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789U -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 Google Patents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789U
KR20190001789U KR2020180004756U KR20180004756U KR20190001789U KR 20190001789 U KR20190001789 U KR 20190001789U KR 2020180004756 U KR2020180004756 U KR 2020180004756U KR 20180004756 U KR20180004756 U KR 20180004756U KR 20190001789 U KR20190001789 U KR 20190001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grip
plate
exercis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0597Y1 (en
Inventor
백승국
Original Assignee
백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국 filed Critical 백승국
Priority to KR2020180004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97Y1/en
Publication of KR20190001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78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9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상면에 연결되는 파지부; 악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악력부;를 마련하여 푸시업바의 파지부를 잡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수 있고, 팔굽혀펴기 운동과 함께 손목 근력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운동기구로 푸시업 운동 및 손목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 push-up bar comprising a pair of bottom plat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dapted to be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A gripper connected to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bottom plates so as to be gripped by a hand; And a grip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so as to raise grip force, so that various types of push-up and pull-up movements related to the push-up movement can be performed in a state of holding the grip portion of the push-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arm-up exercise and the wrist strength exercise, and the push-up exercise and the wrist strength exercise can be performed with one exercise device.

Description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

본 고안은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업 운동과 함께 악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force-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force-exerting device capable of pushing up a grip.

일반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현대인들은 각종 운동을 즐기고 있다.In general, to maintain a healthy life, modern people enjoy various sports.

이와 같이 운동을 즐기기 위해서는 각종 운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헬스클럽을 이용하고 있으며, 헬스클럽을 이용할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In order to enjoy such exercise, a health club equipped with a variety of exercise equipment is used, and when a health club is used, it is required to spend a regular cost, so that an economic burden is increasing.

특히 별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하므로, 바쁜 일상 중에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것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use the health club during busy daily life, since a separate time must be invested.

또한 최근에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야외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이 야외에 설치 된 경우에는 악천우시(눈, 비, 바람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cent years,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s been used so that it can be used by anyon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used in the case of bad weather (snow, rain, wind, etc.) when it is installed outdoors.

또는 가정에서 운동하기 위하여 각종 운동기구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는 운동할 수 있는 종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정용 운동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 있는 실정이다.There is a case in which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are provided for exercising at home. However, such a home exercise apparatus is required to have a home exercise apparatus capable of exercising various kinds of exercises because the types of exercise exercises are limited.

즉, 사용자에 따라서 원하는 운동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크게 구분하면 상체, 하체, 복근 및 허리 운동이 기본이라 할 수 있다. That is, the kind of exercise desired varies according to the user, but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the abdominal muscle and the waist movement are basically classified as the basic types.

특히 최근에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운동 중 허리 및 복근 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허리 및 복근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정용 운동기구의 사용이 널리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Especially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waist and abdominal exercise in the basic exercise for maintaining health has been emphasized, and the use of home exercise equipment which can exercise the waist and abdominal muscles is increasing widely.

한편 푸쉬업 운동이란 양팔을 어깨 넓이로 벌린 후 바닥에 평행하게 놓고 다리를 뒤로 길게 뻗어 팔을 굽혔다 피는 과정을 반복하여 가슴의 근육을 수축 이완시키는 운동방법이다.On the other hand, the push-up exercise is a method of exercising to stretch and relax the muscles of the chest by repeating the steps of raising both arms in the shoulder width, placing the legs parallel to the floor, stretching the legs backward and bending the arms.

여기서 푸쉬업 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슴의 근육을 자극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방법이긴 하나 운동방법에 대한 약간의 변화로 인하여 코어(척추) 또는 팔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운동방법이기도 하다.Here, the push-up exercise is a representative exercise method that can stimulate the muscles of the chest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also a representative exercise method that can perform the core (spine) or arm exercise due to a slight change in the exercise method.

