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55U -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 Google Patents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55U
KR20190002155U KR2020180000722U KR20180000722U KR20190002155U KR 20190002155 U KR20190002155 U KR 20190002155U KR 2020180000722 U KR2020180000722 U KR 2020180000722U KR 20180000722 U KR20180000722 U KR 20180000722U KR 20190002155 U KR20190002155 U KR 201900021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dth
plate
receiving
back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영
이정우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유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영 filed Critical 유주영
Priority to KR2020180000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155U/ko
Publication of KR2019000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자틀의 수용테에는 일정 수용폭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판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 미만의 수납폭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사진판과 백보드를 갖는 통상의 액자에, 도광판과 LED모듈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시키되, 상기 도광판을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설치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과 수납폭의 차이인 설치폭으로 상기 사진판과 백보드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판간격 및 설치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테 내측변에 설치하되 상기 백보드 밖으로 노출되는 전원소켓과 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PCB상의 상기 도광판의 설치폭 이하로 실장되는 LED소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A picture frame with an LED module that can be mounted on a conventional frame}
본 고안은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자틀의 수용테에는 일정 수용폭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판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 미만의 수납폭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사진판과 백보드를 갖는 통상의 액자에, 도광판과 LED모듈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시키되, 상기 도광판을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설치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과 수납폭의 차이인 설치폭으로 상기 사진판과 백보드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판간격 및 설치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테 내측변에 설치하되 상기 백보드 밖으로 노출되는 전원소켓과 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PCB상의 상기 도광판의 설치폭 이하로 실장되는 LED소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진인화는 센티미터(Cm)가 아닌 인치(Inch)를 기준으로 인화하며, 그 크기는 3×5, 4×6, 5×7, 6×8, 8×10, 10×12 등의 가로×세로 인치(Inch) 단위로 인화하며, 사진 재단시 테두리를 남긴다. 따라서 사진 전시를 목적으로 하는 액자는 상기 사진인화크기에 대응하여 제작된다.
도 1과 같이, 이러한 액자의 액자틀(10)은 보통 인화된 사진을 외부로 전시하는 표시창(11)과, 이 표시창(11)의 창단턱(12)을 경계로 안쪽에 사진을 수용하는 일정 수용폭(D)의 수용공간(13S)을 갖는 수용테(13)로 구성된다.
상기 액자틀(10)에 사진판(21)이 상기 창단턱(12)에 테두리가 걸려 표시창(11)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면, 이 사진판(21) 후면에 백보드(22)를 추가 수납하여 돔보(14)를 이용해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를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고정하면 액자가 완성된다.
이러한 액자의 완성과정에서 상기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는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는 상기 수용공간(13S)의 사방 테두리에 접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즉,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는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거리인 판간격(23)을 유지하며 형성되는데, 이러한 판간격(23)은 사진판(21)과 백보드(22)가 상기 수용공간(13S)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각 변의 창간격(23)은 상기 창단턱(12)의 높이 미만으로 하여 사진판(21)이나 백보드(22)가 창단턱(12)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이다.
한편, 최근에는 액자 내부에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체를 설치하여 발광기능을 갖는 액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액자는 그 속에 들어있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다 돋보이게 하고, 조명이 없는 야간에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실내 취침등이나 장식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어서 인기가 높다.
