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34A -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34A
KR20190000134A KR1020170079058A KR20170079058A KR20190000134A KR 20190000134 A KR20190000134 A KR 20190000134A KR 1020170079058 A KR1020170079058 A KR 1020170079058A KR 20170079058 A KR20170079058 A KR 20170079058A KR 20190000134 A KR20190000134 A KR 20190000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resh water
line
coo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34A/en
Publication of KR2019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supply system and a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water supply system supplies seawater to a lower structure and an upper structure of a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Moreover, the seawater supply system comprises: a seawater pump unit disposed on a seawater line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and supplying the seawater introduced through a sea chest to the lower structure and upper structure; and a cooler unit disposed on the seawater line and cooling pure water to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pump unit. The seawater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ooler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awater line or supplied to a demand source of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branch line installed in the upper structure by being branched from the seawater line.

Description

해수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 water supply system and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수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supply system and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최근, 국제적으로 급격한 산업화 현상 및 공업 발전 추이에 따라 한정된 지구 자원은 점차 바닥을 내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은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저에 있는 석유 채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 석유회사들은 지금까지 경제성을 상실했던 군소 한계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고, 이에 대한 개발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 현실이다.In recent years,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limited global resources are gradually coming to an end, and stable production and supply of crude oil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Recent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oil exploration technology on the seabed, large oil companies have felt the necessity of drilling rig with drilling facilities suitable for development of marginal field or deep sea oil field, It is a reality that is actively searching for development.

시추 작업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해양구조물로는 드릴십(Drillship), 드릴링 리그(Drilling-Rig), 잭업(Jack-up), 드릴링 바지(Drilling-Barge) 등이 있다. 이들 중 심해에서 시추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는 드릴십과 드릴링 리그가 있다.Typical offshore structures that perform drilling operations include drillships, drilling rigs, jack-ups, and drilling-barges. Drilling and drilling rigs are available for drilling in the deep sea.

드릴십은, 첨단 시추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선박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해양구조물로서, 해상 플랫폼의 설치가 불가능한 심해 지역에서 원유나 가스 등의 채취 작업이 가능하고, 일정 지점에서 시추를 종료하고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다시 시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drill ship is an offshore structure that is equipped with advanced drilling equipment and is built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ship so that it can be sailed by its own power. It is capable of collecting crude oil and gas in deep sea area where an offshore platform can not be installed, It is advantageous to finish the drilling at the point and move to another point to perform drilling again.

드릴링 리그는, 세미-서브머서블 드릴링 리그(Semi-Submersible Drilling Rig)로도 불리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로서, 이러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하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상에 탑재되는 상부구조물(Topside)로 이루어진다.The drilling rig is a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also called a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which is a topside mounted on a substructure and a substructure. .

하부구조물은, 갑판(Deck)과, 갑판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갑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Column)과, 칼럼의 하단에 결합되어 부유상태의 유지를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폰툰(Pontoon)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bstructure includes a deck, a plurality of columns vertically mounted on the underside of the deck to support the deck, and a pontoon, which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olumn and provides buoyancy for floating stays. And the like.

상부 구조물은, 갑판 상부에 탑재되는 데릭(Derrick), 크레인(Crane), 윈치(Winch), 각종 시추설비, 계류설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erstructure consists of Derrick, Crane, Winch, various drilling equipments, mooring equipments, etc. mounted on the upper deck.

이러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그 구조상 물에 잠기는 폰툰 구역에 씨체스트(Sea chest), 해수공급펌프(S.W. supply pump)를 설치하여, 칼럼 및 상갑판(Upper deck)까지의 필요 요소에 냉각용 해수(cooling S.W.)를 공급하고 있다. 이 구역의 해수공급펌프의 주요 기능은 상갑판에 위치한 센트럴 청수 쿨러(Central F.W. Cooler)를 냉각하고, 이후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것이다.This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sea chest and a SW supply pump in the pontoon area, which is structurally watertight, to provide the necessary elements to the column and upper deck, (cooling SW). The main function of the seawater supply pump in this area is to cool the Central F.W. Cooler located on the upper deck and then to discharge seawater outboard.

