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715B1 -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715B1
KR102592715B1 KR1020220146270A KR20220146270A KR102592715B1 KR 102592715 B1 KR102592715 B1 KR 102592715B1 KR 1020220146270 A KR1020220146270 A KR 1020220146270A KR 20220146270 A KR20220146270 A KR 20220146270A KR 102592715 B1 KR102592715 B1 KR 102592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pening
rotary
closing mean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394A (ko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주)비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바 filed Critical (주)비바
Priority to KR102022014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7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eciprocating knives
    • B02C18/0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 및 분쇄하여 음식물 찌꺼기 가루로 형성하고,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고, 히터와 분쇄날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 및 분쇄하여 가루화하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쇄함 및 상기 배출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회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의 배출구 개방 시 음식물 찌꺼기 가루가 상기 분쇄날에 밀려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A food waste treater that discharges food waste powder using a rotating open type opening and closing mean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 및 분쇄하여 음식물 찌꺼기 가루로 형성하고,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거나 미생물로 분해하도록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92024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 설치되는 형태이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1625958호 '음식물 처리기 세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에 의해 밀폐되어 다양한 위치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한국등록특허 제10-0792024호와 같은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기는, 통상 싱크대 본연의 기능인 배수구를 통한 물 배출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배출관이 구비되어 물과 함께 처리된 음식물의 일부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나, 한국등록특허 제10-1625958호와 같은 케이싱에 의해 밀폐되는 음식물 처리기는, 따로 배출 공간이 없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거나 분해되는 음식물 처리통 내부에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가루를 담아놨다가 따로 음식물 처리통을 탈거하여 분쇄 또는 분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가루를 버리거나, 음식물 처리통은 고정시켜 둔 채로 분쇄 또는 분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 가루만을 따로 분리하여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케이싱에 의해 밀폐되는 음식물 처리기가 분쇄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음식물 처리통 내부에 분쇄 칼날이 마련되고, 이 분쇄 칼날은 보편적으로 음식물 처리통 외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바, 음식물 처리통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처리통과 모터를 분해해야 했고, 음식물 처리통의 탈거 없이 음식물 쓰레기 가루만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분쇄 칼날을 분리하거나, 분쇄 칼날의 분리 없이 털어내야 하므로 불편하면서도 안전하지가 않았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가루를 버리지 않을 경우에는 음식물 처리기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20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분쇄 처리하는 분쇄함이 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가 밀폐되는 구조의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분쇄함 일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으로 개폐하여 분쇄함을 몸체로부터 탈거하거나 분쇄함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을 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고, 히터와 분쇄날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 및 분쇄하여 가루화하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쇄함 및 상기 배출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회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의 배출구 개방 시 음식물 찌꺼기 가루가 상기 분쇄날에 밀려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은, 웜 기어 또는 평 기어가 장착되어 웜 기어 또는 평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웜 기어 또는 평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웜 기어 또는 평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웜 스크류; 상기 웜 스크류 단부에 연결되어 웜 스크류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배출구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링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축으로 배출구를 회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하방 또는 측방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유도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유도배출관 말미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장착되되, 몸체와는 결속되지 않아 몸체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루 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내부로 탈취제가 수용되되, 상기 분쇄함과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탈취제의 탈취향을 분쇄함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제 공급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분쇄함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필터링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분쇄함 장착홈이 마련되어 분쇄함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분쇄함 장착홈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분쇄함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마련되어, 돌출턱이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쇄함이 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개폐도어 주위를 따라 고무막이 구비되어 개폐도어와 배출구 사이를 보다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루 받이는, 상기 몸체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손가락을 끼워 잡을 수 있는 홈 형의 손잡이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분쇄함 일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으로 개폐하여 분쇄함을 몸체로부터 탈거하거나 분쇄함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분리하지 않고도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탈취제 공급함과 습기 필터링함 등을 더 포함하여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습기 등을 제거하는 기능적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위에서 언급된 효과에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후측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한 배출구 폐쇄 및 개방 과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에 구성되는 각 함체들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후측 투영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 및 (b)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한 배출구 폐쇄 및 개방 과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음식물 처리기에 구성되는 각 함체들을 분리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몸체(10), 분쇄함(20) 및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0)는 내부에 본 발명인 음식물 처리기의 구성들이 내재되거나 장착될 공간을 마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함체로 형성될 수가 있다. 그러나, 몸체(1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일 뿐 원통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몸체(10)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분쇄함 장착홈(도면부호 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분쇄함(2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분쇄함 장착홈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안착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분쇄함(20)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미도시)이 마련되어, 돌출턱이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분쇄함(20)이 몸체(1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안착턱의 경우 돌출턱이 몸체(10)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몸체(10)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 깊이를 형성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출턱이 안착턱에 안착 시 몸체(10)의 상단 표면과 일치되는 위치일 수 있으나, 상단 표면보다는 낮은 높이를 형성하도록 위치되어도 무관하다.
