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254A -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254A
KR20190002254A KR1020170082925A KR20170082925A KR20190002254A KR 20190002254 A KR20190002254 A KR 20190002254A KR 1020170082925 A KR1020170082925 A KR 1020170082925A KR 20170082925 A KR20170082925 A KR 20170082925A KR 20190002254 A KR20190002254 A KR 2019000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unit
input device
user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드벤티지
Priority to KR102017008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254A/ko
Publication of KR2019000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 외부에 고정되는 기저부,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귀하려는 회귀적 특성을 가지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핸들부,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핸들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부, 핸들부와 터치부를 연결하는 샤프트부, 샤프트부가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부의 위치는 터치부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위치, 샤프트부의 길이 및 터치부에서 핸들부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INPUT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INPUT}
아래의 설명은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들이 증가하면서 직관적으로 입/출력 가능한 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들의 경우 휴대의 용이성은 언제나 중요한 이슈이다. 전자 장치들의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의 크기는 일반 TV, 모니터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이 있다.
터치스크린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휴대 용이성을 위해 전자 장치에 대한 입력의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의 외부에 배치된 핸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을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터치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 가림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 조이스틱과 달리 중앙 회귀적 특성이 구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인 확인 없이도 자신이 핸들부를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힘으로 이동시키고 있는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 외부에 고정되는 기저부(base portion); 상기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귀하려는 회귀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핸들부(handle portion);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부(touch portion); 상기 핸들부와 상기 터치부를 연결하는 샤프트부(shaft portion); 및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fixing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의 위치는 상기 터치부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위치, 상기 샤프트부의 길이 및 상기 터치부에서 상기 핸들부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의 외부에 배치된 핸들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입력을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터치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 가림을 최소화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한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조이스틱과 달리 중앙 회귀적 특성이 구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인 확인 없이도 자신이 이동형 자성부를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힘으로 이동시키고 있는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를 나타낸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의 핸들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다라 입력 장치의 핸들부가 좌우로 움직이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입력 장치(110)가 도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120)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핸들부(handle portion)를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부가 이동한 정도를 사용자 입력으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10)는 방향과 해당 방향으로 이동한 정보를 입력 받는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스크린 외부에 고정되고, 터치스크린 방향으로 돌출된 암(arm)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110) 중 터치스크린으로 돌출된 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입력 장치(110)에 의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120)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를 나타낸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110)는 기저부(111), 핸들부(113), 터치부(touch portion)(115), 샤프트부(shaft portion)(117), 고정부(fixing portion)(119)를 포함한다.
기저부(111)는 입력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스크린 외부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저부(111)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핸들부(113)가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핸들부(113)는 기저부(111)의 미리 결정된 위치(예컨대, 기저부의 중심 위치)로 회귀하려는 회귀적 특성을 가지는 부분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핸들부(113)는 노브(nob)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터치부(115)는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핸들부(113)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할 수 있다. 터치부(115)는 터치 접점(touch point)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샤프트부(117)는 핸들부(113)와 터치부(115)를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부(117)를 통해 핸들부(113)와 터치부(115)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핸들부(113)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이 터치부(115)로 전달될 수 있다. 샤프트부(117)는 도 1에서 설명한 암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고정부(119)는 샤프트부(117)가 기저부(111)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샤프트부(117)는 직사각형 형태의 홀(hole)(118)을 포함하는데, 고정부(119)는 홀(118) 내부에 위치한 기둥으로 샤프트부(117)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19)로 인해 핸들부(113)가 상하좌우 중 어느 방향, 어느 길이로 이동하더라도 샤프트부(117)는 고정부(119)를 지나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19)는 기저부(111)의 에지(edge) 중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스크린과 가장 인접한 에지에 위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도 2는 사용자 입력이 없는 입력 장치(110)의 초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핸들부(113)의 위치가 사용자 단말(120)에서 판단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핸들부(113)의 위치(즉, 도 2에 도시된 핸들부(113)의 중심점)를 h라고 하고, 터치부(115)의 위치(즉, 도 2에 도시된 터치부(115)의 중심점)를 p라고 하고, 고정부(119)의 위치를 o라고 하고 o, p, h는 일직선 상에 있다. 이 경우, 핸들부(113)의 위치 h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서, d는 샤프트부(117)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핸들부(113)에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으면(즉, 초기 상태), 샤프트부(117)는 입력 장치(110) 내 미리 결정된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상태의 입력 장치(110)에서
