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70A -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 Google Patents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70A
KR20190000070A KR1020170078935A KR20170078935A KR20190000070A KR 20190000070 A KR20190000070 A KR 20190000070A KR 1020170078935 A KR1020170078935 A KR 1020170078935A KR 20170078935 A KR20170078935 A KR 20170078935A KR 20190000070 A KR20190000070 A KR 2019000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ccumulator
compression chamber
scroll
fixed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962B1 (ko
Inventor
박상백
이호원
최용규
김철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9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70Use of multiplicity of similar components;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구동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메인 프레임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 스크롤과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고정 스크롤에 맞물려 선회 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고정 스크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압축실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흡입관 및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냉매 흡입관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압축실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모듈이 구비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COMPRESSOR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REFRIGERANT}
본 발명은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콘과 같은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고 있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로터리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의 내부공간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함으로써 고정 스크롤의 고정랩과 선회 스크롤의 선회랩 사이에 압축실이 형성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고, 냉매의 흡입, 압축, 토출 행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인 냉매 흡입관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냉매 흡입관의 일단은 고정 스크롤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압축실에 직접 연결되고, 냉매 흡입관의 타단은 밀폐용기 외부에 구비된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 흡입관을 통해 스크롤 압축기의 압축실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고정 스크롤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의 단부에 리드 밸브(lead valve) 방식의 체크 밸브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시에는 압축된 냉매가 체크 밸브를 열고 토출 공간을 이루는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다. 반면에,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내부 공간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가 닫혀 압축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압축부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를 통해, 선회 스크롤의 역회전 방지가 가능하다.
다만, 상기와 같이 체크 밸브가 압축부의 토출구에 설치된 경우, 스크롤 압축기의 구동 또는 정지시 체크 밸브에서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 압축기의 정지시 체크 밸브 없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팅 방식의 밸브 모듈을 통해 종래의 리드 밸브 방식의 체크 밸브 대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냉매 흡입관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밸브 모듈이 구비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체크 밸브 없이도 압축실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어큐뮬레이터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밸브 바디와, 밸브 바디의 하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 바디를 포함하는 밸브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리드 밸브 방식의 체크 밸브 대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구동 정지시 체크 밸브 없이도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즉, 밸브 모듈)가 모듈화되어 케이싱의 내부가 아닌 외부(즉, 어큐뮬레이터)에 구비되는바, 해당 부품의 교체, 구조 변경 및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플로팅 방식의 밸브 모듈을 통해 종래의 리드 밸브 방식의 체크 밸브 대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방식이 밸브 모듈에 적용됨으로써, 압축부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 밸브 방식 대비 부품의 마모 및 손상이 저감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밸브 모듈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순방향으로 흐를 때의 밸브 모듈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의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역방향으로 흐를 때의 밸브 모듈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 사이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1)가 적용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는, 스크롤 압축기(1), 응축기(2) 및 응축팬(2a), 팽창기(3), 증발기(4) 및 증발팬(4a)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1)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210),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220), 구동 모터(2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압축부(200), 구동 모터(220)의 구동력을 압축부(200)로 전달하는 회전축(2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은 구동 모터(220)의 상측인 제1 공간(V1), 구동 모터(220)와 압축부(200)의 사이인 제2 공간(V2), 토출커버(270)에 의해 구획된 제3 공간(V3) 및 압축부(200)의 하측인 저유 공간(V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케이싱(210)은 예를 들어,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싱(210)은 원통 쉘(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통 쉘(211)의 상부에는 상부 쉘(212)이 설치되고, 원통 쉘(211)의 하부에는 하부 쉘(214)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쉘(212, 214)은 예를 들어, 용접으로 원통 쉘(21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쉘(212)에는 냉매 토출관(216)이 설치될 수 있는데, 냉매 토출관(216)은 압축부(200)에서 제2 공간(V2)과 제1 공간(V1)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참고로, 토출되는 냉매에 혼입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가 냉매 토출관(216)과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쉘(214)은 오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유 공간(V4)을 형성할 수 있다.
