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74A -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74A
KR20190000674A KR1020170079973A KR20170079973A KR20190000674A KR 20190000674 A KR20190000674 A KR 20190000674A KR 1020170079973 A KR1020170079973 A KR 1020170079973A KR 20170079973 A KR20170079973 A KR 20170079973A KR 20190000674 A KR20190000674 A KR 20190000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top
sub
main
monito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177B1 (ko
Inventor
최해랑
Original Assignee
(주) 딥스원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딥스원에듀 filed Critical (주) 딥스원에듀
Priority to KR102017007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1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PC의 운영체계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인 바탕화면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표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a) PC에 설치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연결된 독립 PC인 경우에 생성모듈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일정한 크기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하는 기능; (b)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메인 바탕화면과 서브 바탕화면 사이에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가져오거나 내보내기 또는 삭제나 표시 또는 해당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c)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d)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에서 메인 바탕화면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IT기기의 운영의 편의성 및 기능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교육이나 회의 또는 학습 등의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for Integration Management Wallpaper through Monitor of Personal Computer}
본 발명은 PC의 운영체계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인 바탕화면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표출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Computer)의 운영체계(Operating System)는 컴퓨터의 기동과 함께 핵심부(Kernel)가 주기억 장치에 올라가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운영을 관리하여 응용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이다. 초기의 운영체계(OS)는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 장치, 디스크 장치, 각종 입출력 장치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감시하고 제어하며,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하는 CPU 시간, 기억 공간, 입출력 등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하고 배분하는 시스템 관리 기능이 기본이었다. 현재는 동영상이나 게임에 이르는 각종 응용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틸리티 기능들이 추가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보다 편리한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변모하고 있다. 하드디스크 등 보조기억장치를 관리하는 파일관리,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순서, 우선순위 등을 관리하는 태스크(Task) 관리와 작업(Job) 관리, 사용자의 식별, 확인을 위한 보안관리, 컴퓨터 간의 정보교환을 관리하는 통신망관리 등 시스템 관리기능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행해진다. OS는 여러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는 처리기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문서처리, 표 계산 등 응용프로그램에서 파일의 판독과 기록, 화면상의 문자 표시, 인쇄 등의 처리를 OS가 맡도록 하면 응용프로그램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 OS는 이러한 공통기능을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라는 함수로서 제공한다. 개인용 컴퓨터(PC)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OS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체계(MS-DOS), 윈도우즈, IBM사의 OS/2, 애플사의 맥 OS 등이 있으며, 워크스테이션급으로는 AT&T사가 개발한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등이 있다.
그리고 데스크톱 메타포(Desktop Metaphor)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UI)에 쓰이는 통일 개념의 집합이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들이 컴퓨터와 더 쉽게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데스크톱 메타포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마치 사용자의 책상처럼 보이게 하여 여기에다 문서, 파일폴더를 놓을 수 있게 한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에서는 "바탕화면"으로, 맥 OS X에서는 "데스크톱"이라 한다. 데스크톱 환경(Desktop Environment, DE)은 그래피컬 컴퓨팅에서 G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이다. 데스크톱 관리자라고도 한다. 이 이름은 대부분의 인터페이스에서 쓰이는 데스크톱 메타포로부터 온 이름으로, 문자열 기반의 명령줄 인터페이스(CLI)와 대조된다.