한편,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에 있어서 종래에는 손목의 보호를 위하여 받침대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손잡이가 구성된 푸쉬업 운동기구가 제안되고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push-up exercising apparatus, a push-up exercising apparatus having a hand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for protecting the wrist has been propos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푸쉬업 운동기구는 지면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키고 팔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상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을 흡수하지 못함으로서 팔목에 무리한 힘이 전달되어 부상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팔로부터 가하여지는 힘의 불균형을 보정할 수 없어 균형 있는 가슴운동이 불가능하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ush-up exercis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on the ground and arbitrarily adjusting the arm spacing, but since it can not absorb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art, an exces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uff, In addition, the imbalance of force applied from both arms can not be compensated, so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balanced chest movement.

여기서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푸쉬업 운동시 손 또는 팔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하여 완화시키는 기술로서 운동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운동기구이다.Here, the conventional push-up exercise device is a technique for relieving a hand or a wrist during a push-up exercise of a user through a spring provided therein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ring exercise.

그러나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것은 사실이나 강한 자극을 근육의 한 지점에 균일하게 주는 것은 스프링의 불규칙한 탄발력에 의해 균일하지 못하게 되어 운동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sh-up exercising apparatus, the safety is secured by utiliz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However, uniform exercise of a strong stimulus at one point of the muscle is not uniform due to irregular spring force of the spring, .

또한 종래의 푸쉬업 운동기구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푸시업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팔 근육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손목 또는 손아귀 부분의 근육을 증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sh-up exercising apparatus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arm muscles by repetitively pushing up in the state of being held by the hand, but the muscles of the wrist or the hand can not be increas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형 푸쉬업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 rotary type push-up exercise device ".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형 푸쉬업운동기구는 반복적으로 팔을 굽히거나 펴주는 것으로 정해진 부위의 근육을 수축 또는 이완시키는 푸쉬업운동기구로서,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중심면에 베어링이 안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베어링안착부, 상기 베어링의 중심면에 삽입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다수회 단턱진 원통 형상의 회전구, 상기 회전구의 상면에 연결되는 환봉 형상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아치형상의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A push-up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a push-up exercise device that contracts or relaxes a muscle in a predetermined region by repetitively bending or stretching an arm. The push-up exercise device includes a suppor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Shaped bearing seat on which a bearing is seated, a rotary shaft having a plurality of tapered cylindrical shapes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center surface of the bearing, a lower frame of a round bar shap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f an upper frame of an arcuate shape extending in the upper direction from both sides.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상체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상체운동기구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폐쇄된 원통형 몸체를 구비하여 그 바닥의 중심에 상`하로 관통된 보스를 상향 돌출시키고, 보스를 중심으로 그 외곽 원주상의 일정한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몸체를 감싸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내경을 가지며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몸체를 구비하여 그 상부의 저면 중심에 상기 보스와 수직으로 대응하는 결합구를 하향으로 돌출시키며, 이 결합구를 중심으로 그 외곽 원주상의 일정한 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돌기와 수직으로 대응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한 승강부, 상기 승강부 몸체의 폐쇄된 상판 양측에 하향으로 요입되어 손잡이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2개 1조의 설치홈을 구비하고, 손잡이의 하부 양측에 상기 설치홈에 각각 삽입되는 2개 1조의 받침대를 구비하여 설치홈의 바닥에서 스크류를 체결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The upper body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has a cylindrical body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whose bottom is closed so that a boss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is upwardly projected and a constant angle And a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and having an upper portion closed and a lower portion open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bos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boss. The coupling hole is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roj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ss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coupling hole, The elevating part having a groove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art body, Lock having two pair of installation groove, made on the lower opposite sides of the pull screws from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depressed portion that enters into the handle provided with a two pair of pedestal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2023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0239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49845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9845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1028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2833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2982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29821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푸시업 운동과 함께 손목 또는 손아귀 부분의 근육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force-exerting device for increasing a muscle of a wrist or a hand part together with a push-up mo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up bar equipped with a force gauge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ypes of exercise with one exercise apparatu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상면에 연결되는 파지부; 악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sh-up bar including a pair of bottom plat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gripper connected to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bottom plates so as to be gripped by a hand; And a grip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resiliently movable in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so as to raise grip force.

