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73B1 - 절수 페달 스위치 - Google Patents

절수 페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73B1
KR101527573B1 KR1020130124658A KR20130124658A KR101527573B1 KR 101527573 B1 KR101527573 B1 KR 101527573B1 KR 1020130124658 A KR1020130124658 A KR 1020130124658A KR 20130124658 A KR20130124658 A KR 20130124658A KR 101527573 B1 KR101527573 B1 KR 10152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guide body
cov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222A (ko
Inventor
이진혁
Original Assignee
이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혁 filed Critical 이진혁
Priority to KR102013012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누름 수단; 상기 누름 수단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급수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전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수단; 및 상기 누름 수단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수단은, 사용자가 누르는 발판커버; 및 상기 발판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발판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전 및 상기 링크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상기 급수전에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커버가 눌리면 상기 발판커버의 일단측에 제공되는 누름부가 상기 링크 수단을 누름으로써 상기 링크 수단이 회동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수 페달 스위치{WATER SAVING PEDAL SWITCH}
본 발명은 절수 페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엌에서 주부들이 급수전을 이용하여 야채를 씻거나 설거지를 하는 경우, 손으로 급수전의 핸들을 회전하여 급수하거나 중단하게 되면 손에 있던 물건을 내려놓은 후에 급수전을 회전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부엌 등의 싱크대에 설치된 급수전에 연결되어 급수전의 수돗물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페달 스위치가 제안되었다(등록 특허 제10-0442449호 참조). 이러한 페달 스위치는 사용자가 발로 스위치를 터치하거나 압착하여 급수전을 on/off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하면서도 급수전의 급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달 스위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on/off 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전기적인 페달 스위치를 이용해서 급수전을 제어하는 경우, 페달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해지므로 전기 공급용 배선 등 추가적인 급전 설비가 부설되어 장치적인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페달 스위치는 수돗물을 많이 사용하는 부엌의 바닥면에 위치하므로, 부엌의 바닥면에 고인 물이 페달 스위치 장치 내부에 침투하는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감전을 당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페달 스위치는 내부에 전기 부품들이 다수 배치되므로, 기본적으로 수분에 취약하고, 물이 장치의 내부로 튀는 등으로 인해 잔고장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24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추가적인 급전 설비가 부설될 필요 없어서 장치적인 구성이 종래보다 간소한 절수 페달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돗물을 많이 사용하는 부엌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부엌의 바닥면에 고인 물이 절수 페달 스위치 장치 내부에 침투하더라도 사용자가 감전을 당할 위험이 없는 절수 페달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더라도 잔고장이 적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절수 페달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누름 수단; 상기 누름 수단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급수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전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수단; 및 상기 누름 수단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수단은, 사용자가 누르는 발판커버; 및 상기 발판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발판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전 및 상기 링크 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상기 급수전에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커버가 눌리면 상기 발판커버의 일단측에 제공되는 누름부가 상기 링크 수단을 누름으로써 상기 링크 수단이 회동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발판커버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둘레벽 중 일부로 구성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발판커버에 의해 눌려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제어카트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밀려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어카트리지를 제어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가이드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카트리지는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디에 형성된 제어바 결합홈에 상기 제어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는 힌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힌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가이드 바디를 밀어 올리면 상기 가이드 바디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링크 수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위치의 회전 위치에 의해 상기 링크 수단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발판커버에 의해 눌려서 회전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제어카트리지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밀려 움직임으로써 상기 제어카트리지를 제어하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위치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바디에 형성된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바디의 회동을 제한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베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스위치의 헤드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스위치 가이드가 제공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인 매커니즘을 이용한 절수 페달 스위치가 제공되므로 전기 공급용 