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64A -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64A
KR20190000064A KR1020170078924A KR20170078924A KR20190000064A KR 20190000064 A KR20190000064 A KR 20190000064A KR 1020170078924 A KR1020170078924 A KR 1020170078924A KR 20170078924 A KR20170078924 A KR 20170078924A KR 20190000064 A KR20190000064 A KR 2019000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screen display
opt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819B1 (ko
Inventor
정민수
홍성원
김재완
김광태
변형섭
오승아
이정원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819B1/ko
Priority to EP18821496.9A priority patent/EP3628073B1/en
Priority to PCT/KR2018/005261 priority patent/WO2018236049A1/en
Priority to US15/974,132 priority patent/US1078890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하여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ptical structur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렉션(interaction)을 지향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양한 양상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 가운데, 정보 자원의 인식(예: 입력) 및 표현(예: 출력)의 처리를 명시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와 사용자의 유기적 융합을 도모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로 주목 받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근래의 디스플레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개량을 기반으로 보다 고품질의 입출력 장치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면적 디스플레이(예: full screen display)를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에는 전자 장치의 베젤(bezel) 영역에 은폐된 각종 배선 또는 전자 부품들의 실장 구조 개량과,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의 확장에 따른 픽셀 또는 RGB 소자 등의 추가적 구비가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대면적화의 이면에서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 또는 슬림(slim)화가 제약될 수 있거나, 제조 단가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일 영역에 구현되는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 가장자리에 주변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액티브 영역이 확장되어 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액티브 영역이 확장되어 보여짐에 따라, 콘텐츠 출력 시 몰입감 있는 시청 환경이 조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디자인적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학 구조에 기반한 주변광 발생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3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4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5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5 광학 구조와 관련한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6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광이 발현된 전자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일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예: 터치, 드래그 또는 스윕 등)이 인가되는 인터페이스로 기능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내부를 차폐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로써 기능하는 커버 글라스(110)(또는, 윈도우)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마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11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front)을 전 영역(all area)에 걸쳐 마감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하여 지정된 각도(예: 약 90도의 각도)로 신장되며 전자 장치(100)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더 마감할 수 있다. 신장된 커버 글라스(110)의 종단은 전자 장치(100)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또는,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브래킷(160))의 일 영역에 체결 또는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일체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글라스(110)의 하부로는 광학 레이어(120)(또는, 제1 광학 레이어) 및 디스플레이(150)(또는, 디스플레이 패널)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레이어(120)는 제1 광학성 점착 부재(15)(예: 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기반으로 커버 글라스(110)의 배면에 점착되고,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하부로 충진 및 경화(예: UV 경화, 열 경화, 레이저 경화 또는 초음파 경화)되는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예: optically clear resin; OCR)(또는, 제2 광학 레이어)에 의하여 광학 레이어(120)에 고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와 디스플레이(150) 사이의 일 영역에는 불투명 레이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레이어(130)는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배면 일 영역에 점착 또는 인쇄되고, 그 하부로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가 충진 및 경화됨에 따라, 상기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하는 양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불투명 레이어(130)는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의 중심부로부터 지정된 면적의 관통 영역(또는, 투명 영역)과 상기 관통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레이어(120)를 따라 신장되는 불투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의 관통 영역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활성 영역(151)(active area) 및 불투명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152)(no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의 비활성 영역(152)은 상기 불투명 영역에 의하여 은폐되는 바, 상기 비활성 영역(152)에는 디스플레이(150)의 구동과 관계되는 배선 또는 전자 부품(예: 디스플레이 구동칩(display driver IC) 등)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술과 대응적으로, 커버 글라스(110)는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의 관통 영역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 광이 투과되는 뷰(view) 영역(111) 및 불투명 영역에 의하여 상기 불투명 영역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가 차폐되는 블라인드(blind) 영역(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블라인드 영역(112)은 디스플레이(150)의 구동에 따른 광 투과가 배제되며 예컨대, 상기 불투명 영역의 구현 색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글라스(110)의 하부로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120)(예: 광학 시트)는 디스플레이(150)의 구동에 따른 광을 기반으로 상기 커버 글라스(110)의 블라인드 영역(112)에 주변광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광학 레이어(12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에서 발광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다각도로 확산시켜 커버 글라스(110)의 블라인드 영역(112)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에 의하여 임의의 각도로 굴절되며 상기 블라인드 영역(112)으로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매질(예: 공기)로 향하는 입사각이 임계각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 영역(112) 내에서는 광의 전반사(total reflection) 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블라인드 영역(112)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주변광이 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변광의 발현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100) 