돌출턱을 안착턱에 안착시켜 몸체(10)에 장착되는 분쇄함(20)을 외부와 차단하여 분쇄 작동 시에 안전성을 높이고 음식물 찌꺼기가 역류하는 것 등을 방지하도록 몸체(10)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11)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11)는, 폴딩식, 슬라이딩식, 회전식 등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개폐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회전식으로 마련되어 몸체(10) 내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덮개(11)는 몸체(10) 외부로 돌출되는 스위치(12)와 연동되도록 하여, 스위치(12)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덮개(11)가 몸체(10) 상단을 폐쇄한 경우에 스위치(12)를 락킹(Locking)하기 위한 락킹 모듈(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몸체(10)는 후술하는 가루 받이(50)의 장착을 위하여 하단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가루 받이(50)에 대해 설명하면서 한번 더 설명하기로 한다.
분쇄함(20)은 몸체(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쇄함(20)은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마련하며, 히터(미도시)와 분쇄날(21)을 구비하여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하면서 분쇄하여 가루화할 수 있다.
이때, 히터와 분쇄날(21)은 각기 건조 효율과 분쇄 효율을 크게 나타내기 위해 분쇄함(20)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쇄함(20)의 다양한 높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분쇄함(20)의 하단에는 분쇄날(2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모터(22)가 장착될 수 있고, 회전모터(22)는 동력을 전달하며 회전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 조합(23)을 매개로 분쇄날(21)과 연결되어 분쇄날(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함(20)의 일측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24)에는 배출구(2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이 마련되는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은 음식물 찌꺼기가 건조 및 분쇄되는 순간에는 배출구(24)를 폐쇄하고 있다가, 음식물 찌꺼기가 분쇄되어 가루가 된 순간에 개방되어 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분쇄날(21)은 동작을 멈추는 것이 아닌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이 배출구(24)를 개방한 순간에도 계속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날(21)이 음식물 찌꺼기 가루(FWP)를 배출구(24)로 밀어내어 배출구(24)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은 배출구(24)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회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배출구(24)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은 구동모터(31), 웜 스크류(33), 회전링크(34) 및 개폐도어(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31)는 웜 기어 또는 평 기어(32)가 장착되어 웜 기어 또는 평 기어(32)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31)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면과 같이 분쇄함(20)과 연결된 고정판(31a)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웜 기어 또는 평 기어(3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동모터(31) 하단에 장착되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할 수 있다.
웜 스크류(33)는 수직으로 설치되되 웜 기어 또는 평 기어(32)와 치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웜 기어 또는 평 기어(32)와 치합되는 치열구조에 의해 회전 시 설치된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이동되는 웜 스크류(33)의 단부에는 회전링크(34)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링크(34)는 웜 스크류(33) 단부에 연결되어 웜 스크류(33)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링크(34)는 웜 스크류(33)와 연결되는 상단회전링크(34a)와, 상기 상단회전링크(34a)와 축 결합되는 하단회전링크(34b)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개폐도어(36)의 힌지(36a)와 상호 작용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개폐도어(36)는 배출구(24)에 힌지(36a)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36)는 연결판(35)으로 회전링크(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모터(31)의 동작 시 개폐도어(36)는 웜 스크류(33)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링크(34)의 회전 동작에 의해 힌지(36a)를 축으로 배출구(24)를 회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36)는 배출구(24)를 폐쇄하기 위해 배출구(24)의 형상과 면적에 상응하는 형상과 면적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24)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도어(36)와 배출구(24) 사이를 보다 밀폐하도록 개폐도어(36) 주위를 따라 고무막(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에 의해 배출구(24)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음식물 찌꺼기 가루는 분쇄함(20)을 몸체(10)로부터 따로 탈거하거나 분쇄함(20)에서 직접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꺼내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배출구(24)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가루의 안정적인 배출을 위해 유도배출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배출관(40)은 배출구(24)로부터 연장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측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으론, 유도배출관(4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출구(24)로부터 연장되어 몸체(10)의 측면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유도배출관(40)은 배출구(24)로부터 연장되어 몸체(10)의 하측 또는 측면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구(24)로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하방 또는 측방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유도배출관(40)은 몸체(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유도배출관(40) 말미에 가루 받이(50)를 두어 음식물 찌꺼기 가루가 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가루 받이(5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가루 받이(50)는 몸체(10)에 장착되어 유도배출관(40) 말미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가루 받이(50)는 몸체(10)와는 결속되지 않아 몸체(10)에서 쉽게 분리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가루 받이(50)는 몸체(10)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하도록 사용자의 손이 잡을 수 있는 형태의 손잡이(55)를 마련할 수 있는데, 손잡이(55)의 형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몸체(10)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도면과 같이 손가락을 끼워 잡을 수 있는 홈 형의 손잡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탈취제 공급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탈취제 공급함(60)은 내부로 탈취제가 수용되는 함체로서, 몸체(10)에 장착되며 분쇄함(20)과는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탈취제 공급함(60)에 수용된 탈취제의 탈취향은 연결관을 통해 분쇄함(20)으로 공급되어 분쇄함(20) 내부를 탈취할 수 있다. 연결관에는 탈취향의 이동을 위해 분사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연결관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습기 필터링함(6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기 필터링함(65)은 몸체(10)에 장착되며, 분쇄함(20)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습기 필터링함(65)은 분쇄함(20)을부터 전달되는 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습기 필터링함(65)은 습기의 수분을 포집하는 포집 필터나, 프리 필터, 항균 필터, 탈취 필터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필터(65a) 중 하나 이상을 마련하여 습기를 필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습기가 너무 많이 외부로 발생되거나,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상술한 가루 받이(50) 뿐만 아니라 분쇄함(20), 탈취제 공급함(60), 습기 필터링함(65) 모두 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한편으론 이들 중 일부는 고정되고 일부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30)이나 분쇄함(20)의 분쇄날(21) 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제어부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1 : 덮개