배선 등 추가적인 급전 설비가 부설될 필요가 없어서 장치적인 구성이 간소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돗물을 많이 사용하는 부엌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부엌의 바닥면에 고인 물이 장치 내부에 침투하더라도 전기적인 구성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감전을 당할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전기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더라도 잔고장이 적고 오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 수단과 급수 수단을 연결하는 부분이 일체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두 개 부재로서 독립적으로 제공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동작이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고정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급수를 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되므로,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과 슬라이드 바디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 페달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수 페달 스위치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누름 수단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 급수 수단에서 급수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누름 수단을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고정스위치 바에 의해 제 2 바디가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절수 페달 스위치가 급수전에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 페달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수 페달 스위치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페달 스위치(1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누름 수단(100), 누름 수단(100)에 연결되고, 급수전(도 5, 20)에 연결되어 급수전(20)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 수단(200) 및 누름 수단(100)이 조작되면 회동하면서 급수 수단(200)을 제어하는 링크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 수단(100)은 사용자가 발로 누르도록 제공되는 발판커버(110) 및 발판커버(110)의 하측에 제공되어 발판커버(110)를 지지하는 발판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커버(11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발판커버(11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패드(112)가 제공되며, 패드(112)는 실리콘 등의 마찰력이 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커버(110)의 하면에는 버튼(116)이 체결되며, 버튼(116)은 발판베이스(120)에 제공되는 클릭부재(122)에 인입되어 발판커버(110)가 눌릴 때 클릭부재(122)를 눌러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 버튼(116)과 클릭부재(122)는 사용자가 눌렀을 때 클릭감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냉장고의 홈바에 제공되는 빅래치(big latch)를 포함하는 누름 장치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발판커버(110)를 누르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전달함과 동시에 발판커버(110)가 눌린 상태에서 버튼(116)이 클릭부재(122) 내부에서 래치되어 고정되고, 발판커버(110)가 눌려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차 발판커버(110)를 누르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전달함과 동시에 버튼(116)이 클릭부재(122)에 래치된 상태가 해제되어 발판커버(110)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클릭부재(122) 및 버튼(116)에 관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급수 수단(200)은 급수 수단(200)에 포함되는 부재들을 덮도록 제공되는 메인커버(210), 메인커버(210)가 안착되는 메인베이스(220) 및 가이드 바디(3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210)는 하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프레임일 수 있고, 메인베이스(220)에 안착되어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메인커버(210)의 측벽에는 고정스위치(230)의 헤드(23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스위치 가이드(214) 및 고정스위치(230)가 삽입되는 스위치 삽입홀(216)이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 삽입홀(216)은 메인커버(210)의 마주보는 양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가이드(214)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호가 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베이스(220)는 메인커버(210)와 체결되도록 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홈이 형성될 수 있고, 메인베이스(220)의 상면에는 제어카트리지(218)가 설치되는 카트리지 체결부재(228), 제어카트리지(218)를 지지하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카트리지 지지부재(229) 및 탄성부재(223)가 체결되는 탄성부재 체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베이스(120) 및 메인베이스(220)에는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부(124, 222)가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판베이스(120) 측 체결부(124)가 메인베이스(220) 측 체결부(222)에 삽입되어 볼트로써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체결부재(228)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볼트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어카트리지(218)는 카트리지 체결부재(228)의 볼트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여, 제어카트리지(218)가 카트리지 체결부재(228)에 볼트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제어카트리지(218)는 급수전(20)과 플랙시블관(도 5, 22)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플랙시블관(22)이 연결되어 물이 출입하는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 및 토출구를 연통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카트리지(218)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미도시)가 내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어카트리지(218)의 전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바(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제어바(219)와 연결되어 제어바(219)가 회동함에 따라 개폐 조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어카트리지(218)는 급수전(20)에 물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급수 제어용 카트리지일 수 있고, 일 예로 제어바(219)가 