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083A -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 Google Patents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083A
KR20190002083A KR1020170082482A KR20170082482A KR20190002083A KR 20190002083 A KR20190002083 A KR 20190002083A KR 1020170082482 A KR1020170082482 A KR 1020170082482A KR 20170082482 A KR20170082482 A KR 20170082482A KR 20190002083 A KR20190002083 A KR 2019000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xing
fixed
opera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575B1 (ko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레버부와 레버 작동부가 기어방식으로 결합되어 수동으로 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핸들 레버부가 회전하면서 사이폰덮개를 개방시켜 변기를 세척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button structure of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레버부와 레버 작동부가 기어방식으로 결합되어 수동으로 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핸들 레버부가 회전하면서 사이폰덮개를 개방시켜 변기를 세척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변을 본 후, 변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용변의 세척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수동레버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개방된 배출구로 수조에 저장된 물이 변기 본체로 배수되면서 변기 본체에 위치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세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변을 세척하기 위한 수동버튼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258호로 양변기의 레버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 공개된 양변기의 레버는 양변기 수조의 홀 내측에서 레버를 결합시키고, 홀 외측에서 손잡이 작동부와 손잡이를 결합하고, 레버의 단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변기 레버는 손잡이를 직접적으로 눌러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레버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해 사이폰덮개를 안정적으로 개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손잡이를 누르는 가압력이 레버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와이어가 레버에서 순간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작동이 발생함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258호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레버 작동부의 작동기어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수동으로 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핸들 레버부가 기어방식에 의해 회전하므로 사이폰 덮개를 개방시키는 작동이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 작동부의 회전시 회전안내홈이 안내돌기에 안내되어 회전하므로 회전작동이 원활하고 레버 작동부가 스토퍼에 밀착되어 레버 고정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 작동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므로 내구성 향상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는, 비데 내부의 수조에 형성되는 설치공;
상기 수조의 전면에 설치공과 동일선상으로 고정되는 레버 고정부;
상기 레버 고정부의 레버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물내림장치의 와이어에 결합되는 핸들 레버부;
상기 레버 고정부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핸들 레버부가 레버 고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키;
상기 레버 고정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작동기어가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맞물리면서 버튼부의 가압으로 회전하여 핸들 레버부를 회전시키는 레버 작동부;
상기 레버 작동부와 레버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 작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레버 작동부를 가압하도록 비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버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 고정부는, 상기 설치공에 레버 결합홀이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키가 고정되는 키홈;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레버 작동부가 회전 결합되도록 결합편이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 상부의 고정대 일측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타측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 레버부는, 상기 레버 고정부와 설치공으로 결합되어 후단부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작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핸들 레버부는,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제어돌기; 상기 레버 고정부의 레버 고정홀 전방에 제어돌기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회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레버 작동부는, 상기 레버 고정부의 전방에 고정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가 레버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며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 상부의 작동부재 후면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작동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안내홈; 상기 작동부재 상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작동기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버 작동부는, 결합공과 회전안내홈 사이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작동부재가 레버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에 의하면,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레버 작동부의 작동기어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므로 수동으로 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핸들 레버부가 기어방식에 의해 회전하므로 사이폰 덮개를 개방시키는 작동이 정확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에 의하면, 레버 작동부의 회전시 회전안내홈이 안내돌기에 안내되어 회전하므로 회전작동이 원활하고 레버 작동부가 스토퍼에 밀착되어 레버 고정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버 작동부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므로 내구성 향상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세정수가 저장되는 수조(20)가 변기본체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수조(20)의 내측에는 세정수를 변기 내부로 배출시키도록 통상의 구조로 형성되는 물내림장치(30)가 장착되며, 상기 물내림장치(30)는 비데(1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물내림을 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물내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0)의 일정 위치에는 설치공(11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10)이 형성된 수조(20)의 전면에는 레버 고정부(120)가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고정스크류로 고정된다.
상기 레버 고정부(120)의 고정대(121)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23)에는 레버 작동부(150)가 결합된다.
먼저, 상기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부재(151)에 형성된 결합홈(152')을 레버 고정부(120)의 결합돌기(1230)에 형성된 결합편(123')과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작동부재(151)를 레버 고정부(120) 측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230)를 중심으로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부재(151)를 상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부재(151)가 결합돌기(123)의 결합편(12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레버 작동부(150)의 결합안내홈(155)은 스토퍼(124)를 따라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안내홈(155)이 스토퍼(124)에서 이탈되면 작동부재(151)의 후면이 탄성을 가진 스토퍼(124)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151)가 계속 회전하여 스토퍼(124)를 지나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151)는 레버 고정부(1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스토퍼(124)는 탄력있게 복원되어 작동부재(151)가 레버 고정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부재(151)가 레버 고정부(120)의 고정대(121)에 결합되면, 상기 작동부재(151) 후면에 형성된 회전안내홈(153)의 선단부는 고정대(121)에 형성된 안내돌기(125)를 수용한 상태가 된다.
상기 레버 작동부(150)가 레버 고정부(120)에 결합되면, 상기 레버 작동부(150)의 전방에서 레버 고정부(120)에 형성된 결합돌기(123)를 통해 고정부재(160)를 체결하여 레버 작동부(150)가 레버 고정부(1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레버 고정부(120)의 레버 결합홀(121') 전방에 핸들 레버부(1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레버부재(131)를 레버 결합홀(121')과 설치공(110)을 통해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레버부재(131)가 결합되면, 상기 레버부재(131)의 선단부에 형성된 회전기어(131)가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기어(154)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132)가 작동기어(154)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 고정부(120)에 형성된 키홈(122)에 고정키(140)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키(140)는 핸들 레버부(130)의 고정홈(133)에 고정되어 핸들 레버부(130)가 레버 고정부(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핸들 레버부(130)의 레버부재(131) 후단부에는 물내림장치(30)에 장착된 와이어를 결합하여 사이폰덮개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비데의 일측에는 레버 작동부(150)를 가압하여 수조(20) 내부의 세정수를 물내림할 수 있도록 버튼(170)이 장착된다.
상기 버튼(170)은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서 가압편(171)이 작동부재(151)를 탄력있게 가압하도록 하며, 가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의 일측에서 수동으로 버튼(17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170)에 형성된 가압편(171)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부재(15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51)는 결합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51)의 후면에 형성된 회전안내홈(153)은 레버 고정부(120)의 안내돌기(125)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151)는 회전안내홈(153)의 단부가 안내돌기(125)에 밀착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부재(15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기어(154)가 핸들 레버부(130)의 회전기어(132)를 회전시켜 레버부재(131)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132)의 후면에 형성된 제어돌기(134)는 레버 고정부(120)에 형성된 제어홈(135) 내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어돌기(134)는 제어홈(135)의 일측 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핸들 레버부(130)는 제어돌기(134)와 제어홈(135)의 구조로 인해 레버부재(131)가 레버 고정부(120)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버부재(131)가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부재(131)의 후단부에 결합된 와이어가 사이폰덮개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수조(20) 내부의 세척수를 변기 내부로 배출시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변기의 세척이 완료되어 버튼(170)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가압편(171)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상태로 복원되며, 핸들 레버부(130)의 레버부재(131)는 사이폰덮개가 자중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최초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 레버부(130)의 회전기어(132)는 레버 작동부(150)의 작동기어(154)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151)는 래버 고정부(120)에 형성된 스토퍼(124)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다음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수동버튼 구조
110: 설치공 120: 레버 고정부
121: 고정대 122: 키홈
123: 결합돌기 124: 스토퍼
125: 안내돌기 130: 핸들 레버부
131: 레버부재 132: 회전기어
133: 고정홈 134: 제어돌기
135: 제어홈 140: 고정키
150: 레버 작동부 151: 작동부재
152: 결합공 153: 회전안내홈
154: 작동기어 155: 결합안내홈
160: 고정부재 170: 버튼

