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78A - 엘이디 전구 - Google Patents

엘이디 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78A
KR20190002378A KR1020180162824A KR20180162824A KR20190002378A KR 20190002378 A KR20190002378 A KR 20190002378A KR 1020180162824 A KR1020180162824 A KR 1020180162824A KR 20180162824 A KR20180162824 A KR 20180162824A KR 20190002378 A KR20190002378 A KR 2019000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ed
light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현
Original Assignee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filed Critical (주)쓰리씨라이팅인더스
Priority to KR102018016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378A/ko
Publication of KR2019000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원통형상의 도광판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사방으로 조사(照射)되도록 함과 동시에 도광판의 외주면에 다양한 문자나 문양을 형성하여 점등시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벌브(Bulb)와 도광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엘이디에 적합한 정격전압을 인가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는 윗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경사진 장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부의 하부 내주면상에 걸림홈이 형성된 전원접속부와; 상기 걸림홈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장착부의 하부에서 전원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엘이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된 기판과; 상기 전원접속부상의 장착부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는 환형의 끼움공이 형성된 도광판홀더와; 상기 도광판홀더상의 끼움공을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면이 기판상의 엘이디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점등시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이 균일하게 전달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도광판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도광판홀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벌브(bul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엘이디 전구{Electric bulb for L.E.D}
본 발명은 엘이디 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원통형상의 도광판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사방으로 조사(照射)되도록 함과 동시에 도광판의 외주면에 다양한 문자나 문양을 형성하여 점등시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벌브(Bulb)와 도광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엘이디 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조명하거나 광을 적용한 신호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전구로서 전류를 흘려서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빛을 발생시키는 필라멘트가 적용되는백열전구가 주로 사용되었는바, 상기한 백열전구의 경우에 유리구, 베이스, 필라멘트 등 여러 종류의 부품이 사용되고, 유리구 내에 질소 및 아르곤 가스가 주입되어야 하는 등의 번거러운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백열전구는 공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수율이 떨어지며 수명이 짧고 소비전력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제조공정상에 자동화가 어려운 수작업 공정이 존재하여 제조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필라멘트가 적용된 백열전구가 갖는 짧은 수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이디전구는 필라멘트 전구에 비해 발광효율이 높고, 소비전력이 적고 소형, 경량으로 오랜 수명에 의한 유지관리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지만, 필라멘트 전구, 즉 백열전구에 비해 빛을 비추는 직진성이 떨어져 실내의 구석구석을 환하게 비추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엘이디 전구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3353호(명칭: 엘이디 전구,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원이 연결되는 소켓볼트가 구비되고, 상기 소켓볼트의 내부에는 전압을 제어하는 저항과 제너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볼트의 상부 둘레에는 나팔관 형상의 절연애자가 설치되며, 상기 절연애자의 내부에는 소켓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LED발광부가 설치되고; 상기 LED발광부는, 상기 소켓볼트의 내주면에 하측이 끼워짐과 동시에 중앙홀이 천공된 원통형상의 부재와; 상기 원통형상의 부재의 원형 상면과 경사측면에 부착된 엘이디기판과; 상기 원통형상의 부재의 중앙홀에 삽입되어 있는 절연기둥으로 이루어진 엘이디 전구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부재의 중간부에는 엘이디의 발열을 저감시키도록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의 수평핀이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LED발광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소켓볼트의 내주면상에 원통형상의 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원통형상의 부재의 원형 상면과 경사측면에 엘이디기판이 부착되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엘이디기판에 장착되는 엘이디소자가 손상되는 경우에 엘이디 전구 전체를 교체해야 됨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엘이디기판에 장착된 엘이디소자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벌브를 통하여 직접 외부로 투과되면서 조사되기 때문에 눈부심현상이 극심하고, 빛을 이용한 문양의 표시가 불가능하여 인테리어효과를 전혀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3353호, "엘이디 전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존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원통형상의 도광판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사방으로 조사되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광판의 외주면에 다양한 문자나 문양을 형성하여 점등시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브와 도광판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엘이디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엘이디에 적합한 정격전압을 인가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는 윗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경사진 장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부의 하부 내주면상에 걸림홈이 형성된 전원접속부와; 상기 걸림홈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장착부의 하부에서 전원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엘이디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된 기판과; 상기 전원접속부상의 장착부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는 환형의 끼움공이 형성된 도광판홀더와; 상기 도광판홀더상의 끼움공을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면이 기판상의 엘이디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점등시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생된 빛이 균일하게 전달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도광판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도광판홀더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벌브(bul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홀더가 전원접속부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홀더의 아랫부분은 전원접속부상의 경사진 장착부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홀더의 윗부분은 상기 경사진 장착부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홀더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부상의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도광판홀더의 상부 외주면에는 벌브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며, 도광판홀더의 내측에는 기판의 중심부에 실장되는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의 하부 둘레면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도광판홀더의 상부 내주면에는 도광판의 하단이 도광판홀더상의 끼움공을 통하여 완전히 끼워질 때 상기 도광판상의 결합공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턱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형의 도광판 