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12U -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 Google Patents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12U
KR20190000112U KR2020170003431U KR20170003431U KR20190000112U KR 20190000112 U KR20190000112 U KR 20190000112U KR 2020170003431 U KR2020170003431 U KR 2020170003431U KR 20170003431 U KR20170003431 U KR 20170003431U KR 20190000112 U KR20190000112 U KR 201900001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outdoor
present
hanji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숭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지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지전주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지전주
Priority to KR2020170003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112U/ko
Publication of KR20190000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8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보호망을 사용하여 조명등에 의한 한지 커버의 변색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지등의 형상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부직포를 한지에 덧대어 종이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한 한지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방수층을 한지 상부에 코팅함으로서 습기나 비에 의해 한지의 풀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딱딱함과 정형화된 이미지를 주는 합성수지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한지와 부직포로만 된 조명등 커버를 사용하므로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질감과 이를 통해 방출되는 한지 빛을 더욱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장시간 실외에서 비바람, 햇빛 등에 노출되어도 변색, 찢어짐, 형상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크리스마스트리, 거리 가로수 등, 공원 나무 등에 사용되어 한국적인 도시 야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Korean Paper Lamp for outdoor and Night View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나 바람 등의 기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합성수지나 유리 커버의 사용없이 형상과 한지등의 미적 아름다움이 장기간 유지되는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지 조명등은 종이 재질인 한지를 이용하여 실내 또는 실외 사용 용도로 조명등으로 만든 것이다. 이는 주로 인테리어의 특성을 살리고,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전통 종이인 한지를 조명등에 이용한 것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여러 무늬의 한지를 부착시켜 예술적인 감각미를 살리고 있다.
이러한 한지 조명등은 주로 기능성이나 안전성보다는 인테리어 디자인 측면의 예술성에 중점을 두고 생산되고 있다. 특히, 한지 조명등은 조명등의 역할을 위해 조명틀 내부에 LED, 백열등이나 할로겐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조명등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유리를 이용하여 조명등 커버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외관의 수려함을 위해 다양한 무늬의 한지를 이용하여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설치하기가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008767호에는 투광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본체의 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다양한 형상의 한지 조명등을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643057호에는 아크릴판에 압착 성형하여 조도 감소, 변색 및 변형을 방지한 한지 조명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들은 모두 합성수지나 유리의 표면에 한지를 부착하여 한지를 등기구에 활용하고 있는데, 내구성이나 대량생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합성수지나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한지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형상이나 질감과 어울리지 않는 딱딱함과 정형화된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내구성과 한지의 특성을 유지하는 한지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나 바람 등의 기상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지등의 형상과 미적 아름다움이 장기간 유지되는 실외용 한지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부드럽고 은은하면서도 다양한 한지빛(한지를 통해 방출되는 빛)으로 보다 한국적인 도시 야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양상은
조명등(10) ;
내측에 상기 조명등이 위치되는 보호망(20) ;
상기 보호망(20)을 외측으로 둘러싸고, 상단이 조임수단으로 묶여 상기 보호망에 고정되는 한지 커버(30)를 포함하는 실외용 한지등으로서,
상기 한지 커버(30)는 내측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직포층, 그 위에 접착되는 한지층 및 상기 한지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망은 상기 조명등의 부피에 비해 2배 이상 큰 부피를 구비하여 상기 조명등과 한지커버 사이에 일정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실외용 한지등에 관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고안은
거치부를 가지며, 소정 높이의 입체 구조물 본체 ;
상기 거치부에 매달린 복수개의 실외용 한지등을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보호망을 사용하여 조명등에 의한 한지 커버의 변색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지등의 형상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부직포를 한지에 덧대어 종이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한 한지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방수층을 한지 상부에 코팅함으로서 습기나 비에 의해 한지의 풀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딱딱함과 정형화된 이미지를 주는 합성수지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한지와 부직포로만 된 조명등 커버를 사용하므로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질감과 이를 통해 방출되는 한지 빛을 더욱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한지등은 장시간 실외에서 비바람, 햇빛 등에 노출되어도 변색, 찢어짐, 형상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크리스마스트리, 거리 가로수 등, 공원 나무 등에 사용되어 한국적인 도시 야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구현에 따른 실외용 한지 등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한지를 제거한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한지등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한지커버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지 트리의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실외 공원에 설치된 한지등과 한지트리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구현에 따른 실외용 한지 등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한지를 제거한 것을 보여주고, 도 3은 도 1의 한지등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4는 한지커버의 단면을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지 트리의 개략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실외 공원에 설치된 한지등과 한지트리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한지등은 조명등(10), 보호망(20) 및 한지커버(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등(10)은 공지된 조명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부는 판매되고 있는 백열등이나 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D 조명등은 기판과, 상기 기판위에 부착된 발광부, 이를 덮는 커버부와 발광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10)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전선(11)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망(20)은 내측에 상기 조명등이 위치되고, 그 외측에는 한지커버로 둘러싸여 진다.