Claims (6)

  1. 비데 내부의 수조에 형성되는 설치공;
    상기 수조의 전면에 설치공과 동일선상으로 고정되는 레버 고정부;
    상기 레버 고정부의 레버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물내림장치의 와이어에 결합되는 핸들 레버부;
    상기 레버 고정부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핸들 레버부가 레버 고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키;
    상기 레버 고정부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작동기어가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맞물리면서 버튼부의 가압으로 회전하여 핸들 레버부를 회전시키는 레버 작동부;
    상기 레버 작동부와 레버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 작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레버 작동부를 가압하도록 비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는 버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 고정부는,
    상기 설치공에 레버 결합홀이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키가 고정되는 키홈;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레버 작동부가 회전 결합되도록 결합편이 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 상부의 고정대 일측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타측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핸들 레버부는,
    상기 레버 고정부와 설치공으로 결합되어 후단부에 와이어가 결합되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레버 작동부의 작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후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제어돌기;
    상기 레버 고정부의 레버 고정홀 전방에 제어돌기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회전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 작동부는,
    상기 레버 고정부의 전방에 고정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가 레버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며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 상부의 작동부재 후면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작동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안내홈;
    상기 작동부재 상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핸들 레버부의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작동기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과 회전안내홈 사이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개방되어 작동부재가 레버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20170082482A 2017-06-29 2017-06-29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194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82A KR101947575B1 (ko) 2017-06-29 2017-06-29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82A KR101947575B1 (ko) 2017-06-29 2017-06-29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83A true KR20190002083A (ko) 2019-01-08
KR101947575B1 KR101947575B1 (ko) 2019-02-14

Family

ID=6502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82A KR101947575B1 (ko) 2017-06-29 2017-06-29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11B1 (ko) * 2019-06-24 2020-07-08 송태광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3169B2 (ja) * 2010-11-18 2015-04-01 株式会社エスミー ワイヤー式洗浄ボタ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トイレブ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11B1 (ko) * 2019-06-24 2020-07-08 송태광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75B1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8050B2 (ja) 排水操作装置、及び、この排水操作装置を備えたトイレ装置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1630805B1 (ko) 수도 개폐용 풋 페달 밸브장치
JP2009161936A (ja) 温水洗浄ノズルの掃除装置及び温水洗浄装置
KR101135954B1 (ko) 레버형 배수량 조절용 양변기 핸드레버
US20110094022A1 (en) Dual flush device for toilet water tank
KR200363500Y1 (ko) 관장기능이 부가된 비데용 분사노즐 구조
KR200464436Y1 (ko) 수도밸브 개폐장치의 풋 페달 스위치
KR102131911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1656207B1 (ko) 양변기 시트커버 회전력을 이용한 물내림 및 절수장치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70000693U (ko) 수전
CN109424025B (zh) 一种排水阀的拉线控制盒及具有其的马桶排水装置
JP4980696B2 (ja) ナット保持工具
KR200311711Y1 (ko) 절수장치
KR200267760Y1 (ko) 소변기의 세척수 밸브 개폐장치
JP2018178578A (ja) 操作装置
CN220908578U (zh) 出水组件及坐便器
KR200343796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KR200308732Y1 (ko) 양변기의 버튼식 배수장치
CN110872860A (zh) 一种按板式厨卫下水开关及下水装置
KR101281948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200271619Y1 (ko) 양변기의 버튼식 배수장치
KR200406358Y1 (ko) 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