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689Y1 -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689Y1
KR200202689Y1 KR2020000005327U KR20000005327U KR200202689Y1 KR 200202689 Y1 KR200202689 Y1 KR 200202689Y1 KR 2020000005327 U KR2020000005327 U KR 2020000005327U KR 20000005327 U KR20000005327 U KR 20000005327U KR 200202689 Y1 KR200202689 Y1 KR 200202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dal
water supply
valv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걸
Original Assignee
김영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걸 filed Critical 김영걸
Priority to KR2020000005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공급관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적정온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배출 되는 물의 양과 개폐를 제어 할 수 있는 밸브하우징과 케이블로 연결된 페달을 이용하여 발동작으로 급수의 개폐를 할 수 있게 한 페달작동부로 구성되여 작동이 기계적인 장치로서 종래의 급수밸부 손잡이를 발로 밟는 페달로 대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종래의 급수밸브 조립체의 개폐시 손으로 하던 개폐 동작을 사용하지 않던 발을 사용하여 페달을 밟으므로서 개폐가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잦은 개폐가 필요한 작업시 낭비되는 물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은 작업에만 전념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필요량의 물만 사용 할 수 있는 장치로 제작 및 설치가 쉽고 물 부족이 예상되는 현실에서 절수 효과가 큰 유익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Foot Valve}
냉수 및 온수 공급관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배출하는 급수밸브에 있어서 종래의 급수밸브는 나사잠금식,레바식,원터치식,누름버튼식등 무수히 많다. 그러나 모두 물배출구와 손잡이가 함께 붙어있어 손으로만 개폐 할 수 있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사용자가 통상 싱크대로 불리는 작업대 또는 샤워를 하기 위한 물배출구 앞에서 밸브를 여는 시점부터 작업 시작하는 시각까지는 사용 할 수 없는 물을 흘려 보내야만 한다. 또한 밸브를 잠그기 위해서도 손이 하던 작업을 멈춘 상태에서 밸브를 잠구어야 한다. 이 때에 배출 되는 물은 사용 할 수 없어 낭비 되는 것이다. 특히 비누 및 세제를 사용 할 때에는 두 손에 묻은 비누거품 및 세제 때문에 개폐를 꺼리고 물을 흘려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은 손으로 급수밸브를 개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하고 있지 않던 발로써 개폐를 전담하게 하므로서 개폐가 신속하고 손쉽게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은 자유롭게 작업에만 전념 할 수 있게 되어 낭비되던 물을 절약 할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급수밸브가 모두 물배출구와 밸브노브가 함께 붙어 있어 손으로 개폐를 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는 물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개폐를 손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두손이 자유롭게 작업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높일수 있고 개폐 동작시 낭비되는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한 급수밸브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밸브하우징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달작동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이해하기 위한 종래의 급수밸브조립체에 본 고안에 따른 급수밸브하우징를 결합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고안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 한다.
도 1 에는 종래의 급수밸브에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어느 한 지점에 밸브하우징(1)을 결합하여 배출구(7)로 배출되는 물의 양과 개폐를 하도록 하는 밸브하우징(1)을 도시하였다. 종래의 급수밸브의 배출구와 본 고안에서의 물공급구(6)가 나사홈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배출구(7)는 샤프트고무박킹(2a)에 의해 물배출이 차단 되고 있다.
샤프트(2)는 원통의 봉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샤프트고무박킹(2a)을 결합하고 다른 일측은 니들밸브(3)를 관통하여 덮개밸브(4)중앙부까지 이르는 길이를 가지며 니들밸브(3)를 관통하는 부위에 오-링(2b)을 2개이상을 부착하여 밸브하우징(1)의 기밀도를 유지하게 한다. 샤프트(2)의 덮개밸브(4)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나사홈을 만들어 리턴스프링와샤(5a)를 결합하고 끝부분에는 홀을 만들어 케이블(14)의 일측과 결합된다. 리턴스프링와샤(5a)와 덮개밸브(4)사이에는 코일로 된 리턴스프링(5)을 압축된 상태로 장착하여 샤프트(2)를 배출구(7)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물을 사용 안 할 때 샤프트고무박킹(2a)이 물배출구(7)입구를 막아 물공급구(6)에서 공급된 물이 물배출구(7)로 유출 되지 않게 한다. 케이블(14)의 또 다른 일측은 덮개밸브(4)를 관통하여 페달케이스(9)내 케이블조절대(15)의 케이블연결홈(15b)과 연결되여 페달(10)의 상하 작동시 수평운동을 하게 된다.
사용자가 페달(10)을 발로 밟으면 케이블(8)이 덮개밸브(4)방향으로 당겨져 샤프트고무박킹(2a)이 열려 물이 배출되고 사용자가 페달(10)에서 발을 떼면 리턴스프링(5)이 샤프트(2)를 밀어 샤프트고무박킹(2a)이 물배출구(7)를 막게 된다.
도 2에는 페달케이스(9)가 도시 되어 있는데 밸브하우징(1)과 케이블(8)로 연결되여 사용자가 서 있는 바닥에 설치되며 케이블(8)길이에 따라 설치 장소 이동이 가능하다. 케이블(8)은 밸브하우징(1)과 페달케이스(9)외부에 노출된 부분에는 케이블호스(8a)로 감싸고 있다. 이는 페달(10)의 상하작동이 케이블(8)의 수평운동으로 원활이 전달 되게 함이다.