둘레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홀더상의 관통공의 윗부분에는 기판의 중심부에 실장된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투광판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원통형상의 도광판을 통하여 확산되면서 사방으로 조사됨과 동시에 도광판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문양이 외부로 표출되면서 빛의 연출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벌브와 도광판 및 도광판홀더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벌브나 도광판 또는 기판상의 엘이디가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경우에 쉽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작업성을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를 나타내는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에서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에서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에 적용되는 도광판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원접속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등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원통형 도광판의 둘레에 벌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원접속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등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원통형 도광판의 둘레에 벌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도광판이 도광판홀더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원접속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점등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원통형 도광판의 둘레에 벌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10)에서는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정격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접속부(2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전원접속부(20)는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윗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경사진 장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1)의 하부 내주면상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걸림홈(2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접속부(20)에 형성된 걸림홈(2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장착부(21)의 하부에는 기판(30)이 전원접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판(30)상에 다수개의 엘이디(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된다.
또, 상기 전원접속부(20)상의 장착부(21)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는 별도의 도광판홀더(4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는데, 상기 도광홀더(40)상에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는 환형의 끼움공(4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홀더(40)상의 끼움공(41)에는 원통형상의 도광판(50)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끼움공(41)에 끼워진 도광판(50)의 하단면은 기판(30)상의 엘이디(31)와 근접되면서 점등시 상기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광판(50)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게 전달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조사되도록 한다.
상기 원통형상의 도광판(50)의 둘레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벌브(60)가 씌워진 상태에서 상기 벌브(60)의 하단부가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점등시 상기 도광판(50)을 통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홀더(40)가 전원접속부(2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아랫부분은 전원접속부(20)상의 경사진 장착부(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윗부분은 상기 경사진 장착부(2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 상기 도광판홀더(4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부(21)상의 걸림홈(2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4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상부 외주면에는 벌브(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4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도광판홀더(40)의 내측에는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되는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4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광판홀더(40)상의 관통공(44)의 윗부분에는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투광판(7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도광판(50)이 도광판홀더(4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50)의 하부 둘레면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1)과 대응되는 도광판홀더(40)의 상부 내주면에는 도광판(50)의 하단이 도광판홀더(40)상의 끼움공(41)을 통하여 완전히 끼워질 때 상기 도광판(50)상의 결합공(51)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턱(4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통형의 도광판(50) 둘레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10)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50)을 도광판홀더(40)상의 끼움공(41)을 통하여 끼우는데, 상기 도광판(50)의 하단이 정해진 위치까지 끼워지면, 상기 도광판홀더(40)상의 결합턱(45)이 도광판(50)의 하부 둘레면의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51)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50)이 끼워진 도광판홀더(40)의 아랫부분을 전원접속부(20)상의 장착부(21) 내측으로 밀어 끼움과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광판홀더(40)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2)이 장착부(21)상의 걸림홈(22)에 끼워져 걸림과 동시에 도광판홀더(40)의 윗부분이 장착부(2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광판홀더(40)가 전원접속부(20)상의 장착부(2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광판(50)의 하단이 기판(30)상의 엘이디(31)와 근접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50)의 둘레에 벌브(60)를 씌우고, 벌브(60)의 하단부의 내주면을 도광판홀더(4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3)에 나사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전구(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점등시키면, 상기 전원접속부(20)의 장착부(21)의 내측에 설치된 기판(30)상의 엘이디(31)가 발광되고, 상기 엘이디(31)로부터 발광된 빛은 도광판홀더(40)에 끼워진 도광판(50)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게 전달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조사된다.
또, 상기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도광판홀더(40)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44)과 원통형 도광판(50)의 중심을 통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이 때, 상기 관통공(44)의 윗부분에 투광판(70)이 설치된 경우에 상기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상기 투광판(70)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확산·조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도광판(50)의 둘레면상에 문양(52)이 형성되는 경우에,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빛의 조사됨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면서 빛연출효과 및 그에 따른 인테리어효과가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도광판(50)이 손상되거나 엘이디(31)가 손상되어 교체 및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조립시와는 반대로 도광판홀더(40)를 전원접속부(20)상의 장착부(21)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도광판홀더(40)에 끼워진 도광판(50)을 다시 분리한 후 교체나 수리를 하면 되기 때문에 수리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 엘이디 전구
20 : 전원접속부 21 : 장착부
22 : 걸림홈 30 : 기판
31 : 엘이디 40 : 도광판홀더
41 : 끼움공 42 : 걸림턱
43 : 나사부 44 : 관통공
45 : 결합턱 50 : 도광판
51 : 결합공 52 : 문양
60 : 벌브(bulb) 70 : 투광판.