원래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제어바(219)가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 플랙시블관(22)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바(219)가 원래의 위치에 있으면 급수가 이루어지고, 회동하면 급수가 차단되도록 작동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제어카트리지(218)의 작동 원리는 주지관용의 기술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탄성부재 체결부(226)는 탄성부재(223)의 일단측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23)는 일 예로 인장 스프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23)가 가이드 바디(320)의 양 측에 두 개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 또는 셋 이상의 탄성부재(223)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 체결부(226)는 탄성부재(223)가 제공되는 개수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고정스위치(230)는 원형 바 형상일 수 있고, 중심부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스위치(230)의 일단측에는 고정스위치 헤드(232)가 연결되는 플랜지 형상의 연결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스위치 헤드(232)는 소정 두께를 갖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고, 디스크의 원주 중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메인커버(210)의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 가이드(214)에 닿아서 고정스위치 헤드(232)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크 수단(300)은 발판커버(110)에 의해 눌려서 회전하는 슬라이드 바디(310) 및 제어카트리지(218)와 연결되어 제어카트리지(218)를 조작하는 가이드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310)는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바디(310)의 일측에서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탭부(312), 슬라이드 바디(310)의 중간 부분에 슬라이드 바디(3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314) 및 슬라이드 바디(310)의 상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탭부(312)는 발판커버(110)에 포함되는 누름부(114)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누름부(114)는 발판커버(110)의 상면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단순히 발판커버(110)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둘레벽 중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바디(310)의 탭부(312)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 단부는 단면이 반원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부(316)는 슬라이드 바디(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커버(210)의 일측에는 가이드 바디(320) 및 슬라이드 바디(31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슬라이드 커버(2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베이스(220)는 슬라이드 바디(31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부재(221) 및 슬라이드 바디(310)가 연결되는 힌지브라켓(224)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221)는 메인베이스(22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부재일 수 있고, 사용자가 누름 수단(100)을 누르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 바디(310)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224)은 힌지핀(225)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두 개의 브라켓이 메인베이스(2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224)의 사이에 슬라이드 바디(310)가 힌지홀(314)과 상기 관통홀이 서로 일치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225)이 상기 관통홀 및 힌지홀(314)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 바디(310)와 힌지브라켓(224)가 조립될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바디(310)는 힌지핀(225)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브라켓(224)에 조립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20)는 슬라이드 바디(310)의 슬라이드부(316)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바디(3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22)이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양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223)가 체결되는 탄성부재 체결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바디(320)의 일단측에는 제어카트리지(218)의 제어바(219)가 삽입되어 핀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제어바 결합홈(32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바 결합홈(328)이 가이드 바디(320)의 양 측면으로는 개구되고 단면이 C 형상을 갖는 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양 측면이 개구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제어바 결합홈(328)을 구성하는 벽부에는 핀 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벽부와 맞닿는 제어바(219)의 면에도 상기 벽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핀 또는 볼트가 상기 벽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제어바(219)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바디(320)와 제어바(219)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바디(320)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바(219)도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20)의 하면에는 돌출부(236)의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홈(326)이 형성되어 가이드 바디(320)가 상승하였을 때 사용자가 고정스위치 헤드(2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부(236)가 고정홈(326)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절수 페달 스위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누름 수단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 급수 수단에서 급수 제어가 실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누름 수단을 사용자가 누른 상태에서 고정스위치 바에 의해 제 2 바디가 고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절수 페달 스위치가 급수전에 연결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판커버(110)를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입수관(도 5, 24, 26)의 밸브를 열더라도 