구성요소들 간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고,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순차에 따라 적층 또는 배치되는 커버 글라스(110)(또는, 윈도우), 광학 레이어(120)(또는, 제1 광학 레이어),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또는, 제2 광학 레이어), 디스플레이(150)(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브래킷(160), 제1 인쇄 회로 기판(170) 또는 후면 케이스(rear case)(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광학 레이어(120)는 일면으로 관통 영역 및 불투명 영역으로 구성된 불투명 레이어(130)가 점착 또는 인쇄되어,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와 일체화된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는 액상의 광학성 소재(예: resin)가 상기 광학 레이어(120) 및 불투명 레이어(130)의 일체화 형상에 대응하여 경화된 양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배제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커버 글라스(110)와 광학 레이어(120) 간의 점착을 지원하는 제1 광학성 점착 부재(도 1의 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무선 통신 회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예: 디스플레이(150), 메모리 또는 무선 통신 회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통신 연산 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구성요소들(예: 디스플레이(150), 프로세서 또는 무선 통신 회로)의 기능 수행과 관계되는 명령,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동작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규정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른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함으로써, 각종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글라스(110), 브래킷(160) 및 후면 케이스(180)는 상호 간에 적어도 일 영역이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전자 장치(100) 외관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글라스(110)의 일 영역은 점착 부재(예: 점착 테이프 등)를 기반으로 브래킷(160)의 가장자리 또는 측면 영역에 결합되고, 후면 케이스(180)는 일 영역(예: 가장자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또는, 수용부)가 상기 브래킷(160)의 일 영역(예: 가장자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또는, 돌출부)에 맞물리며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후면 케이스(180)는 상기 돌출부 및 수용부 간의 결합 구조에 따라 브래킷(160)으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제조 공정 상에서 상기 브래킷(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래킷(160)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한 방향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신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글라스(110), 브래킷(160) 및 후면 케이스(180)가 형성하는 하우징은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예: 120, 140, 150, 160, 170, 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무선 통신 회로 등)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라스(110)(또는, 윈도우)는 디스플레이(150)의 상부로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50)에 의해 생성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라스(110)는 구성요소에 대한 명명에 불과하며 그 소재가 글라스(glass)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110)는 알루미나 실리케이트(alumina silicate), 소다 라임(soda lime) 또는 사파이어(sapphire) 등의 투명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 투과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 그 소재에 제약이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글라스(110)는 일 영역(예: 가장자리)으로부터 상기 브래킷(160)을 향하여 지정된 각도(예: 약 90도의 각도)로 신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글라스(110)의 상기 신장된 영역은 디스플레이(150)의 적어도 일 측면과 대면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레이어(120)는 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영역으로 지정된 형상의 광학 패턴(예: 프리즘 등)이 구현되거나, 상기 광학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레이어가 점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는 상기 광학 패턴을 기반으로 전술된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도 1의 151)에서 발광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방향(또는, 각도)으로 확산(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50)의 전 영역(all area)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광학 레이어(120)의 가장자리 영역은 커버 글라스(110)의 상기 신장된 영역을 따라 신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학 레이어(120)는 커버 글라스(110)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광학 레이어(120)의 일면으로 점착되는 불투명 레이어(130)는 광학 레이어(120)의 신장된 영역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가장자리 형상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는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도 1의 151) 중 적어도 일부(예: 활성 영역(151)의 가장자리 영역)에만 중첩되도록 중심부로부터 지정된 면적이 관통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51)에 중첩되는 광학 레이어(120)의 면적은 발현시키고자 하는 주변광의 세기 또는 광량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는 일부 구성요소(예: 120 및 150 등) 간의 점착 및 고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학 레이어(120) 및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150)의 상부로 배치되는 바, 광 투과율과 관련하여 적어도 일 영역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평판(rigi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예: 활성 영역(151))은 커버 글라스(110)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50)는 디스플레이 구동칩(display driver IC)(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칩은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는 이미지 또는 영상 신호를 지정된 프레임률(frame rate)로 디스플레이(12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된 커버 글라스(110)(또는, 윈도우)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부 구성으로써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170) 상에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운용과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 또는 전자 소자(예: 프로세서, 메모리, 무선 통신 회로 또는 각종 전자 회로 등)가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인쇄 회로 기판(17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일 방향은 도 1에 제시된 A-A'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이하에서 언급될 광학 레이어(120) 또는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에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레이어(12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3 또는 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레이어(120)는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 및 비활성 영역(152)의 제1 경계(1)를 기준하여 상기 활성 영역(151)에 대응하는 제1 영역(3)(또는,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중심부가 지정된 면적으로 관통된 경우, 제1 경계(1)를 기준하여 상기 활성 영역(151)의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제1 영역(3)) 및 상기 비활성 영역(152)에 대응하는 제2 영역(4)(예: 광학 레이어(120)의 신장된 영역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5, 6 또는 7)은 예컨대, 광학 레이어(120)에 구현되는 광학 패턴(121)(또는, 광학 패턴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레이어)의 유무에 따른 제2 경계(2) 및 상기 제1 경계(1)를 기준하여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는 상기 광학 패턴(121)과의 중첩이 배제된 제3 영역(5), 상기 제2 경계(2)와 제1 경계(1) 사이에 대응하는 제4 영역(6) 또는 디스플레이(150)의 비활성 영역(152)에 대응하는 제5 영역(7)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술된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활성 영역(151) 중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하는 제3 영역(5), 활성 영역(151)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역(6) 또는 상기 비활성 영역(152)에 대응하는 제5 영역(7)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된 적어도 하나의 경계(1 또는 2) 또는 상기 경계(1 또는 2)에 근거하여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3, 4, 5, 6 또는 7)은 논리적 또는 가상적 구분일 수 있다. 