그래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308912호(2003.03.17.), 등록실용신안 제20-430853호(2006.11.06), 등록실용신안 제20-0431826호(2006.11.17), 공개특허 제10-2010-91692호(2010.08.19), 공개실용신안 제20-2010-10539호(2010.10.27), 등록실용신안 제20-473864호(2014.07.30) 등에는 다양한 구조의 발광형 액자들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발광형 액자들은 대체로 수용테 내에 설치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일변에 설치되는 LED 모듈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LED 모듈에서 나오는 빛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서 액자의 전면으로 확산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액자는 조명기능을 부여하는 LED 모듈이 액자틀의 종류나 구조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스위치나 전원 공급수단의 위치나 구조가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기성품 액자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고, 나아가 상기 LED 모듈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308912호(2003.03.17) 등록실용신안 제20-430853호(2006.11.06) 등록실용신안 제20-0431826호(2006.11.17) 공개특허 제10-2010-91692호(2010.08.19) 공개실용신안 제20-2010-10539호(2010.10.27) 등록실용신안 제20-473864호(2014.07.30)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기능이 없는 통상적인 기성품 액자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발광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호환성이 우수한 액자용 LED모듈을 갖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편하고, 특히 LED 모듈의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액자용 발광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는 액자틀의 수용테에는 일정 수용폭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판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 미만의 수납폭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사진판과 백보드를 갖는 통상의 액자에, 도광판과 LED모듈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시키되, 상기 도광판을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일정한 설치간격을 유지함은 물론 상기 수용폭과 수납폭의 차이인 설치폭으로 상기 사진판과 백보드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LED모듈은 상기 판간격 및 설치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테 내측변에 설치하되 상기 백보드 밖으로 노출되는 전원소켓과 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PCB상의 상기 도광판의 설치폭 이하로 실장되는 LED소자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에서 타단인 표시창의 창단턱까지 소정의 수용폭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테를 갖는 액자틀;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의 내측변과 소정의 판간격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수용테의 수용폭 미만인 수납폭 두께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사진판 및 백보드; 상기 수용폭과 수납폭의 차이인 설치폭의 두께로 상기 사진판과 백보드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되며, 일변에 상기 판간격의 두께로 수용장공이 관통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수용장공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소켓과 접촉식 스위치가 상기 백보드 밖으로 노출설치된 PCB의 상면에 상기 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칩에 의해 제어되는 LED소자가 상기 도광판의 설치폭 이하로 일렬로 실장된 LED모듈; 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는 수용테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사진판, 백보드 및 도광판이 일정간격인 판간격과 설치간격으로 수용테의 내측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판간격과 설치간격을 이용하여 LED모듈을 수용테의 내측변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액자에 조명기능을 부가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광기능이 없는 통상적인 기성품 액자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발광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는 수용테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사진판과 백보드가 일정간격인 판간격으로 수용테의 내측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사진판과 백보드 사이에 도광판이 배치되되, 이 도광판의 일측단에는 상기 판간격에 대응하는 수용장공이 관통형성되고, 이 수용장공에 LED모듈을 설치하여 액자에 조명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인해 통상적인 기성품 액자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발광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의 LED모듈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상기 접촉식 스위치와 전원소켓이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접촉식 스위치를 이용한 조작과 전원공급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공지된 액자로, 도 1a는 분리사시도, 도 1b는 결합사시도 및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의 구성도로, 도 2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결합사시도 및 도 2c는 도 2b의 B-B선 단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의 구성도로, 도 4a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b는 결합사시도 및 도 4c는 도 4b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의 평면사시도(A) 및 저면사시도(B).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 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종래 기술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상적인 액자틀(10)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40)을 구비한 액자는 수용테(13)에 수용된 사진판(21)을 표시창(11)을 통해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액자틀(10)과, 이 액자틀(10) 수용테(13)의 내측 일변에 설치되는 LED모듈(40,40') 및 이 LED모듈(40,40')의 빛을 상기 사진판(21)에 입사(入射)시키는 도광판(30,30')으로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4의 액자틀(10)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이러한 상기 액자틀(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인화된 사진을 외부로 전시하는 표시창(11)과, 이 표시창(11)의 창단턱(12)을 경계로 안쪽에 사진을 수용하는 일정 수용폭(D) 깊이로 수용공간(13S)을 갖는 수용테(13)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액자에서는 상기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사진판(21)이 상기 창단턱(12) 테두리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되고, 이 사진판(21) 후면에 백보드(22)가 추가 수납된다. 이때, 상기 수용테(13)의 끝단인 일단에서 상기 창단턱(12)과 연결되는 타단까지는 일정한 수용폭(D)의 깊이가 형성되며,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는 상기 수용폭(D)의 전체 깊이 보다 작은 두께의 수납폭(D1)으로 수납된다. 미설명부호 29는 받침대로 상기 백보드(22)에 회전가능하여 결합되어 필요시 바닥에 지지되어 액자를 지지하게 된다.