Figure pat00002
의 방향이나 길이를 미리 알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10)를 사용자 단말(120)의 측면에 온전히 끼울 경우, 알려진
Figure pat00003
방향으로부터
Figure pat00004
의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예컨대, 입력장치를 사용자 단말에 온전히 끼웠다는 가정을 하며,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와 90도 방향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20)의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로부터 터치부(115)의 위치 p를 알 수 있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 터치부(115)의 위치 p 및
Figure pat00007
의 방향, 초기상태에서 알려진
Figure pat00008
의 길이로부터 고정부(119)의 위치 o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의
Figure pat00009
의 방향 및 길이, 터치부(115)의 위치 p, 고정부(119)의 위치 o, 샤프트부(117)의 길이 d를 이용하여, 핸들부(113)의 위치 h를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부(113)를 조작하기 시작하는 순간은 초기 상태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핸들부(113)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첫 순간을 초기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핸들부(113)를 조작하기에 앞서 특정 버튼 등을 누르게 함으로써 초기 상태가 인지되고, 해당 초기 상태에서 터치부(115)의 위치 p 등이 감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터치부(115)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해당 상태를 초기 상태로 인지하고, 터치부(115)의 위치 p가 감지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부(115)를 통해 터치스크린으로 입력된 터치 위치 p에 기초하여 핸들부(113)의 위치를 계산하여, 핸들부(113)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이 사용자 단말(12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1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다.
핸들부(113)는 기저부(111)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귀하려는 중앙 회귀적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중앙 회귀적 특성은 스프링(310)과 가이드(320)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프링(310)은 핸들부(113) 및 가이드(3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핸들부(113)가 기저부(111)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부(113)가 일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해당 방향으로 스프링(310)이 늘어나게 되고, 스프링(310)가 본래의 길이로 수축하려는 성질(예컨대,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113)가 중앙 회귀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 전도체(330)가 핸들부(113)로부터 샤프트부(117)를 통해 터치부(115)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들부(113)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는 스프링(310)을 이용하여 핸들부(113)의 중앙 회귀적 특성을 구현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석들 간의 인력 등 다양한 방법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다른 기저부(111)의 하단에는 입력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물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의 핸들부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핸들부(113)가 아래로 이동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핸들부(113)의 이동으로 핸들부(113)가 가이드(3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스프링(310)이 핸들부(113)의 움직임인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113)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려는 중앙 회귀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들부(113)를 조작하는 사용자로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각적인 확인 없이도 촉각 피드백을 통해, 자신이 핸들부(311)를 어느 방향 및 어느 정도의 힘으로 이동시키고 있는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핸들부(113)가 아래로 이동한 반면, 터치부(115)는 위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핸들부(113)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샤프트부(117)의 방향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대해 고정되고 위치가 알려져 있는 있는 고정부(119)와 핸들부(113)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나타난 현상이다. 반대로, 핸들부(113)가 위로 이동하면, 터치부(115)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입력 장치의 핸들부가 좌우로 움직이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핸들부(113)가 좌로 이동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핸들부(113)의 이동으로 핸들부(113)가 가이드(32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스프링(310)이 핸들부(113)의 움직임인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부(113)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가려는 중앙 회귀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핸들부(113)를 조작하는 사용자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4의 경우와 다르게, 핸들부(113)가 좌로 이동한 것과 동일하게, 터치부(115)도 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부(117)의 내부 홀(118)이 길쭉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600)는 기저부(610), 핸들부(620), 복수의 터치부(630), 샤프트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10)와 다르게, 입력 장치(600)는 복수의 터치부(630)를 포함하며, 고정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복수의 터치부(630)의 위치를 각각 p1, p2라고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620)의 위치 h, 복수의 터치부(630)의 위치 p1, p2는 동일한 2차원 좌표계 상에 존재한다. p1, p2를 사용자 단말의 2차원 터치스크린 상의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coordinate transform)은 자명하게 구할 수 있다. 2차원의 두 점인 p1, p2의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 상의 좌표를 터치 스크린 센서로 구하면 상기 좌표변환을 구할 수 있고, 이렇게 구해진 좌표 변환을 핸들부(620)의 위치 좌표 h에 동일하게 적용하면, 사용자 단말에서의 핸들부(620)의 위치 h가 계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600)의 하우징은 복수의 터치부(630)가 위치하는 측면을 제외한 측면(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600)의 상, 하, 좌 측면)에 존재하고, 복수의 터치부(630)가 위치하는 측면(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600)의 우 측면)에는 하우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고정부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샤프트부(640)의 움직임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사항들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700)는 기저부(710), 핸들부(720), 복수의 터치부(730), 샤프트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600)와 다르게, 입력 장치(700)는 복수의 터치부(730)를 동일한 선 상의 샤프트부(740)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터치부(730)의 사용자 단말 상의 위치를 터치 스크린 센서를 통해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핸들부(720)의 위치 h가 계산될 수 있다.
