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957U - 속눈썹 로드 - Google Patents

속눈썹 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957U
KR20190000957U KR2020190001512U KR20190001512U KR20190000957U KR 20190000957 U KR20190000957 U KR 20190000957U KR 2020190001512 U KR2020190001512 U KR 2020190001512U KR 20190001512 U KR20190001512 U KR 20190001512U KR 20190000957 U KR20190000957 U KR 201900009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ashes
eyelash
curved
thicknes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이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근 filed Critical 이동근
Priority to KR202019000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957U/ko
Publication of KR20190000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2Artificial eyelashes; Artificial eyebro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일반적인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본 고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눈꺼풀에 위치 가능한 제 1면, 상기 본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면에 대응하는 제 2면, 상기 제 1면의 일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속눈썹의 뿌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 1만곡부와, 상기 제 1만곡부로터 연장되고 상기 제 2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만곡부에 지지된 상기 속눈썹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제 2만곡부를 가지는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람의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일단부의 두께보다 사람의 눈꼬리부에 대응하는 타단부의 두께가 크며, 중앙부의 두께가 타단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속눈썹 로드{ROD FOR EYELASHES}
본 고안은 속눈썹 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속눈썹에 컬링(curling), 염색 등과 같은 소정의 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꺼풀에 접촉시켜 속눈썹을 지지하는 속눈썹 로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속눈썹 성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속눈썹에 염색을 하는 수요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염색을 하기 위해서는 속눈썹을 원하는 모양으로 고정하거나, 눈속으로 약제, 염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눈꺼풀에 속눈썹 로드를 부착한 후, 속눈썹 로드에 속눈썹을 지지하여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염색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속눈썹 로드에 대해서는 이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58422;로드 및 그것을 이용한 속눈썹 성형도구"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에 따르면, 로드 본체는 사용자의 눈꺼풀에 접촉된 제 1면과 속눈썹을 지지하는 제 2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본공개특허의 로드 본체는 제 1면과 제 2면이 연결되는 모서리가 날카로운 각도로 형성된다.
하지만, 사람의 속눈썹은 눈꺼풀로부터 아래를 향해 자라기 때문에, 상기 일본공개특허의 로드 본체와 같이 제 1면과 제 2면이 연결되는 모서리가 날카로운 각도로 형성된다면, 속눈썹이 과도하게 위로 꺾여지면서 부자연스러운 속눈썹의 형태가 연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속눈썹을 제 2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속눈썹이 과도하게 꺾여 속눈썹이 손상되거나, 심하게는 속눈썹이 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58422(2005. 03. 10.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적인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속눈썹 로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눈꺼풀에 위치 가능한 제 1면, 상기 본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면에 대응하는 제 2면, 상기 제 1면의 일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속눈썹의 뿌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 1만곡부와, 상기 제 1만곡부로터 연장되고 상기 제 2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만곡부에 지지된 상기 속눈썹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제 2만곡부를 가지는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람의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일단부의 두께보다 사람의 눈꼬리부에 대응하는 타단부의 두께가 크며, 중앙부의 두께가 타단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속눈썹 로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눈썹 로드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제 1만곡부와 제 1만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만곡부를 포함하므로,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속눈썹 로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본체(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제 1면(10), 제 2면(20) 및 만곡면(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0)은 본체(1)의 일측면을 형성한다. 제 1면(10)은 사용자의 눈꺼풀에 접촉되어 본체(1)가 눈꺼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면(10)에는 점착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점착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눈꺼풀에 본체(1)가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는 굴곡진 사용자의 눈꺼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면(20)은 본체(1)의 타측면을 형성한다. 제 2면(20)은 제 1면(10)에 대응하여 제 1면(10)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만곡면(30)은 제 1면(10)의 일단부와 제 2면(20)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만곡면(30)는 제 1만곡부(31)와 제 2만곡부(32)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만곡부(31)는 제 1면(10)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만곡된다. 제 1만곡부(31)는 속눈썹의 뿌리 부분이 하향 만곡된 상태로 본체(1)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눈꺼풀로부터 아래를 향해 자라는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이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만곡부(32)는 제 1만곡부(31)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제 2만곡부(32)는 제 1만곡부(31)보다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 2만곡부(32)는 제 1만곡부(31)에 의해 지지된 속눈썹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사람의 속눈썹은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가장 짧고, 눈꼬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며, 눈머리와 눈꼬리 사이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가장 길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의 제 1면(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본체(1)의 두께는,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일단부와, 눈꼬리부에 대응하는 타단부와,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앙부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는 일단부의 두께(L2)보다 타단부의 두께(L3)가 더 크며, 타단부의 두께(L3)보다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두께(L1)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두께(L1)를 100%로 가정하면, 본체 일단부의 두께(L2)는 대략 30~40%, 본체 타단부의 두께(L3)는 대략 60%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눈꺼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체(1)의 제 1면(10)에 점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 테이프를 점착하고 본체(1)를 눈꺼풀에 점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눈꺼풀에 부착한 후, 사용자는 속눈썹에 컬링을 하거나, 염색을 하기 위하여 속눈썹을 만곡면(30)에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속눈썹의 뿌리 부분은 제 1만곡부(31)에 지지되어 하향 만곡되도록 제 2면(20)에 지지되며, 뿌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속눈썹은 제 2만곡부(32)에 지지되어 상향 만곡되도록 제 2면(2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눈꺼풀로부터 아래를 향해 자라는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이 성형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두꺼우므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 속눈썹에 형성되는 컬링의 형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제 1면(10)과 제 2면(2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a) 및 제 1만곡부(31)와 제 2만곡부(32)를 가지는 만곡면(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와 마찬가지로,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눈꺼풀로부터 아래를 향해 자라는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이 성형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두꺼우므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 속눈썹에 형성되는 컬링의 형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본체(1a)의 상단부로부터 아치형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0)는 사용자가 본체(1a)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손잡이부(50)는 본체(1a)의 부착 방향, 본체(1a)의 사이즈 등을 표기할 수 있는 식별 부호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속눈썹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본체(1a)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본체(1a)의 부착 방향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제 1면(10)과 제 2면(2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b) 및 제 1만곡부(31)와 제 2만곡부(32)를 가지는 만곡면(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와 마찬가지로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눈꺼풀로부터 아래를 향해 자라는 사람의 속눈썹 구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이 성형되어 자연스러운 형태로 속눈썹을 성형하고 속눈썹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는 중앙의 두께가 가장 두꺼우므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 속눈썹에 형성되는 컬링의 형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속눈썹 로드의 본체(1b)에는 식별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b)의 일측단부로부터 함몰된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b)의 일측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식별부(60)는 사용자가 본체(1b)의 부착 방향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a, 1b, 1c : 본체
10 : 제 1면
20 : 제 2면
30 : 만곡면
31 : 제 1만곡부
32 : 제 2만곡부
50 : 손잡이부
60 : 식별홈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형성하며 눈꺼풀에 위치 가능한 제 1면;
    상기 본체의 타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1면에 대응하는 제 2면;
    상기 제 1면의 일단부로부터 만곡되어 속눈썹의 뿌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 1만곡부와, 상기 제 1만곡부로터 연장되고 상기 제 2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만곡부에 지지된 상기 속눈썹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제 2만곡부를 가지는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사람의 눈머리부에 대응하는 일단부의 두께보다 사람의 눈꼬리부에 대응하는 타단부의 두께가 크며, 중앙부의 두께가 타단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로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로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로드.
KR2020190001512U 2019-04-12 2019-04-12 속눈썹 로드 KR201900009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2U KR20190000957U (ko) 2019-04-12 2019-04-12 속눈썹 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12U KR20190000957U (ko) 2019-04-12 2019-04-12 속눈썹 로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12U Division KR20190000572U (ko) 2017-08-25 2017-08-25 속눈썹 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57U true KR20190000957U (ko) 2019-04-23