본원고안의 일예로서, 내측에 조명등이 위치한 보호망(20)이 도 2에 도시된다. 상기 보호망(20)은 한지 커버(30)와 조명등(10)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여 조명등 열에 의한 한지 커버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20)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또는 원통형,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호망(20)은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망으로 도 2와 같이 철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철망의 간격이나 메시(mesh) 크기가 일반적인 망 구조와 같이 촘촘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2와 같이, 상기 보호망의 철망 간격은 상기 조명등이 측면 철망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호망의 철망 간격은 상기 조명등의 최대 직경 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의 하부는 통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망 하부를 통해 조명등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상기 한지 커버(30)는 내측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직포층(31), 그 위에 접착되는 한지층(32) 및 상기 한지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33)을 포함한다.
상기 부지포층(31)은 상기 한지층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여 한지의 이탈, 구겨짐, 찢김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31)의 두께는 100~1000㎛, 바람직하게는 500~1000㎛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공지된 부직포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광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작포를 형성하는 섬유 직경이 380nm~1,000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한지의 굴절율의 차이가 크면 광투과율 저하 및 헤이즈 증가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한지의 굴절율과 유사하거나, 굴절율 차이가 10% 이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지층(32)은 상기 부직포층(31) 상에 한지를 접착하여 형성한다.
상기 한지는 공지된 한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지는 닥섬유와 펄프를 섞어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을 초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지는 닥섬유 100% 또는 닥섬유 100중량부 대비 상기 펄프를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닥섬유 100중량부 대비 상기 펄프를 20~6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닥섬유로는 닥나무(참닥나무), 산닥나무(안피나무), 삼지닥나무, 산뽕나무(이하 '닥나무'라 함)등의 나뭇가지의 겉껍질 벗겨낸 인피부분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섬유(인피섬유)를 사용한다.
상기 닥섬유는 길이가 3~10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닥섬유의 크기를 0.1~10mm, 10~30mm, 30~50mm, 50~100mm로 다양화하면 한지 문양을 여러 형상으로 폭넓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닥섬유의 길이가 3~40mm 범위일 경우 운용의 효과가 좋다.
상기 펄프는 공지된 펄프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마, 대마, 억새, 목재 펄프, 라미, 삼베, 모, 견 등과 같은 천연 펄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온, 아크릴,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 합성 펄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펄프는 그 길이가 3mm이하의 단섬유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프의 길이가 3mm이하인 경우 닥섬유와 흡착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한지는 무게가 10~70g/m2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지는 두께가 20~500㎛, 바람직하게는 100~5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3)은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3)은 상기 한지 상에 코팅된다. 상기 코팅층(33)은 한지(32)로의 이물질이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로는 공지된 투명 필름용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합성수지로는 아크릴계열 수지, 바니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수지로는 천연오일 또는 옻칠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고안의 한지커버는 부직포층, 색상한지, 음각한지 및 방수 코팅층이 순차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색상 한지는 흰색 및 컬러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색상한지는 색을 넣지 않은 한지도 포함한다. 색을 넣지 않은 한지의 경우 흰색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색상한지는 다양한 염색재료나 물감을 이용하여 일반 한지에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등의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음각한지는 음각으로 문양이나 그림이 커팅된 한지이다.