급수전(20)으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사용자가 발판커버(110)를 밟으면 급수전(20)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발판커버(110)를 밟으면 클릭부재(122)로부터 사용자가 클릭감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발판커버(110)의 누름부(114)가 슬라이드 바디(310)의 탭부(312)를 누를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310)의 탭부(312)가 누름부(114)에 의해 눌리면, 슬라이드 바디(310)가 힌지핀(225)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 1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드부(316)가 가이드 바디(320)의 가이드 홈(32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316)가 슬라이딩을 함에 따라 슬라이드 바디(310)가 가이드 바디(320)를 밀어 올리면서 가이드 바디(32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바(219)가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320)가 상승하면, 가이드 바디(320)에 체결된 탄성부재(223)도 변형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바디(320)에 하방으로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발판커버(110)를 사용자가 발로 밟아서 누르면 제어바(219)가 회전하면서 제어카트리지(218) 내부의 유로가 열려서 급수전(20)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발판커버(110)로부터 발을 떼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릭부재(122)에 의해 발판커버(110)가 눌린 상태로 유지되므로 급수가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급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급수를 중단하기 위해 발판커버(110)를 한번 더 밟으면 클릭부재(122)로부터 클릭감이 사용자에게 전달됨과 동시에 급수전(20)에 급수되기 이전 상태로 발판커버(11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114)가 슬라이드 바디(310)가 눌려진 상태가 해제된다. 슬라이드 바디(310)가 눌려진 상태가 해제되므로, 가이드 바디(320)에 작용하는 탄성부재(223)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바디(320)가 하강하게 되고, 가이드 바디(320)가 하강하면서 가이드 바디(320)의 하방에 맞물려있는 슬라이드 바디(310)도 가이드 바디(320)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 바디(320)가 하강하면서 제어바(219)도 하강하고, 이에 따라 제어카트리지(218) 내부의 유로가 차단되어 급수가 중단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급수를 위해 발판커버(110)를 누르면 가이드 바디(320)가 회전하여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스위치 헤드(232)를 회전시키면 고정스위치(230)의 돌출부(236)가 가이드 바디(320)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326)에 삽입되면서 고정스위치(230)가 가이드 바디(320)를 지지하게 되고, 이로써 발판커버(110)의 위치와 관계없이 가이드 바디(32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바디(320)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고정스위치(230)를 회전시키면 돌출부(236)가 가이드 바디(320)를 밀어 올리면서 고정홈(326)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고정스위치(2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이드 바디(32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누름 수단(100) 또는 급수 수단(200) 중 적어도 하나에 문제가 생겨서 급수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급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급수전(20)의 물이 배출되는 토출헤드(21)는 싱크 수전 카트리지(29)와 연결되고, 싱크 수전 카트리지(29)는 냉수 입수관(24) 및 온수 입수관(26)과 연결되어 냉수 입수관(24) 및 온수 입수관(26)으로부터 입수된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다. 이때 싱크 수전 카트리지(29)는 혼합된 물의 차단 여부 및 냉수 입수관(24) 및 온수 입수관(26)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급수전(20)의 구성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 수준이면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어카트리지(218)는 토출 헤드(21) 및 싱크 수전 카트리지(29)와 연결된 두 개의 플렉시블관(2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시블관(22)의 개수가 반드시 2개로 한정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절수 페달 스위치(10)가 설치되지 않은 기존의 급수전(20)에 절수 페달 스위치(10)를 설치하기 위해 토출헤드(21)와 싱크 수전 카트리지(29)를 연결하는 배관의 도중에 제공된 연결 너트부(28)를 풀어서 절수 페달 스위치(10)의 제어카트리지(218)와 연결된 플렉시블관(22)과 연결하여 절수 페달 스위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너트부(28)가 제공되지 않은 급수전(20)에 대해서는 플렉시블관(22)을 토출헤드(21) 및 싱크 수전 카트리지(29)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싱크 수전 카트리지(29)에서 혼합된 물은 플렉시블관(22)을 거쳐 제어카트리지(218)로 공급될 수 있고, 제어카트리지(218)로 공급된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매커니즘을 통해 공급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수 페달 스위치(10)는 기계적인 매커니즘을 이용하므로 전기 공급용 배선 등 추가적인 급전 설비가 부설될 필요가 없어서 장치적인 구성이 간소해지고, 수돗물을 많이 사용하는 부엌의 바닥과 같이 물이 장치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사용되더라도 전기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감전을 당할 위험이 없으며, 전기 부품이 사용되지 않아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되더라도 잔고장이 적고 오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누름 수단(100)과 급수 수단(200)을 연결하는 부분이 일체의 링크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슬라이드 바디(310)와 가이드 바디(320)의 두 개 부재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동작이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고정스위치(230)를 조작함으로써 급수를 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되므로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커버(110)의 누름부(114)와 슬라이드 바디(31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수 페달 스위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절수 페달 스위치 20: 급수전
21: 토출 헤드 22: 플렉시블관
24: 냉수 입수관 26: 온수 입수관
28: 연결 너트부 29: 싱크수전 카트리지
100: 누름 수단 110: 발판커버
112: 패드 114: 누름부
116: 버튼 120: 발판베이스
122: 클릭부재 124: 체결부
200: 급수 수단 210: 메인커버
212: 슬라이드커버 214: 스위치 가이드
216: 스위치 삽입홀 218: 제어 카트리지
219: 제어바 220: 메인 베이스
221: 받침부재 222: 체결부
223: 탄성부재 224: 힌지브라켓
225: 힌지핀 226: 탄성부재 체결부
228: 카트리지 체결부재 229: 카트리지 지지부재
230: 고정스위치 232: 고정스위치 헤드
234: 헤드연결부 236: 돌출부
300: 링크 수단 310: 슬라이드 바디
