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63U - 동물 유도 펜스 - Google Patents

동물 유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63U
KR20190000963U KR2020170005347U KR20170005347U KR20190000963U KR 20190000963 U KR20190000963 U KR 20190000963U KR 2020170005347 U KR2020170005347 U KR 2020170005347U KR 20170005347 U KR20170005347 U KR 20170005347U KR 20190000963 U KR20190000963 U KR 201900009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sh
fixing pin
main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04Y1 (ko
Inventor
변송기
Original Assignee
한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0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1Wire gates, e.g. traction gates; Fasten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Fenc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 유도 펜스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메쉬; 및 연속되는 2개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양측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 힌지; 상기 회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이너 메쉬를 포함하는 메쉬 어셈블리; 및 상기 회전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 유도 펜스{A fence for animal guidance}
본 고안은 동물 유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에 형성된 도로에는 야생동물이 도로에 침입하여 자동차와 충돌하는 로드킬이 발생되거나 운전자가 동물을 피하면서 추락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야생동물이 도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로 펜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로 펜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1. 등록번호 (등록일) : 10-1538151 (2015. 7. 14.)
2. 고안의 명칭: 수평과 다양한 각도의 시공이 용이한 동물 유도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상기 선행문헌에는 동물이 도로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수개의 이격된 지주사이에 유도망이 연결되는 도로 펜스가 개시된다.
상기 도로 펜스는 펜스를 통과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펜스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일 공간에서 반대 공간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로 펜스에는 도어가 구비되나, 기존의 도어는 개폐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기능이 없어, 펜스 자체를 기울여 설치하는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어의 내구성이나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도로 펜스로 구획된 공간 사이를 이동 가능한 견고한 구조의 도로 펜스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도어를 개방하여 이동한 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도로 펜스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물 유도 펜스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메쉬; 및 연속되는 2개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양측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 힌지; 상기 회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이너 메쉬를 포함하는 메쉬 어셈블리; 및 상기 회전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고정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고정핀 수용부; 및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 수용부는, 상기 고정핀 수용부에서 돌출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는 회전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가 상기 회전돌기를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함몰부가 개방되어 상기 고정핀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 수용부에는 제 1 잠금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에는 상기 제 1 잠금홀과 연통되는 제 2 잠금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전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외형을 형성하고, 중앙이 관통되는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연결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가이드는,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가이드는 둥글게 함몰되어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가이드는, 중공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 본체부; 상기 가이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단면에서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둘 이상의 메쉬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 고정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상기 이너 메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메쉬를 제외한 상기 도어의 소재는 스틸이고, 표면에 아연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안에 따라, 복수개의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대 중 연속되는 2개의 지지대 사이에 도어를 구비하여 도로 펜스의 나누어진 공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가이드를 구비하여 지지대 사이에 고정되도록 배치하여 견고한 고정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구조의 지지대에 설치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설치된 펜스의 설계 변경 없이 도어를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에 구비되는 고정핀과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고정핀 수용부 및 차폐부로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 수용부의 회전돌기와 차폐부의 회전홀으로 차폐부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잠금부재의 잠금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 수용부에 형성되는 제 1 잠금홀 및 차폐부에 형성되는 제 2 잠금홀을 연통되도록 구비하여, 자물쇠와 같은 보조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와 제 1 연장부의 전단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고정핀이 경사부를 따라 고정핀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 수 있다.
또한, 탄성 힌지를 구비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므로 도어를 기울일 필요 없이 펜스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도어가 열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가 잠금 및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용 도어의 도어가 열린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펜스(1)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에 연결되는 메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도로 펜스(1)가 설치되는 구역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20)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의 형상은 일례로, 원기둥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대(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대(10)는 아래쪽 일부가 지면(4) 아래로 삽입되어 상기 도로 펜스(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가 상기 지면(4) 아래로 삽입되는 부분을 삽삽입부(11)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20)는 상기 삽입부(11)의 나머지 부분, 즉, 상기 지지대(10)가 상기 지면(4) 아래로 삽입되지 않고 노출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에서 상기 삽입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메쉬 연결부(12)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메쉬(20)의 높이는 상기 메쉬 연결부(12)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메쉬(20)의 높이는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쉬(20)는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메쉬(20)는 U볼트, 스틸 밴드를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용점 볼트체결등이 작업을 통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로 펜스(1)는 펜스로 구획된 공간의 이동을 위한 도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대(10) 중 연속되는 2개의 상기 지지대(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지지대(10)와 연결되는 메인 프레임(31),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32), 상기 회전 프레임(32)을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33),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쉬 어셈블리(34) 및 상기 회전 프레임(32)과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2)을 잠금하는 잠금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31)은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부(311) 및 상기 프레임 본체부(311)와 상기 지지대(10)를 연결하는 연결 가이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부(311)는 중앙이 관통된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본체부(311)의 관통된 공간은,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도로 펜스(1)를 통과하여 이동 가능한 통로이다.
