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81U -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 Google Patents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81U
KR20190000681U KR2020170004751U KR20170004751U KR20190000681U KR 20190000681 U KR20190000681 U KR 20190000681U KR 2020170004751 U KR2020170004751 U KR 2020170004751U KR 20170004751 U KR20170004751 U KR 20170004751U KR 20190000681 U KR20190000681 U KR 201900006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guide
spac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240Y1 (ko
Inventor
문동옥
Original Assignee
문동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옥 filed Critical 문동옥
Priority to KR2020170004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4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금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관한 것으로서, 제 1관대의 일 측 단부에 제 1삽입부를 내삽되게 형성하고, 제 2관대의 일 측 단부에 제 2삽입부를 내삽되게 형성하되, 상기 제 1삽입부 및 제 2삽입부에 삽입부재를 각각 구성하고,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를 감싸는 가이드부재의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에 끼움 되도록 하여 제 1관대 및 제 2관대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제 1관대와 제 2관대가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Optionally bondable and separable charge}
본 고안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금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금은 대나무 관대에 취구와 지공과 청공을 뚫어 옆으로 부는 관악기로서, 여러 관악기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고 관이 굵은 축에 들며, 청공을 통해 다양한 음악성을 구사하는 표현력을 지니고 있으며, 대금은 본래 신라 삼죽의 하나로, 젓대라고도 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횡적이고, 취구, 청공, 지공 6개, 칠성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러한 대금은 여러 관악기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고 관이 굵은 축에 들어 사용자가 사용 후, 대금의 길이에 맞는 가방이나 보관함을 구비해야 되는 등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대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0691081호(특)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몸체 일측부로 취구와 다수개의 지공을 형성하여서 된 통상적인 국악용 관악기에 있어서, 상기 국악용 관악기의 몸체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분 구성하여 이들을 각각 결합수단에 의해 조립설치가 가능케 구성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부몸체 일측단으로 볼 내장홈을 형성하여 그 내에 고정구와 스프링을 내설하고, 스프링 하측으로는 고정볼을 설치하여, 상부몸체 일측단 내부로 고정볼을 일부 돌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일측단은 그 외주로 다수개의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부몸체 일측단의 고정볼이 걸림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상호 조립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의 걸림위치에 따라 몸체의 길이가 일정폭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역 조절이 가능한 국악용 관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국악용 관악기의 몸체를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몸체의 일 측에 고정구, 스프링 및 고정볼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일 측 외주에 다수개의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지속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게 되는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고정볼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의 고정홈이 변형되거나 훼손되어 결합력이 점차 저감될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상기 국악용 관악기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제 1관대의 일 측 단부에 제 1삽입부를 내삽되게 형성하고, 제 2관대의 일 측 단부에 제 2삽입부를 내삽되게 형성하되, 상기 제 1삽입부 및 제 2삽입부에 삽입부재를 각각 구성하고,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를 감싸는 가이드부재의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에 끼움 되도록 하여 제 1관대 및 제 2관대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제 1관대와 제 2관대가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내부에 일 측이 개방된 제 1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취구 및 청공이 각각 형성되는 제 1관대;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 2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지공 및 칠성공이 형성되는 제 2관대; 상기 제 1관대와 제 2관대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부; 로 구성되는 대금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대의 일 측 단부에는 제 1삽입부가 내삽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관대의 일 측 단부에는 제 2삽입부가 내삽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삽입부 및 제 2삽입부에 각각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 1, 2공간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에 끼움 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 일 측과 타 측에는 돌출부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부재에 끼움 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의 돌출부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끝 부에는 슬라이드홈으로부터 연장되되 삽입부재의 내측 둘레를 따라 꺾임 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대금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결합부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대금의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돌출부가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끼움 되되, 가이드홈에 걸림 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취구, 청공, 지공 및 칠성공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제 1, 2삽입부에 삽입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 중 연결부재의 외주에 가이드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결합부의 구성 중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고안은 대금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내부에 일 측이 개방된 제 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취구(120) 및 청공(130)이 각각 형성되는 제 1관대(100);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 2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지공(220) 및 칠성공(230)이 형성되는 제 2관대(200); 상기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부(300); 로 구성되는 대금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대(1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1삽입부(140)가 내삽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관대(2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2삽입부(240)가 내삽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에 각각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재(310)와, 내부에 상기 제 1, 2공간부(110, 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325)이 형성되는 연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32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310)에 끼움 되는 가이드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래의 일반적인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대금은 제 1관대(100), 제 2관대(200) 및 결합부(300)로 구성된다.