데스크톱 환경은 보통 아이콘, 창, 도구모음, 폴더, 배경화면, 데스크톱 위젯을 제공한다. 또, 데스크톱 환경은 드래그 앤 드롭과 프로세스 사이의 통보와 같은 기능을 지원한다. 전반적으로 데스크톱 환경의 목적은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일관된 통합이며, 일관된 룩 앤드 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배경화면(Computer Wallpaper)은 컴퓨터화면이나 모바일 통신장치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의 배경에 쓰이는 그림이다. 컴퓨터에서는 바탕화면에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휴대전화에서는 대개 홈이나 대기화면의 배경에 쓰인다. 대부분의 장치들이 기본 그림을 제공하지만 사용자는 파일을 직접 선택하여 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파일관리자로서 파일탐색기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파일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파일과 파일그룹에 수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만들기, 열기, 편집, 보기, 인쇄, 재생, 이름 바꾸기, 이동, 복사, 삭제, 검색, 특성/속성/권한 수정이 있다. 파일은 일반적으로 계급으로 나타낸다. 어떠한 파일관리자는 앞뒤 탐색 단추가 포함된 웹 브라우저에 영향을 받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에 컴퓨터화면에 표시되는 바탕화면은 해당하는 운영체계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해진 단일의 화면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바탕화면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거나 관리 또는 제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더욱이 사용자는 바탕화면의 배경이 되는 사진이나 그림 정도를 변경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180호(2014.05.02. 공고)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한 것으로, 각종 IT기기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된 모니터에 표시되는 바탕화면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하여 운용하며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IT기기들 사이에 생성된 바탕화면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교육이나 회의 또는 학습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PC에 설치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연결된 독립 PC인 경우에 생성모듈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일정한 크기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하는 기능; (b)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메인 바탕화면과 서브 바탕화면 사이에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가져오거나 내보내기 또는 삭제나 표시 또는 해당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c)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d)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에서 메인 바탕화면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인 경우에 생성모듈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 상기 제어모듈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사이에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이 전송모듈에서 송수신되도록 하는 기능; 상기 제어모듈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으로 수신된 아이콘을 네트워크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상기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상기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에서 메인 바탕화면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네트워크 PC 중 어느 하나의 PC는 다른 PC의 메인 바탕화면에 설치된 서브 바탕화면을 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모듈을 통해 어느 한 네트워크 PC의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된 단일의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을 복수의 네트워크 PC에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된 복수의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 PC 각각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생성된 서브 바탕화면 내에도 제2의 서브 바탕화면 및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센서, 전자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용, PC용, 모바일용 운영체계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모듈을 통해 서브 바탕화면의 정보가 원격의 웹 클라우드에 전송되어 저장, 삭제, 변경 및 복사가 이루어지는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 바탕화면 프레임 상단부에 메뉴모음, 명령모음, 상태모음 및 기능설정과 파일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도구모음창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운영체계가 설치되고 단독 또는 LAN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IT기기의 메인 바탕화면에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하여 다중 모니터로 전송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IT기기로 전송하여 메인 바탕화면과 서브 바탕화면 사이에 각종 파일이나 폴더를 올리거나 내려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IT기기의 운영의 편의성 및 기능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교육이나 회의 또는 학습 등의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구현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예시한 바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PC, 즉,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연결된 퍼스널컴퓨터 또는 각각의 모니터가 연결된 복수의 퍼스널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일반적인 컴퓨터의 개념을 갖는 서버,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도 포함됨은 당연하다.
도 1에서, 서버컴퓨터 또는 PC(11), 노트북(12), 태블릿(13), 스마트폰(14), 전자칠판(15) 또는 프로젝터 등 각종 운영체계(OS)가 설치된 IT기기(10)는 단독 또는 LAN 또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각 IT기기(10)에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다.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은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서브 바탕화면의 운용과 관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서브 바탕화면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21), 서브 바탕화면의 생성을 위한 생성모듈(22), 서브 바탕화면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23) 및 서브 바탕화면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24) 등이 포함된다.