또한,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상부구조물에도 해수 서비스(S.W. service)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폰툰에서 상부구조물까지 해수를 공급하는 별도의 해수공급펌프 및 해수공급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구조물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해수공급펌프는, 상부구조물까지 해수를 부스팅(Boosting)하기 위해 고사양/고압력의 펌프가 적용 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requires seawater service (S.W. service) in the upper structure. For this purpose, separate seawater supply pump and seawater supply line are installed to supply seawater from pontoon to upper structure. Here, the seawater supply pump installed to supply the seawater to the upper structure must be applied with a high-pressure / high-pressure pump in order to boost the seawater to the upper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은, 폰툰에서 센트럴 청수 쿨러와 상부구조물로 해수유로가 개별적으로 마련되도록 해수공급 시스템이 구성되는데, 쿨러로의 해수유로는 씨체스트 쿨러용 펌프 상갑판의 쿨러 선외배출로 이루어지고, 상부구조물로의 해수유로는 씨체스트 상부구조물용 펌프 상부구조물의 장비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isting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a seawater supply system is formed in the pontoon so that the seawater channel is separately provided as the central clean water cooler and the superstructure. The seawater channel of the cooler is connected to the pump upper deck And the seawater channel to the upper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equipment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pump for the upper chest structure.

그런데 기존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해수공급 시스템은, 해수유로가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로 이원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해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설치 대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해수공급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설치 수요 많이 소요되고, 또한 해수공급라인이 복잡해 지는 등 설치 공수 및 자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sea water supply system of the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ea water channel is diverged into the lower structure and the upper structure, not only the number of pumps for supplying seawater is increased but also the number of pipes And the sea water supply line becomes complicated, thus increasing installation costs and material cos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 시스템을 개선하여, 해수를 공급하는 펌프의 설치 대수 및 해수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설치 수요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a seawat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seawater to a lower structure and an upper structure to improve the installation number of seawater and the number of seawater And to provide a seawater supply system and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은,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하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해수라인 상에 마련되며, 씨체스트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하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에 공급하는 해수펌프부; 및 상기 해수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해수펌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해수로 청수를 냉각하는 쿨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부를 경유한 상기 해수는, 상기 해수라인을 통해 선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해수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는 분지라인을 통해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요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wat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seawater to a lower structure and a superstructure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the system being provided on a seawater line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A seawater pump unit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lower structure and the upper structure; And a cooler unit provided on the sea water line for cooling the fresh water with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pump unit, wherein the seawater passed through the cooler unit is discharged outboard of the seawater line, And is supplied to a customer in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branch line installed in the upper structure.

