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73A - 제초기 - Google Patents
제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673A KR20190000673A KR1020170079972A KR20170079972A KR20190000673A KR 20190000673 A KR20190000673 A KR 20190000673A KR 1020170079972 A KR1020170079972 A KR 1020170079972A KR 20170079972 A KR20170079972 A KR 20170079972A KR 20190000673 A KR20190000673 A KR 201900006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rame
- coupled
- cutting units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제초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절단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잡초 제거에 사용될 수 있는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논농사에서는 작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잡초를 제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대규모로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잡초를 뽑지 않고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별도의 제초기를 사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논농사의 경우 재배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고랑의 간격이나 두둑의 높이가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고랑의 간격을 기존과 다르게 변경하는 경우, 이전의 제초기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사용중인 제초기를 기존의 고랑과 간격이 다른 고랑으로 이루어진 논농사 구역에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랑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동작이 가능할 수 있는 제초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초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절단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장치는,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 가변 유닛 및 상기 길이 가변 유닛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변환하여 상기 길이 가변 유닛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하는 동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길이 가변 유닛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링크 부재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것이며, 각각의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단위 링크 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 변환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부분을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나란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 또는 잔류물이 외부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이송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되어 가변되게 하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방의 고랑의 간격을 감지하는 고랑 감지 부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동력 발생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 변환 유닛이 동작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는 전술한 간격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재배하는 작물을 변경하여 고랑의 간격이 변경되더라도 절단 유닛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랑의 간격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제초기를 구비할 필요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 하나로 다양한 형태의 논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 부재를 회전시켜서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 간격 조절 유닛에 의하여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초기에서 Ⅱ-Ⅱ 라인을 따라 프레임만 절단하여 간격 조절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절단 유닛들 간격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초기에서 프레임과 이송 부재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고랑 감지 부재가 고랑의 간격을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초기에서 Ⅱ-Ⅱ 라인을 따라 프레임만 절단하여 간격 조절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절단 유닛들 간격이 상대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초기에서 프레임과 이송 부재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고랑 감지 부재가 고랑의 간격을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초기에서 Ⅱ-Ⅱ 라인을 따라 프레임만 절단하여 간격 조절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는 프레임(110), 복수의 절단 유닛(120) 및 간격 조절 장치(13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제초기(100)의 몸체일 수 있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제초기(100)의 전반적인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모터 또는 엔진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제초기(100)의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일반적인 제초기(100)의 몸체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절단 유닛(120)은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절단날을 포함한다. 절단날은 일반적인 제초기(100)에 포함된 절단날일 수 있다. 절단날이 회전되면서 논의 잡초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절단 유닛(120)은 서로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절 장치(130)는 복수의 절단 유닛(12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간격 조절 장치(130)는 일례로 길이 가변 유닛(131)과 동력 변환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 가변 유닛(131)은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길이 가변 유닛(131)은 일례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를 포함하며, 단위 링크 부재(132)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것이다. 즉,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가 서로 결합된 형상은 알파벳 'X'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길이 가변 유닛(131)은 이러한 X형상의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들의 단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절단 유닛(120)은 단위 링크 부재(132)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길이 가변 유닛(131)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됨에 따라 절단 유닛(120)들의 간격도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에는 제1 가이드홈(H1)이 형성되고, 절단 유닛(120)에는 제2 가이드홈(H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H1)은 프레임(110)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홈(H2)은 절단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절단 유닛(120)은 프레임(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2 가이드홈(H2)도 프레임(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가변 유닛(131)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의 상단은 제1 가이드홈(H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단은 제2 가이드홈(H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동력 변환 유닛(133)은 길이 가변 유닛(131)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변환하여 길이 가변 유닛(131)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동력 변환 유닛(133)은 일례로 회전 부재(134)와 승강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34)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부재(134)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사용하여 회전 부재(13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회전 부재(134)에 모터를 결합시키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을 프레임(1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승강 부재(135)는 회전 부재(134)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부분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 부재(135)와 회전 부재(134)의 결합은 일례로 나사 결합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34)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승강 부재(135)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승강 부재(135)는 일례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의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134)의 하단은 승강 부재(135)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회전 부재(134)의 내부면에는 승강 부재(135)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부재(135)의 하단은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부분,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132)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 조절 장치(130)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유닛(120)들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감소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유닛(120)들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는 전술한 간격 조절 장치(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재배하는 작물을 변경하여 고랑의 간격이 변경되더라도 절단 유닛(120)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랑의 간격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제초기(100)를 구비할 필요없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 하나로 다양한 형태의 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초기에서 프레임과 이송 부재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는 이송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부재(150)는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부재(150)는 지면과 나란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 또는 잔류물이 외부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송 부재(150)는 프레임(11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송 부재(150)는 하나 또는 두 개일 수 있다. 예컨대, 이송 부재(150)가 두 개인 경우, 일단이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서로 동일한 가상의 축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가 이동중인 상태에서 이송 부재(15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레임(1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흙 또는 제초 후 발생되는 잔류물이 이송 부재(150)를 따라 프레임(1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는 보호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140)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복수의 절단 유닛(12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한 보호 부재(140)는 일례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부재(140)의 크기는 절단 유닛(120)을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보호 부재(140)의 형상 및 크기는 제초기(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정 형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초기(100)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간격 조절 유닛(160)은 복수의 절단 유닛(120)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되어 가변되게 한다. 이러한 자동 간격 조절 유닛(160)은 일례로, 고랑 감지 부재(161), 동력 발생 부재(162) 및 제어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고랑 감지 부재(161)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전방의 고랑의 간격을 감지한다. 고랑 감지 부재(161)는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초음파 센서가 프레임(1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프레임(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프레임(110)의 전방에 위치된 고랑의 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고랑 감지 부재(161)는 촬영부(미도시)와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촬영부는 프레임(110)의 전방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 처리부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고랑의 간격을 측정한다.
