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11A -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11A
KR20190001311A KR1020170081123A KR20170081123A KR20190001311A KR 20190001311 A KR20190001311 A KR 20190001311A KR 1020170081123 A KR1020170081123 A KR 1020170081123A KR 20170081123 A KR20170081123 A KR 20170081123A KR 20190001311 A KR20190001311 A KR 2019000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starting
switching unit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311A/ko
Publication of KR2019000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4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는, 메인배터리(100) 출력의 전압 크기를 변환하는 전압변환기(210); 시동용배터리(400)와 상기 전압변환기(210) 사이에 배치된 스위칭부(220); 및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전압변환기(210)를 통해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전력으로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APPARATUS FOR CHARGING START-UP BATTERY OF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는 엔진 등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를 점화, 연소시켜 농작업차량(1)의 운행을 구동시키거나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취출하게 된다. 최근 들어 하이브리드 트랙터는 이와 같은 내연기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농작업차량(1)에서 시동을 걸때 시동용 납축전지 배터리가 엔진에 시동 전력을 제공하고 있고, 주행 중에 납축전지 배터리는 알터네이터(Alternater) 등 발전장치를 통해 충전되어 시동에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납축전지 배터리는 완전 방전 되면 시동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아니라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충전상태가 잘 관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나 또는 장기간 방치로 인해 납축전지가 자주 방전되기도 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사용자는 큰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농작업차량의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시동 키의 오프 시에 자동으로 메인 배터리를 이용해 미리 충전상태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운행용 메인 배터리에 큰 영향 없이 적은 비용으로 농작업차량의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납축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는, 메인배터리(100) 출력의 전압 크기를 변환하는 전압변환기(210); 시동용배터리(400)와 상기 전압변환기(210) 사이에 배치된 스위칭부(220); 및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전압변환기(210)를 통해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전력으로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농작업차량(1)은 엔진과 모터를 조합하여 운행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일수 있다.
상기 전압변환기(210)는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스위칭부(220)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한다.
상기 메인배터리(100)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는 납축전지 배터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10% 이상일 때,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11볼트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300)에 의해 충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시동 키의 오프 시에 자동으로 메인 배터리를 이용해 미리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가 소정의 전력량으로 충전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함으로써, 시동용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운행용 메인 배터리에 큰 영향 없이 적은 비용으로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작업차량(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농작업차량(1)은 트랙터, 콤바인, 하베스터나 이양기 등 다양한 종류의 농작업을 위한 차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농작업차량(1)은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 차량일 수도 있고,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는 전기 모터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 차량일 수도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엔진이나 전기 모터를 필요 시에 구동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일 수도 있다. 농작업차량(1)은 엔진이나 전기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운행되며 장착된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는, 메인배터리(100) 출력을 이용하여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압변환기(210), 스위칭부(220) 및 결정부(230)를 포함한다.
농작업차량(1)의 시동이 걸린 후 운행되는 동안, 엔진의 출력(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알터네이터 등 발전기(300)에 의해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될 수 있지만, 시동이 꺼진 후 사용자의 부주의나 또는 장기간 방치로 인해 납축전지 형태의 시동용배터리(400)가 방전되어 시동이 불가능하게 되면 사용자는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를 이용하여 시동이 꺼진 후에 자동으로 메인배터리(100)를 이용해 미리 시동용배터리(400)의 충전상태를 유지 관리함으로써,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의 각부 구성 요소들은, 반도체 프로세서, 다양한 수동소자나 능동소자, 릴레이 등 전기적 스위치 등과 같은 하드웨어,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압변환기(210)는 메인배터리(100) 출력의 전압 크기를 변환한다. 전압변환기(210)는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다운시킬 수 있다. 메인배터리(100)의 출력(예, 14.4V, 24V, 48V 등)은 시동용배터리(400)의 출력(예, 12V, 13V 등)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메인배터리(100)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에 필요한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 있으며, 시동용배터리(400)는 납축전지 배터리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농작업차량(1)은 메인배터리(100)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운행될 수 있으며 장착된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농작업차량(1)은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운행될 수 있으며 장착된 쟁기, 로터기, 베일 집게 등 작업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농작업차량(1)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전기 모터 또는 엔진을 조합하여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구동하여 운행될 수 있다. 메인배터리(100)는 시동, 출발, 주행 등의 운행시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 사이에 배치되어,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에 따라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를 서로 통전시키거나 개방시킨다. 스위칭부(220)는 전기적 신호의 활성 또는 비활성 상태에 따라 턴온과 턴오프가 제어되는 다양한 전기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릴레이(relay)와 같은 전기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부(230)는 시동 키(key) 신호의 비활성 상태(시동이 꺼진 오프 상태)에 따라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충전된 전력량의 남은 양)과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하여 전압변환기(210)를 통해 메인배터리(100)의 전력으로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이고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이하(예, 전압이 11볼트(V) 이하)일 때,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한다. 예를 들어,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이 12V인 경우에,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10% 이상일 때,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11볼트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걸 때, 해당 시동 회로에서 발생하는 시동 키(key) 신호의 활성 상태(시동이 켜진 온 상태)에 따라 엔진제어장치 또는 모터제어장치와 같은 차량제어장치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을 제어하기 시작하며, 사용자가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오프하면, 시동 키(key) 신호의 불활성 상태에 따라 차량제어장치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제어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차량제어장치로 제공되는 시동 키(key) 신호는 해당 시동 회로와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서 인출되어 결정부(230)에 제공될 수 있다.