구체적으로, 상기 청수는, 청수라인을 통해 상기 쿨러부와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청수시스템 사이를 순환하며, 상기 청수라인은, 상기 쿨러부와 상기 청수시스템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공급라인; 및 상기 청수시스템과 상기 쿨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복귀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esh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fresh water line between the cooler section and the fresh water system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and the fresh water line includes first and second fresh water lines connecting the cooler section and the fresh water system Supply line; And first and second fresh water return lines connecting the fresh water system and the cooler unit.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라인은, 상기 씨체스트로부터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해수배출부까지 연결되며, 상기 씨체스트와 상기 쿨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해수공급라인; 및 상기 쿨러부와 상기 해수배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해수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지라인은, 상기 해수배출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 water line is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from the seed chest, and the first and second seawater supply lines connect the se chest and the cooler unit. And a seawater discharge line connecting the cooler unit and the seawater discharge unit, and the branch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line.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펌프부는, 상기 제1 해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펌프; 상기 제2 해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펌프; 및 상기 분지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부는, 상기 메인펌프로부터 상기 제1 해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청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를 냉각하는 메인쿨러; 및 상기 보조펌프로부터 상기 제2 해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2 청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를 냉각하는 보조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water pump unit includes: at least one main pump provided on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At least one auxiliary pump provided on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And at least one booster pump provided on the branch line, wherein the cooler unit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main pump through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and supplies the seawater to the fresh water supply system through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A main cooler for cooling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main cooler; And an auxiliary cooler that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auxiliary pump through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and cools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through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 또는 상기 청수의 정보를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메인쿨러에서 냉각되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1 온도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제1 청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1 온도전송기; 상기 보조쿨러에서 냉각되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2 온도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청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2 온도전송기; 및 상기 메인쿨러 및 상기 보조쿨러를 경유하여 상기 부스터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해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지는 압력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분지라인 상에 마련되는 압력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awater or the fresh water to the integrated system, A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system and provided on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A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provided on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o the integrated system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cooler to the fresh water system; And a pressure transmitter provided on the branch line to transmit pressure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in real time via the main cooler and the auxiliary cooler to the integrated system,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부의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온도전송기의 상기 제1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메인쿨러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1 온도컨트롤밸브; 상기 제2 온도전송기의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보조쿨러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2 온도컨트롤밸브; 및 상기 압력전송기의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온도컨트롤밸브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압력컨트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valve unit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unit, wherein the valve unit adjusts the opening degree accor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A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and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the opening degree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auxiliary cooler;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the opening degree of which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pressure transmitter to control a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s .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도컨트롤밸브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해수의 유량을 보증하기 위해, 해수의 유량이 50% 이하로 잠기지 않도록 설정하여, 메인 엔진 부하에 따른 해수량이 줄더라도 상기 압력컨트롤밸브와 연동하여 상기 부스터펌프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is set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is not locked to 50% or less so as to guarantee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customer of the upper structure, The flow rate to the booster pump can be ensured by interlocking with the pressure control valve.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전송기와 상기 압력컨트롤밸브는, 상기 부스터펌프로 상기 수요처에 상기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부스터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ure transmitter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can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at a constant level to stably supply the seawater to the customer with the booster pump.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상기에 기재된 해수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oating oceanic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awater supply syst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센트럴 청수 쿨러에 의해 청수를 냉각한 후의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해수라인에 상부구조물의 다양한 수요처와 연결되는 분지라인을 연결함으로써, 상부구조물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에 별도로 마련되는 펌프 및 해수라인을 생략할 수 있어, 설치 공수 및 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seawater supply system and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 a branch line connected to various customers of the upper structure to a sea water line for discharging sea water after the fresh water is cooled by the central clear water cooler, It is possible to omit the existing pump and seawater line for supplying seawater to the superstructure, thereby reducing installation cost and material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이 적용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사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to which a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이 적용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to which a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1)을 설명하기 이전에,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1)이 적용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을 설명하도록 한다.Before describing the seawater suppl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first to FIG. 2, a floating ocean structure 100 to which a seawater suppl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시추 작업을 수행하는 세미-서브머서블 드릴링 리그(Semi-Submersible Drilling Rig)라 불리는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일 수 있다. 물론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이 아닌 해수를 이용하여 하부구조물의 센트럴 청수 쿨러(Central F.W. Cooler)를 냉각하고, 상부구조물(Topside)에 해수 서비스(S.W. service)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해양구조물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이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임을 밝힌다.As shown in FIG. 2, the floating ocean structure 100 may be a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referred to as a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which performs drilling operations. Of course,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100) needs to cool the central FW cooler of the substructure using seawater instead of the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and to provide a SW service on the top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a semi-submergible offshore structu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but is merely an example.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은, 하부구조물(110)과 하부구조물(110) 상에 탑재되는 상부구조물(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ating ocean structure 100 may be composed of a lower structure 110 and an upper structure 120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110.

하부구조물(110)은, 후술할 상부구조물(120)이 탑재되는 갑판(111)과, 갑판(111)의 하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갑판(111)을 지지하는 복수의 칼럼(112)과, 칼럼(112)의 하단에 결합되어 부유상태의 유지를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폰툰(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tructure 110 includes a deck 111 on which a superstructure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 plurality of columns 112 installed vert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111 to support the deck 111, And a pontoon 113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112 to provide buoyancy for sustaining the suspended state.

또한, 하부구조물(110)은, 도 2에 도시된 후술할 해수공급 시스템(1)의 일부 구성 요소가 설치되어, 칼럼(112) 및 갑판(111)까지의 필요 요소에 냉각용 해수(cooling S.W.)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wer structure 110 is also provided with some components of a seawater supply system 1 to be described later and shown in Fig. 2 and is provided with cooling SW ).

상부구조물(120)은, 하부구조물(110)의 갑판(111) 상에 탑재될 수 있으며, 헬리포트(121), 크레인(122), 데릭(123), 거주구(124) 등의 각종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structure 120 can be mounted on the deck 111 of the lower structure 110 and includes various facilities such as a heliport 121, a crane 122, a derrick 123, .

또한, 상부구조물(120)은, 도 2에 도시된 후술할 해수공급 시스템(1)의 나머지 구성 요소가 설치되어, 해수 서비스(S.W. service)를 필요로 하는 수요처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superstructure 120 is provided with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seawater supply system 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to supply seawater to the customer needing the ser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1)은, 부유식 해양구조물(100)의 하부구조물(110)과 상부구조물(120)로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a seawater suppl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seawater to a lower structure 110 and an upper structure 120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100, do.