동력 발생 부재(162)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동력 발생 부재(162)는 미도시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부는 일례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제초기(100)의 동작을 위한 엔진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배터리는 프레임(110)에 설치된 별도의 태양전지에 의해 충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63)는 동력 발생 부재(162)를 제어하여 동력 변환 유닛(133)이 동작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63)는 일례로 제초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일 수도 있고, 이와 별도로 탑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도 있다.
제어부(163)는 복수의 절단 유닛(120)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 부재(134)를 회전시켜서 절단 유닛(12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 간격 조절 유닛(160)에 의하여 절단 유닛(120)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에 맞게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초기
110: 프레임
120: 절단 유닛 130: 간격 조절 장치
131: 길이 가변 유닛 132: 단위 링크 부재
133: 동력 변환 유닛 134: 회전 부재
135: 승강 부재 140: 보호 부재
150: 이송 부재 160: 자동 간격 조절 유닛
161: 고랑 감지 부재 162: 동력 발생 부재
163: 제어부
120: 절단 유닛 130: 간격 조절 장치
131: 길이 가변 유닛 132: 단위 링크 부재
133: 동력 변환 유닛 134: 회전 부재
135: 승강 부재 140: 보호 부재
150: 이송 부재 160: 자동 간격 조절 유닛
161: 고랑 감지 부재 162: 동력 발생 부재
163: 제어부
Claims (8)
-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절단날을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제초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장치는,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길이 가변 유닛; 및
상기 길이 가변 유닛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변환하여 길이 가변 유닛의 전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하는 동력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제초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 유닛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링크 부재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것이며,
각각의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단위 링크 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된 제초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환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두 개의 단위 링크 부재가 서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부분을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를 포함하는 제초기. -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나란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 또는 잔류물이 외부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이송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초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제초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되어 가변되게 하는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초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방의 고랑의 간격을 감지하는 고랑 감지 부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 부재; 및
상기 동력 발생 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동력 변환 유닛이 동작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절단 유닛들 사이의 간격이 고랑의 간격과 대응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972A KR20190000673A (ko) | 2017-06-23 | 2017-06-23 | 제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972A KR20190000673A (ko) | 2017-06-23 | 2017-06-23 | 제초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673A true KR20190000673A (ko) | 2019-01-03 |
Family
ID=6502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972A KR20190000673A (ko) | 2017-06-23 | 2017-06-23 | 제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006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1691B1 (ko) * | 2019-11-19 | 2020-12-16 | 서영재 | 무인 제초 장치 |
-
2017
- 2017-06-23 KR KR1020170079972A patent/KR20190000673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1691B1 (ko) * | 2019-11-19 | 2020-12-16 | 서영재 | 무인 제초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1806B1 (ko) |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 |
EP3258771B1 (en) | Hood divider adjustment apparatus for an agricultural harvester | |
EP3920680B1 (en) | A mower for an agricultural machine and control system thereof | |
US11627693B2 (en) | Hoeing device | |
KR101106618B1 (ko) | 다목적 작물수확기 | |
JPH06502760A (ja) | 作物検出装置 | |
EP3360406B1 (en) | Ground height gauge assembly | |
CN209994884U (zh) | 一种能自动完成割草作业的果园割草机 | |
CN207284231U (zh) | 一种果园u型全向割草机 | |
KR101471996B1 (ko) |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 |
US11665997B2 (en) | Electric powered disc mower | |
KR20170001804A (ko) |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 |
EP4255696A1 (en) | Robotic farm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
KR101578654B1 (ko) | 로터리 | |
KR20190000673A (ko) | 제초기 | |
KR101234685B1 (ko) |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 |
CN211019892U (zh) | 一种有机水稻除草装置 | |
KR200443646Y1 (ko) | 예취기용 가이드 | |
KR20170096412A (ko) | 무선 조정이 가능한 스마트 예초기 | |
KR101693499B1 (ko) |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 |
KR102299200B1 (ko) |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 |
KR102217750B1 (ko) | 자주식 대파 수확기 | |
JP5517323B2 (ja) | 草刈り作業機 | |
JP5680333B2 (ja) | 刈取り作業機 | |
KR100768962B1 (ko) |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제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