다만, 상기 프레임 본체부(311)의 형상은 일례에 해당하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설계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 가이드(312)는 상기 프레임 본체부(311)의 양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가이드(312)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지지대(10)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 가이드(312)는 동일 방향으로 2회 수직 절곡되어 일측이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가이드(312)의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지지대(10)를 삽입 시킨 후, 볼트와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 가이드(312)와 상기 지지대(10)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 프레임(32)은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중앙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중앙에는 상기 메쉬 어셈블리(3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32)은 상기 힌지(3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작으로 이동가능한 공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31)과 상기 회전 프레임(32)은 복수개의 파트로 가공되어, 복수개의 파트가 용접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31)과 상기 회전 프레임(32)은 프레스 가공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33)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33)는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일측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32)은 상기 힌지(33)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33)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 후, 더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힌지(33)가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우측단 상하에 2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일반 힌지(331)와 하나의 탄성 힌지(332)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일반 힌지(331)의 개수 또는 상기 탄성 힌지(33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쉬 어셈블리(34)은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쉬 고정부(341)와 상기 메쉬 고정부(341)에 고정되는 이너 메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 고정부(341)는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 고정부(341)의 중앙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 고정부(341)는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비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중공된 공간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쉬 고정부(341)는 일례로,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메쉬 고정부(341)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이너 메쉬(342)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상기 메쉬 어셈블리(34)을 구비되어 상기 도어(3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구획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메쉬(342)는 상기 메쉬(2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품에 일체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35)는 상기 회전 프레임(32)과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가 잠금 및 해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잠금부재(3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잠금부재(35)는 상기 메인 프레임(31) 및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35)는 상기 힌지(33)가 장착되는 반대편 측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잠금부재(35)는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구비되는 고정핀(352) 및 고정핀 이격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35)는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구비되는 고정핀 수용부(353), 회전돌기(354), 차폐부(355), 스프링(356) 및 탈거 방지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위치한 상기 잠금부재(35)의 구성과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위치한 상기 잠금부재(35)의 구성의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는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일면에 고정되고, 일부가 전방을 향해 수직 절곡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회전가능한 방향을 전방, 반대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에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핀(352)이 수용되는 함몰부(353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에는 제 1 잠금홀(35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홀(353a)은 상기 차폐부(355)에 형성되는 제 2 잠금홀(355f)과 같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고정핀(352)은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32)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핀(352)은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전면에 부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31)의 전면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352)은 상기 고정핀 수용부(35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이격부(351)는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상기 메인 프레임(31)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함몰부(353b)의 함몰된 내측에 상기 고정핀(352)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352)을 상기 회전 프레임(32)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핀 이격부(351)는 상기 회전 프레임(32)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 동일방향으로 2회 수직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 방향은 상기 고정핀과 상기 함몰부의 결합 구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함몰부에 의해 회전이 제한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함몰부에 출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354)는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의 절곡된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돌기(354)의 돌출 방향은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회전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돌기(35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원기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돌기(354)의 형상이 원기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 기둥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부(355)에는 회전홀(355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돌기(35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355)는 상기 회전홀(355a)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355)는 전단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5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55b)는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함몰부(353b)에 수용된 상태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함몰부(353b)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55b)가 상기 함몰부(353b)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355b)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355c)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355)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함몰부(353b)의 개방된 일측을 닫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부(355)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55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55d)는 상기 차폐부(355)의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하기 위해 구비되는 일종의 손잡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56)으로 인하여 상기 차폐부(355)의 구속력이 강해지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55d)에는 손잡이 홀(355e)이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355)의 구속을 더 용이하게 해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부(355)에는 상기 제 1 잠금홀(353a)과 연통되는 상기 제 2 잠금홀(355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잠금홀(353a)과 상기 제 2 잠금홀(355f)은 상기 잠금부재(35)가 잠긴 상태, 즉,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함몰부(353b)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였을 때일 것이다. 상기 제 1 잠금홀(353a)과 상기 제 2 잠금홀(355f)에 자물쇠와 같은 잠금장치를 설치할 경우, 상기 차폐부(355)의 회전이 불가능해 지고 상기 잠금부재(35)의 해제가 불가능해 질 것이다.