저유 공간(V4)은 압축기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압축부(200)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챔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통 쉘(211)의 측면에는 압축될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인 냉매 흡입관(218)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흡입관(218)은 케이싱(210)(즉, 원통 쉘(211)) 및 고정 스크롤(25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압축실(S1)과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냉매 흡입관(218)은 고정 스크롤(250)의 측면을 따라 압축실(S1)까지 관통되어 설치되는바, 압축실(S1)로 냉매를 안내할 수 있다.
참고로, 냉매 흡입관(218)은 고정 스크롤(250)의 측면이 아닌 다른 부분(예를 들어, 하면 또는 상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매 흡입관(218)이 고정 스크롤(25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냉매 흡입관(218)은 케이싱(210)의 외부에 구비된 어큐뮬레이터(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 흡입관(218)은 어큐뮬레이터(7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실(S1)로 냉매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210) 내측의 상부에는 구동 모터(22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220)는 고정자(222) 및 회전자(2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222)는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으며, 케이싱(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자(222)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코일(222a)이 권선된다. 또한 고정자(222)의 외주면에는 디컷(D-cut) 모양으로 절단되어 압축부(200)에서 토출되는 냉매 또는 오일이 통과하도록 냉매유로홈(212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224)는 고정자(222)의 내부에 결합되고,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회전자(224)는 그 중심에 회전축(226)이 압입되어 회전축(226)과 함께 회전운동할 수 있다. 회전자(224)에 의해 발생된 회전동력은 회전축(226)을 통하여 압축부(200)에 전달된다.
압축부(200)는 메인 프레임(230), 고정 스크롤(250), 선회 스크롤(240) 및 토출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압축부(200)는 올담링(Oldham's ring)(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올담링(150)은 선회 스크롤(240)과 메인 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올담링(150)은 선회 스크롤(240)의 자전을 방지하면서 고정 스크롤(250) 상에서의 선회 스크롤(240)의 선회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메인 프레임(230)은 구동 모터(2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압축부(200)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대략 원형을 갖는 프레임 경판부(이하, 제1 경판부)(232), 제1 경판부(232)의 중앙에 구비되고 회전축(226)이 관통하는 프레임 축수부(이하, 제1 축수부)(232a), 및 제1 경판부(232)의 외주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프레임 측벽부(이하, 제1 측벽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벽부(231)는 외주부가 원통 쉘(211)의 내주면과 접하고, 하단부가 후술할 고정 스크롤 측벽부(255)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제1 측벽부(231)에는 제1 측벽부(231)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냉매 통로를 이루는 프레임 토출공(이하, 제1 토출공)(231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토출공(231a)은 입구가 후술할 고정 스크롤 토출공(256b)의 출구와 연결되고, 출구가 제2 공간(V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축수부(232a)는 제1 경판부(232)의 상면에서 구동 모터(22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축수부(232a)에는 후술할 회전축(226)의 메인 베어링부(226c)가 관통 지지되도록 제1 베어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230)의 중심에는 제1 베어링부를 이루는 회전축(226)의 메인 베어링부(226c)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 축수부(232a)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판부(232)의 상면에는 제1 축수부(232a)와 회전축(226) 사이에서 토출되는 오일을 포집하는 오일포켓(232b)이 형성될 수 있다.