해수공급 시스템(1)은, 해수라인(2) 상에 마련되며, 씨체스트(1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하부구조물(110) 및 상부구조물(120)에 공급하는 해수펌프부(20)와, 해수라인(2) 상에 마련되며, 해수펌프부(2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로 청수를 냉각하는 쿨러부(30)와, 해수 또는 청수의 정보를 통합시스템(60)에 전송하는 전송부(40)와, 전송부(40)의 정보에 따라 통합시스템(60)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부(50)를 포함한다.The seawater supply system 1 includes a seawater pump unit 20 provided on the seawater line 2 and supplying sea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ed chest 10 to the lower structure 110 and the upper structure 120, A cooler section 30 provided on the sea water line 2 for cooling the fresh water with the sea water supplied from the sea water pump section 20 and a transfer section 30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awater or fresh water to the integrated system 60 And a valve unit 50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system 6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unit 40.

이러한 해수공급 시스템(1)은, 쿨러부(30)를 경유한 해수가, 해수라인(2)을 통해 선외로 배출되거나, 해수라인(2)으로부터 분지되어 상부구조물(120)에 설치되는 분지라인(3)을 통해 상부구조물(120)의 수요처(9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This seawater supply system 1 is configured such that sea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er section 30 is discharged outboard over the seawater line 2 or branched from the seawater line 2 and installed in the superstructure 120, (90) of the superstructure (120) through the duct (3).

상기에서, 쿨러부(30)에서 냉각되는 청수는, 청수라인(4)을 통해 쿨러부(30)와 청수시스템(7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다. 청수시스템(70)은, 하부구조물(1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fresh water to be cooled in the cooler section 30 can circulate between the cooler section 30 and the fresh water system 70 through the fresh water line 4. [ The fresh water system 70 can be installed in the substructure 110.

청수라인(4)은, 쿨러부(30)와 청수시스템(7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공급라인(4a, 4c)과, 청수시스템(70)과 쿨러부(3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복귀라인(4b, 4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esh water line 4 includes first and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s 4a and 4c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oler unit 30 and the fresh water system 70 and a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4a and 4c for connecting the fresh water system 70 and the cooler unit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resh water return lines 4b and 4d that connect to each other.

제1 청수공급라인(4a)과 제1 청수복귀라인(4b)은, 쿨러부(30)와 청수시스템(70)을 순환하는 순환라인일 수 있고, 또한 제2 청수공급라인(4c)과 제2 청수복귀라인(4d) 역시 쿨러부(30)와 청수시스템(70)을 순환하는 순환라인일 수 있다.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4a and the first fresh water return line 4b may be a circulation line circulating between the cooler unit 30 and the fresh water system 70, 2 fresh water return line 4d may also be a circulating line circulating between the cooler unit 30 and the fresh water system 70. [

제1 청수공급라인(4a)에는 후술할 전송부(40)의 제1 온도전송기(41)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청수공급라인(4c)에는 후술할 전송부(40)의 제2 온도전송기(42)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4a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1 of the transfer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4c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temperature A transmitter 42 may be provided.

상기에서, 해수라인(2)은, 씨체스트(10)로부터 하부구조물(110)에 설치되는 해수배출부(80)까지 연결될 수 있다.The seawater line 2 may be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unit 80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110 from the seed chest 10.

이러한 해수라인(2)은, 씨체스트(10)와 쿨러부(30)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해수공급라인(2a, 2b)과, 쿨러부(30)와 해수배출부(80) 사이를 연결하는 해수배출라인(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분지라인(3)은, 해수배출라인(2c)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awater line 2 includes first and second seawater supply lines 2a and 2b for connecting between the seed chest 10 and the cooler unit 30 and a cooler unit 30 and a seawater discharge unit 80, And a seawater discharge line 2c connecting the two seawater discharge lines 2c. At this time, the branch line (3) may be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line (2c).

제1 해수공급라인(2a)에는 후술할 해수펌프부(20)의 메인펌프(21)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해수공급라인(2b)에는 후술할 해수펌프부(20)의 보조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2a may be provided with a main pump 21 of a seawater pump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2b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pump 22 may be provided.

해수배출라인(2c)에는 후술할 밸브부(50)의 제1 온도컨트롤밸브(51), 제2 온도컨트롤밸브(52), 압력컨트롤밸브(53)가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5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of the valve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2c.