상기 차폐부(355)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걸림부(355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걸림부(355f)는 상기 스프링(356)의 일단이 지지된다.
상기 회전돌기(354)에는 상기 스프링(356)이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56)은 일단이 상기 스프링 걸림부(355f)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56)은 상기 차폐부(355)를 상측으로 회전 시킨 후 원래의 상태 즉, 상기 함몰부(353b)의 일측을 차단하는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355)가 임의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핀(352)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구속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전돌기(354)의 외측단에는 상기 차폐부(355) 및 상기 스프링(356)이 상기 회전돌기에서 탈거는 것을 방지하는 탈거 방지부(357)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잠금부재(35)가 잠금 및 해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A)는 상기 잠금부재(35)가 잠금되어 있을 때, 상기 고정핀(352)은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에 수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고 있어, 상기 고정핀(352)은 임의로 탈거되거나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도 7-(B)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35)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355)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장부(355d)는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를 상측으로 올리는 것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폐부(355)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의 일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회전하는 동작으로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에서 탈거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352)이 탈거된 후 사용자가 상기 제 2 연장부(355d)를 놓으면, 상기 차폐부(355)는 상기 스프링(356)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할 것이다. 상기한 원래 상태는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의 개방된 일측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 프레임(32)을 회전시키면 이동 가능한 공간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이 공간을 통해 이동하고 나면 상기 회전 프레임(32)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 힌지(332에 의해서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상기 메인 프레임(31)으로 접근하게 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32)이 상기 메인 프레임(31)으로 접근하면, 도 7-(D)와 같이,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경사부(355c)측으로 접근할 것이다. 상기 경사부(355c)에 접근한 상기 고정핀(352)은 상기 경사부(355c)를 밀어주고 상기 차폐부(355)는 상기 경사부(355c)에 의해 상측으로 일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355)의 회전으로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E)와 같이 상기 고정핀(352)은 상기 고정핀 수용부(353)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352)이 상기 경사부(355c)를 이상 밀지 않으므로 상기 차폐부(355)가 상기 스프링(356)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회전하여 자동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소재는 일례로,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에 아연도금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연결 가이드(312a)는 일측이 둥글게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 가이드(312a)의 함몰된 내경은 상기 지지대(1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가 상기 제 2 연결가이드(312a)에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가이드(312a)는 상기 제 2 연결가이드(312a)에 밀착된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3 연결가이드(312b)의 함몰된 내측면에는 제 1 밀착부(3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밀착부(313)는 상기 제 3 연결가이드(312b)의 함몰된 내측에 접착되고, 상기 지지대(10)와 접촉하는 부분이 주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밀착부(313)는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제 3 연결가이드(312b)의 접촉면의 곡률이 차이가 있을 경우 생기는 틈을 상기 제 1 밀착부(313)가 메워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밀착부(313)로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제 3 연결가이드(312b)사이 결합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지지대(10a)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4 연결가이드(312c)와 상기 제 2 지지대(10a)사이에는, 상기 제 2 지지대(10a)에 접촉하는 일측이 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되는 제 2 밀착부(31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지지대(10a)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밀착부(313a)의 함몰된 형상 또한,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5 연결가이드(313d)는 일부가 개구된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5 연결가이드(313d)는 링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되는 제 1 가이드본체부(312da)와 상기 제 1 가이드본체부(312da)의 개구된 끝단에서 일부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312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12db)는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본체부(312da)의 개구된 양단에서 외측으로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연결가이드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가 상기 제 5 연결가이드(313d)와 결합될 때, 상기 제 1 가이드본체부(312da)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지지대(10)가 인입됨에 따라 변형된 후, 결합이 완료되면 복원되어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0)가 결합될 때, 상기 절곡부(312db)는 상기 지지대(10)가 상기 제 1 가이드본체부(da)의 개구된 부분으로 상기 지지대(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지지대(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연결가이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 6 연결가이드(312e)는 링 형상의 제 2 가이드 본체부(312ea), 상기 제 2 가이드 본체부(312ea)의 일측이 절개되는 절개부(312eb) 및 상기 절개부(312eb)로 절개된 상기 제 2 가이드 본체부(312ea)의 양단에서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312e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결가이드(312b)에 상기 지지대(10)가 결합되면, 상기 결합부(312bc)를 볼트와 같은 체결부제로 체결하여 죄어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메쉬; 및