도 2a에서, 서버컴퓨터 또는 PC(11)에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 즉, 다중 모니터(16)가 연결되어 메인 바탕화면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 운용 및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복수의 서버컴퓨터 또는 PC(11)가 근거리통신망(LAN)이나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 운용 및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서, 하나의 서버컴퓨터 또는 PC(11)에 하나 이상의 모니터(16)가 근거리통신망(LAN)이나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 운용 및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d에서, 서버컴퓨터 또는 PC(11), 노트북(12), 태블릿(13), 스마트폰(14) 또는 전자칠판(15)이나 프로젝터 등 각종 운영체계(OS)가 설치된 IT기기의 모니터가 근거리통신망(LAN)이나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어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 운용 및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PC 등 IT기기(10)와 연결된 모니터나 태블릿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모니터 화면이 일체화된 IT기기의 메인 바탕화면에 서브 바탕화면이 생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메인 바탕화면(1)은 하나의 IT기기, 즉, PC, 노트북,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등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나 파일 폴더 등이 나열되어 있는 해당 운영체계(OS)가 제공하는 창이다. 서브 바탕화면(2)은 상기 메인 바탕화면(1)에서 폴더를 여는 것과 같이 메인 바탕화면(1)에 생성된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인 바탕화면(1) 위에 별도의 팝업창으로 메인 바탕화면(1)과 동일한 정보와 기능이 표시되는 새로운 형태의 폴더 및 파일관리 프로그램으로 팝업형식의 새로운 바탕화면 창이다. 더욱이 해당 운영체계(OS)가 제공하는 창, 예컨대, 윈도우 운영체계에서의 파일탐색기에서 폴더모드가 열리는 것과 같다. 또한, PC에서 저장되거나 관리되는 파일위치는 '내 컴퓨터(PC)' 안에 특정폴더에 지정하여 저장되고, 그 안에서 자유로이 파일탐색기처럼 파일관리나 폴더관리를 하며, 해당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문서의 열람이나 파일 미리보기 등을 수행한다.
또한, 메인 바탕화면(1)에서 폴더처럼 지정된 아이콘 형태로 여러 이름으로 생성하고 이름을 변경하여 보이게 하고, 생성된 아이콘을 클릭하면 메인 바탕화면(1) 위에 팝업으로 서브 바탕화면(2)이 생성되어 폴더, 파일 관리, 실행 등을 서브 바탕화면(2) 안에서 수행한다. 또한, PC에 연결된 주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에 생성된 서브 바탕화면(2)을 PC에 다중 연결된 복수의 모니터로 보내 각각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는 하나의 서버컴퓨터에서 네트워크 PC로 연결되는 형태나 또는 모니터 분배시스템을 통해서 각각의 모니터에 독립된 PC의 연결이 없어도 주 PC 하나에 복수의 분배된 모니터를 통해 서브 바탕화면(2)을 운용 및 관리한다.
또한, 모니터나 프로젝터 등의 개별 출력장치에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이외에 터치센서 및 전자펜 형식의 입력으로 전자 판서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교실이나 강의실에서 볼 수 있는 전자교탁과 더불어 교실 전면에 설치된 전자칠판을 활용하여 전자칠판에 모니터를 연결함으로써 듀얼모니터와 같은 시스템으로 기존의 별도의 스탠딩 또는 좌식 전자교탁과 같이 교차하면서 모니터의 화면관리와 파일관리 및 전자 판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PC에 연결된 모니터에 표시된 해당 PC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메인 바탕화면 위에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브 바탕화면의 생성, 운영 및 관리와 제어를 설명한다.
PC에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된다(S10). 그리고 PC에 설치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면(S11),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21)은 PC가 독립적으로 연결된 PC인지 아니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제어모듈(21)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연결된 독립 PC인 경우에 생성모듈(22)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 위에 일정한 크기의 서브 바탕화면(2)을 생성한다(S13).