농작업차량(1)의 시동이 걸린 후 운행되는 동안에는, 엔진의 출력(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300)에 의해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될 수 있고, 결정부(230)는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위와 같이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한다. 시동이 꺼진 후에 결정부(230)는 지속적으로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시동용배터리(400)가 시동에 요구되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량 이상을 대부분 수십 ~ 수백 시간 정도 유지 가능하므로, 시동이 꺼진 후에 결정부(230)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 5, 10, 20, 30,..등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제어장치와 연결된 결정부(230)는, 시동 키(key) 신호의 비활성 상태(시동이 커진 오프 상태)에서(S150) 다음과 같은 과정(S110~S14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걸 때, 해당 시동 회로에서 발생하는 시동 키(key) 신호의 활성 상태(시동이 켜진 온 상태)에 따라 엔진제어장치 또는 모터제어장치와 같은 차량제어장치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을 제어하기 시작하며, 사용자가 농작업차량(1)의 시동을 오프하면, 시동 키(key) 신호의 불활성 상태에 따라 차량제어장치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제어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차량제어장치로 제공되는 시동 키(key) 신호는 해당 시동 회로와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서 인출되어 결정부(230)에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메인배터리(100)와 시동용배터리(400)에 연결된 결정부(230)는, 시동 키(key) 신호의 비활성 상태(시동이 커진 오프 상태)에서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한다(S110).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출력 전압 간에는 소정의 상관 관계가 있으므로, 이와 상관 관계에 따라 잔량 10%에 해당하는 메인배터리(100)의 전압을 미리 정할 수 있으며, 결정부(230)는 이와 같이 미리 결정된 잔량 10%에 해당하는 임계 전압과 메인배터리(100)의 전압을 비교하여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이와 같은 제1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스위칭부(220)의 전기적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를 턴오프시켜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 사이를 개방시킴으로써,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되지 않도록 한다(S140).
반면,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이와 같은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인 경우에는,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이하(예, 전압이 11볼트(V)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이와 같은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고,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220)의 전기적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를 턴오프시켜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 사이를 개방시킴으로써,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되지 않도록 한다(S140).
반면,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예, 잔량이 10% 이상)이고,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이하(예, 전압으로 환산하여 11볼트(V) 이하)인 경우에는, 스위칭부(220)의 전기적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를 턴온시켜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 사이를 통전시킴으로써,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한다(S131).
메인배터리(100)의 출력(예, 14.4V, 24V, 48V 등)은 시동용배터리(400)의 출력(예, 12V, 13V 등)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따라서, 전압변환기(210)는 메인배터리(100) 출력의 전압 크기를 변환하되,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예, 12V, 13V 등)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배터리(100)의 출력을 이용해 전압변환기(210)가 다운 변환한 전압으로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이 12V인 경우에, 결정부(230)는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10% 이상일 때,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11볼트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배터리(100)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에 필요한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 있으며, 시동용배터리(400)는 납축전지 배터리일 수 있다. 메인배터리(100)는 시동, 출발, 주행 등의 운행시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되는 동안, 결정부(230)는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최대허용전압(예, 12V) 이상으로 충전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최대허용전압(예, 12V) 미만인 경우, 결정부(230)는 스위칭부(220)의 전기적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의 턴온 상태를 유지시키며 충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최대허용전압(예, 12V) 이상으로 충전된 경우, 결정부(230)는 스위칭부(220)의 전기적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를 턴오프시켜 시동용배터리(400)와 전압변환기(210) 사이를 개방시킴으로써, 시동용배터리(400)가 더 이상 충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S140).