    연속되는 2개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양측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탄성을 가지는 탄성 힌지;
    상기 회전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고, 이너 메쉬를 포함하는 메쉬 어셈블리; 및
    상기 회전프레임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동물 유도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고정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이 수용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고정핀 수용부; 및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동물 유도 펜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수용부는,
    상기 고정핀 수용부에서 돌출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는 회전홀;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가 상기 회전돌기를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함몰부가 개방되어 상기 고정핀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수용부에는 제 1 잠금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에는 상기 제 1 잠금홀과 연통되는 제 2 잠금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전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몰부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는 제 1 연장부; 및
    상기 제 1 연장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동물 유도 펜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 및
    상기 제 2 연장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홀;을 더 포함하는 동물 유도 펜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외형을 형성하고, 중앙이 관통되는 프레임 본체부; 및
    상기 프레임 본체부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연결 가이드;를 포함하는 동물 유도 펜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는,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는
    둥글게 함몰되어 상기 지지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는,
    중공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 본체부;
    상기 가이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의 단면에서 연장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어셈블리는 적어도 둘 이상의 메쉬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쉬 고정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상기 이너 메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메쉬를 제외한 상기 도어의 소재는 스틸이고, 표면에 아연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유도 펜스.
KR2020170005347U 2017-10-16 2017-10-16 동물 유도 펜스 KR200490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47U KR200490504Y1 (ko) 2017-10-16 2017-10-16 동물 유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347U KR200490504Y1 (ko) 2017-10-16 2017-10-16 동물 유도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63U true KR20190000963U (ko) 2019-04-24
KR200490504Y1 KR200490504Y1 (ko) 2019-11-21

Family

ID=6624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347U KR200490504Y1 (ko) 2017-10-16 2017-10-16 동물 유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401A (zh) * 2022-05-13 2022-08-05 宁波纬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围栏门组件
KR20230019320A (ko) * 2021-07-29 2023-02-08 유한회사 정원에스텍 낙석방지책 유지보수 시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37Y1 (ko) * 2006-01-12 2006-04-05 최광철 도로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101336634B1 (ko) * 2013-08-09 2013-12-03 (주)우림휀스 통수 기능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계식 개폐가 가능한 천변 체육시설용 안전 펜스
KR20140020586A (ko) * 2012-08-09 2014-02-19 송재해 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037Y1 (ko) * 2006-01-12 2006-04-05 최광철 도로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KR20140020586A (ko) * 2012-08-09 2014-02-19 송재해 도어 잠금장치
KR101336634B1 (ko) * 2013-08-09 2013-12-03 (주)우림휀스 통수 기능 및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계식 개폐가 가능한 천변 체육시설용 안전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320A (ko) * 2021-07-29 2023-02-08 유한회사 정원에스텍 낙석방지책 유지보수 시설 장치
CN114856401A (zh) * 2022-05-13 2022-08-05 宁波纬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围栏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04Y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2450B (zh) 安全大门
US8250811B2 (en) Cane bolt with spring and slotted stop
CA2756360C (en) Container with locking mechanism
KR20190000963U (ko) 동물 유도 펜스
US20140360680A1 (en) Boom skirt
KR101542981B1 (ko) 차량의 프론트 도어장치
AU2017201556B2 (en) Gravity latch
US9663278B1 (en) Container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US3235214A (en) Parking space barriers
US10077602B2 (en) Security and escape apparatus for use with a window
AU2002234780B2 (en) Adjustable fence panel and method of assembly
AU2014245841A1 (en) A barricade system
US20140033639A1 (en) Low profile security system for canine entry and exit
US20160032631A1 (en) Door security reinforcement system
US10837203B2 (en) Overhead door lock
US7121531B1 (en) Gate with lock housing
US20120227915A1 (en) Garage door reinforcement barricade
US20090084744A1 (en) Folding and wall-mountable frame such as for a drying device
US4095310A (en) Guide and pivot pin cartridge assemblies for folding doors
US2174890A (en) Door lock
KR200490089Y1 (ko) 방화문용 실리더 보호커버
KR20160029447A (ko) 가드레일용 지주 보강장치
US1659305A (en) Shelf and rack door hinge
DE102021105541B3 (de) Befestigungssystem
US5934023A (en) Door hardware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