상기 악력부는 상기 파지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 portion includes an elastic body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grip portion; And a gripp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gripping plate by hand.

상기 악력부는 상기 파지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상기 파지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일단은 상기 제1 고정구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의 타단은 상기 제2 고정구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 second fixture fixed to the grip plate; And an elastic body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ixed .

상기 바닥플레이트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non-slip pad installed to firmly close the bottom plate so as not to move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부; 상기 손가락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파지되도록 상기 요홈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 및 돌기부는 파형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formed as recesses so that the fingers are stably seated; And protrusions protruding between the recessed grooves so that the fingers are gripp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wherein the recessed grooves and the protrusions are repeatedly formed in a continuous wave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에 의하면, 푸시업바의 파지부를 잡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팔굽혀펴기 운동을 할 수 있고, 팔굽혀펴기 운동과 함께 손목 근력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운동기구로 푸시업 운동 및 손목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grip for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kinds of push-up and pull-up exercises related to the push-up movement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of the push-up ba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rist strength exercise at the same time, and the push-up exercise and the wrist strength exercise can be performed with one exercise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grip unit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grip force machine having a grip for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force gauge equipped with a force gaug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gripper having a gripp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10),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10) 상면에 연결되는 파지부(20), 악력을 키울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20)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악력부(30)를 포함한다.A push-up bar provided with a grip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bottom plates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dapted to be supported on a floor, a pair of bottom plates 10 A grip portion 20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0 and a grip force portion 30 elastically mov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0 so as to increase grip forc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는 푸시업(팔굽혀펴기) 운동을 하면서 손의 악력을 동시에 키울 수 있도록 한다.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raise the grip of the hand while performing a push-up (push-up) exercise.

즉, 푸시업 동작과 함께 또는 푸시업 동작 중간에 손목 또는 손아귀의 힘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악력기가 푸시업바에 일체로 설치된다.That is, a force-exert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force of the wrist or han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up operation or in the middle of the push-up operation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push-up bar.

<제1 실시 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assembled body shown in FIG.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10), 상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10) 사이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부(20)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20)에는 손목 또는 손아귀의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악력기(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ush-up bar provided with a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bottom plates 10 provided to be stably placed on a floor, A grip unit 20 provided between the plates 10 so as to be held by hand and a grip unit 30 mounted on the grip unit 20 to raise the force of the wrist or hands.

상기 바닥플레이트(10)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11)는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plate 1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plate 11 of the bottom plate 10 may have a straight shape or a predetermined arc shape.

상기 플레이트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파지부를 잡고 푸시업을 할 때 소정의 각도로 유동함으로 손목운동도 변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When the plate is formed into an arc shape, when the push-up is performed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the wrist motion can be changed by flowing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두개의 푸이업바를 이용하여 운동할 때 두개의 푸이업바의 간격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짐으로 손목에 무리를 주지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Also, when exercising by using two pu up bars, i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two pu push-up bars, so that exercise can be performed without giving a load to the wrist.

상기 플레이트(11)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미끄럼방지패드(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패드(12)는 플레이트(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레이트(11)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non-slip pad 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 so as to be stably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 non-slidable pad 1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late 11, and may be made of soft rubber or synthetic resin so that the plate 11 does not slip.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파지부(20)가 고정되도록 소정 높이의 고정봉(13)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13)은 중공의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2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A fixing rod 13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 so that the holding portion 20 is fixed. The fixing rod 13 is formed in a hollow circular shape, so that the grip portion 20 is firmly fixed.

한편 바닥플레이트(10)는 파지부(20)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late 10 is provid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grip portion 20.