분지라인(3)에는 후술할 전송부(40)의 압력전송기(43)가 마련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해수펌프부(20)의 부스터펌프(23)가 마련될 수 있다.The branch line 3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transmitter 43 of a transfer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booster pump 23 of a seawater pump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해수펌프부(20)는, 해수라인(2) 상에 마련되어 씨체스트(1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하부구조물(110) 및 상부구조물(12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메인펌프(21), 보조펌프(22), 부스터펌프(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water pump unit 20 is provided on the seawater line 2 and is capable of supplying the sea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ed chest 10 to the lower structure 110 and the upper structure 120 and includes the main pump 21, A pump 22, and a booster pump 23.

메인펌프(21)는, 제1 해수공급라인(2a)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쿨러부(30)의 메인쿨러(31)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main pump 21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2a and may supply seawater to the main cooler 31 of the cooler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보조펌프(22)는, 제2 해수공급라인(2b)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쿨러부(30)의 보조쿨러(32)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auxiliary pump 22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2b and may supply seawater to the auxiliary cooler 32 of the cooler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부스터펌프(23)는, 분지라인(3)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구조물(120)의 수요처(90)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다.The booster pump 23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branch line 3 and may supply seawater to the customer 90 of the superstructure 120.

상기에서, 메인펌프(21)와 보조펌프(22)는, 씨체스트(1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펌핑하여 하부구조물(110) 뿐만 아니라, 상부구조물(120)의 수요처(90)에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부스터펌프(23)는 메인펌프(21)로부터 공급되는 해수를 안정적으로 수요처(9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pump 21 and the auxiliary pump 22 pump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seed chest 10 and supply the seawater to the customer 90 of the upper structure 120 as well as the lower structure 110 And the booster pump 23 enables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main pump 21 to be stably supplied to the customer 90.

쿨러부(30)는, 해수라인(2) 상에 마련되어 해수펌프부(2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로 청수를 냉각할 수 있으며, 메인쿨러(31), 보조쿨러(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er unit 30 is provided on the seawater line 2 and can cool fresh water to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pump unit 20 and may include a main cooler 31 and an auxiliary cooler 32.

메인쿨러(31)는, 메인펌프(21)로부터 제1 해수공급라인(2a)을 통해 해수를 공급받아, 제1 청수공급라인(4a)을 통해 청수시스템(70)으로 공급되는 청수를 냉각할 수 있다.The main cooler 31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main pump 21 through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2a and cools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70 through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4a .

보조쿨러(32)는, 보조펌프(22)로부터 제2 해수공급라인(2b)을 통해 해수를 공급받아, 제2 청수공급라인(4c)을 통해 청수시스템(70)으로 공급되는 청수를 냉각할 수 있다.The auxiliary cooler 32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auxiliary pump 22 through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2b and cools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70 through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4c .

전송부(40)는, 해수 또는 청수의 정보를 통합시스템(6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온도전송기(41), 제2 온도전송기(42), 압력전송기(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4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seawater or fresh water to the integrated system 60 and may include 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1,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42, and the pressure transmitter 43.

제1 온도전송기(41)는, 제1 청수공급라인(4a)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쿨러(31)에서 냉각되어 청수시스템(70)으로 공급되는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1 온도정보를 통합시스템(60)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1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4a and may be provided in the main cooler 31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70 in real time, 1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system 60.

이때, 통합시스템(60)에서는 제1 온도전송기(41)로부터 전송되는 제1 온도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 값(예를 들면, 35.5℃)을 비교하여 후술할 밸브부(50)의 제1 온도컨트롤밸브(51)를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system 60 compares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1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35.5 ° C) Thereby controlling the valve 51.

제2 온도전송기(42)는, 제2 청수공급라인(4c)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보조쿨러(32)에서 냉각되어 청수시스템(70)으로 공급되는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2 온도정보를 통합시스템(60)에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42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4c and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cooler 32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70 in real time, 2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system 60.

이때, 통합시스템(60)에서는 제2 온도전송기(42)로부터 전송되는 제2 온도정보와 기 설정된 온도 값(예를 들면, 35.5℃)을 비교하여 후술할 밸브부(50)의 제2 온도컨트롤밸브(52)를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integrated system 60,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42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value (for example, 35.5 ° C.) Thereby controlling the valve 52.

압력전송기(43)는, 분지라인(3)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쿨러(31) 및 보조쿨러(32)를 경유하여 부스터펌프(23)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지는 압력정보를 통합시스템(60)에 전송할 수 있다.The pressure transmitter 43 may be provided on the branch line 3 and may be provided by sensing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23 in real time via the main cooler 31 and the auxiliary cooler 32 Pressur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system 60.