그리고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의 제어모듈(21)은 메인 바탕화면(1)과 서브 바탕화면(2) 사이에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가져오거나 내보내기 또는 삭제를 한다(S14). 또한, 서브 바탕화면(2)에 표시 또는 해당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한다(S15). 더욱이 서브 바탕화면(2)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21)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1)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S16), 제어모듈(21)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1)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2)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23)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22)에서 메인 바탕화면(1)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2)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1)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한다(S17). 이후, 메인 바탕화면(1)에 표시되는 서브 바탕화면(2)의 아이콘을 외부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실행하면(S18), 상기 (S14) 단계 내지 (S17)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체계(MS-DOS), 윈도우즈, IBM사의 OS/2, 애플사의 맥 OS, 그리고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등 특정의 운영체계가 설치된 PC에 설치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20)은 독립 PC(11)에 연결된 모니터(16)를 통해 메인 바탕화면(1) 위에 하나 이상의 서브 바탕화면(2)을 생성하여 메인 바탕화면(1)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서브 바탕화면(2)은 아이콘의 형태로 메인 바탕화면(1) 위에 표시됨과 더불어 아이콘의 실행으로 팝업창으로 표시될 때에 폴더, 파일의 가져오기나 내보내기 또는 관리나 실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에서 웹 클라우드(Web Cloud)로 저장하기 또는 복사하기 등 폴더 및 파일도 메인 바탕화면(1)과 동일한 운용,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또, 서브 바탕화면(2)을 여러 개 단위로 복사하여 표시하고 창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서브 바탕화면(2)에서 메인 바탕화면(1)에 표시된 각종 응용프로그램 관리 기능, 예컨대, 제어판에 있는 프로그램 삭제 기능 등은 보지 못하게 제한할 수 있다. 또, 메인 바탕화면(1)에서 입력장치인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사용하여 새 폴더 만들기, 바로가기, 디폴트, 폴더아이콘, 이름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내 컴퓨터 내에, C드라이브에 폴더1, 2, 3 등을 만들 수 있다. 그 폴더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폴더를 이동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또, 그 폴더 안에 실행파일을 가져와 실행하고, 하위 폴더도 만들 수 있다. 메인 바탕화면(1)에 생성된 서브 바탕화면(2)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독립적 공간의 서브 바탕화면(2), 즉, 폴더창 안에서 또 다시 바로가기와 같은 여러 아이콘을 만들어 낼 수 있고, 어느 폴더 안에 둘지 위치를 지정하고 특정 폴더를 만들 수 있다. 이는 메인 바탕화면(1)에서 여러 개의 서브 바탕화면(2)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 바로 클릭하면 해당 파일관리 폴더(서브 바탕화면)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그 안에서 모든 폴더 및 문서 및 실행파일 등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바탕화면(2) 상부에 다양한 도구 창과 파일경로가 형성되어 경로 단위로 상위 폴더를 클릭하더라도 해당 폴더로 바로 이동이 가능하고, 서브 바탕화면에서 실행되는 문서는 상단에 문서 위치를 보이게 한다. 저장 시 또는 문서를 불러오게 할 때 그 위치를 보게 한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에 우측 하단에 상시 실행버튼이 형성되어 실행버튼을 클릭하면 메인 바탕하면에서 관리자 프로그램으로 제한되어 지정된 서브 바탕화면(2) 영역만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메인 바탕화면(1)에서 실행된 프로그램 또는 파일 폴더 등을 서브 바탕화면(2)에서도 이동, 복사, 잘라내기, 삭제, 미리보기 등 파일탐색기 기능을 포함하고, 메인 바탕화면 위에 '폴더 내 폴더' 또는 파일들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서브 바탕화면(2)을 각각 띄워 서브 바탕화면(2) 사이의 복사나 이동 등을 자유롭게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해당 서브 바탕화면에서만 구동되도록 하고, 그 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최소화버튼(-)을 누르면 서브 바탕화면(2)이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등, 최대화버튼이나 이전크기 또는 닫기를 서브 바탕화면(2)에서 독립적으로 운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에 나열된 문서나 폴더 위치를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다시 해당 폴더를 열 때나 창을 닫고 다시 실행하면, 해당 폴더는 그 정렬 배치 위치를 기록하여 다시 보여준다. 정렬과 각 폴더마다 메인 바탕화면(1)에 위치를 기억하는 소스(Source)를 저장한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이 메인 바탕화면(1)의 어디에 있든 문서와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다. 다만, 서브 바탕화면(2)에서도 응용프로그램이 실행 가능하지만, 이전에 실행된 문서나 파일은 중복여부를 확인하여 보여주는 것이 좋다. 또한, 특정 폴더의 서브 바탕화면(2)을 닫고 다른 특정 서브 바탕화면(2) 폴더로 이동하더라도 그 위치가 저장되어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 상부에는 파일을 정렬하거나 메인 바탕화면(1)에 기록된 위치로 가거나 아이콘 만들어 파일들을 편리하게 사용하며, 파일 정렬, 유형, 보기옵션 등을 할 수 있다. 기존 메인 바탕화면(1)에서 보여준 파일미리보기, 폴더에 있는 그림파일 등을 보여주기 기능을 포함한다.