이렇듯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가 상기 수용폭(D) 미만인 수납폭(D1)으로 수납되는 주요 이유는, 과거에는 인화된 사진판(21)을 보호하기 위해 두꺼운 유리판(도시되지 않음)이 사진판(21) 앞쪽에 배치되었으나, 근래에는 경량화 및 안전상의 이유로 두꺼운 유리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사진을 코팅하거나 합성수지의 얇은 투명판을 사진 앞쪽에 배치하는 방법으로 사진판(21)을 제작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도 상기 사진판(21)은 코팅된 사진이거나, 인쇄된 사진과 함께 투명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와 더불어 두꺼운 유리판을 사용하던 과거에서부터 얇은 사진판(21)이 사용되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용테(13)의 수용폭(D) 깊이와 표시창(11)의 창단턱(12) 높이는 눈에 띄는 큰 변화없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 체 액자틀(10)이 제작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액자틀(10)은 액자의 전체크기와는 무관하게 일정깊이의 수용폭(D)과 창단턱(12)을 유지하고 있다. 본 고안의 액자틀(10) 또한 이러한 정형화된 액자틀(10)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테(13)의 수용폭(D)인 수용공간(13S)의 깊이는 9mm ∼ 11mm 이며, 상기 창단턱(12)의 높이는 5mm ∼ 7mm 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는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는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한 판간격(23)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판간격(23)은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가 상기 수용공간(13S)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사진판(21)이 수용테의 내측변(13L)과 이격되는 판간격(23)과, 백보드(22)가 수용테의 내측변(13L)과 이격되는 판간격(23)을 같은 부호로 혼용하여 사용함은 물론, 각 판간격(23,23)을 통합하여 판간격(23)이라 통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사진판(21) 및 백보드(22)가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이루는 판간격(23)은 이들 사진판(21) 및 백보드(22)의 4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판간격(23)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진판(21) 및 백보드(22)의 각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개별적으로 판간격(23)을 형성하되, 개별 판간격(23)의 크기는 인접한 상기 창단턱(12)의 높이 미만이다. 이렇듯 각 변의 판간격(23)이 창단턱(12)의 높이 미만으로 형성되어야 사진판(21) 및 백보드(22)가 수용공간(13S)을 넘어 창단턱(12)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형성되는 상기 사진판(21) 및 백보드(22)가 상기 수용테(13)의 총 깊이인 수용폭(D)의 깊이 미만인 수납폭(D1)의 두께로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면, 상기 백보드(22)의 후면으로 형성되는 수용폭(D)과 수납폭(D1)의 차이인 여분의 수용폭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에는 타카(air nailer)에 의해 금속핀 형태인 돔보(14)를 박아 상기 사진판(21) 및 백보드(22)가 상기 수용공간(13S)에 고정되도록 하여 도 1과 같은 통상의 액자를 완성하였다.
상기 액자 완성과정에 사용되는 상기 돔보(14)는 통상 타카(air nailer)에 의해 수용테(13)의 내측변(13L)에 박히는 금속핀을 의미하나, 본 고안에서의 돔보(14)는 금속핀, 잠금레버 등은 물론,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는 구성품을 고정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도 1과 같은 통상의 액자틀(10)에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수용폭(D)과 수납폭(D1)의 차이인 여분의 수용폭인 설치폭(D2)의 두께로 도광판(30,30')을 상기 수용공간(13S)에 설치함과 함께 상기 도광판(30,30')에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40,40')을 상기 수용공간(13S)에 설치하여 완성되는 액자이다.