또한, 광학 레이어(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3 또는 4) 또는, 제2 광학성 점착 부재(14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5, 6 또는 7)은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한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양한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학 구조에 기반한 주변광 발생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도 1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d를 통하여 언급되는 방향(예: 제1 방향,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은 전자 장치(100)를 기준한 상대적 방향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광학 레이어(120)의 적어도 일 영역(예: 배면 일 영역)에는 지정된 형상의 제1 광학 패턴(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광학 패턴(121a)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또는, 적어도 하나의 RGB 소자)과 중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과 중첩되는 제1 광학 패턴(121a)은 상기 픽셀(153)에 의하여 발광되는 광을 다양한 방향(또는, 각도)으로 확산(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로부터 발광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에 의하여 특정 입사각을 형성하며 광학 레이어(120)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은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 및 비활성 영역(152)이 향하는 제1 방향과 지정된 각도의 제1 둔각을 형성하며 제2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9) 및 상기 제1 방향과 지정된 각도의 제2 둔각을 형성하며 제3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표면(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둔각 및 제2 둔각은 상호 동일한 각도이거나 또는 상이한 각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9) 및 제2 표면(1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픽셀(153)로부터 발광된 광을 다방향 또는 다각도로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광학 패턴(121a)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의 형상에 대응하는 증착 레이어(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착 레이어(16)는 예컨대, 광 반사 특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커버 글라스(110)를 통해 입사되는 외부 광을 반사시켜 광택 또는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증착 레이어(16)의 하부로는 불투명 레이어(1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불투명 영역은 일측 표면이 상기 증착 레이어(16)(또는, 제1 광학 패턴(121a))의 형상에 대응하고 타측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탄(rigid)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레이어(120)의 배면을 제1 가공(예: 식각 등)하는 공정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4b를 참조하면, 광학 레이어(120)의 배면에는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기능하는 제2 광학 패턴(121b)이 포함된 별도의 시트(122)(또는, 레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122)는 지정된 공정(예: UV 몰딩)을 기반으로 광학 레이어(1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시트(122) 상에서 제2 광학 패턴(121b)은 예컨대, 제2 가공(예: 레이저 가공 또는 수치 제어 가공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 패턴(121b)은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의 제1 표면(9)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표면(11)(예: 제1 방향과 지정된 각도의 제1 둔각을 형성하며 제2 방향을 향하는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표면(12)(예: 제1 방향과 지정된 각도의 제2 둔각을 형성하며 제3 방향을 향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 패턴(121b)의 제3 표면(11) 및 제4 표면(1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광학 패턴(121a)의 제1 표면(9) 및 제2 표면(1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확산 또는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활성 영역(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또는, 적어도 하나의 RGB 소자)은 디스플레이(150)의 타 픽셀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세기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또는, 활성 영역(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별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커버 글라스(110) 내의 주변광 발현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50)의 타 픽셀에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광학 패턴(121)(예: 제1 광학 패턴(121a) 또는 제2 광학 패턴(121b))에 의하여 굴절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특정 입사각을 이루며 투명 소재의 광학 레이어(120) 내부로 입사된 후, 상기 광학 레이어(120)를 투과하며(또는, 광학 레이어(120) 및 제1 광학성 점착 부재(15)를 투과하며) 커버 글라스(110)로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입사각은 매질 간의(예: 광학 레이어(120), 제1 광학성 점착 부재(15) 및 커버 글라스(110)) 경계 영역에서 소정 변화되거나, 상기 매질 간의 입실론 특성이 유사한 경우 상기 입사각의 변화량은 미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글라스(110)로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매질(예: 공기)로 향하는 입사각이 임계각 이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을 이루는 광은 커버 글라스(110)의 블라인드 영역(112) 내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되는 광은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신장된 영역의 종단으로 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단에서는 디스플레이(150)의 구동(또는, 발광)에 따른 주변광이 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학 레이어(1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광학 패턴(121)은 전술된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신장 영역(또는, 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신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커버 글라스(110)의 블라인드 영역(112) 내에서 전반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장된 광학 패턴(121)에 의하여 방향 또는 각도가 변경되며 상술된 커버 글라스(110)의 종단 이외에도 상기 신장 영역에서 주변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광학 패턴(121)은 상술과 같이 신장되는 구조가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패턴(121)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 활성 영역(151)의 일부(예: 가장자리)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만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또 다른 다양한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앞선 설명과 중복되는 구조적 또는 기능적 구성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이한 구성이 중점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는 도 1의 