Family

ID=6624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12U KR20190000957U (ko) 2019-04-12 2019-04-12 속눈썹 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9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398A (ko) * 2022-01-20 2023-07-27 윤정혜 퍼머넌트 웨이브용 헤어 롯드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22A (ja) 2003-08-11 2005-03-10 Top Elegance:Kk ロ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睫成形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422A (ja) 2003-08-11 2005-03-10 Top Elegance:Kk ロ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睫成形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398A (ko) * 2022-01-20 2023-07-27 윤정혜 퍼머넌트 웨이브용 헤어 롯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8453B1 (en) Artificial eyelash structure and its fabrication and method of use
US8881744B2 (en) Lash holder
KR20190000572U (ko) 속눈썹 로드
JP2010024579A (ja) エクステンション用人工まつげ
EP1677643B1 (en) Attaching apparatus of artificial nail
KR101392845B1 (ko) 인조속눈썹 및 인조속눈썹 제작방법
KR101579401B1 (ko) 속눈썹 부착 방법
US4107947A (en) Finger tip ornament
KR101782983B1 (ko) 속눈썹 파마 방법
KR20190000957U (ko) 속눈썹 로드
JP4097450B2 (ja) まつ毛パーマ用ロッド
KR102344436B1 (ko) 인조 속눈썹
US20040149303A1 (en) Eyelash lenghtening platform
KR102033577B1 (ko) 속눈썹 연장 방법
US20130263879A1 (en) Hair volumizer and method of use
US20210153585A1 (en) False eyelash attachment aid
US20070012330A1 (en) Eyelash perm rod
KR102213301B1 (ko) 다기능 헤어브러시
KR20110113819A (ko) 속눈썹 연장 방법
CN211657576U (zh) 球形指环插齿护发梳
KR20200139387A (ko) 속눈썹 연장 시술방법
KR100770292B1 (ko) 가발 고정구조
KR20200002712U (ko) 포니테일 부분가발
JP7131855B2 (ja) 人工まつげおよび人工まつげの装着方法
KR200456417Y1 (ko) 인조 속눈썹 보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