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62U -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62U
KR20190000062U KR2020170003352U KR20170003352U KR20190000062U KR 20190000062 U KR20190000062 U KR 20190000062U KR 2020170003352 U KR2020170003352 U KR 2020170003352U KR 20170003352 U KR20170003352 U KR 20170003352U KR 20190000062 U KR20190000062 U KR 20190000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column
cornerstone
control un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공
Original Assignee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70003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062U/ko
Publication of KR20190000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05B33/0872
    • H05B37/02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는, 내부통로를 가지는 기둥모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통로와 연통되는 초석모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의 광색을 조절 가능한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둥모형 및 상기 초석모형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COLUMN-GROUNDING STONE MODEL OF TRADITIONAL HOUSE}
본 고안은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석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부터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이 외부로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둥모형의 하중이 초석모형에 균등하게 분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석(礎石)은 주초(柱礎)라고도 하며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원시시대 움집은 초석 없이 기둥을 땅에 박아 세우는 굴립주 건축이 일반적이었다. 굴립주는 기둥이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기둥이 잘 썩기 때문에 이음과 맞춤법이 발달하고 건물이 지상화하면서 지금과 같이 초석이 널리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움집에서도 땅속에 초석을 놓고 굴립주를 세우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초석의 사용은 건물이 지상화되기 훨씬 이전부터 사용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초석은 지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민족적 정서에 따라 많은 조각과 장식이 베풀어지기도 하며 재료도 돌이 일반적이지만 나무 초석이 있으며 흙으로 구운 테라코타를 사용한 사례도 볼 수 있다. 나무 초석은 현재 한국에 남아있지 않지만 건조하고 목재가 풍부한 인도 히말라야산 근처 히마찰프라데쉬주의 아디브라마 사원에서 볼 수 있다. 또 일본 가마쿠라를 비롯한 고대 사원건축에서 간간히 보인다. 테라코타 초석은 건물은 없어졌지만 일본 호류지 건물지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습기 때문에 현재는 모두 돌로 만든 초석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초석모형과 기둥모형을 이용하여 한국 전통가옥의 제작과정과 조립작업을 통해서 사람들의 전통가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석모형과 기둥모형은 전통가옥을 모형으로나마 조립해 본다는 것 외에는 다른 활용도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4192호(2015.02.06.)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통가옥의 모형을 조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도 활용 가능한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둥모형의 하중이 초석모형에 균등하게 분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는, 내부통로를 가지는 기둥모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통로와 연통되는 초석모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의 광색을 조절 가능한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둥모형 및 상기 초석모형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는, 상기 초석모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중을 측정한 하중값을 각각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복수의 하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값들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조명부의 광색을 기설정된 광색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센서는 4개이며, 상기 초석모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석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부터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기둥모형의 하중이 초석 모형에 균등하게 분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다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중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다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제어블럭도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1)는 LED 조명으로부터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부(11), 제어부(13), 스위치(15), 전원부(17)를 포함한다.
초석모형(10)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상부는 기둥모형(20)의 내부통로(20a)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된 조명부(11)로부터 발생한 빛은 내부통로(20a)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초석모형(10)은 내부공간의 빛이 외부로 발광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투명한 플라스틱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1)는 초석모형(10)의 내부공간에 기둥모형(20)의 내부통로(20a)에 대향 하도록 설치되며, 엘이디 조명이 사용될 수 있다.
기둥모형(2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통로(20a)를 가진다. 기둥모형(20)은 하단이 초석모형(10)의 개방된 상부에 연결되며, 내부통로(20a)는 초석모형(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기둥모형(20)은 내부통로(20a)의 빛이 외부로 발광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투명한 플라스틱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는 조명부(11) 및 스위치(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명부(11)의 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17)는 제어부(13)와 전원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3)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전원부(15)는 스위치(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결합봉(30)에는 전통가옥의 지붕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전통가옥 모형의 조립을 돕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중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1')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조명장치(1)에 4개의 하중센서(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19)는 제어부(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중을 측정한 하중값을 제어부(13)에 전송할 수 있다. 하중센서(19)는 초석모형(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초석모형(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90°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하중센서(19)에서 측정한 하중값들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예를 들면, 0, 0.5[g]) 미만이라면 기둥의 하중이 균등히 분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는 조명부(13)의 광색(빛의 색깔)을 제1설정 색(예를 들면 파란색)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하중센서(19)는 스위치(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15)의 온/오프에 따라서 하중센서(19)의 전원은 공급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제어부(13)는 하중센서들(19)로부터 수신한 하중 값들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조명부(13)의 광색(빛의 색깔)을 제2설정 색(예를 들면 붉은색)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조명부(13)가 제2설정 색으로 발광하는 것을 보고 기둥의 하중 값들이 균등하게 분산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설정 색이 상기 제1설정 색으로 바뀔 때까지 기둥모형(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기둥모형(20)의 하중이 초석모형(10)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는 초석모형 내부에 설치된 LED 조명으로부터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기둥모형의 하중이 초석 모형에 균등하게 분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조명장치 10: 초석모형
11: LED 13: 제어부
15: 전원부 17: 스위치
19: 하중센서 20: 기둥모형
20a: 광통로 30: 결합봉