A-A' 방향에 대한 단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도 4a의 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도 4a의 153) 이외에 별도의 광원으로써 기능하는 제1 발광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발광 모듈(190)은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또는, 측면)과 대면하는 브래킷(160)의 일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발광 모듈(190)은 LED 소자 및 디스플레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 모듈(190)은 상기 LED 소자 또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91)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150)의 구동과 함께 구동하여 주변광 발현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광학 레이어(120)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불투명 레이어(130)는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신장된 영역 종단에서 일부가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레이어(130)의 가장자리 영역(예: 불투명 영역)은 상기 광학 레이어(120)의 형상을 따라 신장된 후 브래킷(160)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영역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지점까지만 신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불투명 레이어(130)의 가장자리 영역은 지정된 지점까지 신장되고, 상기 브래킷(160)의 측면 또는 가장자리 영역의 높이가 상기 지정된 지점에 대응하여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발광 모듈(190)의 구동에 따른 광은 불투명 레이어(130)가 배제된 영역으로 입사된 후 광학 패턴(121)에 의하여 굴절(또는, 확산)되며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에 주변광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발광 모듈(190)의 구동은 디스플레이(150)의 구동 정보를 참조하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150)(또는,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의 발광 타이밍, 발광 세기 또는 발광 색상 등의 구동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발광 모듈(190)의 구동을 상기 디스플레이(150)의 구동 정보에 상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1 발광 모듈(190)의 LED 소자 또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91)은 디스플레이(150)의 구동과 무관하게 기능하여 커버 글라스(110)의 측면 영역에 주변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LED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발광 모듈(190)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제2 발광 모듈(1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모듈(192)은 예컨대, 디스플레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70)(예: 메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브래킷(160)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2 발광 모듈(192)의 구동에 의한 광이 도달하는 브래킷(160)의 일 영역에는 반사 부재(16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사 부재(161)는 제2 발광 모듈(192)에서 발광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 글라스(110)의 측면 영역을 향하는 방향 또는 각도로 굴절(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불투명 레이어(130)의 가장자리 영역(예: 불투명 영역)은 도 5a를 통하여 전술한 구조와 유사하게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 종단에서 일부 배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반사 부재(161)에 의하여 굴절된 광은 불투명 레이어(130)가 배제된 영역으로 입사된 후 광학 패턴(121)에 기반하여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에 주변광을 발현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5 광학 구조와 관련한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b를 통하여 전술된 제2 발광 모듈(도 5b의 192)은 구비되는 수량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전자 장치(10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량으로 구비되는 제2 발광 모듈(192a)은 디스플레이(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제1 인쇄 회로 기판(170a)의 일 영역(예: 가장자리)에 지정된 간격으로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수량에 상대적으로 많은 제2 수량으로 구비되는 제2 발광 모듈(192b)은 별도의 제3 인쇄 회로 기판(171) 상에 지정된 간격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인쇄 회로 기판(171)은 디스플레이(150)의 일 영역(예: 배면 가장자리)에 적층되어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인쇄 회로 기판(171)은 커넥터 또는 배선(172)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150)에 일체화된 제1 인쇄 회로 기판(17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인쇄 회로 기판(170b) 상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192b)의 실장이 배제되는 바,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170b)은 기능 수행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170a 또는 170b) 또는 제3 인쇄 회로 기판(171)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쇄 회로 기판(170a 또는 170b) 또는 제3 인쇄 회로 기판(171)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50)의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50)의 상부 영역으로도 연장 또는 적층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디스플레이(150)의 상부 영역으로 연장 또는 적층된 제1 인쇄 회로 기판(170a) 또는 제3 인쇄 회로 기판(171)에는 제1 수량 또는 제2 수량의 제2 발광 모듈(192a 또는 192b)이 실장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6 광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일 영역(예: 측면)에는 센서 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모듈(200)은 커버 글라스(110)의 신장된 영역과 대면하는 브래킷(160)의 일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투명 소재의 커버 글라스(110)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모듈(200)은 기능 수행(예: 센싱)과 관련하여 특정 구성요소(예: 불투명 레이어)와의 중첩이 배제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커버 글라스(110)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00)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150)의 활성 영역(도 4a의 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153)에서 발광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패턴(121)에 의하여 굴절(또는, 확산)되며 커버 글라스(110)의 내로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입사된 광의 일부는 커버 글라스(110)의 블라인드 영역(도 1의 112)에서 전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 매질(예: 공기)로 향하는 입사각이 임계각 미만이되어 커버 글라스(110)를 투과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수광부(201) 위치에 대응하는 커버 글라스(110)의 인접 영역(14)에 임의의 오브젝트(예: 사용자 손가락)가 접촉 또는 접근하는 경우, 상기 커버 글라스(110)를 투과한 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수광부(201)로 향하는 광의 특성(예: 광량 또는 광 세기 등)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센서 모듈(200)은 오브젝트의 접촉 또는 접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모듈(200)의 기능 동작(예: 오브젝트 감지)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와 관계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변광이 발현된 전자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a)의 전면이 지면을 향하여 거치되거나, 전자 장치(100b)의 사운드가 음소거 기능(또는, 진동 기능)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c)의 적어도 일 영역이 커버 액세서리(300) 등으로 차폐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지정된 이벤트(예: 통화 착신, 메시지 수신 또는 시스템 알림 등)의 발생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a, 100b 또는 100c)는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커버 