오일포켓(232b)은 제1 경판부(232)의 상면에 음각지게 형성되고, 제1 축수부(232a)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의 저면에는 고정 스크롤(250) 및 선회 스크롤(240)과 함께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의 압력에 의해 선회 스크롤(240)을 지지하도록 배압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배압실(S2)은 중간압 영역(즉, 중간압실)을 포함할 수 있고, 회전축(226)에 구비된 오일 공급 유로(226a)는 배압실(S2)보다 압력이 높은 고압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6), 메인 프레임(230) 및 선회 스크롤(2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고압 영역일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230)과 선회 스크롤(240) 사이에 고압 영역과 중간압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 영역과 중간압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메인 프레임(230) 및 선회 스크롤(240) 사이에 배압 씰(seal)(280)이 구비될 수 있고, 배압 씰(280)은 예를 들어, 밀봉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30)은 고정 스크롤(250)과 결합하여 선회 스크롤(240)이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회전축(226)을 통해 압축부(200)에 회전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축(226)을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저면에는 제1 스크롤을 이루는 고정 스크롤(25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스크롤(250)은 메인 프레임(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스크롤(250)은 대략 원형을 갖는 고정 스크롤 경판부(제2 경판부)(254), 제2 경판부(254)의 외주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 스크롤 측벽부(이하, 제2 측벽부)(255), 제2 경판부(254)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후술할 선회 스크롤(240)의 선회랩(241)과 맞물려 압축실(S1)을 형성하는 고정랩(251), 및 제2 경판부(254)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고 회전축(226)이 관통하는 고정 스크롤 축수부(이하, 제2 축수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경판부(254)에는 압축된 냉매를 압축실(S1)로부터 토출커버(270)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구(25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경판부(254)에는 제2 경판부(25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토출구(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253)의 위치는 요구되는 토출압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구(253)가 하부 쉘(214)을 향해 형성됨에 따라 고정 스크롤(250)의 저면에는, 토출되는 냉매를 수용하고 해당 냉매를 오일과 혼합되지 않게 후술할 고정 스크롤 토출공(256b)으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커버(270)가 결합될 수 있다. 토출커버(270)는 냉매의 토출유로와 저유 공간(V4)을 분리할 수 있도록 고정 스크롤(250)의 저면에 밀봉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토출커버(270)에는, 제2 베어링부를 이루는 회전축(226)의 서브 베어링부(226g)에 결합되어 케이싱(210)의 저유 공간(V4)에 잠기는 오일피더(271)가 관통하도록 관통구멍(27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측벽부(255)에는 그 제2 측벽부(255)의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제1 토출공(231a)과 함께 냉매 통로를 이루는 고정 스크롤 토출공(이하, 제2 토출공)(256b)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토출공(256b)은 제1 토출공(231a)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입구가 토출커버(27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출구가 제1 토출공(231a)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토출공(256b)과 제1 토출공(231a)은, 압축실(S1)에서 토출커버(27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제2 공간(V2)으로 안내되도록, 제3 공간(V3)과 제2 공간(V2)을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벽부(255)에는 냉매 흡입관(218)이 압축실(S1)의 흡입 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벽부(255)에는 냉매 흡입관(218)과 압축실(S1)이 연결되도록 흡입구(29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냉매 흡입관(218)은 제2 토출공(256b)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축수부(252)는 제2 경판부(254)의 하면에서 저유 공간(V4)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축수부(252)에는 회전축(226)의 서브 베어링부(226g)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2 베어링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수부(252)는 하단부가 회전축(226)의 서브 베어링부(226g) 하단을 지지하여 스러스트 베어링면을 이루도록 축 중심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과 고정 스크롤(250)의 사이에는 제2 스크롤을 이루는 선회 스크롤(24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회 스크롤(240)은 회전축(226)에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면서 고정 스크롤(250)과의 사이에 두 개 한 쌍의 압축실(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240)은 대략 원형을 갖는 선회 스크롤 경판부(이하, 제3 경판부)(245), 제3 경판부(245)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랩(251)과 맞물리는 선회랩(241) 및 제3 경판부(245)의 중앙에 구비되고 회전축(226)의 편심부(226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 스크롤(240)의 경우, 제3 경판부(245)의 외주부가 제2 측벽부(255)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선회랩(241)의 하단부가 제2 경판부(254)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 스크롤(250)에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42)의 외주부는 선회랩(241)과 연결되어 압축과정에서 고정랩(251)과 함께 압축실(S1)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로, 고정랩(251)과 선회랩(241)은 인볼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볼류트 형상은 임의의 반경을 갖는 기초원의 주위에 감겨있는 실을 풀어낼 때 실의 단부가 그리는 궤적에 해당되는 곡선을 의미한다.
