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44U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44U
KR20190000344U KR2020170003964U KR20170003964U KR20190000344U KR 20190000344 U KR20190000344 U KR 20190000344U KR 2020170003964 U KR2020170003964 U KR 2020170003964U KR 20170003964 U KR20170003964 U KR 20170003964U KR 20190000344 U KR20190000344 U KR 20190000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water
pollen
storage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찬
강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to KR2020170003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344U/ko
Publication of KR20190000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을 개시한다.
이러한 화분은, 물받이 기능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 작업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류의 화분으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본체와,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면서 측부 일부 및 하부 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측부 개방부 측을 통해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 측에 배치되는 물받이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부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A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재질에 따라 크게 도기류 화분과, 플라스틱류 화분으로 구분된다.
특히, 플라스틱 화분들은 도기 화분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시각적으로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성형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미 잘 알려진 대로, 화분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심어진 상태의 꽃이나 나무를 관리할 때에는 화분에 담겨진 흙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이 내부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화분들은 흙이 담겨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연의 구조는 물론이거니와 배수 물받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사용 편의성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받이 기능을 갖는 화분으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706호의 물받이 일체형 화분."이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706호의 물받이 일체형 화분은, 화분 본체의 하부 측에 물받이가 설치되기 위한 수납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수납홈은 화분 하부의 측부에서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부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특히 사출(射出) 성형 작업으로 화분을 제조할 때, 사출 작업 방식의 특성 상 화분 측에 상기와 같은 형태의 수납홈을 일체로 형성하기 어려운 구조적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706호의 물받이 일체형 화분은, 도기류 화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사출 성형 작업을 통해서 플라스틱류의 화분으로 제조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받이 기능을 구비하고, 특히 사출(射出) 작업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물받이 기능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 작업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류의 화분으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본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면서 측부 일부 및 하부 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측부 개방부 측을 통해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 측에 배치되는 물받이대;
상기 수납부의 하부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받침대;
를 포함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화분 본체 하부 측에는 물받이대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가 구비되고, 특히 이 수납부는 사출 작업에 의해 화분 본체 측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물받이 기능을 가지면서 사출 성형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화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분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물받이 기능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 작업으로 제조가 가능한 플라스틱류의 화분으로서, 화분 본체(2), 수납부(4), 물받이대(6), 및 탈착받침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분 본체(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흙(Q)이 채워지기 위한 내부공간(A)을 구비하고, 이 내부공간(A)은 하부에 바닥부(A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화분 본체(2)는 하부 둘레 보다 상부 둘레 측이 더 크게 형성된 콘(cone) 타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측에는 플랜지부(A2)가 형성되고, 내부공간(A)의 바닥부(A1) 측에는 물이 배수되기 위한 배수홀(A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화분 본체(2) 측에는 플랜지부(A2)와 연계하여 손잡이 역할을 하기 위한 손잡이부(A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손잡이부(A4)는 도 2에서와 같이 경사진 둘레부 측에서 바닥부(A1) 측과 직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약간 꺾여진 상태의 홈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분 본체(2)의 재질은 사출 성형 작업과 부합하는 합성수지 원료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납부(4)는 화분 본체(2)의 하부 측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물받이대(6) 측이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수납부(4)는 사출 성형에 의해 화분 본체(2) 측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납부(4)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화분 본체(2)의 하부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면서 내측에 수납공간(B)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B)의 측부 일부(B1) 및 하부(B2) 측이 개방된 공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수납부(4)는 도 3에서와 같이 화분 본체(2)의 하부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이때 수납부(4)의 둘레부는 화분 본체(2)와 대응하는 원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사출 성형 작업으로 화분 본체(2)를 성형할 때,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두 개의 금형이 화분 본체(2)의 바닥부(A1) 측을 경계로 하여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도 2에서와 같이 화분 본체(2) 하부 측에 수납부(4)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태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작업은 수납부(4)의 수납공간(B)의 하부(B2) 저면 측이 도 3에서와 같이 개방된 공간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받이대(6)는 화분 본체(2)의 내부공간(A)에 형성된 바닥부(A1)의 배수홀(A3)을 통해 낙하되는 물을 수거할 수 있는 상태로 수거부(4) 내측에 배치된다.
즉, 물받이대(6)는 수납부(4)의 수납공간(A) 측에 인출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받이대(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수거공간(C)을 구비하고, 수납부(4)의 측부 개방부(B1)를 통해서 수납공간(B) 측에 끼워지거나 인출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물받이대(6)는 외부에서 수거공간(C) 내에 담겨진 물의 수위(水位)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외부면 상에 수직방향으로 투명창(C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대(6)의 재질은 내부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사용할 수 있다.
탈착받침대(8)는 수납부(4) 측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화분 본체(2)를 바닥면 상에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탈착받침대(8)는 수납부(4)의 수납공간(B) 측에 물받이대(6)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납부(4) 측과 연계하여 수납공간(B)을 형성하는 상태로 수납부(4)의 하부 측에 끼움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탈착받침대(8)는 도 4에서와 같이 수납부(4)의 저면 면적과 대응하는 크기의 면적을 가지며, 돌기(D1)와 홈(D2)의 끼움 결합에 의해 수납부(4)의 저면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탈착받침대(8)는 화분 본체(2)를 바닥면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은 물론이거니와, 이와 연계하여 수납부(4) 측의 수납공간(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고안은 화분 본체(2)와 수납부(4)가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이와 부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납부(4) 측의 수납공간(B)은 탈착받침대(8)의 설치에 의해 물받이대(6)가 안정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룰 수 있는 화분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일반 도기류 화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사출 성형에 의해 물받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상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화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은,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받침유도부(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유도부(10)는 탈착받침대(8) 측과 연계하여 화분 본체(2)를 기울어진 상태로 받쳐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받침유도부(10)는 도 5에서와 같이 탈착받침대(8) 측에 받침 유도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조작패드(E)와, 이 조작패드(E)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탈착받침대(8)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F)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조작패드(E)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 측은 탈착받침대(8)의 저면 둘레 중앙부 지점에 핀(E1) 결합으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탈착받침대(8)의 둘레부 측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즉, 조작패드(E)는 탈착받침대(8)의 저면 측에서 핀(E1)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탈착받침대(8) 측에 연결 셋팅된다.
조작패드(E)는 형태 유연성을 가지며 화분 본체(2) 측의 하중에 의해 눌려지더라도 기울임 유도 작용이 가능하게 두께가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패드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조작패드(E)는 예를 들어, 고무 패드나, 우레탄 패드, 실리콘 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패드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홈(F)은 도 5에서와 같이 탈착받침대(8)의 저면 측에서 조작패드(E) 측이 안착될 수 있는 홈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F)은 조작패드(E) 측이 홈부 내측에 안착될 때, 이 조작패드(E)의 저면이 탈착받침대(8)의 저면과 서로 평면을 이룰 수 있는 홈부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유도부(10)는 조작패드(E)가 가이드홈(F)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탈착받침대(8) 상에 놓여진 화분 본체(2) 측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받침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조작패드(E)가 가이드홈(F) 측을 벗어나도록 조작된 상태에서는 탈착받침대(8)의 저면에 패드(E)에 의한 단차가 형성되면서 화분 본체(2) 측이 단차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면, 화분 본체(2)의 내부공간(A)에 담겨진 흙(Q)에 물을 공급할 때 화분 본체(2)의 기울어진 방향 측으로 물이 원활하게 스며들면서 화분 둘레부 측으로 물이 원활하게 공급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핀(E1) 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조작패드(E)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회전) 조작함으로서, 화분 본체(2) 측이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받침유도부(10)는 화분 본체(2) 측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와 같이 조작패드(E)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내부공간(A)에 담겨진 흙(Q) 전체에 물이 균일하게 공급 분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2: 화분 본체 4: 수납부 6: 물받이대
8: 탈착받침대 10: 받침유도부 Q: 흙