상기 파지부(2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10)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수직프레임(21)과 다른 하나의 바닥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제2 수직프레임(22) 및 이들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3)으로 이루어진다.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The grip portion 2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21 fixed to one of the pair of bottom plates 10 and a second vertical frame 21 fixed to the other bottom plate 10. [ 2 vertical frame 22 and a horizontal frame 23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상기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수평프레임(23)을 수평으로 연장 형성한다.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may have the same height or different heights. That is, 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horizontally extend the horizontal frame 23.

이와 달리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수평프레임(23)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3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따라 경사면에서 즉, 상체의 위치를 높게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otion effect by increas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on the inclined plane.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up bar gripper having a gripp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0)의 하부에는 악력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악력부(30)는 손목 또는 손아귀의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푸시업 운동을 위해 잡은 파지부(20)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 grip portion 30 is provided below the grip portion 20. The grip portion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rist or hand and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grip portion 20 held for the push-up movement.

상기 악력부(30)는 상기 파지부(2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체(33),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33)의 하부에 설치되는 파지플레이트(34)를 포함한다.The grip portion 30 includes an elastic body 33 resiliently mounted on the grip portion 20 and a grip plate 34 disposed under the elastic body 33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grip.

상기 악력부(30)는 탄성체(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손목 또는 손아귀의 근력을 키을 수 있도록 한다.The grip portion 30 is elastically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33 so as to repeatedly perform an operation of grasping and grasping the hand so that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wrist or hand can be increased.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악력부(30)는 상기 파지부(2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구(31), 상기 파지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32), 상기 제1 고정구(31)와 제2 고정구(32)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체(33)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33)의 일단은 상기 제1 고정구(31)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33)의 타단은 상기 제2 고정구(32)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3, the grip portion 30 includes a first fastener 3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p portion 20, a second fastener 32 fastened to the grip plate 34, And an elastic body 33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member 3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2.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3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31 so as not to be separated, 33 are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32 so as not to be separated.

상기 파지부(20)의 수평프레임(23)에는 제1 고정구(31)가 고정되고, 파지플레이트(34)에는 제2 고정구(32)가 고정된다. 이들 제1 고정구(31)와 제2 고정구(32)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고정구(31, 32)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fixing member 31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3 of the grip unit 2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2 is fixed to the gripping plate 34.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31 and 32 are substantially U-shaped, and the fasteners 31 and 32 may be made of rigid metal or plastic.

상기 제1 고정구(31)와 제2 고정구(32)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33)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체(33)는 손목 또는 손아귀의 근력을 키울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한다.An elastic body 33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ture 31 and the second fixture 32 and the elastic body 33 has a rigidity that can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wrist or hand.

상기 파지플레이트(34)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에 잡힐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The gripping plate 3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and has a length that can be caught by the user's hand.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the engagement relationship of 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는 한 쌍의 플레이트(11)를 마련하며, 이들 플레이트(11)의 저면에는 접촉된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연질의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12)를 부착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plates 1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se plates 11, A non-slip pad 12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ttached.

아울러 플레이트(11)는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late 11 is made of a rigid material so as to withstand a load applied by a user,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파지부(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의 고정봉(13)을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봉(13)에는 파지부(20)의 제1 수직프레임(21) 및 제2 수직프레임(22)을 결합한다.A hollow fixing rod 13 is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 so that the holding portion 20 can be installed. 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of the grip portion 20 are engaged with the fixed bar 13.

상기 파지부(20)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파지부(20)는 고정봉(13)에 결합되도록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이 형성되며, 이들 제1 수직프레임(21)과 제2 수직프레임(22)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프레임(23)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다.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The grip portion 20 is formed with a first vertical frame 21 and a second vertical frame 22 to be coupled to the fixed bar 13 , The first vertical frame 2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 are integrally formed by a horizontal frame 2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한편 파지부(20)에는 푸시업에 의한 운동과 함께 악력을 키울 수 있는 악력부(30)를 설치한다. 상기 악력부(30)는 수평프레임(23)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고정구(31)와 수평프레임(23)의 하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파지플레이트(34)에 고정되어 제1 고정구(31)에 대향되게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정구(32)를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grip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grip force portion 30 capable of increasing the grip strength together with the push-up movement. The grip portion 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31 formed in an annular shap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23 and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3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23, A plurality of second fixtures 32 fixed to the plate 34 and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face the first fixture 31 are provided.