312: 탭부 314: 힌지홀
316: 슬라이드부 320: 가이드 바디
322: 슬라이드홈 324: 탄성부재 체결부
326: 고정홈 328: 제어바 결합홈

Claims (11)

  1.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누름 수단;
    상기 누름 수단에 연결되고, 물이 공급되는 급수전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전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수단; 및
    상기 누름 수단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 수단은,
    사용자가 누르는 발판커버; 및
    상기 발판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발판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발판커버의 일단측에 제공되는 누름부에 의해 눌려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라이드 바디; 및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밀려 움직이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전 및 상기 가이드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의 회동에 따라 상기 급수전에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카트리지; 및
    상기 가이드 바디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발판커버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둘레벽 중 일부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커버의 상면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디에는 상기 슬라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가이드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고,
    상기 고정스위치의 중심부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위치의 일단측에는 헤드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헤드가 회전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바디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 바디가 상기 고정스위치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카트리지는 일단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어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바디에 형성된 제어바 결합홈에 상기 제어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메인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는 힌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상기 힌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가이드 바디를 밀어 올리면 상기 가이드 바디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절수 페달 스위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급수 수단의 외곽면을 제공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를 지지하고, 바닥면에 안착되는 메인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베이스의 측벽에는 상기 고정스위치의 헤드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스위치 가이드가 제공되는 절수 페달 스위치.
KR1020130124658A 2013-10-18 2013-10-18 절수 페달 스위치 KR10152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58A KR101527573B1 (ko) 2013-10-18 2013-10-18 절수 페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58A KR101527573B1 (ko) 2013-10-18 2013-10-18 절수 페달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22A KR20150045222A (ko) 2015-04-28
KR101527573B1 true KR101527573B1 (ko) 2015-06-10

Family

ID=5303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58A KR101527573B1 (ko) 2013-10-18 2013-10-18 절수 페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2655A1 (en) * 2021-12-23 2023-06-29 Thoracent, Inc. Foot-actuated device for switching flow between fluid sour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729U (ko) * 1978-07-27 1980-02-09
JPS60137275U (ja) * 1984-02-23 1985-09-11 ヤンマ−産業株式会社 水栓におけるハンドル・足踏併用操作装置
KR100786382B1 (ko) * 2005-02-16 2007-12-14 김노석 풋 밸브 시스템
KR20130106079A (ko) * 2012-03-19 2013-09-27 (주)티에스자바 수돗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풋 스위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729U (ko) * 1978-07-27 1980-02-09
JPS60137275U (ja) * 1984-02-23 1985-09-11 ヤンマ−産業株式会社 水栓におけるハンドル・足踏併用操作装置
KR100786382B1 (ko) * 2005-02-16 2007-12-14 김노석 풋 밸브 시스템
KR20130106079A (ko) * 2012-03-19 2013-09-27 (주)티에스자바 수돗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풋 스위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2655A1 (en) * 2021-12-23 2023-06-29 Thoracent, Inc. Foot-actuated device for switching flow between fluid 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22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516B2 (en) Toilet with overflow protection
TWI577912B (zh) Touch faucet
KR101597258B1 (ko)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ATE406128T1 (de) Elektrisches gerät zum erhitzen von flüssigkeiten
KR101527573B1 (ko) 절수 페달 스위치
KR101630805B1 (ko) 수도 개폐용 풋 페달 밸브장치
KR20100009373A (ko) 도어 스토퍼장치
JP2016113797A (ja) 水栓装置
JP200825809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KR101912179B1 (ko) 기능성 복합 수도밸브
KR100786382B1 (ko) 풋 밸브 시스템
KR200320595Y1 (ko) 대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50005372A (ko) 수도 개폐용 풋 페달 밸브장치
US11198603B1 (en) Push type anti-scalding water dispenser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CA2990920C (en) Faucets providing mixed water and air flow
JP2008237733A (ja) 手洗装置
WO2020043056A1 (zh) 一种按板式厨卫下水开关及下水装置
KR200202689Y1 (ko)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JP3104431U (ja) 洗面台装置及びそれ専用の押しバルブ
KR200450079Y1 (ko) 기계식 비데의 냉수공급장치
KR200412379Y1 (ko) 급수장치용 풋 스위치의 누름판
RU2488339C2 (ru) Кухонный комбайн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кухонного комбай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