Claims (3)

  1. 물받이 기능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 작업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류의 화분으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본체;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 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면서 측부 일부 및 하부 측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측부 개방부 측을 통해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 측에 배치되는 물받이대;
    상기 수납부의 하부 측을 받쳐주는 상태로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탈착받침대;
    를 포함하는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받침대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 측과 돌기 및 홈의 끼움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화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상기 탈착받침대 측과 대응하는 받침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유도부는,
    상기 탈착받침대 측에 받침 유도 조작이 가능하게 연결 배치되는 조작패드와, 이 조작패드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탈착받침대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분.
KR2020170003964U 2017-07-28 2017-07-28 화분 KR20190000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64U KR20190000344U (ko) 2017-07-28 2017-07-28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64U KR20190000344U (ko) 2017-07-28 2017-07-28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44U true KR20190000344U (ko) 2019-02-11

Family

ID=6536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64U KR20190000344U (ko) 2017-07-28 2017-07-28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060A (ko) 2020-08-16 2022-02-24 이프렌드 주식회사 블루투스 5.0기반 센서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공유작물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060A (ko) 2020-08-16 2022-02-24 이프렌드 주식회사 블루투스 5.0기반 센서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공유작물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9524A (en) Plant-holding receptacles
CN101711497B (zh) 插入容器
AU2006202276A1 (en) Plant bowl
US20130291435A1 (en) Double-walled planter with water reservoir and water level gauge
US5201140A (en) Remote Christmas tree watering apparatus
KR20190000344U (ko) 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US2802304A (en) Container for flowerpots
US9402351B2 (en) Device for use in horticultural containers
KR200442373Y1 (ko) 개량 화분받침대
US6269491B2 (en) Decorative accessory unit for a swimming pool
KR200424597Y1 (ko) 채소재배를 위한 화분
CA1067289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0570717B1 (ko) 기능성 화분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KR20140130090A (ko) 물흡수용 심지 공법을 이용한 화분
CN215774460U (zh) 翻转式花盆
CN202617796U (zh) 自动加水花盆
KR20120055025A (ko) 텃밭용 화분
CN210076081U (zh) 鱼植共养盆
KR200432518Y1 (ko) 화분받침대
KR200360370Y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362992Y1 (ko) 분리형 화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