차량제어장치와 연결된 결정부(230)는, 시동 키(key) 신호의 비활성 상태(시동이 꺼진 오프 상태)에서(S150) 위와 같은 과정(S110~S140)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농작업차량(1)의 시동이 걸린 후 운행되는 동안에는, 엔진의 출력(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300)에 의해 시동용배터리(400)가 충전될 수 있고, 시동이 꺼진 후, 결정부(230)는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위와 같이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한다. 위와 같이 시동이 꺼진 후에 결정부(230)는 지속적으로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시동용배터리(400)가 시동에 요구되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량 이상을 대부분 수십 ~ 수백 시간 정도 유지 가능하므로, 시동이 꺼진 후에 결정부(230)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 5, 10, 20, 30,..등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배터리(400) 충전장치(200)는, 시동 키의 오프 시에 자동으로 메인배터리(100)를 이용해 미리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400)가 소정의 전력량으로 충전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함으로써, 시동용배터리(400)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고 언제든지 시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행용 메인배터리(100)에 큰 영향 없이 적은 비용으로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배터리(400)의 충전상태를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납축전지와 같은 시동용배터리(400)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농작업차량
100 : 메인배터리
400 : 시동용배터리
210 : 전압변환기
220 : 스위칭부
230 : 결정부

Claims (9)

  1. 메인배터리(100) 출력의 전압 크기를 변환하는 전압변환기(210);
    시동용배터리(400)와 상기 전압변환기(210) 사이에 배치된 스위칭부(220); 및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과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하여 상기 전압변환기(210)를 통해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전력으로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를 충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은 엔진과 모터를 조합하여 운행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변환기(210)는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최대허용전압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220)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제1임계치 이상이고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이 제2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를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터리(100)는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는 납축전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메인배터리(100)의 잔량이 10% 이상일 때, 상기 시동용배터리(400)의 전압을 11볼트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230)는 상기 시동 키 신호의 비활성 상태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스위칭부(220)의 스위치에 대한 턴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용배터리(40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운행 중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300)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200).
KR1020170081123A 2017-06-27 2017-06-27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190001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23A KR20190001311A (ko) 2017-06-27 2017-06-27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123A KR20190001311A (ko) 2017-06-27 2017-06-27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11A true KR20190001311A (ko) 2019-01-04

Family

ID=6501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123A KR20190001311A (ko) 2017-06-27 2017-06-27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139A (ko) * 2022-01-27 2023-08-04 사단법인 한국아이티기반 환경융합기술 연구조합 초소형 전기 차량에 탑재된 시동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충전 상태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139A (ko) * 2022-01-27 2023-08-04 사단법인 한국아이티기반 환경융합기술 연구조합 초소형 전기 차량에 탑재된 시동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충전 상태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680B1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448774B1 (ko) 고전압 배터리용 충전기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RU259246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одачей энергии
JP3553932B2 (ja) 自動車における電圧給電用装置
CN106740120A (zh) 低压蓄电池电量控制方法及装置
KR101866037B1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EP1968153A3 (en) Battery power source device
KR20130109042A (ko) 배터리 팩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656164A (zh) 车用电源装置
CA3010924C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07209056A (ja) 蓄電装置
US11299138B2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EP1079496A3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power supply circuit
KR20190001311A (ko) 농작업차량의 시동용 배터리 충전장치
JP2016002857A (ja) 車両の電源装置
CA2518638A1 (en) Power supply for vehicle
JP2020195167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6087163A (ja) 車両用発電制御装置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CN108711929B (zh) 智能应急电源及控制方法、智能应急灯具
CN103135729A (zh) 一种车载电脑开关机智能控制及供电装置
KR19980015188U (ko)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KR20200001784A (ko) 리튬전지와 납축전지를 이용한 듀얼 배터리 제어방법
US20240149814A1 (en) Vehicle
EP4144555A1 (en) Hybrid vehicle power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