12 : 스위치
20 : 분쇄함
21 : 분쇄날
22 : 회전모터
23 : 기어 조합
24 : 배출구
30 :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
31 : 구동모터
31a : 고정판
32 : 웜 기어 또는 평 기어
33 : 웜 스크류
34 : 회전링크
34a : 상단회전링크
34b : 하단회전링크
35 : 연결판
36 : 개폐도어
36a : 힌지
40 : 유도배출관
50 : 가루 받이
55 : 손잡이
60 : 탈취제 공급함
65 : 습기 필터링함
65a : 필터
FWP : 음식물 찌꺼기 가루

Claims (9)

  1.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고, 히터와 분쇄날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 및 분쇄하여 가루화하되, 일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분쇄함 및
    상기 배출구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회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은,
    상기 분쇄함의 상기 분쇄날이 회전하여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쇄날에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구를 개방하여 배출하기 위해,
    웜 기어 또는 평 기어가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분쇄함과 연결된 고정판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웜 기어 또는 평 기어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웜 기어 또는 평 기어와 치열 구조로 치합되어 회전하면서, 웜 기어 또는 평 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설치된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웜 스크류;
    상기 웜 스크류 단부에 연결되는 상단회전링크와 상기 상단회전링크와 축 결합되는 하단회전링크로 마련되어 상기 웜 스크류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링크 및
    상기 배출구에 힌지 결합되는 ‘ㄴ’자형의 연결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판은 상기 하단회전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웜 스크류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회전 링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축으로 상기 배출구를 회전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된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하방 또는 측방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유도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유도배출관 말미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 장착되되, 몸체와는 결속되지 않아 몸체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루 받이를 더 포함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내부로 탈취제가 수용되되, 상기 분쇄함과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탈취제의 탈취향을 분쇄함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탈취제 공급함을 더 포함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분쇄함으로부터 발생되는 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습기 필터링함을 더 포함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분쇄함 장착홈이 마련되어 분쇄함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분쇄함 장착홈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외측으로 깊이를 형성하는 안착턱이 마련되고, 상기 분쇄함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이 마련되어,
    돌출턱이 안착턱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쇄함이 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 주위를 따라 고무막이 구비되어 개폐도어와 배출구 사이를 보다 밀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구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 받이는,
    상기 몸체 외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손가락을 끼워 잡을 수 있는 홈 형의 손잡이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구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146270A 2021-08-05 2022-11-04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592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270A KR102592715B1 (ko) 2021-08-05 2022-11-04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074A KR20230021329A (ko) 2021-08-05 2021-08-05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146270A KR102592715B1 (ko) 2021-08-05 2022-11-04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74A Division KR20230021329A (ko) 2021-08-05 2021-08-05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94A KR20230022394A (ko) 2023-02-15
KR102592715B1 true KR102592715B1 (ko) 2023-10-25

Family

ID=85220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74A KR20230021329A (ko) 2021-08-05 2021-08-05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20146270A KR102592715B1 (ko) 2021-08-05 2022-11-04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074A KR20230021329A (ko) 2021-08-05 2021-08-05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213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100B1 (ko) * 1998-08-1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배출 기구를 가지는 마이크로 웨이브 쓰레기 처리기
KR102156548B1 (ko) * 2020-03-24 2020-09-16 주식회사 더나은자연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24B1 (ko) 2007-01-08 2008-01-04 석순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100B1 (ko) * 1998-08-1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배출 기구를 가지는 마이크로 웨이브 쓰레기 처리기
KR102156548B1 (ko) * 2020-03-24 2020-09-16 주식회사 더나은자연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94A (ko) 2023-02-15
KR20230021329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28981T3 (en) juice Press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5061134A1 (en)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KR200159338Y1 (ko) 주방쓰레기처리장치
KR102451977B1 (ko) 수직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592715B1 (ko) 회전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626880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처리장치
KR100654941B1 (ko) 페트병 파쇄기
KR102451960B1 (ko) 수평 개방식 개폐수단을 이용해 음식물 찌꺼기 가루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4663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69957B1 (ko) 이동식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91989A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CN115121338A (zh) 一种具有干湿分离功能的垃圾处理装置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KR10249887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266764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말화가 용이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5295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5211336U (zh) 垃圾处理器
KR20230064173A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말화가 용이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96781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104369U (zh) 一种具有除菌消毒功能的厨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