이들 제1 고정구(31)와 제2 고정구(32) 사이에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체(33)를 설치한다. 상기 탄성체(33)의 일단은 제1 고정구(31)에 의해 수평프레임(23)에 설치되며, 탄성체(33)의 타단은 제2 고정구(32)에 의해 파지플레이트(34)에 설치된다.An elastic body 33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rigidity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31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2. One end of the elastic body 33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frame 23 by a first fixing member 3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3 is attached to the holding plate 34 by a second fixing member 32.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1 to 3, a method of operating a push-up bar equipped with a knife force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푸시업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면 등의 바닥면에 바닥플레이트(10)를 올려 놓으며,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 설치된 미끄럼방지패드(13)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밀리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놓여진다.1 to 3, the user places the bottom plate 1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or the like so as to perform a push-up motion, and by the anti-slip pad 13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 And is stably placed so as not to be pushed or moved from the floor surface.

사용자는 푸시업 운동을 하기 위하여 손을 파지부(20)에 잡게 되고, 이때 사용자의 손은 파지부(20)의 수평프레임(23)과 함께 악력부(30)를 동시에 파지하게 된다.The user grips the hand grip portion 20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frame 23 of the grip portion 20 at the same time.

즉, 사용자는 수평프레임(23)을 잡게 따라 악력부(30)를 동시에 파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파지부(20)를 잡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That is, the user grips the grip portion 30 simultaneously with holding the horizontal frame 23. Accordingly, the user performs the push-up motion while holding the gripper 20.

한편 사용자는 푸시업 운동과 함께 선택적으로 악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푸시업 동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파지된 파지플레이트(34)를 움켜지게 된다. 이에 파지플레이트(34)는 탄성체(33)를 압축시키게 되며, 탄성체(33)는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압축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lectively exercise the grip force with the push-up motion. That is, the user grasps the gripping plate 34 grippe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up operation is completed. Thus, the grip plate 34 compresses the elastic body 33, and the elastic body 33 is compressed by the grip force of the user.

사용자는 푸시업 운동과 동시에 악력부(30)를 압축하거나 푸시업 동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악력부(30)를 압축시키는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perform the muscular force exercise for compressing the grip portion 30 at the same time as the push-up motion or compressing the grip portion 30 in a state where the push-up operation is completed.

<제2 실시 예>&Lt; Embodiment 2 >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악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push-up bar gripp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 button bar gripp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바닥플레이트(10) 및 파지부(20)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ottom plate 10 and the grip portion 20 of 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force apply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의 파지플레이트(34)는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부(35), 상기 손가락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파지되도록 상기 요홈부(35)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35) 및 돌기부(36)는 파형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형성된다.The gripping plate 34 of the push-up bar provided with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35 formed as recesses so that the fingers can be stably seated, The protrusions 36 protrude from the recessed grooves 35 and the recessed portions 35 and the protrusions 36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상기 바닥플레이트(10) 및 파지부(2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bottom plate 10 and the grip portion 2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names.

상기 파지부(20)의 수평프레임(23)에는 제1 고정구(31)를 고정하며, 파지플레이트(34)에는 제2 고정구(32)를 고정하고, 이들 제1 고정구(31)와 제2 고정구(32)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33)가 설치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31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23 of the grip unit 20 while the second fixing member 32 is fixed to the gripping plate 34. The first fixing member 31, And an elastic body (33) having elasticity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body (32).