Claims (5)

  1. 외부전원과 접속된 상태에서 정격전압을 인가하며, 상부로부터 내측으로는 윗부분이 개구된 형태의 경사진 장착부(2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장착부(21)의 하부 내주면상에 걸림홈(22)이 형성된 전원접속부(20)와;
    상기 걸림홈(2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장착부(21)의 하부에서 전원접속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엘이디(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실장된 기판(30)과;
    상기 전원접속부(20)상의 장착부(21)의 윗쪽으로부터 내측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에 이르는 환형의 끼움공(41)이 형성된 도광판홀더(40)와;
    상기 도광판홀더(40)상의 끼움공(41)을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면이 기판(30)상의 엘이디(31)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점등시 상기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된 빛이 균일하게 전달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원통형의 도광판(50)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50)을 통하여 조사되는 조명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벌브(bulb: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홀더(40)가 전원접속부(2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아랫부분은 전원접속부(20)상의 경사진 장착부(2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윗부분은 상기 경사진 장착부(21)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홀더(4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부(21)상의 걸림홈(2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42)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도광판홀더(40)의 상부 외주면에는 벌브(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부(43)가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홀더(40)의 내측에는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되는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50)이 도광판홀더(4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판(50)의 하부 둘레면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1)과 대응되는 도광판홀더(40)의 상부 내주면에는 도광판(50)의 하단이 도광판홀더(40)상의 끼움공(41)을 통하여 완전히 끼워질 때 상기 도광판(50)상의 결합공(51)에 끼워져 걸리는 결합턱(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도광판(50) 둘레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홀더(40)상의 관통공(44)의 윗부분에는 기판(30)의 중심부에 실장된 엘이디(31)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조사되도록 하는 투광판(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전구.
KR1020180162824A 2018-12-17 2018-12-17 엘이디 전구 KR20190002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24A KR20190002378A (ko) 2018-12-17 2018-12-17 엘이디 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24A KR20190002378A (ko) 2018-12-17 2018-12-17 엘이디 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78A true KR20190002378A (ko) 2019-01-08

Family

ID=6502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24A KR20190002378A (ko) 2018-12-17 2018-12-17 엘이디 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3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1401S1 (en) * 2019-09-12 2022-05-10 Hansgrohe Se Faucet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1401S1 (en) * 2019-09-12 2022-05-10 Hansgrohe Se Faucet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314B2 (en) Solid state electric light bulb
US20110084586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heat sink
US9057500B2 (en) Flashlight
US20080055898A1 (en) Led lamp
JP2012009377A (ja) Ledランプ
JP2010146952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CN1209569C (zh) 居室灯具
KR20170057186A (ko) 보조 조명등이 구비된 엘이디 등기구
KR101251079B1 (ko) Led 조명장치
KR10069553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확산램프
KR20190002378A (ko) 엘이디 전구
US20050116597A1 (en) Light bulb
KR102172139B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100726023B1 (ko) 엘이디 램프 조립체
KR20110005713U (ko) 바타입 엘이디 조명등
CN102052588A (zh) 发光二极管灯具
US20110006679A1 (en) LED bulb with an enlarged irradiation range by arranging led elements in three-dimension
CN102042504A (zh) 具有双面照明的led灯具装置
US20130170182A1 (en) Led lamp
KR20090060490A (ko)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한 조명 기구
EP2390553A2 (en) LED illuminating apparatus
US20110085340A1 (en) LED recessed light with reflection board
JP2010262856A (ja) Ledランプ
KR101023802B1 (ko) 2색 led램프
KR20010029575A (ko) 소켓형 발광다이오드 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