글라스(도 4c의 110)의 블라인드 영역(도 4c의 112)에서 발현되는 주변광을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시각적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a, 100b 또는 100c)의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광 발현에 기인하는 광원(예: 디스플레이(도 4a의 150)의 활성 영역(도 4a의 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도 4a의 153), 제1 발광 모듈(도 5a의 190) 또는 제2 발광 모듈(도 5b의 192))의 구동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이 지정된 시간 동안 지속되거나(예: 통화 착신이 지속되는 상황) 또는,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예: 메시지 수신 또는 시스템 알림을 미확인하는 상황), 상기 주변광의 발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또는 지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원의 발광 세기, 광량, 발광 색상 또는 점멸 횟수 등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광원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주변광은 전자 장치(100d 또는 100e)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 또는 B)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d 또는 100e)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100d 또는 100e)에 탑재되거나 인스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색상과 관계된 인덱스(index)(또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탑재 또는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각마다 대표 색상(예: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배너 또는 테마 색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 중 비율이 가장 높은 색상)을 매핑하여 상기 인덱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또는, 실행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인덱스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색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칩(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을 통해 상기 주변광 발현에 기인하는 광원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광 발현에 기인하는 광원은 상기 식별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d 또는 100e)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자 장치(100d 또는 100e)의 가장자리 영역(또는, 디스플레이(1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커버 글라스(110)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150)의 비활성 영역(도 4a의 152)에 대응하는 커버 글라스(110) 영역)에는 예컨대, 스트립(strip) 형상의 주변광이 상기 식별된 색상(예: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상술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방향을 향하는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의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제1 둔각을 형성하며 제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제2 둔각을 형성하며 제3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와 상기 비활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레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광학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광학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광학 레이어는 상기 활성 영역 중 상기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3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4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5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광학 레이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측면과 대면하도록 휘어진(curbed)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는 상기 휘어진 영역과 휘어지지 않은(non- curbed) 영역이 실질적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광학 레이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레이어는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의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불투명 레이어는 상기 제1 발광 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영역으로 배치되는 제2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발광 모듈에 대면하는 일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발광 모듈에 의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평판(rigid)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 또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통하여 스트립 형상이 나타나도록,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컬러로 발광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평탄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방향을 향하는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발광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광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900)에서 전자 장치(901)는 근거리 무선 통신(998)을 통하여 전자 장치(902)와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999)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서버(908)을 통하여 전자 장치(9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버스(910),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입력 장치(950)(예: 마이크 또는 마우스), 표시 장치(990), 오디오 모듈(970), 센서 모듈(979, 인터페이스(977), 햅틱 모듈(979), 카메라 모듈(980), 전력 관리 모듈(988), 및 배터리(989), 통신 모듈(990), 및 가입자 식별 모듈(999)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9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990) 또는 카메라 모듈(98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910)는, 구성요소들(920-99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SoC(system on chip) 또는 SiP(system in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9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932)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93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휘발성 메모리(9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93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예: DRAM, SRAM, 또는 SDRAM)로 구성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934)는, 예를 들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TPROM(one time P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 휘발성 메모리(934)는, 전자 장치(90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내장 메모리(939), 또는 필요 시에만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외장 메모리(938)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938)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938)는 유선(예: 케이블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예: Bluetooth)을 통하여 전자 장치(9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프로그램(94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940)은, 예를 들면, 커널(941), 라이브러리(943),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9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interchangeably "어플리케이션")(9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로 연결되거나, 표시 장치(990)를 통해 가상 키보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990)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interchangeably "for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7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970)은, 입력 장치(950)(예: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901)에 포함된 출력 장치(미 도시)(예: 스피커 또는 리시버, 또는 전자 장치(9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예: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헤드폰) 또는 전자 장치(909)(예: 유선 스피커 또는 유선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9)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도, 습도, 또는 밝기)를 계측 또는 감지하여, 그 계측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9)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또는 HRM(heartbeat rate monitoring) 센서, 후각(electronic nose)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9)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 또는 프로세서(920)와는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979)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920)를 깨우지 않고 별도의 프로세서의 작동에 의하여 센서 모듈(979)의 동작 또는 상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7)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D-sub(D-subminiatur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978)는 전자 장치(901)와 전자 장치(909)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978)는, 예를 들면,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979)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운동 감각과 관련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또는 전면 렌즈 및 후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예: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88)은 전자 장치(901)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989)는, 예를 들면,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재충전되어, 상기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902), 제2 외부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 간의 통신 채널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은 무선 통신 모듈(992) 또는 유선 통신 모듈(994)을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998)(예: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999)(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992)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radio frequency), 또는 BAN(body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992)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999)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992)은 프로세서(920)(예: AP)와 별개인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P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920)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920)를 대신하여, 또는 프로세서(920)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920)과 함께,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910-999)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992)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994)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99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9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902)간의 무선으로 직접 연결을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할 수 있는 Wi-Fi 다이렉트 또는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99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9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904)간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예: LAN(local area network)나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또는 텔레폰(telephon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명령 또는 상기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908)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9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902, 904) 각각은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904), 또는 서버(908)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902, 904), 또는 서버(908))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904), 또는 서버(908))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9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6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제1 방향을 향하는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의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제1 둔각을 형성하며 제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 표면 및 상기 제1 방향과 제2 둔각을 형성하며 제3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교번적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와 상기 비활성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레이어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구성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광학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레이어는,
    상기 활성 영역 중 상기 가장 자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3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4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대응하는 제5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레이어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측면과 대면하도록 휘어진(curbed)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휘어진 영역과 휘어지지 않은(non- curbed) 영역이 실질적 수직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레이어는,
    상기 윈도우의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레이어는,
    상기 제1 광학 레이어의 상기 연장되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윈도우의 상기 휘어진 영역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레이어는,
    상기 제1 발광 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 영역으로 배치되는 제2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발광 모듈에 대면하는 일 영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발광 모듈에 의한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평판(rigi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과 관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 또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통하여 스트립 형상이 나타나도록,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 자리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컬러로 발광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윈도우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accommodate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레이어는,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면하는 표면 영역 중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평탄하지 않게 형성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170078924A 2017-06-22 2017-06-22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0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24A KR102401819B1 (ko) 2017-06-22 2017-06-22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18821496.9A EP3628073B1 (en) 2017-06-22 2018-05-0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tructure