또한 회전축 결합부(242)에는 회전축(226)의 편심부(226f)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축 결합부(242)에 삽입된 편심부(226f)는 선회랩(241) 또는 고정랩(251)과 압축기의 반경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반경방향은 축방향(즉,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반경방향은 회전축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226)의 편심부(226f)가 제3 경판부(245)를 관통하여 선회랩(241)과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경우, 냉매의 반발력과 압축력이 제3 경판부(245)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 평면에 가해지면서 서로 일정 부분 상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6)은 구동 모터(220)에 결합되며, 케이싱(210)의 저유 공간(V4)에 담긴 오일을 상부로 안내하기 위한 오일 공급 유로(226a)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26)은 그 상부가 회전자(224)의 중심에 압입되어 결합되고, 그 하부는 압축부(200)에 결합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226)은 구동 모터(220)의 회전력을 압축부(200)의 선회 스크롤(2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회전축(226)에 편심 결합된 선회 스크롤(240)이 고정 스크롤(250)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축(226)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230)의 제1 축수부(232a)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메인 베어링부(226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베어링부(226c)의 하부에는 고정 스크롤(250)의 제2 축수부(252)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서브 베어링부(226g)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베어링부(226c)와 서브 베어링부(226g) 사이에는 선회 스크롤(240)의 회전축 결합부(242)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편심부(226f)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베어링부(226c)와 서브 베어링부(226g)는 동일 축중심을 가지도록 동축 선상에 형성되고, 편심부(226f)는 메인 베어링부(226c) 또는 서브 베어링부(226g)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편심부(226f)는 그 외경이 메인 베어링부(226c)의 외경보다는 작게, 서브 베어링부(226g)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226)을 각각의 축수부(232a, 252)와 회전축 결합부(242)를 통과하여 결합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반면, 편심부(226f)가 회전축(226)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베어링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서브 베어링부(226g)의 외경이 편심부(226f)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지 않고도 회전축(226)이 각각의 축수부(232a, 252)와 회전축 결합부(24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26)의 내부에는 저유 공간(V4)의 오일을 각 베어링부(226c, 226g)의 외주면과 편심부(226f)의 외주면에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 유로(226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6)의 베어링부 및 편심부(226c, 226g, 226f)에는 오일 공급 유로(226a)에서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오일 홀(228b, 228d, 228e)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오일 공급 유로(226a)를 통해 상부로 안내된 오일은, 오일 홀(228a)을 통해 토출되어 각 베어링부(226c, 226g)의 외주면과 편심부(226f)의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26)의 하단, 즉 서브 베어링부(226g)의 하단에는 저유 공간(V4)에 채워진 오일을 펌핑하기 위한 오일피더(271)가 결합될 수 있다.
오일피더(271)는 회전축(226)의 오일 공급 유로(226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오일공급관(273)과, 오일공급관(273)의 내부에 삽입되어 오일을 흡상하는 오일흡상부재(27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오일공급관(273)은 토출커버(270)의 관통구멍(276)을 통과하여 저유 공간(V4)에 잠기도록 설치될 수 있고, 오일흡상부재(274)는 프로펠러처럼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오일피더(271) 대신 저유 공간(V4)에 채워진 오일을 상부로 강제로 펌핑하기 위해 서브 베어링부(226g)에 트로코이드 펌프(trochoid pump; 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메인 베어링부(226c)의 상단과 메인 프레임(230)의 상단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한 제1 실링 부재(미도시) 및 서브 베어링부(226g)의 하단과 고정 스크롤(250)의 하단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기 위한 제2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제1 및 제2 실링 부재를 통해 오일이 베어링면(즉, 베어링부의 외주면)을 따라 압축부(2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압 급유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고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회전자(224) 또는 회전축(226)에는 소음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227)가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밸런스 웨이트(227)는 구동 모터(220)와 압축부(200) 사이, 즉 제2 공간(V2)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70)는 케이싱(210)의 외부에 구비되고, 냉매 흡입관(218)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압축실(S1)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모듈(80)이 구비될 수 있다.
