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270A -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270A
KR20190001270A KR1020170080982A KR20170080982A KR20190001270A KR 20190001270 A KR20190001270 A KR 20190001270A KR 1020170080982 A KR1020170080982 A KR 1020170080982A KR 20170080982 A KR20170080982 A KR 20170080982A KR 20190001270 A KR20190001270 A KR 2019000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ose
present
mask
inser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825B1 (ko
Inventor
백동화
백승복
Original Assignee
(주)케이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케이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8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8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코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 및 한 쌍의 삽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콧속에 삽입하는 형태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마스크의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의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콧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코의 모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일시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코 마스크{Nose Mask}
본 발명은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콧속에 삽입하는 형태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마스크의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의 미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콧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코의 모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일시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코를 통한 약액 주입을 가능토록 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대기 환경의 오염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미세 먼지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마스크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 제품은 대부분 착용자의 입과 코를 일체로서 가리는 구조로 착용하게 되므로 착용 상태에서의 미감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는 장시간 착용시 상당한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아울러, 일상적인 호흡은 대부분 입을 다문 상태에서 코를 통해서만 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다른 마스크 제품을 상시 입을 가리는 형태로 착용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콧속에 삽입하는 형태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마스크의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의 미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콧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코의 모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일시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코를 통한 약액 주입을 가능토록 하는 코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100); 및 상기 한 쌍의 삽입구(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구(100)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100)에는 약액이 저장되는 공간인 약액 저장구(1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콧속에 삽입하는 형태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마스크의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의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콧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의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코의 모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일시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코를 통한 약액 주입을 가능토록 하는 코 마스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에서의 A-A' 선분에서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는 한 쌍의 삽입구(100), 및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한 쌍의 삽입구(100)는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부위로서, 이와 같은 한 쌍의 삽입구(100)는 연결부(20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200)는 한 쌍의 삽입구(100)를 상호 연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를 착용 또는 제거하는 경우에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부(200)는 U자형 패널의 형태로 제작하되, 소성 변형 가능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U자형 연결부(200)를 추가적으로 구부리거나, 반대 방향으로 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연결부(200)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라, 한 쌍의 삽입구(1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삽입구(100)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함으로써 땀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삽입구(10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30)로 인해 콧구멍의 내면에서의 결합 마찰력이 확보됨으로써, 코 마스크의 삽입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구(100)는 실리콘, 점토, 클레이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성 재료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특성에 따라 삽입구(100)의 형상을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삽입구(100)의 형상을 변경한 상태에서 코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콧구멍의 내측에서 삽입구(1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코끝이 높아지도록 하는 등 코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 선분에서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에 구비된 삽입구(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타원체의 형상으로서, 삽입구(100)의 하부에는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 필터부(110)가 삽입구(100)의 내측면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삽입구(100)를 코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에 삽입구(100) 하부에 형성된 외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필터부(110)를 통과함으로써, 필터링 처리되며, 필터링 처리된 외기는 삽입구(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부로 이동한 다음, 삽입구(10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14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삽입구(100)의 내부에 약액 저장구(15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삽입구(100)의 내측면에는 약액 저장구(150)의 측면에 공기 흡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약액 저장구(150)의 내부에는 코를 통해 흡입되는 분무형 약액(10)이 저장되며, 상부에는 망사 구조의 약액 배출구(155)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가 삽입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기를 흡입하는 경우에 약액 저장구(150)의 위쪽에서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약액 저장구(150)에 저장된 약액(10)의 기화가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이와 같이 기화된 약액(10)을 호흡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삽입구(100)의 내측 공간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계란형 구조를 가지며, 유출구(140)의 크기를 유입구(1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유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약액 저장구(150)의 상부에서의 압력 저하가 더욱 가속화됨으로써 약액의 기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유출구(140)에는 사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 측정 센서(170)(mass flow sensor)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유량 측정 센서(170)에 의하면, 사용자의 흡기 호흡량, 호기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유량 측정 센서(170)가 측정한 호흡 정보는 유량 측정 센서(170)에 자체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유량 측정 센서(170)로부터 사용자의 호흡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흡기 호흡량 및 호기 호흡량 뿐만 아니라, 분당 호흡수, 호흡 주기 등의 호흡 특성 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호흡 특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코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수면을 하는 경우에는 수면 중의 호흡 특성 정보까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추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분당 호흡수, 호흡 주기 등의 호흡 특성값를 소정의 기준값(또는 사용자 호흡 특성 정보의 누적 평균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예를 들면, 5%)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이 정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호흡 특성값이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변의 보호자가 관련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삽입구(100)의 안정적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코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부(미도시)를 삽입구의 외주면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부는 코에 착용하는 부분 가면의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는 결합부를 코의 하부 외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한 쌍의 삽입구(100)를 콧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보다 견고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결합부의 내측에는 물과 땀에도 접착력을 유지하는 점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사용자의 코와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결합부는 실리콘, 점토, 클레이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성 재료로 제작하고, 그 색상 또한 사용자의 피부색과 일치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결합부를 자신이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킨 다음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코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약액, 100: 삽입구,
110: 필터부, 120: 유입구,
130: 돌기, 140: 유출구,
150: 약액 저장구, 155: 약액 배출구,
170: 유량 측정 센서.