Claims (5)

  1. 내부통로를 가지는 기둥모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통로와 연통되는 초석모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의 광색을 조절 가능한 제어부;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 가능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기둥모형 및 상기 초석모형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는,
    상기 초석모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중을 측정한 하중값을 각각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복수의 하중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값들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상기 조명부의 광색을 기설정된 광색으로 변환시키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중센서는 4개이며, 상기 초석모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KR2020170003352U 2017-06-28 2017-06-28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KR201900000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52U KR20190000062U (ko) 2017-06-28 2017-06-28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352U KR20190000062U (ko) 2017-06-28 2017-06-28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62U true KR20190000062U (ko) 2019-01-07

Family

ID=6501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52U KR20190000062U (ko) 2017-06-28 2017-06-28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06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640A (ko) 2021-03-31 2022-10-07 (주)참건강한세상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하는 대장내시경 바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192A (ko)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기초석과 기둥의 고정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192A (ko) 2013-07-29 2015-02-0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기초석과 기둥의 고정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640A (ko) 2021-03-31 2022-10-07 (주)참건강한세상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하는 대장내시경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5766A3 (en) Automatic faucet with polarization sensor
DE602005008640D1 (de) Spielzeugbaukasten mit funktionsbauklötzen
ATE438449T1 (de) Hausbauspielzeug
KR20190000062U (ko) 전통가옥의 기둥-초석 모형 조명장치
NL192625B (nl) Veelhoekig houten gebouw.
DE60313410D1 (de) Herstellung von MEMS-Bauelementen mit Spin-on-Glass
HUP0202896A2 (en) Greenhouse as well as roof element for such a greenhouse having increased light transmission
JP2009508727A5 (ko)
CN205314467U (zh) 一种地板
CN204728643U (zh) 一种新型竹地板
CN203837716U (zh) 单模组激光照射圆锥形反光水平激光线坠
DE202013000776U1 (de) Pflanzgefäß mit integrierter LED-Lichterkette
CN207633644U (zh) 设大理石表面的钢筋混凝土立柱
JP3128872U (ja) 床材、壁材、もしくは天井材用板状体
EP1443567A3 (en) Modular emitt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3273685U (zh) 一种led地砖面罩及地砖
KR20160009917A (ko) 꽃다발
CN206873796U (zh) 组合式多功能木制楼梯立柱
CN104296057A (zh) 一种通体发光砖灯
ITPG20020023A1 (it) Cono grande per evaporarazione acqua con lenti in parete e per far sollevare il vapore a qualunque altezza.
US2297153A (en) Scenic well
CN203907329U (zh) Led装饰灯
KR200211919Y1 (ko) 용암석 원목타일
DE60227734D1 (de) Pneumatischer Schrauber mit Begrenzung der Einschraubtiefe
KR200382376Y1 (ko) 조경용 조립식 관절형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