밸브 모듈(8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어큐뮬레이터(70)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4)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냉매 흡입관(218)을 통해 압축실(S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70)는 증발기(4)로부터 공급받은 냉매에서 액냉매(즉, 액체 상태 냉매)를 분리하여, 기체 상태 냉매만 냉매 흡입관(218)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냉매가 스크롤 압축기(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70)에는 냉매 흡입관(218)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부(71)와, 하우징부(71)를 밀봉하기 위해 하우징부(71)의 일단에 결합되는 캡부(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71)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81)가 구비될 수 있고, 밸브 모듈(80)은 고정돌부(81)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어큐뮬레이터(70)의 하우징부(71)는 냉매 흡입관(218)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부(71)와 캡부(72)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큐뮬레이터(70)의 하우징부(71)는 냉매 흡입관(218)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하우징부(71)와 캡부(72)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동 모터(2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그 구동 모터(220)의 회전자(224)에 결합된 회전축(226)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축(226)에 편심 결합된 선회 스크롤(240)이 고정 스크롤(250)에 대해 선회운동을 하면서 선회랩(241)과 고정랩(251) 사이에 압축실(S1)을 형성하게 된다. 압축실(S1)은 중심방향으로 점차 체적이 좁아지면서 연속하여 여러 단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케이싱(210)의 외부에서 냉매 흡입관(218)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는 압축실(S1)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즉, 냉동 사이클 장치의 응축기(2), 팽창기(3), 증발기(4)를 거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를 통과한 후 냉매 흡입관(218)을 통해 압축실(S1)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냉매는 선회 스크롤(240)의 선회운동에 의해 압축실(S1)의 토출실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토출실에서 고정 스크롤(250)의 토출구(253)를 통해 제3 공간(V3)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냉매 흡입관(218)으로부터 공급된 냉매는 흡입구(293)를 통해 압축실(S1)로 공급되고, 압축실(S1)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253)를 통해 제3 공간(V3)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 후, 제3 공간(V3)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는 제2 토출공(256b) 및 제1 토출공(231a)을 통해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제2 공간(V2) 및 제1 공간(V1))으로 토출되었다가 냉매 토출관(216)을 통해 케이싱(210)의 외부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냉동 사이클 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 스크롤 압축기(1)도 정지(turn-off)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압축실(S1)에서의 압축 부하도 제거된다. 그러나, 압축실(S1)에서의 압축 부하가 제거되더라도 스크롤 압축기(1)에서 냉매 토출관(216)을 통해 냉동 사이클로 배출되었던 냉매는 상대적으로 고압을 이루는 응축기(2)에서 상대적으로 저압을 이루는 증발기(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이동은 압축부(200)를 기준으로 흡입측(즉, 냉매 흡입관(218))과 토출측(즉, 냉매 토출관(216))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한 것이다.
또한, 스크롤 압축기(1)가 정지된 상태, 즉, 압축부(200)의 압축 부하가 제거된 상태에서 냉동 사이클 장치의 응축팬(2a)과 증발팬(4a)이 구동되면, 냉매는 압력 차이에 따라 이동하는 동안 발생된 잠열을 이용하여 열교환을 지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 사이클 장치의 에너지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스크롤 압축기(1)의 정지시, 제3 공간(V3)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압축실(S1)의 압력보다 높은바, 압축실(S1)에서 제3 공간(V3)으로 토출되었던 냉매가 다시 압축실(S1)로 역류하여 선회 스크롤(240)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스크롤(240)의 역회전으로 인해, 압축실(S1)로 역류된 냉매는 냉매 흡입관(218)을 통해 어큐뮬레이터(70) 측으로 역류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압축실(S1)에서 어큐뮬레이터(70) 측으로 역류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에는 밸브 모듈(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스크롤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및 그 내부에 구비된 밸브 모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구비된 밸브 모듈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순방향으로 흐를 때의 밸브 모듈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의 어큐뮬레이터에서 냉매가 역방향으로 흐를 때의 밸브 모듈의 모습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밸브 모듈(80)은 밸브 바디(82), 가이드 플레이트(84), 플로팅 바디(8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밸브 바디(82)는 어큐뮬레이터(7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밸브 바디(82)는 어큐뮬레이터(70)의 하우징부(71)의 내주면에 구비된 고정돌부(8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밸브 바디(82)는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즉, 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밸브 바디(82)의 개방된 중심부의 직경(즉, 제1 직경(D1))은 하우징부(71)의 직경(즉, 제2 직경(D2))과 다음의 <식>에 따른 수식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식>
Figure pat00001
참고로, <식>에서 사용된 t는 플로팅 바디(86)의 지지부(86a)의 내주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84)의 외주면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84)는 밸브 바디(82)의 하단에서 세로 방향(즉, 중심선(CL)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및 하면에 냉매의 이동을 위한 냉매 통공(84a, 84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84)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84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매 통공(84a, 84b)은 어큐뮬레이터(70)에서 압축실(도 2의 S1)로 안내되는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84)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냉매 통공(84a)과, 압축실(도 1의 S1)에서 어큐뮬레이터(70)로 역류된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84)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냉매 통공(84b)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 냉매 통공(84a)은 복수개의 냉매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제1 냉매 통공(84a)은 가이드 플레이트(84)의 측면에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제1 냉매 통공(84a)은 가이드 플레이트(84)의 측면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턱부(84c)는 내측으로(즉, 중심선(CL)을 향해) 돌출되어 플로팅 바디(86)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플로팅 바디(86)는 가이드 플레이트(84) 내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단턱부(84c)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84)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플로팅 