도 1,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대(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 측이 개방된 제 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상기 제 1공간부(110)와 연통되되, 사용자가 제 1공간부(110)로 입김을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취구(120) 및 상기 취구(120)와 하기될 지공(220) 사이에 위치되어 별도의 갈대청을 붙일 시, 떨림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청공(130)이 형성된다.
도 1,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관대(2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양측으로 관통된 제 2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상기 제 2공간부(210)와 연통되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막아 음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공(220) 및 대금의 기본음을 결정하는 칠성공(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칠성공(230)은 정악대금, 산조대금과 같이 대금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칠성공(230)이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 1관대(100) 및 제 2관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관대(100) 및 제 2관대(200)의 사이에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대금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대(1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1삽입부(140)가 내삽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관대(2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2삽입부(240)가 내삽되어 형성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는 상기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가 결합될 시에 상호 맞닿는 제 1관대(100)의 일 측 단부 및 제 2관대(200)의 일 측 단부에 하기될 결합부(300)의 삽입부재(3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내삽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는 하기될 삽입부재(310)의 외주의 직경 및 길이와 동일한 직경 및 길이로 내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00)는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310)는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에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써, 하기될 가이드부재(3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310)는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될 가이드부재(330)가 상기 삽입부재(310)로부터 분리될 시, 상기 삽입부재(310)가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31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재(310)의 관통된 부분의 직경은 하기될 가이드부재(330)가 끼움 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330)의 외주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2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기될 가이드부재(330)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제 1공간부(110)와 제 2공간부(210)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하기될 가이드부재(330)가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에 구성된 각각의 삽입부재(310)에 끼움 될 시, 취구(120)로부터 인입되는 바람이 제 1공간부(110)를 거쳐 제 2공간부(210)로 휘거나 새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32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2공간부(110, 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325)이 형성된다.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상기 연결부재(32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2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310)에 끼움 될 시, 상기 제 1관대(100)의 일 측 선단과 제 2관대(200)의 일 측 선단이 완전히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길이는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310)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상기 제 1삽입부(140)에 구성된 삽입부재(310) 또는 제 2삽입부(240)에 구성된 삽입부재(310)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제 1관대(100)에 제 2관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거나 제 2관대(200)에 제 1관대(1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로 구성되는 결합부(300)는 경도 및 강도가 큰 황동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결합부(300)의 강도를 향상시켜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가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작용할 수 있는 힘 및 장기간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가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가 모두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 중 어느 하나만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는 필요에 따라 금속 재질뿐만 아니라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 중 어느 하나만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재(310) 및 가이드부재(330)는 금속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320)는 목재 재질로 구성하여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가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제 1관대(100) 및 제 2관대(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목재 재질로 구성되는 연결부재(320)로 인해 연주 시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외주 일 측과 타 측에는 돌출부(335)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31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30)가 삽입부재(310)에 끼움 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돌출부(335)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315)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315)의 끝 부에는 슬라이드홈(315)으로부터 연장되되 삽입부재(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꺾임 되는 가이드홈(3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35)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외주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향되도록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홈(315)은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양 측이 상기 삽입부재(310)에 각각 끼움 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돌출부(335)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31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홈(315)은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돌출부(335)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되, 상기 슬라이드홈(315)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부재(330)의 일 측 선단이 상기 삽입부재(310)의 일 측 선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내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317)은 상기 슬라이드홈(315)의 끝 부에 슬라이드홈(315)로부터 연장되되, 삽입부재(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꺾임 