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46U -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 Google Patents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46U
KR20190001146U KR2020170005702U KR20170005702U KR20190001146U KR 20190001146 U KR20190001146 U KR 20190001146U KR 2020170005702 U KR2020170005702 U KR 2020170005702U KR 20170005702 U KR20170005702 U KR 20170005702U KR 20190001146 U KR20190001146 U KR 201900011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all prevention
trigger
falling
preven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175Y1 (ko
Inventor
이길우
Original Assignee
이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우 filed Critical 이길우
Priority to KR2020170005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7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2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for fastening more or less perman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에 거는 원형의 고리부와 가동축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부 및 가동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가진 걸이부와, 상단부가 걸이부의 가동축에 축결합되는 결합공과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프레임이 삽입되는 낚시 형상의 후크를 가지는 후크부, 그리고 후크부 상단부에 원형 스프링으로 탄성 반발되어 걸림턱을 지지 고정시키는 트리거와, 트리거를 잡아 당겨 후크를 해제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있어서,
가동부와 후크부의 양단부가 맞닫는 영역에 형성되어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통과하는 간극과, 트리거의 당김방향이 트리거축핀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당김줄이 통과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가동부와 후크부가 맞대어지는 양단부에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통과하는 소정의 간극을 둠으로써 걸림턱이 트리거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되어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으며, 또한, 후크부에 당김줄 안내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당김줄을 좌우 어느 쪽에 치우쳐서 당겨도 트리거가 축핀에 대하여 항상 직각방향으로 작용하여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원격지에서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Safety hook for fallen object guard net installation}
본 고안은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현장의 낙하물 방지망 고소작업시에 건축물 외벽쪽에 설치하는 낙하물방지망을 안전하게 시공 또는 해체하기 위한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안전망 실치시 추락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작업 근로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거나 추락사고가 나더라도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건축물 공사장에는 안전망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망이나 낙하물방지망의 안전가시설(낙하물 추락방지망)은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파이프로 제작된 사각 프레임에 그물코가 있는 안전망을 씌워 미리 제작해 두고, 설치장소 현장에서 타워 크레인이나 크롤러 크레인, 하이드로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건축물/구축물의 벽체 가까이에 설치되고 있다.
이때, 크레인의 호이스트 라인의 후크블록 하단부에 인양된 낙하물 추락방지망은 일반적으로 작업인부가 위험한 추락방지망에 올라가지 않고, 원격 거리에서도 해제 가능한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후크(100)는 샤크를 개재하여 크레인의 후크가 걸리는 걸이부(110)와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걸어 인양하는 후크부(120), 걸이부(110)와 후크부(12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걸이부(110)는 크레인 인양줄에 연결된 샤크를 체결하거나 로프를 거는 폐쇄된 원형의 고리부(112)와, 고리부(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삽입 또는 해제시키도록 개폐 가동되는 가동부(114), 고리부(11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동부(114)를 개폐시키도록 축봉이 삽입된 가동축(116), 그리고 가동부(114)에서 돌출된 걸림턱(118)으로 구성된다.
후크부(120)는 한쪽 단부가 가동부(114)에 맞닫아 낚시바늘 형상으로 굽혀져 안양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이 삽입되는 후크(122)와, 후크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된 결합관통공(124)이 가동부(114)에 형성된 가동축(116)과 축결합된다.
도 1(b)는 도 1(a)의 걸림턱(118) 부분이 나타나도록 걸림턱(118)이 위치한 부위를 절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8)은 잠금부(130)에 의해 지지되거나 해제된다.
잠금부(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8)을 지지하는 트리거(132), 트리거(132)를 원격지에서 잡아 당겨 걸림턱(118)을 해제하는 당김줄(1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132)는 하부가 축핀(132)에 의해 가동이 가능하도록 핀고정되고, 축핀(132)은 원형 스프링(136)이 삽입되어 트리거(132)를 탄성반발로 지지하면서 걸림턱(118)을 지지 고정한다. 따라서, 트리거(132)가 걸림턱(118)을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는 걸이부(110)와 후크부(120)의 단부가 밀착된다.
