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104U - 착즙 드럼 - Google Patents

착즙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104U
KR20190001104U KR2020170005610U KR20170005610U KR20190001104U KR 20190001104 U KR20190001104 U KR 20190001104U KR 2020170005610 U KR2020170005610 U KR 2020170005610U KR 20170005610 U KR20170005610 U KR 20170005610U KR 20190001104 U KR20190001104 U KR 201900011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cking
debris discharge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이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170005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104U/ko
Priority to CN201890001339.5U priority patent/CN212853220U/zh
Priority to CN202020862406.1U priority patent/CN215127080U/zh
Priority to PCT/KR2018/001671 priority patent/WO2019088369A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착즙 드럼의 외주면에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구에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착즙 드럼{JUICE SQUEEZING DRUM}
본 고안은 착즙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드럼의 찌꺼기 배출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드럼 하우징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와;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착즙 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드럼 하우징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즙이 제거된 상태의 찌꺼기는 드럼 하우징의 배출홈을 통해 찌꺼기 배출구로 이동한다. 종래에는 재료의 착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바닥링을 형성시켜 분쇄된 찌꺼기가 바로 배출홈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재료에 따라 찌꺼기 배출을 조절할 수 없었고 소비자 들의 찌꺼기 배출 조절 기능의 요구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찌꺼기 배출을 조절하여 착즙 효율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향상된 착즙 드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은, 착즙 드럼의 외주면에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구에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듈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은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1 리브가 형성된 제1 모듈과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에 찌꺼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홀에는 패킹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단턱홈 및 제2 단턱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결합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턱홈 및 제2 단턱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돌기 및 제3 단턱홈에 걸리는 제2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결합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패킹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패킹부; 상기 패킹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상기 제2 모듈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이 형성되고, 스크류의 스크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홀을 밀폐하는 스크류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즙 드럼은,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하단면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제2 스크류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 드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찌꺼기 배출을 조절하여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적용되는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변형예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다른 사유가 없는 한'상측','상부'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찌꺼기 배출 조절기에 관한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착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착즙기는 본체부(1), 호퍼(100), 스크류(300), 및 착즙 드럼(400) 를 포함할 수 있다. 착즙 드럼의 형태에 따라 착즙 드럼(400)은 드럼 하우징(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럼 하우징(200)의 내부에 스크류(300), 착즙 드럼(400), 및 브러시(500)가 배치되고, 호퍼(100)는 드럼 하우징(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럼 하우징(200)은 본체부(1)의 감속기 수용부(4)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미도시)의 동력이 스크류(300)에 전달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착즙 드럼은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찌꺼기가 모아져 배출되는 구조이면 그것이 드럼 하우징이든 드럼이든 구분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343599호의 등록공보 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 일측에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착즙 드럼 또는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 일측으로 찌꺼기 배출구(230)를 형성하는 착즙기에 적용할 수 있다.
착즙 드럼(400)은 제1 모듈(10) 및 제2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착즙 드럼(400)은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은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11)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12)이 형성된다. 제1 빗살 막대(11)의 내주면에는 제1 리브(13) 및 제2 리브(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13)가 없다면 착즙 대상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정체되거나,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낮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모듈(20)은 제1 모듈(10)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듈(2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 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2 모듈(20)의 내주면에는 빗살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결할 할 때 상기 제1 빗살 막대(11) 사이의 제1 슬릿(12)에 상기 빗살 돌기(2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릿(12)에 빗살 돌기(22)가 삽입됨으로써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 즙이 배출되며, 쌓이게 된다. 이때 착즙드럼의 제2 모듈(20) 하부 일측에 찌꺼기 배출구(2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참조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 모듈(10)의 하부 일측에는 찌꺼기 배출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찌꺼기 배출홀(110)에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추가로 구성하고제1 모듈(10)에 힌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는 패킹으로 구성되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밀고 나와 찌꺼기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 모듈(10)의 세척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가 찌꺼기 배출홀(11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찌꺼기 배출홀(110)에 낄 수 있는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111)를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축(320)의 외주면에는 제1 스크류 패킹(33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축(320)이 드럼홀(260)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스크류 패킹(330)이 드럼홀(260)의 외주면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즙이 드럼홀(26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크류(300)의 하부 외주면에는 패킹홈(34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킹홈(340)에는 제2 스크류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패킹홈(340)이 제2 모듈(2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스크류 패킹이 상기 안착부의 내측을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즙 배출구(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제2 모듈(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2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손잡이부(61), 패킹부(62), 및 제1 