바디(86)는 가이드 플레이트(8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바디(86)는 단턱부(84c)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 플레이트(84)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냉매 통공(84a, 84b)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로팅 바디(86)는 단턱부(84c)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 플레이트(84)의 내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86a)와,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부(86a) 상에 형성되어 압축실(S1)에서 어큐뮬레이터(70)로 냉매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86b)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플로팅 바디(86)는 차압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에서 압축실(S1)로 안내되는 경우, 플로팅 바디(86)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냉매 통공(84a)을 개방함과 동시에 제2 냉매 통공(84b)으로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에서 압축실(S1)로 안내되는 경우, 플로팅 바디(86)의 차단부(86b)는 냉매가 가이드 플레이트(84)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냉매 통공(84b)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로팅 바디(86)는 차압, 즉, 압축부(도 2의 200)를 기준으로 흡입측(즉, 상대적으로 저압인 냉매 흡입관(도 2의 218))과 토출측(즉, 상대적으로 고압인 냉매 토출관(도 2의 216))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압축실(S1)에서 어큐뮬레이터(70)로 역류되는 경우, 플로팅 바디(86)는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냉매 통공(84a)을 폐쇄함과 동시에 제2 냉매 통공(84b)을 통과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의 상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냉매가 압축실(S1)에서 어큐뮬레이터(70)로 역류되는 경우, 지지부(86a)는 냉매가 가이드 플레이트(84)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냉매 통공(84a)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86b)는 가이드 플레이트(84)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냉매 통공(84b)을 통과한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로팅 바디(86)는 제3 공간(도 2의 V3; 상대적으로 고압)과 압축실(도 2의 S1; 상대적으로 저압)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된 역류 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압 방향에 따라 플로팅 바디(86)가 이동하여 냉매 통공(84a, 84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바, 소음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1)는 구동 정지시 체크 밸브 없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즉, 밸브 모듈(80))가 모듈화되어 케이싱(210)의 내부가 아닌 외부(즉, 어큐뮬레이터(70))에 구비되는바, 해당 부품의 교체, 구조 변경 및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1)는 플로팅 방식의 밸브 모듈(80)을 통해 종래의 리드 밸브 방식의 체크 밸브 대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차압 방향을 따라 플로팅 바디(86)가 이동하여 냉매 통공(84a, 84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바, 종래의 리드 밸브 방식의 체크 밸브 대비 소음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방식이 밸브 모듈(80)에 적용됨으로써, 압축부(200)에 고정되어 있는 리드 밸브 방식 대비 부품의 마모 및 손상이 저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70: 어큐뮬레이터 80: 밸브 모듈
200: 압축부 210: 케이싱
220: 구동 모터 226: 회전축
230: 메인 프레임 240: 선회 스크롤
250: 고정 스크롤

Claims (15)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과 압축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스크롤에 맞물려 선회 운동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실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흡입관;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매 흡입관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압축실의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모듈이 구비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하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및 하면에 냉매의 이동을 위한 냉매 통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 바디는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냉매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통공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실로 안내되는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냉매 통공과,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된 냉매를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냉매 통공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바디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실로 안내되는 경우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냉매 통공을 개방하고,
    냉매가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경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냉매 통공을 폐쇄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바디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실로 안내되는 경우,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냉매 통공으로 상기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냉매가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경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냉매 통공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상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롤 압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바디는,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냉매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실로 안내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냉매가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냉매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롤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에는,
    상기 냉매 흡입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캡부가 더 구비되는
    스크롤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고정돌부에 고정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에는, 고정 스크롤 경판부와,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의 외주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 스크롤 측벽부와,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고정랩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 측벽부에는,
    상기 냉매 흡입관과 상기 압축실이 연결되도록 흡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에는,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크롤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흡입관으로부터 안내된 냉매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압축실로 공급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스크롤 압축기.