도 1(c)는 낙하물방지망 또는 추락방지망의 프레임이 안전후크(10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 추락방지망 걸이부(110)와 후크부(120)의 단부 사이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걸이부(110)와 후크부(12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걸이부(110)와 후크부(120)의 단부가 밀착되지 않는다. 걸이부(110)와 후크부(120)의 단부가 밀착되지 않으면 잠금부가 열린 상태가 되어 트리거(132)가 걸림턱(118)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어 낙하물방지망 또는 추락방지망을 설치할 수 없게 되거나 트리거(132)가 쉽게 해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도 1(d)는 안전후크(100)를 해제하는 당김줄(134)이 좌우 어느 쪽에 치우쳐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안전후크(100)를 해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안전후크(100) 정면에 위치하지 못하고 좌우 어느 쪽에 치우쳐서 당김줄(134)을 잡아 당기게 된다. 안전후크(100)는 공사현장의 흙먼지, 부식 등의 악조건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당김줄(134)을 수직방향으로 잡아 당기지 않으면 잠금부(130)의 트리거(132)가 원할하게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441호(2015년01월28일) 2. 등록실용신안 제200395298호(2005년09월02일)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안전후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후크(100)에 매달린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안전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크레인에 거는 원형의 고리부와 가동축에 의하여 가동되는 가동부 및 가동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가진 걸이부, 상단부가 걸이부의 가동축에 축결합되는 결합공과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프레임이 삽입되는 낚시 형상의 후크를 가지는 후크부, 그리고 후크부 상단부에 원형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걸림턱을 지지 고정시키는 트리거와, 트리거를 잡아 당겨 상기 후크를 해제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있어서, 가동부와 후크의 양단부가 맞닫는 영역에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통과하는 간극과, 트리거의 당김방향이 트리거축핀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당김줄이 통과하는 안내부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간극은 상기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 그물두께보다 넓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당김줄 안내부재의 최하단부는 나팔모양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는 가동부와 후크부가 맞대어지는 양단부에 낙하물 추락방지망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통과하는 소정의 간극을 두는 것으로 걸림턱이 트리거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부에 당김줄 안내부재를 설치하고, 안내부재 단부를 나팔모양으로 확대시킴으로써 당김줄을 좌우 어느 쪽에 치우쳐서 당겨도 트리거가 축핀에 대하여 항상 직각방향으로 작동되고, 당김 저항이 감소되어, 안전후크에 매달린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후크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절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특징인 간극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특징인 안내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걸림턱(118)과 트리거(132)가 위치한 부분을 절개해서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후크(200)는 가동부(114)와 후크(122)의 양단부가 맞닫는 영역에 형성시킨 간극(210)과, 가동부(114)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트리거(132)의 당김줄(134)이 통과하는 안내부재(220)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안내부재(220)는 통공의 고리형상이 상측과 하측 최소 두 곳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안전후크(200)의 크기에 따라 두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고리형상이 아니라 밴딩된 통 파이가 용접 등의 수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트리거(132) 가까이에 있는 상측의 안내부재(220)는 당김줄(131)이 후크(122)에 접촉되지 않도록 띄우고, 하측 안내부재(220)는 통공의 단부가 나팔 모양으로 확장되어 당김줄(131)이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 당겨질 경우 마찰을 줄여 준다.
간극(210)과 안내부재(220)를 제외한 안전후크(200)의 기타 구성요소는 일부 변형 가공되지만 종래의 안전후크(100)와 작용과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샤크를 개재하여 인양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후크블록에 걸리는 걸이부(110)와,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걸어 인양하는 후크부(120), 걸이부(110)와 후크부(12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130)의 일부는 가공 변형된다.
또한, 걸이부(110)는 크레인 인양줄에 연결된 샤크를 체결하거나 로프를 거는 폐쇄된 원형의 고리부(112)와, 고리부(112)와 일체로 형성되어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을 삽입 또는 해제시키도록 개폐 가동되는 가동부(114), 고리부(11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동부(114)를 개폐시키도록 축봉이 삽입된 가동축(116), 그리고 가동부(114)에서 돌출된 걸림턱(118)으로 구성된다.
후크부(120)는 낚시바늘 형상의 후크(122)의 안쪽 원형부에는 낙하물 추락방지망을 인양시에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이 안착된다. 가동축(116)으로 가동부(114)와 축결합되는 후크부(120) 상단부에는 가동부(114)를 잠금 해제하는 트리거(132)가 결합된다. 트리거(132)는 하단부의 축핀(13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축핀(138)에는 원형 스프링(136)이 삽입되어 스프링(136) 반발력으로 트리거(132)를 항상 걸림턱(118) 쪽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가동부(114)를 후크부(120)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밀어주면 걸림턱(118)은 트리거(132) 상단부에 걸려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특징인 간극(210)과 그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간극(210)이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 그물두께보다 넓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 추락방지망(점선으로 표시)은 안정망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에 감겨져 후크(122)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고, 낙하물 추락방지망 역할을 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은 간극(210)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 나온다.
간극(210)의 크기는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그물 두께, 그물코를 포함한 두께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210)의 크기가 낙하물 추락방지망 그물 두께보다 작으면 가동부(114)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턱(118)이 트리거(132)에 지지되지 않는다. 반대로 간극(210)이 너무 넓으면 가벼은 충격으로도 걸림턱(118)이 트리거(132)의 지지에서 벗어나 가동부(114)가 해제되기 쉽다. 따라서, 간극(210)의 크기는 프레임에 감긴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두께보다 좁거나 넓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특징인 안내부재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 4(a)는 당김줄(134)이 당겨져 간극(210)이 최대로 개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 c)는 당김줄(134)이 좌, 우 어느 한 쪽에 치우쳐져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a)에 보인 바와 같이, 하중이 걸린 상태, 즉,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미 도시)이 매달린 상태에서 당김줄(134)이 당겨지면, 당김줄은 안내부재(220)를 통과한다. 안내부재(220)를 통과한 당김줄(134)은 트리거(132)를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지 하고 있는 축핀(13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당김 힘이 작용한다. 축핀(13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당김 힘은 트리거(132) 양쪽 벽의 오염으로 인한 마찰저항에도 불구하고 트리거(132)를 걸림턱(118)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제시킨다.
