | 하부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커버판과 사출물을 구비하여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 |
JP2019035317A (ja) | 建具 | |
KR200381394Y1 (ko) | 유리패널 측부프로파일 | |
KR200400850Y1 (ko) | 창문용 방음 바람막이 | |
JP6239676B2 (ja) |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とその施工方法 | |
KR200213150Y1 (ko) | 창호섀시용 바람막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