한편 파지플레이트(34)는 사용자의 손에 보다 안정되게 파지되도록 소정의 ?이로 요홈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35)로부터 연속되게 손가락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돌출된 돌기부(36)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grip plate 34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recessed groove 35 so as to be stably gripped by the user's hand and protruded from the recessed groove 35 so that the fing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36 are integrally formed.

즉, 파지플레이트(34)는 요홈부(35)와 돌기부(36)를 파형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형성하여 손에 보다 안정되게 파지되게 한다.That is, the grip plate 34 is repeatedly formed in the shape of the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recessed portion 35 and the protruding portion 36 are gripped more stably in the hand.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파지부(20)를 잡은 상태에서 푸시업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파지부(20) 및 악력부(30)의 파지플레이트(34)를 잡은 상태에서 푸시업 동작을 하게 된다.The user uses the push-up bar equipped with the grip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o perform the push-up movement while holding the grip unit 20. That is, the user performs the push-up operation while holding the gripping portion 20 and the gripping plate 34 of the gripping portion 30.

사용자는 푸시업 동작을 하면서 손목 또는 손아귀의 근력을 동시에 하게 되는데, 푸시업 동작 중에 악력부(30)를 압축하여 손목의 근력 운동과 함께 팔 근력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simultaneously perform the push-up operation and the muscle force of the wrist or hand while compressing the grip portion 30 during the push-up operation, so that the arm muscle force move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muscle force exercise of the wrist.

또한 사용자는 푸시업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별도로 파지플레이트(34)를 압축시켜 손목의 근력운동을 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user can compress the grip plate 34 separately after the push-up operation is completed to perform the muscle force exercise of the wrist.

이와 같이 사용자는 팔 근력 운동과 함께 손목 근력 운동을 동시에 함으로써, 팔 근력 운동 외에도 손목 근력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user can perform the wrist strength exercise in addition to the arm strength exercis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arm strength exercise and the wrist strength exercise.

즉, 사용자는 푸시업바를 이용한 푸시업(Push-up), 풀 푸시업(Pull-push-up), 엘-시트(L-sit), 스트래들 엘(Straddle-L), 브이시트(V-sit), 턱 플렌체(Tuck-planche), 숄더 스탠드(Shoulder-stand), 핸드스탠드 푸시업(Handstand push-up) 등의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악력부(30)를 이용하여 손목 운동도 병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user can select the push-up, pull-push-up, L-sit, Straddle-L, V- various types of exercises such as a push-up, a tuck-plan, a shoulder-stand, and a handstand push-up can be carried out, So that the wrist motion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바닥플레이트 11: 플레이트
12: 미끄럼방지패드 13: 고정봉
20: 파지부 21: 제1 수직프레임
22: 제2 수직프레임 23: 수평프레임
30: 악력부 31: 제1 고정구
32: 제2 고정구 33: 탄성체
34: 파지플레이트 35: 요홈부
36: 돌기부
10: bottom plate 11: plate
12: Non-slip pad 13: Fixing rod
20: grip part 21: first vertical frame
22: second vertical frame 23: horizontal frame
30: gripping portion 31: first fastener
32: second fixture 33: elastic body
34: gripping plate 35:
36: protrusion

Claims (1)