돌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6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61)의 일단에 패킹부(62)가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61)의 하부 양측에는 제1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 배출구(230)의 내주면에는 제1 단턱홈(231) 및 제2 단턱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63)가 제1 단턱홈(231)에 걸리게 되면 패킹부(62)는 찌꺼기 배출구(230)의 내주면에 오버랩되게 되며, 섬유질이 많은 착즙 대상에 대하여 찌꺼기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돌기(63)가 제2 단턱홈(232)에 걸리게 되면 무른 착즙 대상에 대하여 찌꺼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즙 대상의 종류에 따라 찌꺼기 배출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변형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손잡이부(61)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양측에 형성된 제2 돌기(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찌꺼기 배출구(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돌기(64)가 걸릴 수 있도록 제3 단턱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63)가 제1 단턱홈(231)에 걸리게 되면 제3 돌기(64)가 제3 단턱홈(233)에 걸릴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에 제1 돌기(63) 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착즙기의 사용에 따라 제1 돌기(63)와 제1 단턱홈(231)의 마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제3 돌기(64)와 제3 단턱홈(233)이 형성됨으로써,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가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제2 모듈(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2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손잡이부(61), 패킹부(62), 및 가이드 레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6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61)의 일단에 패킹부(62)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찌꺼기 배출구(230)의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234)이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61)가 가이드 레일(23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패킹부(62) 또한 상하 운동하여 찌꺼기 배출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제2 모듈(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찌꺼기 배출구(23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조절기(600)는 손잡이부(61), 패킹부(62), 및 가이드 레일(234)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6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구(230)의 상측에는 패킹부(62)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패킹부(62)의 상측에 가이드 레일(234)이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61)가 가이드 레일(234)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패킹부(62)가 힌지를 중심으로 틸팅하게 되어 찌꺼기 배출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찌꺼기 배출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내구성 있고 안정적을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착즙 드럼의 외주면에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구에는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되는 착즙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드럼은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은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은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틈이 형성된 착즙 드럼.
  3. 원통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빗살 막대에 의하여 복수개의 제1 슬릿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1 리브가 형성된 제1 모듈과;
    내주면에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빗살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은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을 둘러싸며 결합할 때 상기 빗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어 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에 찌꺼기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홀에는 패킹이 포함된 찌꺼기 배출 조절기가 결합되는 착즙 드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 단턱홈 및 제2 단턱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결합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턱홈 및 제2 단턱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돌기 및 제3 단턱홈에 걸리는 제2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결합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패킹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 배출 조절기는,
    상기 찌꺼기 배출구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 패킹부;
    상기 패킹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착즙 드럼.
  8. 제2항의 착즙드럼과,
    상기 제2 모듈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이 형성되고, 스크류의 스크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홀을 밀폐하는 스크류 패킹이 결합된 착즙 드럼.
  9. 제2항의 착즙드럼과
    스크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의 안착부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스크류의 하단면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 제2 스크류 패킹이 결합되는 착즙 드럼.
KR2020170005610U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KR20190001104U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10U KR20190001104U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CN201890001339.5U CN212853220U (zh) 2017-10-31 2018-02-07 榨汁筒
CN202020862406.1U CN215127080U (zh) 2017-10-31 2018-02-07 榨汁筒
PCT/KR2018/001671 WO2019088369A1 (ko) 2017-10-31 2018-02-07 착즙 드럼 및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10U KR20190001104U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04U true KR20190001104U (ko) 2019-05-09

Family

ID=6653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10U KR20190001104U (ko) 2017-10-31 2017-10-31 착즙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1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6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착즙 드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261A (ko) *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착즙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28981T3 (en) juice Press
US10285529B2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KR101926380B1 (ko) 착즙기
EP3178355B1 (en) Juice extraction apparatus including solid net, and juicer including same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90001104U (ko) 착즙 드럼
KR102619253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KR20160000195A (ko)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KR102390736B1 (ko)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0491894Y1 (ko) 착즙기
KR20180110142A (ko) 스파이럴 헤드, 분쇄모듈 및 푸드프로세서
KR20190001103U (ko) 착즙 드럼
KR102358627B1 (ko)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12853220U (zh) 榨汁筒
KR100334309B1 (ko) 착즙기의 전면 케이스 착탈장치
KR20130140933A (ko) 핸디형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결합형 음식물 처리 장치
KR200496588Y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102242558B1 (ko)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592715B1 (ko)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497993Y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KR20200001479U (ko) 착즙기
KR200494673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101469913B1 (ko) 착즙 주서기
KR102360463B1 (ko) 배출저항이 조절 가능한 회전형 패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10002233U (ko) 착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