상기 도광판(30,30')은 상기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설치되어 상기 사진판(21)의 뒷면을 받쳐주는 것으로, 상기 LED모듈(40,40')에서 나오는 빛을 액자 전면으로 골고루 확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30,30')은 상기 사진판(21)과 백보드(22) 사이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수용폭(D)과 수납폭(D1)의 차이 이하의 두께인 설치폭(D2)으로 설치된다. 이는 도광판(30,30')이 수용폭(D)과 수납폭(D1)의 차이를 초과하는 설치폭(D2) 두께를 갖게 되면, 초과하는 폭만큼 상기 도광판(30,30')을 받쳐주는 상기 백보드(22)가 상기 수용테(13)의 끝단인 일단을 넘어서게 되어 상기 돔보(14)에 의해 액자틀(10)에 고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용테(13)의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는 상기 도광판(30,30')은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한 설치간격(31)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30,30')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이루는 설치간격(31)은 도광판(30,30')의 4개의 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간격(31)을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판(30,30')의 각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개별적으로 설치간격(31)을 형성하되, 각 설치간격(31)의 크기는 상기 창단턱(12)의 높이 미만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광판(30,30')의 설치간격(31)은 상기 LED모듈(40,40')의 설치위치에 따라 그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도 2와 같이, 본 고안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LED모듈(40)이 도광판(3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 일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LED모듈(40)의 설치높이를 반영하여 상기 도광판(30)의 설치간격(31)이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설치폭(D2)의 두께로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용되되, 일변에는 상기 판간격(23)의 두께로 수용장공(3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LED모듈(40,40')이 상기 수용장공(32)에 설치되므로, 이 경우 상기 도광판(30)에는 설치간격(31)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LED모듈(40,40')은 PCB(41), LED소자(42), 제어칩(43), 접촉식 스위치(44) 및 전원소켓(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CB(41)는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을 따라 폭이 좁고 길게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소자(42)는 상기 PCB(41)의 상면에 상기 도광판(30)을 향하여 나란히 실장된다. 상기 LED소자(42)는 일렬로 나란히 실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열이나 3열로 실장될 수도 있다. 이렇게 실장되는 LED소자(42)는 상기 도광판(30)의 폭인 설치폭(D2)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되어 LED소자(42)의 불빛이 도광판(30)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는 상기 PCB(41)의 일변에서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어칩(43)은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LED소자(42)의 밝기와 온-오프(on-off)를 순서대로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소켓(45)은 상기 PCB(41)의 일변에서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원소켓(45)은 DC 5V 전원공급용 USB 마이크로 5핀, 8핀 또는 C-Type 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CB(41)는 상기 사진판(21)이 배치되는 사진판부(41a), 상기 사진판부(41a)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LED소자(42)가 실장되는 LED실장부(41b), 상기 LED실장부(41b)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백보드(22)가 배치되는 백보드부(41c), 및 상기 백보드부(41c)와 일체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어칩(43)과 접촉식 스위치(44) 및 전원소켓(45)이 설치되는 노출부(41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PCB(41)의 상면에는 상기 LED소자(42)와 함께 제어칩(43) 및 전원소켓(45)이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LED모듈(40)은 양단에 구비된 나사공(41e)에 결합나사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에 결합설치된다. 