파지부를 잡고 푸시업을 할 때 소정의 각도로 유동함으로 손목운동도 변행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의 저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소정 높이로 중공을 갖는 고정봉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바닥플레이트 중 하나에 고정되는 제1 수직프레임과 다른 하나의 바닥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수직프레임 및 이들 제1 수직프레임과 제2 수직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제1 수직프레임과 제2 수직프레임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수평프레임(23)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한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수평프레임 저면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구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파지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고정구에 대향되게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고정구 및 일단은 상기 제1 고정구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제2 고정구에 의해 파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체로서 구비되어 악력을 키울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손가락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홈부;
상기 손가락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파지되도록 상기 요홈부 사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 및 돌기부는 파형의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가 구비된 푸시업바.
And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so that the wrist motion can be changed by flow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ush-up is carried out by holding the grip portion. In the same shape as the base of the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pair of bottom plate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having a hollow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reof;
A first vertical frame fixed to one of the pair of bottom plates and a second vertical frame fixed to the other bottom plate, and a horizontal frame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 grip portion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vertical frame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2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first fixture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of the gri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fixtures fixed to the gripper plate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gripper under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as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that are installed on the gripping plate by the second fasteners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so as to increase grip force. And
Lt; / RTI &gt;
Wherein the grip plate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formed as recesses for stably holding the fingers;
And protrusions protruding between the recessed portions such that the fingers are gripp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rotruded portion are repeatedly formed in a continuous wave shape.
KR2020180004756U 2018-10-18 2018-10-18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KR20049059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56U KR200490597Y1 (en) 2018-10-18 2018-10-18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56U KR200490597Y1 (en) 2018-10-18 2018-10-18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48 Division 2018-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789U true KR20190001789U (en) 2019-07-12
KR200490597Y1 KR200490597Y1 (en) 2019-12-04

Family

ID=6722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56U KR200490597Y1 (en) 2018-10-18 2018-10-18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97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45Y1 (en) 2001-06-26 2001-11-16 김태호 pushup implement
KR200384425Y1 (en) * 2005-03-04 2005-05-16 박금자 Dumbbell Having Griping Tool
KR200442590Y1 (en) * 2006-06-29 2008-11-24 퍼펙트 푸쉬업, 엘엘씨 Push-up exercise unit and device
KR20120029821A (en) 2010-09-17 2012-03-27 김재범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US20130072365A1 (en) * 2011-09-15 2013-03-21 Exemplar Design, Llc Push-pull handles
KR20170102833A (en) 2016-07-28 2017-09-12 썬모닝주식회사 Multi purposed athletic apparatus
KR20170120239A (en) 2016-04-20 2017-10-31 세방정기 주식회사 Rotary push-up exercise equip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845Y1 (en) 2001-06-26 2001-11-16 김태호 pushup implement
KR200384425Y1 (en) * 2005-03-04 2005-05-16 박금자 Dumbbell Having Griping Tool
KR200442590Y1 (en) * 2006-06-29 2008-11-24 퍼펙트 푸쉬업, 엘엘씨 Push-up exercise unit and device
KR20120029821A (en) 2010-09-17 2012-03-27 김재범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US20130072365A1 (en) * 2011-09-15 2013-03-21 Exemplar Design, Llc Push-pull handles
KR20170120239A (en) 2016-04-20 2017-10-31 세방정기 주식회사 Rotary push-up exercise equipment
KR20170102833A (en) 2016-07-28 2017-09-12 썬모닝주식회사 Multi purposed athlet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97Y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855B2 (en)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US7008359B2 (en) Exercise apparatus
US9289639B1 (en)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US9289644B2 (en) gym
US20070054791A1 (en) Adaptable body conditioning apparatus
US20110269605A1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9211430B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20238411A1 (en) Upper and lower body cycling exercise device
JP2009502262A (en) Exercise apparatus and exercise method
US7604580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JP2010511425A (en) Abdominal exercise equipment
CN203829572U (en) Thigh exerciser
US20030013586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88015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ercise mechanism
US20100022367A1 (en) Abdominal exerciser
US5085429A (en) Musculature exercising method
US10814162B2 (en)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pelvis
KR20190001789U (en) Push-up Bar Equipped with Gripper
KR20150077894A (en) Multifunction fitness equipment using elastic band
WO2009042255A1 (en) Unsteady exercise platform having resistance bands
KR101592490B1 (en) Fitness structure for deadlift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KR102476500B1 (en) Reformer exercise equipment
KR101903711B1 (en) Push-up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KR200487636Y1 (en) Push-up exercise equipment for plank exercise combine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