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015A -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015A
KR20190000015A KR1020170078644A KR20170078644A KR20190000015A KR 20190000015 A KR20190000015 A KR 20190000015A KR 1020170078644 A KR1020170078644 A KR 1020170078644A KR 20170078644 A KR20170078644 A KR 20170078644A KR 20190000015 A KR20190000015 A KR 2019000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section
body portion
closed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0045B1 (en
Inventor
정경수
최인락
고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04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beam, which includes: a main body part extended and formed longitudinally and having an inner space; a section plate part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to be inserted through both end sides of the main body part and installed to be able to control a longitudinal loca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a hollow section formed on the center area of the main body part and hollowing the inner space divided by the section plate part; and an infill area formed on the end area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n infilled concrete in the inner space.

Description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tructure,

본 발명은 시공상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eam and a bottom structure having improved working efficiency in construc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폐단면의 합성보를 기둥부재에 접합할 경우, 폐단면의 내부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없다.When the composite beam of the closed end face is joined to the column member, the operator's hand can not enter the closed end face.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기둥부재에 폐단면 합성보의 단부를 용접접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폐단면 용접에 작업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의 차이에 따라 용접부의 품질 및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ase, a method of welding the ends of the closed end surface composite beams to the column member is us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welded part due to the difference in skill of the operator, .

그리고, 폐단면 합성보와 기둥부재간의 접합에 볼트 체결을 하는 경우, 폐단면 내에 손을 넣기 위해서 폐단면을 절개하여 따내고, 볼트 체결을 한 다음에 따낸 부분을 강판 등으로 용접접합하여 보강해야는 점에서 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bolt is fastened to the joint between the end face composite beam and the column member, the closed end face is cut in order to insert a hand into the closed end face, and the bolted fastener is to be joi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efficiency in the field is remarkably lowered.

본 발명의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20444호(명칭: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출원인: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출원일: 2002.08.30)가 있다.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20444 (the name of the joining structure of columns and H-shaped steel beams in steel frame structures and the joining method thereof, Applicant: POSTECH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filed on August 30, 2002)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보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충전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합성보를 경량화하면서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A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e beam capable of improving the load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mposite beam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기둥과 합성보의 연결상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beam having improved working efficiency in connection with a column and a composite b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길이방향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판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부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이 중공된 중공구간;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충전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충전구간;을 포함하는 합성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 partition plate portion inserted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portion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o be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hollow spac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plate portion; And a filling section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main body section and having filling concrete formed in an inner space thereof.

바람직하게, 본체부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have a closed end portion having a hollowed trapezoidal cross s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 보다 폭이 넓은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를 연결하여 폐단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의 단부에 지지플랜지를 형성하면서 접합되는 측면판;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ody portion comprises: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spaced below the upper plate and wider than the upper plate; And a side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orm a closed end face portion and to be joined while forming a support flange at an end portion of the lower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작업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se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operation hole into which the operator's hand can enter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충전구간은 상기 작업홀의 주변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보강링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lling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ng frame installed to reinforce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바람직하게,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상단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폐단면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harging sectio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t least the air inside the closed end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양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작업홀이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작업홀의 주변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획판부를 고정하는 고정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harging section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work hole into which the operator's hand can ent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on both sides, And a stationary iron piece for fixing the partition plate portion.

바람직하게, 고정철물은, 상기 구획판부의 설치철물과 교차되게 고정되는 고정봉강; 및, 상기 고정봉강의 양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작업홀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작업홀의 주변에 고정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철물;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tationary steel member comprises: a stationary bar member fixed to intersect with the mounting hardware of the partition plate portion; And a pair of insertion hardware hing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arrel,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work hole, and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바람직하게, 구획판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구간과 상기 충전구간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판부재; 및, 상기 격판부재에서 상기 본체부의 단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치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tion plate portion includes a diaphragm member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nd defining a space between the hollow section and the filling section; And an installation hardware extending from the diaphragm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 구획판부는, 상기 격판부재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설치철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구간의 작업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립철근이 고정되는 고정링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artition plat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ionary ring iron piec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unting hardware provided on the diaphragm member, and a buried reinforcing bar provided through the work hole of the charging section is fix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합성보; 복수 개의 상기 합성보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슬라브;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를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ck plat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site beams; And a slab installed on the deck plate to form a bottom plate.