Claims (2)

  1. 사용자의 콧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100); 및
    상기 한 쌍의 삽입구(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
    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00)는 압력에 의해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인 코 마스크.
KR1020170080982A 2017-06-27 2017-06-27 코 마스크 KR10212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82A KR102122825B1 (ko) 2017-06-27 2017-06-27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82A KR102122825B1 (ko) 2017-06-27 2017-06-27 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70A true KR20190001270A (ko) 2019-01-04
KR102122825B1 KR102122825B1 (ko) 2020-06-17

Family

ID=6501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82A KR102122825B1 (ko) 2017-06-27 2017-06-27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8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098B1 (ko) * 2023-06-27 2024-03-15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코마개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75U (ko) * 1997-05-03 1998-12-05 김상수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KR200304089Y1 (ko) * 2002-10-26 2003-02-14 김동연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KR200434575Y1 (ko) * 2006-09-25 2006-12-22 에스 알바란 이사벨로 코 마스크
JP2007252777A (ja) * 2006-03-24 2007-10-04 Shinji Ekuma 揮散性物質揮散調節材、揮散性物質揮散調節濾材、揮散性物質揮散制御方法および揮散性物質揮散制御装置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KR20120004633U (ko) * 2010-12-18 2012-06-27 현태섭 비염치료용 코마개
KR20160002280A (ko) * 2014-06-30 2016-01-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75U (ko) * 1997-05-03 1998-12-05 김상수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KR200304089Y1 (ko) * 2002-10-26 2003-02-14 김동연 확장흡착형 코마스크의 구조
JP2007252777A (ja) * 2006-03-24 2007-10-04 Shinji Ekuma 揮散性物質揮散調節材、揮散性物質揮散調節濾材、揮散性物質揮散制御方法および揮散性物質揮散制御装置
KR200434575Y1 (ko) * 2006-09-25 2006-12-22 에스 알바란 이사벨로 코 마스크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00003042U (ko) * 2008-09-08 2010-03-17 전창기 코걸이 코마스크
KR20120004633U (ko) * 2010-12-18 2012-06-27 현태섭 비염치료용 코마개
KR20160002280A (ko) * 2014-06-30 2016-01-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098B1 (ko) * 2023-06-27 2024-03-15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코마개를 이용한 호흡량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825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5939B1 (en) Tidal dry powder inhaler with miniature pressure sensor activation
EP2931347B1 (en) Nasal cannula system
JP2022054462A (ja) 医療用吸入器で使用するための流れ調整器アセンブリ
ITMI20000659A1 (it) Dispositivo per l'umidificazione passiva di pazienti tracheostomizzati o intubati
MXPA03010505A (es) Mascarillas faciales para uso en sistemas de suministro de farmaco presurizados.
JP2022051802A (ja) 医療用吸入器で使用するための流れ調整器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WO2018098657A1 (zh) 智能口罩和智能口罩的吸气供应量调节方法
KR20190001270A (ko) 코 마스크
CN105056363B (zh) 呼吸鼻罩
EP3134060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a gas mixture to a child
CN204734878U (zh) 空气过滤装置
AU2023100053A4 (en) Patient interface
JP7299900B2 (ja) 流体投与アセンブリ
EP3393570A1 (en) Interface device having user selected indicia formed therein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JP2002000748A (ja) マスク補助具
US11273274B1 (en) Inhala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e
CN208096917U (zh) 一种眼部术后俯卧位康复枕
CN215608463U (zh) 一种医用面罩
CN109793968A (zh) 一种呼吸面罩及其组合装置
CN214860141U (zh) 婴幼儿用面罩式雾化吸入配件
CN217187363U (zh) 一种雾化器面罩
KR102380977B1 (ko) 비강용 마스크 장치
CN215585112U (zh) 一种计时储雾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