다음은, PC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모니터 또는 근거리통신망(LAN)이나 인터넷 등으로 연결된 복수의 네트워크 PC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메인 바탕화면 위에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서브 바탕화면의 생성, 운영 및 관리와 제어를 설명한다.
즉, 도 4의 흐름도에서, (S12) 단계에서, 제어모듈(21)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PC인 경우에 생성모듈(22)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 위에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한다(S20). 그리고 제어모듈(21)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사이에 서브 바탕화면(2) 아이콘이 전송모듈(24)에서 송수신되도록 한다(S21). 이는 서버나 주 PC의 관리자에 의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하는 PC나 모니터로 서브 바탕화면(2)을 전송하지만, 서버나 주 PC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PC나 모니터에 자동으로 서브 바탕화면(2)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모듈(21)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으로 수신된 아이콘을 네트워크 PC(11)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을 수행한다(S22). 이때, 서브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네트워크 PC에서 메인 바탕화면(1)과 서브 바탕화면(2) 사이에 아이콘, 폴더, 파일 등을 가져오기 또는 내보내기 등을 수행한다(S24), 또한, 네트워크 PC(11)에 설치된 관련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한다(S25). 더욱이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2)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21)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1)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2)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S26), 제어모듈(21)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1)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2)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23)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22)에서 메인 바탕화면(1)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2)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1)에 생성되어 표시한다(S27). 이후, 메인 바탕화면(1)에 표시되는 서브 바탕화면(2)의 아이콘을 외부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실행하면(S28), 상기 (S23) 단계 내지 (S27)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서브 바탕화면(2)에 듀얼 모니터처럼 바탕화면 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여러 다중 모니터 중 하나에 지정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폴더와 같이 서브 바탕화면(2)을 각각의 모니터에 지정하여 복사, 이동, 삭제, 잘라내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모니터 또는 네트워크 PC 별로 각각 모니터 또는 네트워크 PC를 통합 제어하는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은 메인 바탕화면(1)을 각각의 모니터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정하여 언제든지 관리자가 각각의 모니터에서 이동하면서 전체 상황을 볼 수 있다. 즉, 듀얼이상 다중 모니터에서 주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1)을 변경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특정 모니터를 지정하면 주 모니터가 변경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PC에 여러 폴더를 만드는 것이므로 폴더를 바탕화면과 같이 보여주어 각각의 모니터에는 결국 하나의 PC가 연결되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교실이나 강의실 전면에 전자칠판이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 설치된 전자교탁으로 전자칠판을 제어한다면, 메인이 되는 PC가 교탁에 있으므로, 모니터형이거나 프로젝터형 전자칠판을 메인 모니터가 되도록 하거나 서브 모니터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칠판에 전자 판서를 하는 경우에 각각 적외선센서(IR Sensor) 및 카메라센서 방식의 터치센서를 사용하여 모니터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교탁에 있는 모니터도 투명의 도트패턴 필름이 부착되어 전자펜으로 전자 판서를 각각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전자 판서용 전자칠판이 메인으로 되지 않아도 전자칠판 측면에 모니터만 설치하여 듀얼 모니터처럼 구성하여 각각 도트패턴 필름과 적외선센서의 터치로 각각의 모니터를 PC가 개별로 대응하지 않아도 전자 판서와 제어가 가능해진다. 전자교탁에 PC가 내장되어 전자교탁의 터치와 투명 도트패턴 필름이 부착된 모니터가 메인이 되고, 전자 판서가 되는 경우는 전자칠판이 모니터 역할을 하지만 메인 전자칠판에 PC가 내장인 경우에는 측면에 설치된 모니터, 예컨대, 관절형 거치대에 모니터를 장착한 듀얼로 전자 판서를 제어하여 입식 전자교탁을 사용하여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부분을 보완하고 강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그 사용상 편리성이 배가된다.