PCT/KR2018/005261 WO2018236049A1 (en) 2017-06-22 2018-05-08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PTICAL STRUCTURE
US15/974,132 US10788908B2 (en) 2017-06-22 2018-05-0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924A KR102401819B1 (ko) 2017-06-22 2017-06-22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64A true KR20190000064A (ko) 2019-01-02
KR102401819B1 KR102401819B1 (ko) 2022-05-26

Family

ID=6469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924A KR102401819B1 (ko) 2017-06-22 2017-06-22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88908B2 (ko)
EP (1) EP3628073B1 (ko)
KR (1) KR102401819B1 (ko)
WO (1) WO20182360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84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 방법
WO2021236966A1 (en) * 2020-05-22 2021-11-25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137B1 (ko) * 2017-11-17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라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89394B2 (en) * 2018-01-09 2021-04-27 OLEDWorks LLC Thin OLED lighting module
CN110161733A (zh) * 2018-02-14 2019-08-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TWI696911B (zh) 2019-04-15 2020-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20200409191A1 (en) * 2019-06-28 2020-12-31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Enhancement film for under-screen optical fingerprint sensor
US11513554B1 (en) * 2019-08-23 2022-11-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borders of image transport material
US11747553B1 (en) * 2019-09-25 2023-09-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inhomogeneous image transport layers
US11650368B1 (en) * 2019-12-05 2023-05-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 optical coupling layer and diffractive layer
CN111294435B (zh) * 2020-02-24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13497853B (zh) * 2020-04-02 2023-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可移动组件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651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50212626A1 (en) * 2012-02-23 2015-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04280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트레이스 곡면 및 휘어진 측면 터치 제어가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장치 및 구동방법
US20170092703A1 (en) * 2015-09-30 2017-03-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8942B2 (en) 2003-01-23 2009-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guide plate with light reflection pattern
KR20080043541A (ko) * 2006-11-14 2008-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167418B1 (ko) * 2010-09-20 2012-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저항막식 터치스크린
US20130083080A1 (en) 2011-09-30 2013-04-04 Apple Inc. Optical system and method to mimic zero-border display
WO2014011389A2 (en) 2012-07-13 2014-01-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US9435939B2 (en) 2012-08-02 2016-09-06 Apple Inc. Displays with coherent fiber bundles
US8976324B2 (en) 2012-07-13 2015-03-10 Apple Inc. Displays with optical fiber layers
US20140092346A1 (en) 2012-09-28 2014-04-03 Apple Inc. Borderless Display with Light-Bending Structures
US9335510B2 (en) 2012-09-28 2016-05-10 Apple Inc. Display with electromechanical mirrors for minimizing display borders
KR102145280B1 (ko) 2013-12-30 2020-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5921B1 (ko) 2015-03-02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242810B (zh) * 2015-10-29 2019-04-1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KR101766978B1 (ko) * 2015-12-01 201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185064B2 (en) *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651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50212626A1 (en) * 2012-02-23 2015-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04280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트레이스 곡면 및 휘어진 측면 터치 제어가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장치 및 구동방법
US20170092703A1 (en) * 2015-09-30 2017-03-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84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 방법
WO2021236966A1 (en) * 2020-05-22 2021-11-25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US11982431B2 (en) 2020-05-22 2024-05-14 Lumileds Llc LED light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8908B2 (en) 2020-09-29
KR102401819B1 (ko) 2022-05-26
EP3628073A1 (en) 2020-04-01
EP3628073A4 (en) 2020-05-06
WO2018236049A1 (en) 2018-12-27
US20180373370A1 (en) 2018-12-27
EP3628073B1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819B1 (ko)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590250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US1068465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odule mounted in sunken area of layer
US11527097B2 (en) Method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566717B1 (ko) 생체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45245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iosensor
KR20190098537A (ko)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01055A (ko)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22809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ing structure of display panel
KR20180046788A (ko) 지문 센서에 입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장치
KR10254819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시선 추적 방법
KR20170087635A (ko) 전자 장치의 센서 배치 구조
US1015759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KR20180109390A (ko)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59135B2 (en) Optica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5892572B (zh) 用于显示内容的方法和装置
US1111960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using Fresnel lens
US11894602B2 (en) Antenna structure formed in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