이때, 통합시스템(60)에서는 압력전송기(43)로부터 전송되는 압력정보와 기 설정된 압력 값(예를 들면, 1.5 bar)을 비교하여 후술할 밸브부(50)의 압력컨트롤밸브(53)를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tegrated system 60 compares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transmitter 43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for example, 1.5 bar) to control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of the valve unit 50 .

이러한 압력전송기(43)는, 부스터펌프(23)로 수요처(90)에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후술할 밸브부(50)의 압력컨트롤밸브(53)와 함께 부스터펌프(23)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The pressure transmitter 43 is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23 together with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of the valve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tably supply seawater to the customer 90 with the booster pump 23 Thereby allowing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to be kept constant.

밸브부(50)는, 전송부(40)의 정보에 따라 통합시스템(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1 온도컨트롤밸브(51), 제2 온도컨트롤밸브(52), 압력컨트롤밸브(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unit 50 can be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system 6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unit 40 and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51,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a pressure control valve 53).

제1 온도컨트롤밸브(51)는, 메인쿨러(31) 후단의 해수배출라인(2c)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온도전송기(41)의 제1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메인쿨러(31)를 경유한 해수의 유량을 제어, 예를 들어, 유량 범위를 0% 내지 100%로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51 may b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2c at the rear end of the main cooler 31. The opening degree of the main cooler 31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1,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flow rate range from 0% to 100%.

제2 온도컨트롤밸브(52)는, 보조쿨러(32) 후단의 해수배출라인(2c)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온도전송기(42)의 제2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보조쿨러(32)를 경유한 해수의 유량을 제어 예를 들어, 유량 범위를 50% 내지 100%로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may b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2c at the rear end of the auxiliary cooler 32. The opening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4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flow passage 32, for example, the flow rate range from 50% to 100%.

이러한 제2 온도컨트롤밸브(52)는, 상부구조물(120)의 수요처(90)로 공급되는 해수의 유량을 보증하기 위해, 제2 온도정보에 상관 없이 해수의 유량이 50% 이하로 잠기지 않도록 설정하여, 메인 엔진 부하에 따른 해수량이 줄더라도 후술할 압력컨트롤밸브(53)와 연동하여 부스터펌프(23)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is set such that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is not locked to 50% or less irrespective of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customer 90 of the upper structure 120 So that the flow rate to the booster pump 23 can be secured in cooperation with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to be described later even if the amount of seawater according to the main engine load is reduced.

압력컨트롤밸브(53)는, 분지라인(3)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의 해수배출라인(2c)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압력전송기(43)의 압력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제1 및 제2 온도컨트롤밸브(51, 52)를 경유한 해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may b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2c downstream from the point where the branch line 3 is connected and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pressure transmitter 43, 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seawater via temperature control valves (51, 52).