또한, 메인 PC 모니터의 바탕화면에서 하부 모니터, 즉, 네트워크 PC 형태에 연결된 모니터나 복수의 모니터 또는 전자교탁과 같이 듀얼의 개별 전자 판서 및 전자 통신제어가 가능한 구조로, 적어도 단순 듀얼 모니터와 같이 각각의 서브 바탕화면(2)을 이동, 복사, 삭제 등을 수행하게 한다. 그리고 특정의 모니터를 지정하여 보낼 수도 있다. 더욱이 서브관리자 모드로, 메인 바탕화면(1)에서 개별적인 서브 바탕화면(2)을 원격에서 제어하고, 화면은 해당 모니터로 전송하며, 각각의 모니터에 전송할 때에 개별의 모니터를 넘버링 할 수 있고, 해당 모니터 화면을 가져올 수도 있으며, 해당하는 모니터에 있는 실행파일을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PC 중에서 n번째 네트워크 PC 모니터에 서브 바탕화면(2)이나 실행 문서를 관리자 화면에서 전송하면 터치센서나 투명 도트패턴 필름이 탑재되어 있는 해당 모니터에서 개별적으로 전자 판서 또는 마우스나 키보드로 다시 문서를 열람하거나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판서로 작성된 파일을 다시 메인 모니터로 이동, 복사 또는 전송하여 첨삭하여 다시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시험문제를 메인 모니터에서 복수의 학생에게 보내고 다시 작성된 답안을 가져 올 수도 있으며 전체 학생에게 복사하여 보낼 수 있게 한다. 더욱이 개별 학생들도 과제물을 학생들 끼리 열람하여 해당 문서를 주고받으면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서로 첨삭이 가능하여 과제 수행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서로 과제 수행을 하면서 해당 학생 누가 어디까지 작성된 것인지 로그파일 기록으로 남아 문서 완성과정에서 해당 위치를 보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을 보낼 때 메인 모니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보내기 표시가 나올 때에 쉽게 넘버링되므로 모니터 화면으로 서브 바탕화면(2)에 보낼 수 있다.
또한, 개별 모니터는 네트워크 PC 모니터로, 서브 바탕화면(2)은 개별 모니터 나 메인 모니터에서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념상 서브 모니터와 서브 바탕화면은 다르다. 메인 바탕화면(1)을 서브 네트워크 모니터, 예컨대, 분배기, 스플리터, USB외장 그래픽카드, 내장 그래픽카드 등으로 구성된 모니터나 서버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PC, 즉, 내부 공유로 묶여져 있는 네트워크 PC는 내부 IP를 통해 관리가 가능하고, 모니터가 확장된 모니터는 전자펜이나 터치로 제어 또는 판서가 가능하며, 문서 보내기 파일 실행 등 해당 서브 모니터의 서브 바탕화면(2)에서 이루어지며, 문서 등 서브 바탕화면(2)을 보낼 때에 IP 외에 특정하여 복사나 이동시에 폴더명을 생성하는 것처럼 해당 서브 바탕화면(2)을 인식할 수 있다. 해당 모니터에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에 의한 전자 판서 등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처럼 특정 인식 모듈에 의해 서브 모니터에서 개별적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서브 모니터 구별은 현재 윈도우 운영체계에서도 가능하지만, 메인 관리자 프로그램에서도 해당하는 모니터 소스를 찾아 인식하면 보낼 수 있다.