페달(10)은 페달케이스(9)상부에 돌출된 형상으로 위치하며 푸쉬로드(11)상단에 얹혀 있는 모양으로 좌우 회전이 용이하므로 페달(10)이 최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좌우로 회전시켜 페달턱부(10a)가 페달케이스(9)일측에 간섭되여 페달리턴스프링(13)이 작동되지 못하도록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밸브를 연 상태에서 페달(10)을 누루고 있을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페달(10)을 발로 누르면 페달(10)하부가 푸쉬로드(11)를 눌러 푸쉬로드홈(11a)과 연결된 스프링조절대(15)를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푸쉬로드(11)는 파이프(12)내부에서 상하운동을 하게되며 파이프(12) 일측면에 상하로 홈을 만들어 푸쉬로드홈(11a)이 상하운동을 용이하게 하였다.
케이블조절대(15)는 'L'모양을 가지며 각진부위에 홀을 만들어 케이블지지부(14)와 결합되고 좌우로 움직이기 용이하게 연결되며 일측은 푸쉬로드홈(11a)과 연결바아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밸브하우징(1)에서 연결된 케이블(8)과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의한 작동을 설명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급수밸브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물공급구(6)로 물이 유입되면 샤프트고무박킹(2a)에 의하여 물배출구(7)는 막혀 있다. 사용자가 페달(10)을 발로 누르면 푸쉬로드(11)가 수직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푸쉬로드홈(11a)과 결합된 케이블조절대(15)도 하부로 위치 이동 하게 된다. 이때 또 다른 케이블조절대(15)는 케이블(8)을 당기는 작동을 하게된다. 케이블(8)이 당겨지면 물배출구(7)를 막고 있던 샤프트고무박킹(2a)이 물배출구(7) 반대 방향으로 끌려오면서 물이 배출된다. 덮개밸브(4)내의 리턴스프링(5)은 케이블(8)을 당기는 압력에 의하여 탄성력이 증가하고 사용자가 페달에서 발을 떼면 리턴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샤프트(2)를 밀어 물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푸쉬로드(11)하단부에 위치한 페달리턴스프링(13)도 푸쉬로드(11)와 페달(10)을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물배출상태에서 발을 떼고자 할 때에는 페달(10)을 누른 상태에서 페달(10)을 좌우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페달턱부(10a)가 페달케이스(9)일측에 간섭되여 고정되므로 지속적인 물배출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페달(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페달리턴스프링(13)과 리턴스프링(5)의 탄성력이 페달(10)에 전달 되므로 물배출이 차단된다.
종래의 급수밸브 조립체의 개폐시 손으로 하던 개폐동작을 사용하지 않던 발을 사용하여 페달을 밟으므로서 개폐가 손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원리로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며 잦은 개폐가 필요한 작업시 낭비되는 물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은 작업에만 전념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업 할 수 있고 특히 빠른 작업이 요구 되고 많은 물 소비가 이루어 지는 음식점 주방 및 대중 목욕탕 샤워기 사용시 많은 물 절약을 이룰 수 있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현실에서 매우 유익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샤프트(2)일측에 고무박킹을 결합하여 리턴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샤프트(2)를 밀어 물배출구(7)를 차단하는 밸브하우징(1)과 페달(10)을 발로 누름으로서 케이블(8)을 통하여 샤프트(2)를 끌어당겨 물배출구(7)를 열게 하는 페달작동부를 구성으로 하는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KR2020000005327U 2000-02-25 2000-02-25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KR200202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27U KR200202689Y1 (ko) 2000-02-25 2000-02-25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27U KR200202689Y1 (ko) 2000-02-25 2000-02-25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689Y1 true KR200202689Y1 (ko) 2000-11-15

Family

ID=1964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27U KR200202689Y1 (ko) 2000-02-25 2000-02-25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44B1 (ko) 2011-03-16 2011-10-17 제노스주식회사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144B1 (ko) 2011-03-16 2011-10-17 제노스주식회사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119A (en) Foot operated water control
TWI565895B (zh) Touch faucet
WO2009006755A1 (fr) Unité de commutation pour un bouton poussoir d'un robinet d'eau de cuisine
JP4253761B2 (ja) 油圧及び空圧で作動されるダイアフラムバルブ
US20060085906A1 (en) Bathtub water tap
KR101074144B1 (ko)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MXPA00011439A (es) Aparato para ahorro de agua del tipo impulsado por valvula de pie.
KR200202689Y1 (ko) 발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US10364557B2 (en) Faucets providing mixed water and air flow
EP0902856B1 (en) Liquid flow control tap with inexhaustible energy-operated valve
KR200204808Y1 (ko) 케이블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밸브
CN106925447B (zh) 一种便捷切换的顶喷
KR100944716B1 (ko) 족압식 밸브
KR200237908Y1 (ko) 절수용 페달밸브
KR200435542Y1 (ko) 절수형 수전금구
KR20010111681A (ko) 케이블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밸브
KR100695734B1 (ko) 절수형 수전금구
TWI741617B (zh) 水龍頭出水口撥桿式啟閉控制結構
CN103032624A (zh) 自动节水龙头
KR101248521B1 (ko) 절수형 밸브 개폐장치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JPH08289854A (ja) 節水型シャワー装置
KR200166204Y1 (ko) 발로 개폐되는 급수장치
CA2990920C (en) Faucets providing mixed water and air flow
DE10203301A1 (de) Wassereinlauf und Wannenablau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