이러한 압력컨트롤밸브(53)는, 부스터펌프(23)로 수요처(90)에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압력전송기(43)와 함께 부스터펌프(23)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압력컨트롤밸브(53)는, 상부구조물(120)의 수요처(90)에서 요구하는 해수량에 따라 개도를 줄여줄 수 있으며, 이로써 부스터펌프(23)로의 해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is used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23 constant together with the pressure transmitter 43 so as to stably supply seawater to the customer 90 with the booster pump 23 I will. In addition,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can reduce the opening degre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eawater required by the customer 90 of the upper structure 120,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2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공급 시스템(1)은, 제2 온도컨트롤밸브(52)가 해수의 유량이 50% 이하로 잠기지 않도록 설정하고, 압력전송기(43)와 압력컨트롤밸브(53)가 부스터펌프(23)로 공급되는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기존에 상부구조물까지 해수를 부스팅하기 위해 적용되었던 고사양/고압력의 펌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e seawater supply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sets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to not be locked to 50% or less, and the pressure transmitter 43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53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23 constant, thereby serving as a high-output / high-pressure pump which was previously applied to boost the seawater up to the superstructur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센트럴 청수 쿨러(30)에 의해 청수를 냉각한 후의 해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해수라인(2)에 상부구조물(120)의 다양한 수요처(90)와 연결되는 분지라인(3)을 연결함으로써, 상부구조물(120)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에 별도로 마련되는 펌프 및 해수라인을 생략할 수 있어, 설치 공수 및 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eawater line 2 for discharging the seawater after cooling the fresh water by the central fresh water cooler 30 to the seawater line 2 is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3 It is possible to omit the pump and the seawater line separately provided for supplying the seawater to the upper structure 120,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material cos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해수공급 시스템 2: 해수라인
2a: 제1 해수공급라인 2b: 제2 해수공급라인
2c: 해수배출라인 3: 분지라인
4: 청수라인 4a: 제1 청수공급라인
4b: 제1 청수복귀라인 4c: 제2 청수공급라인
4d: 제2 청수복귀라인 10: 씨체스트
20: 해수펌프부 21: 메인펌프
22: 보조펌프 23: 부스터펌프
30: 쿨러부 31: 메인쿨러
32: 보조쿨러 40: 전송부
41: 제1 온도전송기 42: 제2 온도전송기
43: 압력전송기 50: 밸브부
51: 제1 온도컨트롤밸브 52: 제2 온도컨트롤밸브
53: 압력컨트롤밸브 60: 통합시스템
70: 청수시스템 80: 해수배출부
90: 수요처
100: 부유식 해양구조물 110: 하부구조물
111: 갑판 112: 칼럼
113: 폰툰 120: 상부구조물
121: 헬리포트 122: 크레인
123: 데릭 124: 거주구
1: sea water supply system 2: sea water line
2a: first sea water supply line 2b: second sea water supply line
2c: seawater discharge line 3: branch line
4: fresh water line 4a: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4b: first fresh water return line 4c: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4d: second fresh water return line 10: seed chest
20: seawater pump section 21: main pump
22: auxiliary pump 23: booster pump
30: cooler part 31: main cooler
32: auxiliary cooler 40:
41: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42: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43: Pressure transmitter 50:
51: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52: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53: Pressure control valve 60: Integrated system
70: fresh water system 80: seawater discharge unit
90: Consumer
100: Floating offshore structure 110: Infrastructure
111: Deck 112: Column
113: pontoon 120: superstructure
121: Heliport 122: Crane
123: Derek 124: Inhabitant

Claims (9)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하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에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해수라인 상에 마련되며, 씨체스트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하부구조물 및 상기 상부구조물에 공급하는 해수펌프부; 및
상기 해수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해수펌프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해수로 청수를 냉각하는 쿨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부를 경유한 상기 해수는,
상기 해수라인을 통해 선외로 배출되거나, 상기 해수라인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는 분지라인을 통해 상기 상부구조물의 수요처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A seawat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seawater to a substructure and a superstructure of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 seawater pump unit provided on a seawater line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for supplying sea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eed chest to the lower structure and the upper structure; And
And a cooler unit provided on the sea water line for cooling the fresh water with the seawater supplied from the seawater pump unit,
The seawater passed through the cooler section
Wherein the water supply line is supplied to a customer of the upper structure through a branch line which is discharged outboard through the sea water line or branched from the sea water line and installed in the upper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수는,
청수라인을 통해 상기 쿨러부와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청수시스템 사이를 순환하며,
상기 청수라인은,
상기 쿨러부와 상기 청수시스템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공급라인; 및
상기 청수시스템과 상기 쿨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청수복귀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esh water,
Circulates through the fresh water line between the cooler section and the fresh water system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The fresh water line,
First and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s connecting the cooler unit and the fresh water system; And
And a first and a second fresh water return line connecting the fresh water system and the cool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라인은,
상기 씨체스트로부터 상기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는 해수배출부까지 연결되며,
상기 씨체스트와 상기 쿨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해수공급라인; 및
상기 쿨러부와 상기 해수배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해수배출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지라인은,
상기 해수배출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3.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 seawater discharging unit installed in the lower structure from the seed chest,
First and second seawater supply lines connecting the seed chest and the cooler section; And
And a seawater discharge line connecting the cooler section and the seawater discharge section,
The branch line
And is connected to the seawater discharge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펌프부는,
상기 제1 해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펌프;
상기 제2 해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펌프; 및
상기 분지라인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스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쿨러부는,
상기 메인펌프로부터 상기 제1 해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1 청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를 냉각하는 메인쿨러; 및
상기 보조펌프로부터 상기 제2 해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해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2 청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를 냉각하는 보조쿨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awater pump unit includes:
At least one main pump provided on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At least one auxiliary pump provided on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And
And at least one booster pump provided on the branch line,
The cooler unit,
A main cooler that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main pump through the first seawater supply line and cools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through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And
And an auxiliary cooler that receives the seawater from the auxiliary pump through the second seawater supply line and cools the fresh water supplied to the fresh water system through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또는 상기 청수의 정보를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메인쿨러에서 냉각되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1 온도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제1 청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1 온도전송기;
상기 보조쿨러에서 냉각되어 상기 청수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청수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진 제2 온도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청수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2 온도전송기; 및
상기 메인쿨러 및 상기 보조쿨러를 경유하여 상기 부스터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해수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얻어지는 압력정보를 상기 통합시스템에 전송하며, 상기 분지라인 상에 마련되는 압력전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awater or the fresh water to the integrated system,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provided on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cooler to the fresh water system, to the integrated system;
A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provided on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line for transmitting to the integrated system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cooler to the fresh water system; And
And a pressure transmitter provided on the branch line for transmitting pressure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in real time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via the main cooler and the auxiliary cooler to the integrated system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의 정보에 따라 상기 통합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제1 온도전송기의 상기 제1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메인쿨러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1 온도컨트롤밸브;
상기 제2 온도전송기의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보조쿨러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제2 온도컨트롤밸브; 및
상기 압력전송기의 상기 압력정보에 따라 개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온도컨트롤밸브를 경유한 상기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해수배출라인 상에 마련되는 압력컨트롤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valve unit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syst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fer unit,
The valve unit includes:
A first temperature control valv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the opening degree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transmitter to control a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main cooler;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the opening degree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auxiliary cooler; And
And a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on the seawater discharge lin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via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s, the opening degree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pressure transmitter, Sea water supply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컨트롤밸브는,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해수의 유량을 보증하기 위해, 해수의 유량이 50% 이하로 잠기지 않도록 설정하여, 메인 엔진 부하에 따른 해수량이 줄더라도 상기 압력컨트롤밸브와 연동하여 상기 부스터펌프로의 유량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valve comprises: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is set so as not to be locked to 50% or less in order to guarantee the flow rat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customer of the upper structure, so that even if the amount of seawater according to the main engine load is reduced, Of the sea water supply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송기와 상기 압력컨트롤밸브는,
상기 부스터펌프로 상기 수요처에 상기 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부스터펌프로 공급되는 상기 해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공급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pressure transmitter and the pressure control valve comprise:
Wherein the booster pump maintains the pressure of the seawater supplied to the booster pump at a constant level to stably supply the seawater to the customer with the booster pump.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해수공급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An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the sea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170079058A 2017-06-22 2017-06-22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1900001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58A KR20190000134A (en) 2017-06-22 2017-06-22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58A KR20190000134A (en) 2017-06-22 2017-06-22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34A true KR20190000134A (en) 2019-01-02