또한, 서브 바탕화면(2)을 보낼 때나 문서를 보낼 때 1대 다수로 1:n 방식으로 보낼 수 있다. 즉, 시험문제를 교사가 보낼 때 한꺼번에 동시에 여러 네트워크 또는 분배기 모니터로 전체 학생에게 송부하고, 작성된 문서 등을 다시 평가하거나 검증하고 다시 메인 화면으로 가져와 저장 및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모니터는 서로 다른 전자칠판 형태의 인식센서가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모니터는 적외선센서와 서브 모니터의 입력터치, 다른 서브 모니터는 투명 도트패턴 필름이 오버레이된 모니터가 각각 하나의 메인 PC에서 연장선으로 구동되어 각각 위치인식(Calibration)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모니터는 전체 서브 모니터를, (즉, 바탕화면에 보이는 문서 또는 파일과 폴더인 경우에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어떤 학생이 어떤 화면을 사용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도 부모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에게 해당 문서나 그림 등을 보내 아이가 특정한 부분만 보도록 하여 교육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서브 바탕화면(2)에서 일반 폴더를 만들 수 있고, 메인 바탕화면(1)에서 문서를 저장할 시에 특정의 폴더, 즉, 서브 바탕화면(2)에 저장하는 지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바탕화면(2) 폴더 안에서만 실행되는 기능으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 바로가기 메뉴가 생성되면, 특정 웹페이지나 문서, 그림 등 다양한 문서들을 웹 클라우드 환경에 특정 폴더 안으로 보낼 수 있고, 특히, 파일에 바로 붙이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엑셀이나 파워포인트의 특정 시트나 특정 페이지 아래 바로 붙여 편집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운영체계(OS)가 설치된 IT기기에서 자료를 보다가 언제든지 원하는 위치에 보낼 수 있어 자료 수집과 이용을 편리하게 활용한다. 또한, 특정 화면구조에서 안경 형태의 창 구조를 가진 모니터로 사람이 응시하거나 지시, 가상공간 인식, 입력도구 사용하고 듣는 부분을 그림파일, 영상 등의 형태로 저장하거나 수집하여 바로 특정 웹 클라우드 공간으로 이동하여 나중에 편집 수정하여 자료로 편리하게 사용한다. 이는 각각 서브 바탕화면(2) 내에서 특정 폴더나 파일 등에 각각의 소스 코드를 삽입, 예컨대, IP 번호가 도메인 주소로 인식하게 하는 방법과 같이 언제나 원하는 문서나 문서 내 문장, 단어, 그림, 또는 웹 콘텐츠에 있는 다양한 자료를 언제든지 내 파일 폴더와 특정 파일, 예컨대, PPT 자료 내에 특정 페이지를 바로 옮길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메인 바탕화면 2: 서브 바탕화면 10: IT기기 11: PC 12: 노트북 13: 태블릿 14: 스마트폰 15: 전자칠판 16: 모니터 20: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21: 제어모듈 22: 생성모듈 23: 저장모듈 24: 전송모듈

Claims (9)

  1. (a) PC에 설치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연결된 독립 PC인 경우에 생성모듈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일정한 크기의 서브 바탕화면을 생성하는 기능;
    (b)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메인 바탕화면과 서브 바탕화면 사이에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가져오거나 내보내기 또는 삭제나 표시 또는 해당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을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c)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d) 상기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에서 메인 바탕화면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PC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인 경우에 생성모듈에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
    상기 제어모듈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사이에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이 전송모듈에서 송수신되도록 하는 기능;
    상기 제어모듈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으로 수신된 아이콘을 네트워크 PC에 연결된 입력장치의 실행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PC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
    상기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의 프레임 영역 내에서 최대화, 최소화 및 크기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 및
    상기 네트워크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표시된 서브 바탕화면의 프레임은 입력장치의 조작으로 닫기가 실행되면 제어모듈에 의하여 메인 바탕화면에서 제거됨과 더불어 서브 바탕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에 관한 정보가 저장모듈에 저장된 후 생성모듈에서 메인 바탕화면으로부터 제거된 서브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네트워크 PC 중 어느 하나의 PC는 다른 PC의 메인 바탕화면에 설치된 서브 바탕화면을 볼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모듈을 통해 어느 한 네트워크 PC의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된 단일의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을 복수의 네트워크 PC에 동시에 전송하거나 또는 메인 바탕화면에 생성된 복수의 서브 바탕화면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네트워크 PC 각각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PC 모니터의 메인 바탕화면 위에 생성된 서브 바탕화면 내에도 제2의 서브 바탕화면 및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센서, 전자펜, 카메라를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용, PC용, 모바일용 운영체계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모듈은 전송모듈을 통해 서브 바탕화면의 정보가 원격의 웹 클라우드에 전송되어 저장, 삭제, 변경 및 복사가 이루어지는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탕화면 프레임 상단부에 메뉴모음, 명령모음, 상태모음 및 기능설정과 파일경로를 검색하기 위한 도구모음창이 구비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