되며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317)은 상기 슬라이드홈(315)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출부(335)가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홈(315)의 끝 단부에 위치될 시, 상기 돌출부(335)가 상기 삽입부재(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홈(315)으로부터 연장되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꺾임 되며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홈(317)은 상기 슬라이드홈(315)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출부(335)가 상기 가이드홈(31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335)가 상기 슬라이드홈(315)을 따라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17)이 형성된 삽입부재(310)가 상기 제 1, 2관대(100, 200)에 각각 구성될 시, 상기 가이드홈(317)의 방향이 상기 제 1, 2관대(100, 200)가 상호 맞닿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 1, 2관대(100, 200)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17)이 형성된 삽입부재(310)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각각의 돌출부(335)가 상기 제 1, 2관대(100, 200)에 구성되는 각각의 삽입부재(310)의 가이드홈(317)을 따라 각각 이동되어 상기 제 1, 2관대(100, 200)가 결합 될 시, 상기 제 1관대(100)의 취구(120), 청공(130) 및 제 2관대(200)의 지공(220), 칠성공(230)이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관대(100)의 제 1삽입부(140) 및 제 2관대(200)의 제 2삽입부(240)에 각각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대금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보관상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결합부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삽입부재, 연결부재 및 가이드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대금의 결합 및 분리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돌출부가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끼움 되되, 가이드홈에 걸림 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취구, 청공, 지공 및 칠성공이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100 : 제 1관대
110 : 제 1공간부 120 : 취구
130 : 청공 140 : 제 1삽입부
200 : 제 2관대
210 : 제 2공간부 220 : 지공
230 : 칠성공 240 : 제 2삽입부
300 : 결합부
310 : 삽입부재
315 : 슬라이드홈 317 : 가이드홈
320 : 연결부재 325 : 관통홀
330 : 가이드부재 335 : 돌출부

Claims (3)

  1. 내부에 일 측이 개방된 제 1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취구(120) 및 청공(130)이 각각 형성되는 제 1관대(100);
    내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 2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외주 일 측에 지공(220) 및 칠성공(230)이 형성되는 제 2관대(200);
    상기 제 1관대(100)와 제 2관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합부(300); 로 구성되는 대금에 있어서,
    상기 제 1관대(1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1삽입부(140)가 내삽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관대(200)의 일 측 단부에는 제 2삽입부(240)가 내삽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 1삽입부(140) 및 제 2삽입부(240)에 각각 구성되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재(310)와, 내부에 상기 제 1, 2공간부(110, 2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통홀(325)이 형성되는 연결부재(320)와, 상기 연결부재(32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양 측 단부가 상기 각각의 삽입부재(310)에 끼움 되는 가이드부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10), 연결부재(320) 및 가이드부재(33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외주 일 측과 타 측에는 돌출부(335)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310)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30)가 삽입부재(310)에 끼움 될 시,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돌출부(335)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홈(315)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315)의 끝 부에는 슬라이드홈(315)으로부터 연장되되 삽입부재(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꺾임 되는 가이드홈(3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KR2020170004751U 2017-09-07 2017-09-07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KR200490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51U KR200490240Y1 (ko) 2017-09-07 2017-09-07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51U KR200490240Y1 (ko) 2017-09-07 2017-09-07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81U true KR20190000681U (ko) 2019-03-15
KR200490240Y1 KR200490240Y1 (ko) 2019-10-16

Family

ID=6572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51U KR200490240Y1 (ko) 2017-09-07 2017-09-07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4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376A (ko) * 2000-03-15 2001-10-23 안우희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61435B1 (ko) * 2009-12-01 2010-06-09 오종수 관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376A (ko) * 2000-03-15 2001-10-23 안우희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61435B1 (ko) * 2009-12-01 2010-06-09 오종수 관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40Y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259B2 (en) Cable clamp and cable clamp assembly
JP3140421U (ja) 電子装置の保護ケース
US7617573B2 (en) Shoelace fastening assembly
US8793842B2 (en) Cord management sleeve
KR20170022685A (ko)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US10533631B2 (en) Transmission belt
US9138611B2 (en) Selectorized dumbbell having an upper selector and weights formed by laterally spaced weight plates joined by thin connecting walls
CN103794202A (zh) 电弦乐器
CN105920776A (zh) 攀爬架
KR20190000681U (ko)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대금
US9320933B2 (en) Weighted exercise hoops
TWM348672U (en) Joint head structure
US20090100982A1 (en) Guitar cord securing apparatus
US20100018544A1 (en) Convertible hairclip
US20030139114A1 (en) Toy with flexible light-transmitting elements
US20080165525A1 (en) Christmas Tree Replica
EP2944744A1 (en) Flagpole
US20070194525A1 (en) Three dimensional jigsaw puzzle
US1527748A (en) Billiard cue
US7509924B2 (en) Angle-adjustable device between two tubes used as a play place for pets
CN214083609U (zh) 一种新型笔
US10847125B1 (en) Detachable guitar
JP2014188345A (ja) 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クリップ装置
KR101587240B1 (ko) 클립
JP489623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