Family

ID=6502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58A KR20190000134A (en) 2017-06-22 2017-06-22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98A (en) * 2021-07-20 2023-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mmonia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Ship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898A (en) * 2021-07-20 2023-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mmonia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Ship Eng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0154C1 (en) System and vessel for technical servicing of offshore deposits
US7793724B2 (en) Subsea manifold system
US20040141812A1 (en) Minimum floating offshore platform
AU2008326415B2 (en) Docking and drilling stations for running self-standing risers
MY134847A (en) A system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a cooling system on a floating vessel for the production of hydrocarbons
KR20190000134A (en) Sea Water Supply System and Floating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US20150128840A1 (en) Frontier Field Development System for Large Riser Count and High Pressures for Harsh Environments
KR20120034469A (en) Arrangment for blow-out preventer control equipment and semi-submersible drilling platform including the same
US20220065064A1 (en) Autonomous subsea tieback enabling platform
KR20130117129A (en) Topside structure of floating structure
KR20110045512A (en) Cable wiring route for ship shaped marine structure
KR200466433Y1 (en) Enclosed derrick structure of arctic ship
KR20210119793A (en) Marine structure
KR20170057897A (en) Test equipment for bulk and lp mud system
KR101707517B1 (en) Install structure of blow out preventer and drilling offshore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1623148B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llship
Christiansen et al. Tender-Assisted Drilling in the North Sea
Bye et al. FPDSO with near surface disconnect drilling system
KR10169589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eawater overflow in moonpool and drilling offshore structure
KR101571249B1 (en) Method of designing marine structure for polar region
KR20170139846A (en) Offshore plant
KR20160009158A (en) Winterization system of marine structure for polar region and method of winterization using the same
KR20160000333A (en) Drilling ship
CN104234692A (en) Modularization system of deepwater test ground device
Poldervaart et al. A DP-FPSO as a First-Stage Field Development Unit for Deepwater Prospects in Relative Mild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