KR1020170079973A 2017-06-23 2017-06-23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4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73A KR101941177B1 (ko) 2017-06-23 2017-06-23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973A KR101941177B1 (ko) 2017-06-23 2017-06-23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74A true KR20190000674A (ko) 2019-01-03
KR101941177B1 KR101941177B1 (ko) 2019-04-17

Family

ID=6502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973A KR101941177B1 (ko) 2017-06-23 2017-06-23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1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040A (ja) * 1994-10-05 1996-08-2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オブジェクトの追加および削除を選択的に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7334633A (ja) * 2006-06-15 2007-12-27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リモートデスクトップシステム
US7788593B1 (en) * 2006-04-25 2010-08-31 Parallels Software International, Inc. Seamless integration and installation of non-native application into native operating system
KR20120027487A (ko) * 2009-06-08 2012-03-21 애플 인크.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390180B1 (ko) 2007-10-17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바탕화면 설정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바탕화면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2040A (ja) * 1994-10-05 1996-08-2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オブジェクトの追加および削除を選択的に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788593B1 (en) * 2006-04-25 2010-08-31 Parallels Software International, Inc. Seamless integration and installation of non-native application into native operating system
JP2007334633A (ja) * 2006-06-15 2007-12-27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リモートデスクトップシステム
KR101390180B1 (ko) 2007-10-17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바탕화면 설정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바탕화면설정방법
KR20120027487A (ko) * 2009-06-08 2012-03-21 애플 인크.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177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898B2 (en) Method to exchange visual elements and populate individual associated displays with interactive content
Biehl et al. ARIS: An Interface for Application Relocation in an Interactive Space.
Johanson et al. The interactive workspaces project: Experiences with ubiquitous computing rooms
US6275227B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tilizing a user interface control integrated with multiple sets of instructional material therefor
Nilsson Design patterns for user interface for mobile applications
US7013435B2 (en)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US7027040B2 (en) Data input/output system, data input/output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US5384911A (en) Method of transferring programs from action oriented GUI paradigm to object oriented GUI paradigm
US5186629A (en) Virtual graphics display capable of presenting icons and windows to the blind computer user and method
JPH09510567A (ja) ドキュメント・プロキシィ・フレームワーク
KR20060052717A (ko) 가상 데스크 탑, 프로그램 예의 배열을 리콜링하는 방법, 애플리케이션 예를 관리하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
CN104081395A (zh) 用于从计算设备访问文档的用户界面
US100677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a shared digital virtual “absolute” canvas
US101293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group creation in a collaboration framework
CN109643213A (zh) 用于协同编辑工具的触摸屏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CN111679818A (zh) 编辑展示软件的方法和系统
US20130127745A1 (en) Method for Multiple Touch Control Virtual Objects and System thereof
TWI628636B (zh) 轉移多裝置工作區資料方法及系統
Jelemenská et al. Interactive presentation towards students’ engagement
US201800747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oring an 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KR101941177B1 (ko) 컴퓨터에서 pc 모니터를 통한 바탕화면 통합 관리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Wempen MICROSOFT OFFICE POWER POINT 2007 BIBLE (With CD)
KR100696284B1 (ko) 전자기기에 대해 보조표시장치 및 보조입력장치의 기능을수행하는 보조장치
US20130127718A1 (en) Method for Operating Computer Object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20200037240A (ko) 가상 사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