상기 색상한지와 음각한지의 결합으로 다양한 색상이나 그림을 한지등에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지등은 딱딱함과 정형화된 이미지를 주는 합성수지나 유리를 사용하지 않고 한지와 부직포로만 된 조명등 커버를 사용하므로 한지 고유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질감과 이를 통해 방출되는 한지 빛을 더욱 세련되게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고안은 한지 야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야경 구조체인 한지트리의 개략도이고, 도 6과 7은 실외 공원에 설치된 한지등과 한지트리의 사진이다. 한지 야경 구조체로서 한지등을 실외 트리, 거리 가로수, 공원 나무 등에 거치하여 한국적인 도시 야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지 야경 구조체는 상기 한지등(100) 및 본체(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거치부(210)를 가지며, 소정 높이의 입체 구조물이다. 상기 입체 구조물로서 도 4와 같이 제조된 트리 형상의 구조물, 나무, 특정 건출물일 수 있다.
상기 한지등(100)은 상기 거치부(210)에 전선 내지 고정끈(220) 등으로 매달려 고정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한지 트리가 공원에 설치되어 1개월 이상 외부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지등의 형상 변형이 없고, 한지의 찢어짐이나 변색이 발생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상기 한지트리는 한지등에서 방출되는 한지빛으로 기존의 가로등이나 조명등 야경에 비해 보다 한국적이면서도 따스한 도시 야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조명등(10) ;
    내측에 상기 조명등이 위치되는 보호망(20) ;
    상기 보호망(20)을 외측으로 둘러싸고, 상단이 조임수단으로 묶여 상기 보호망에 고정되는 한지 커버(30)를 포함하는 실외용 한지등으로서,
    상기 한지 커버(30)는 내측으로부터 소정 두께의 부직포층, 그 위에 접착되는 한지층 및 상기 한지층 상에 형성되는 방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망은 상기 조명등의 부피에 비해 2배 이상 큰 부피를 구비하여 상기 조명등과 한지커버 사이에 일정 이상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한지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은 두께가 100~1,000㎛이고,
    상기 한지층은 무게가 10~70g/m2이고, 두께가 20~500㎛인 한지이고,
    상기 보호망은 상기 조명등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메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한지등.
  3. 거치부를 가지며, 소정 높이의 입체 구조물 본체 ;
    상기 거치부에 매달린 복수개의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실외용 한지등을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KR2020170003431U 2017-07-03 2017-07-03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KR201900001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1U KR20190000112U (ko) 2017-07-03 2017-07-03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31U KR20190000112U (ko) 2017-07-03 2017-07-03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12U true KR20190000112U (ko) 2019-01-14

Family

ID=6501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31U KR20190000112U (ko) 2017-07-03 2017-07-03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11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36U (ko) * 2020-04-11 2021-10-20 윤진선 형상 변형이 가능한 갓을 갖는 조명기구
KR102586184B1 (ko) 2023-03-10 2023-10-05 윤명옥 태양광모듈이 구비된 한지 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36U (ko) * 2020-04-11 2021-10-20 윤진선 형상 변형이 가능한 갓을 갖는 조명기구
KR102586184B1 (ko) 2023-03-10 2023-10-05 윤명옥 태양광모듈이 구비된 한지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744B2 (en) Formed lighting fixture having a fibrous layer
KR20190000112U (ko) 실외용 한지등 및 이를 포함하는 한지 야경 구조체
US20130182446A1 (en) Candles and accessories with removable decorations
CN205504735U (zh) 一种装饰顶及照明模块
US7171772B1 (en) Earth rhythm light reflector
KR101859743B1 (ko) 유등 및 유등의 제작방법
CN204641231U (zh) 可设置发光的装饰框画
CN102367039A (zh) 环保装饰挂画
KR100843464B1 (ko) 조명갓 및 그의 제조방법
CN206800846U (zh) 一种电视背景墙用装饰墙布
CN205938678U (zh) 一种灯带
CN201126153Y (zh) 多色光纤灯
CN2291568Y (zh) 一种彩虹装饰灯具
CN201803131U (zh) 固定有led发光片群体的灯饰
KR20170121461A (ko) 한지 아트 등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494234U (zh) 家具、装修用板材
JP3035907U (ja) 照明器具
RU178032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KR102586184B1 (ko) 태양광모듈이 구비된 한지 등기구
CN203273477U (zh) 一种装饰台灯
JPH10321022A (ja) 照明器具用シェードカバーの製造方法
CN207749757U (zh) 一种含有光纤的装饰纸
CN203258473U (zh) 灯串
KR100757983B1 (ko) 실외 장식물
KR102136281B1 (ko) 모발이 부착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