이러한 형태로 LED모듈(40)이 설치될 경우, 상기 도광판(30)의 설치간격(31)은 사진판(21) 및 백보드(22)의 판간격(23)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 간격의 차이는 상기 LED소자(42)의 높이와 같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도광판(30')의 일변에 상기 판간격(23)의 폭으로 수용장공(32)이 형성되고, 이 수용장공(32)에 LED모듈(40,40')이 삽입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형태의 도광판(30')에서도 상기 일실시에 따른 LED모듈(40)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 수용장공(32)이 상기 판간격(23)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전제할 때, 상기 LED모듈(40)의 전체 높이 또한 상기 판간격(23) 이하라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LED모듈(40)과는 다른 도 4 및 도 5와 같은 형태의 LED모듈(40') 또한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모듈(40')은 PCB(41)가 전체적으로 상기 도광판(30')의 설치폭(D2)을 이탈하지 않는 폭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며, 이 PCB(41) 상면에는 LED소자(42)가 실장되고, 하면에는 제어칩(4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촉식 스위치(44)와 전원소켓(45)은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노출되는데, 상기 전원소켓(45)은 상기 PCB(41)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통상적인 액자틀(10)에 설치 가능한 도광판(30,30')과 LED모듈(40,40')은 액자의 표준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몇가지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기능이 없는 통상적인 액자에도 그 액자의 규격에 알맞은 LED모듈(40,40')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기성품 액자의 백보드(22)를 분리하고, 본 고안의 도광판(30,30')과 LED모듈(40,40')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다시 상기 백보드(22)를 덮어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도 2b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LED모듈(40,40') 중에서 접촉식 스위치(44)와 전원소켓(45)만 백보드(22) 밖으로 살짝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 전원소켓(45)에는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컨넥터(도시하지 않음)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가볍게 접촉하면, 상기 제어칩(43)을 통해서 상기 LED소자(42)의 밝기와 온-오프(on-off)가 순서대로 제어된다. 즉, 상기 LED소자(42)가 소등(off) 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한번 접촉하면, LED소자(42)가 최저 단계 밝기로 점등(on)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한번 더 접촉하면, LED소자(42)의 밝기가 다음 단계로 이행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접촉식 스위치(44)를 접촉할 때마다 LED소자(42)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단계만큼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최고 단계에서 접촉식 스위치(44)를 한번 더 접촉하면 상기 LED소자(42)가 소등(off)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ED소자(42)의 밝기는 3단계, 즉 최저 밝기 단계와 중간 밝기 단계, 그리고 최고 밝기 단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액자틀 11: 표시창
12: 창단턱 13: 수용테
13S: 수용공간 13L: 내측변
D: 수용폭 14: 돔보
21: 사진판 22: 백보드
23: 판간격 D1: 수납폭
30, 30': 도광판 31: 설치간격
32: 수용장공 D2: 설치폭
40, 40': LED모듈 41: PCB
41a: 사진판부 41b: LED실장부
41c: 백보드부 41d: 노출부
41e: 나사공 42: LED소자
43: 제어칩 44: 접촉식 스위치
45: 전원소켓

Claims (4)

  1. 일단에서 타단인 표시창(11)의 창단턱(12)까지 소정의 수용폭(D)으로 수용공간(13S)이 형성된 수용테(13)를 갖는 액자틀(10);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 판간격(23)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수용테(13)의 수용폭(D) 미만인 수납폭(D1)의 두께로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납되는 사진판(21) 및 백보드(22);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일정 설치간격(31)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수용폭(D)과 상기 수납폭(D1)의 차이 이하인 설치폭(D2)의 두께로 상기 사진판(21)과 상기 백보드(22)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납되는 도광판(30);
    상기 수용공간(13S)인 수용테(13)의 내측변(13L)에 상기 판간격(23) 및 설치간격(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소켓(45)과 접촉식 스위치(44)가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노출설치된 PCB(41)의 상면에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칩(43)에 의해 제어되는 LED소자(42)가 상기 도광판(30)의 설치폭(D2) 이하로 실장된 LED모듈(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41)는 상기 사진판(21)이 배치되는 사진판부(41a); 상기 사진판부(41a)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LED소자(42)가 실장되는 LED실장부(41b); 상기 LED실장부(41b)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백보드(22)가 배치되는 백보드부(41c); 및 상기 백보드부(41c)와 일체로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어칩(43), 접촉식 스위치(44) 및 전원소켓(45)이 설치되는 노출부(4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42), 제어칩(43) 및 전원소켓(45)은 상기 PCB(41)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4. 일단에서 타단인 표시창(11)의 창단턱(12)까지 소정의 수용폭(D)으로 수용공간(13S)이 형성된 수용테(13)를 갖는 액자틀(10);