도 4(b, c)와 같이 작업자가 좌우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 당김줄(134)을 잡아 당겨도 안내부재(220)에 의해 트리거(132)에 작용하는 힘은 항상 축핀(13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작용하여 트리거(132)를 걸림턱(118)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제시킨다.
또한, 하측 안내부재(220)의 당김줄(134)이 빠져 나오는 단부는 나팔모양으로 확장된다. 나팔모양으로 확장된 단부는 당김줄(134)이 어느 한쪽 방향에 치우쳐서 잡아 당겨도 안내부재(220) 단부에 의한 꺽임이 완만하게 곡면을 이루게 되어 당김줄(134)의 당김저항이 줄어든다. 따라서, 당김줄(134)를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도 원활하게 잡아 당겨진다.
100 : (종래의) 안전후크 110: 걸이부
112 : 고리부 114 : 가동부
116 : 가동축 118 : 걸림턱
120 : 후크부 122 : 후크
124 : 결합공 130 : 잠금부
132 : 트리거 134 : 당김줄
136 : 스프링 138 : 축핀
200 : (본 고안의) 안전후크 210 : 간극
220 : (당김줄) 안내부재

Claims (3)

  1.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후크불록에 거는 원형의 고리부, 가동축에 의하여 가동되는 가동부 및 가동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을 가진 걸이부와, 상단부가 상기 걸이부의 가동축에 축결합되는 결합공과 낙하물 추락방지망 프레임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낚시 형상의 후크를 가지는 후크부, 그리고 상기 후크부 상단부에 원형 스프링으로 탄성 반발되어 상기 걸림턱을 지지 고정시키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당김줄로 잡아 당겨 상기 후크를 해제하는 잠금부로 구성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후크부의 양단부가 맞닫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이 통과하는 간극과,
    상기 트리거의 당김방향이 트리거축핀과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당김줄이 통과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낙하물 추락방지망의 낙하물 추락방지망 그물두께보다 넓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 안내부재의 최하단부는 나팔모양으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KR2020170005702U 2017-11-06 2017-11-06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KR200490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02U KR200490175Y1 (ko) 2017-11-06 2017-11-06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702U KR200490175Y1 (ko) 2017-11-06 2017-11-06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46U true KR20190001146U (ko) 2019-05-15
KR200490175Y1 KR200490175Y1 (ko) 2019-10-07

Family

ID=6653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702U KR200490175Y1 (ko) 2017-11-06 2017-11-06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7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431B2 (ja) * 1995-05-10 1997-05-21 大成プレハブ株式会社 玉外しフック
KR200395298Y1 (ko) 2005-06-08 2005-09-12 주식회사 동성산기 후크 안전 장치
KR101342322B1 (ko) * 2012-04-17 2014-01-02 최재주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KR20150000441U (ko) 2013-07-18 2015-01-28 이옥순 크레인의 안전 후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431B2 (ja) * 1995-05-10 1997-05-21 大成プレハブ株式会社 玉外しフック
KR200395298Y1 (ko) 2005-06-08 2005-09-12 주식회사 동성산기 후크 안전 장치
KR101342322B1 (ko) * 2012-04-17 2014-01-02 최재주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KR20150000441U (ko) 2013-07-18 2015-01-28 이옥순 크레인의 안전 후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175Y1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4494A1 (en) Ladder safety mechanisms
KR101184646B1 (ko)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JP2015146852A (ja) 巻取式墜落防止器を用いた墜落防止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ハーネス型安全帯
US10004926B2 (en) Remote overhead anchor
KR102330522B1 (ko)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US10286232B2 (en) Remote overhead anchor system
US20220233891A1 (en) Rope-Lowering Device and Corresponding Lowering Method
KR20190001146U (ko) 낙하물 추락방지망 설치용 안전후크
US5108139A (en) Device for remotely actuating the safety latch of a hoist hook
US20040103505A1 (en) Chain keeper and method of retaining a chain
JP2020019638A (ja) ロープ牽引装置
JP6359591B2 (ja) 親綱フック着脱装置
JP2007044326A (ja) 避難装置
JP2612431B2 (ja) 玉外しフック
JP4188523B2 (ja) フック及びフック取外し方法
KR101376975B1 (ko) 갱폼 인양용 샤클
JP4394606B2 (ja) 高所掛止用フック金具
KR101610302B1 (ko) 굴착기용 집게발의 안전 고정장치
JP3034574U (ja) ベルト巻取式墜落防止装置
JP3220551U (ja) 外灯ポールの吊り上げ用係止治具
JP2017137750A (ja) 荷降ろし補助具
JP2551442Y2 (ja) 鋼管吊込装置
CN211008407U (zh) 辅助爬升装置
AU676061B2 (en) Clutch assemblies for use with lifting anchors
JP4922714B2 (ja) クレーンの過巻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