  12.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고, 고정 스크롤 경판부와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의 외주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 스크롤 측벽부와, 상기 고정 스크롤 경판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고정랩이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편심지게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부가 구비되는 선회 스크롤 경판부와, 상기 선회 스크롤 경판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고정랩에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이 구비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축실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 흡입관; 및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냉매 흡입관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역류된 냉매가 상기 냉매 흡입관을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모듈이 구비되는
    스크롤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에는 상기 냉매 흡입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스크롤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모듈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하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 및 하면에 냉매의 이동을 위한 냉매 통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플로팅 바디는 상기 단턱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냉매 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크롤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바디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실로 안내되는 경우,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개방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으로 상기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며,
    냉매가 상기 압축실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역류되는 경우,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냉매 통공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상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170078935A 2017-06-22 2017-06-22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196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35A KR101964962B1 (ko) 2017-06-22 2017-06-22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35A KR101964962B1 (ko) 2017-06-22 2017-06-22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70A true KR20190000070A (ko) 2019-01-02
KR101964962B1 KR101964962B1 (ko) 2019-04-02

Family

ID=6502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35A KR101964962B1 (ko) 2017-06-22 2017-06-22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5211A1 (en) 2020-07-30 2022-02-02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KR20220116742A (ko) 2021-02-15 202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15653897A (zh) * 2022-11-15 2023-01-31 山东泰展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涡旋线的空气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47B1 (ko) 2019-11-27 2021-04-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하 가변형 초소형 히트펌프 냉난방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391A (ja) * 1989-11-02 1991-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0114924Y1 (ko) * 1994-05-31 1998-04-18 김광호 로터리 압축기
KR20070100084A (ko) * 2006-04-06 200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역류 방지 장치
KR101738458B1 (ko) * 2016-02-26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391A (ja) * 1989-11-02 1991-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KR0114924Y1 (ko) * 1994-05-31 1998-04-18 김광호 로터리 압축기
KR20070100084A (ko) * 2006-04-06 200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역류 방지 장치
KR101738458B1 (ko) * 2016-02-26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5211A1 (en) 2020-07-30 2022-02-02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KR20220015237A (ko)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220101060A (ko) 2020-07-30 2022-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11674510B2 (en) 2020-07-30 2023-06-13 Lg Electronics Inc. Scroll compressor with axially slidable suction passage opening and closing valve
KR20220116742A (ko) 2021-02-15 2022-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CN115653897A (zh) * 2022-11-15 2023-01-31 山东泰展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涡旋线的空气泵
CN115653897B (zh) * 2022-11-15 2023-10-24 山东泰展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涡旋线的空气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962B1 (ko)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191B2 (en) Scroll compressor with differential pressure hole
US11248608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and differential pressure structure for oil supplying
KR101964962B1 (ko) 냉매 역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1974272B1 (ko) 통합 유로 구조가 구비되는 압축기
EP2020578B1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090031753A1 (en) Compressor
JP4930022B2 (ja) 流体機械
KR20190001070A (ko) 냉매 토출 구조가 개선된 압축기
EP3705724B1 (en) Scroll compressor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US11434908B2 (en) Compressor having lubrication structure for thrust surface
KR20190004200A (ko) 냉매 누설 방지 구조가 개선된 압축기
KR20190001069A (ko) 올담링을 구비한 압축기
KR20190011115A (ko) 원심 급유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102548470B1 (ko) 올담링을 구비한 압축기
EP3705723A1 (en) Scroll compressor
KR102492951B1 (ko) 올담링을 구비한 압축기
EP3726058A1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KR20190000176A (ko) 스파이럴 오일 그루브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20190004985A (ko) 점차적 유로 면적 변화 구조가 구비된 압축기
KR20100047041A (ko)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