이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사항들이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800)가 도시된다.
도 2에서 설명한 입력 장치(110)와 다르게, 입력 장치(800)는 고정부 대신 개구부(aperture portion)(8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840)는 입력 장치(800)의 내부에서 외부의 터치부(820)까지 연결하는 샤프트부(830)가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핸들부(810)가 초기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샤프트부(830)가 통과하는 개구부(840)의 크기가 커질 필요가 있다. 이 때, 개구부(840)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확대 또는 축소됨으로써, 개구부(840)를 통과하는 샤프트부(8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구부(840)가 도 2의 고정부(119)를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가 샤프트부의 홀 내에 위치하지 않고 샤프트부가 통과하는 기저부의 통로를 좁게 하여 사프트부의 방향이 그 통로의 위치와 핸들부에 의해 결정되게 하여도, 터치부로부터 핸들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구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스크린의 센서가 터치되는 점의 형상까지 알 수 있는 경우, 터치부에 단순히 터치의 위치 외에 샤프트부의 방향이 인식될 수 있도록 회전 대칭적이지 않은 형상의 터치(예컨대, 터치 위치로부터 핸들부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가 이루어지게 하면, 터치의 위치, 샤프트부의 방향, 샤프트부로부터 핸들부까지의 거리를 모두 알게 되므로, 이로부터 터치부의 위치를 구해내어 사용자 단말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Processor), 컨트롤러 (Controll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Programmable Logic Element), 다른 전자 기기들 및 이것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hardware components)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functions) 또는 프로세스들(processes) 중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소프트웨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 기능들 및 프로세스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

  1.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 외부에 고정되는 기저부(base portion);
    상기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귀하려는 회귀적 특성을 가지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핸들부(handle portion);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전달하는 터치부(touch portion);
    상기 핸들부와 상기 터치부를 연결하는 샤프트부(shaft portion); 및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기저부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fixing portion)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의 위치는
    상기 터치부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위치, 상기 샤프트부의 길이 및 상기 터치부에서 상기 핸들부로의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입력 장치.
KR1020170082925A 2017-06-29 2017-06-29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KR2019000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25A KR20190002254A (ko) 2017-06-29 2017-06-29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25A KR20190002254A (ko) 2017-06-29 2017-06-29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54A true KR20190002254A (ko) 2019-01-08

Family

ID=6502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925A KR20190002254A (ko) 2017-06-29 2017-06-29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94A1 (ko) * 2020-06-21 2021-12-30 모션퀸 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694A1 (ko) * 2020-06-21 2021-12-30 모션퀸 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813B2 (ja) 感圧キーの基準化
US1191443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with switch
US9285880B2 (en) Touch pane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touch panel device
JP6006439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ための機械式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2331888B1 (ko) 디스플레이 센서 및 베젤 센서에 대한 도전성 트레이스 라우팅
US20110265021A1 (en) Touchpad controlling method and touch device using such method
JP2017532654A (ja) 局部的な力感知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80164930A1 (en) Input device, operation method of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input device
KR20190002254A (ko)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CN111142775A (zh) 一种手势交互方法和装置
CN109669565B (zh) 用于缓慢触摸移动的触摸运动跟踪和报告技术
KR102540369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861066B2 (en) Computer system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for real-time two-dimensional tactile input/output interac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4235671A (ja) 携帯情報端末
KR101482867B1 (ko) 테두리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 및 포인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23527B1 (ko) 터치스크린 입력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210047851A (ko) 터치 패턴 입력을 이용한 보기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5653558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JP5615455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JP2015026394A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