    적어도 어느 한 변이 상기 수용테(13)의 내측변(13L)과 소정의 판간격(23)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수용테(13)의 수용폭(D) 미만인 수납폭(D1)의 두께로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납되는 사진판(21) 및 백보드(22);
    상기 수용폭(D)과 상기 수납폭(D1)의 차이 이하인 설치폭(D2)의 두께로 상기 사진판(21)과 상기 백보드(22)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13S)에 수납되며, 일변에 상기 판간격(23)의 폭으로 수용장공(32)이 관통형성된 도광판(30');
    상기 도광판(30')의 수용장공(32)에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소켓(45)과 접촉식 스위치(44)가 상기 백보드(22) 밖으로 노출설치된 PCB(41)의 상면에 상기 접촉식 스위치(4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칩(43)에 의해 제어되는 LED소자(42)가 상기 도광판(30')의 설치폭(D2) 이하로 실장된 LED모듈(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KR2020180000722U 2018-02-14 2018-02-14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KR201900021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2U KR20190002155U (ko) 2018-02-14 2018-02-14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722U KR20190002155U (ko) 2018-02-14 2018-02-14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55U true KR20190002155U (ko) 2019-08-22

Family

ID=6776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722U KR20190002155U (ko) 2018-02-14 2018-02-14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55U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12Y1 (ko) 2002-11-12 2003-03-31 신부용 발광액자
KR200430853Y1 (ko) 2006-06-26 2006-11-13 세광테크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 액자
KR200431826Y1 (ko) 2006-09-14 2006-11-28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브라켓이 필요없는 백라이트 유니트 액자
KR20100091692A (ko) 2009-02-11 2010-08-19 (주)이보라이트 광고용 발광 액자
KR20100010539U (ko) 2009-04-17 2010-10-27 김영준 Led 발광 액자 리모컨
KR200473864Y1 (ko) 2013-07-29 2014-08-07 황석주 발광 액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912Y1 (ko) 2002-11-12 2003-03-31 신부용 발광액자
KR200430853Y1 (ko) 2006-06-26 2006-11-13 세광테크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 액자
KR200431826Y1 (ko) 2006-09-14 2006-11-28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브라켓이 필요없는 백라이트 유니트 액자
KR20100091692A (ko) 2009-02-11 2010-08-19 (주)이보라이트 광고용 발광 액자
KR20100010539U (ko) 2009-04-17 2010-10-27 김영준 Led 발광 액자 리모컨
KR200473864Y1 (ko) 2013-07-29 2014-08-07 황석주 발광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9986B1 (en) Housing body of electronic equipment
US20060209569A1 (en) Soft glow nightlight
CN204153536U (zh) 光源单元和具有所述光源单元的照明灯具
KR20190002155U (ko) 통상적인 액자틀에 설치 가능한 led모듈을 구비한 액자
KR101291233B1 (ko) 조명등 노브 스위치
CN113757583A (zh) 一种多功能台灯
US7726850B2 (en) Light-reflecting and light-shielding apparatus of computer panel
CN107489925B (zh) Led面板灯及其边框
KR101531287B1 (ko) 슬라이딩 조립식 led 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
KR20120005629U (ko) 영정사진 조명장치
CN106960739B (zh) 平面开关以及平面开关单元
KR20170071937A (ko) 삼차원 입체 형상 액자
KR200370433Y1 (ko) 투광식 메시지 전달장치
CN217334604U (zh) 便于夜间使用的排插
CN215495874U (zh) 一种夜灯
CN220647988U (zh) 一种光幕灯具
JPS5922563Y2 (ja) プログラム式制御装置のコントロ−ラユニツト
TWM542938U (zh) 水族箱燈蓋板裝置
CN215335870U (zh) 一种照明装置
JPS6128353Y2 (ko)
TWI606781B (zh) Aquarium lamp cover device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110004629U (ko) 거울 겸용 간접조명장치
CN110050460A (zh) 显示设备
KR200487234Y1 (ko) 사진을 이용한 조명등
JP3076525U (ja) 写真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