바람직하게, 구조부재는 기둥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합성보의 단부가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둥접합철물과 맞대진 상태에서 보강판을 매개로 볼트 체결되거나, 상기 합성보의 단부가 상기 기둥접합철물과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tructural member is provided as a pillar member, and the end of the composite pillar is bolted to the column via a reinforcing plate in a state of being abutted against the column-joining pie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So that the bolts can be fasten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구획판부의 위치를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충전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충전구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합성보를 경량화하면서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adjust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where the filling concrete is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load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we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과 합성보의 연결상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ing efficienc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mposite beam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가 기둥부재에 접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구획판부의 위치조절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접합상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와 기둥부재의 접합상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와 큰보의 접합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nded to a column member.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of the composite member and the column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etails of joining of a composite member and a column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details of joining of a composite member and a pillar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details of joining a composite beam and a larg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site bea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10)는 본체부(100), 구획판부(200), 중공구간(300) 및, 충전구간(4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고정철물(5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8, a synthetic bea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partition plate 200, a hollow section 300, and a charging section 400, And may further include fixed hardware 5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길이방향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판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부(20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이 중공된 중공구간(3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충전콘크리트(410)가 형성되는 충전구간(400)을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1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ner space 100, which is inserted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A partition plate part 200 which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so as to be adjustabl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partition plate part 200 which is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main body part 100, The partitioned internal space may include a hollow hollow section 300 and a filling section 400 formed in the end region of the body section 100 and formed with a filled concrete 410 in the internal space.

본 발명의 합성보(10)의 설치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composite bea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먼저, 본체부(100)와 구획판부(200)를 제작하여 준비한다.First, the main body 100 and the partition plate 200 are prepared and prepared.

다음으로,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통해 구획판부(200)를 삽입하여 상기 중공구간(300)과 상기 충전구간(400)을 구획하는 구획판부(200)를 설치한다.A partition plate 200 is provided to partition the hollow section 300 and the charging section 400 by inserting the partition plate section 200 through both ends of the body section 100.

이때, 합성보(10)의 단부영역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충전구간(40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구획판부(200)의 설치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40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end region of the synthetic bobbin 10. Thu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200 in the body 100 can be determined have.

다음으로, 구획판부(200)가 설치된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기둥부재(20) 등의 구조부재에 연결한다.Next,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provided with the partition plate portion 200 are connected to the structural member such as the pillar member 20 or the like.

이때, 본체부(100)는 기둥부재(20)의 기둥접합철물(21)과 볼트 등의 체결부재(F)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lumn connecting hardware 21 of the column member 20 by a fastening member F such as a bolt.

다음으로, 복수 개의 상기 합성보(10)에 데크플레이트(30)를 거치하여 데크플레이트(30) 설치한다.Next, a deck plate (30)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the composite beams (10) to install a deck plate (30).

다음으로, 데크플레이트(30)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충전구간(400)을 충전하여 슬라브(40)를 타설한다.
Next, concret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ck plate 30, and the charging section 400 is filled to pour the slab 4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양측의 기둥부재(20)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0)는 기둥부재(20)에 설치된 기둥접합철물(21)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100 can be joined to the pillars 20 on both sides.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be installed in the column connecting hardware 21 provided on the pillar member 20.

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부재가 접합되지 않고,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can be integrally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joining a plurality of members.

즉, 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용접 접합 등의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일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main body 10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etal material which is not bonded in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weld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D)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closed end portion D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ich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hollow interior.

본체부(100)는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일례로 본체부(100)는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공형의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 hollow trapezoidal cross section.

본체부(100)의 하측영역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본체부(100)의 상측영역에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하측영역을 크고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구조를 지지할 수 있다.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100 and a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lower region is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large cross section, have.

일례로, 본체부(100)는 등변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D)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closed end portion D having an isosceles trapezoidal cross section.

본체부(100)는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D) 및, 상기 폐단면부(D)의 하측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구조부재의 거치영역을 형성하는 지지플랜지(131)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closed end portion D having a hollowed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 support flange 131 extending from both lower ends of the closed end portion D to form a mounting region of the structural member.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부(100)는 지지플랜지(131)를 포함하지 않고 폐단면부(D)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main body 100 may not include the support flange 131 but may include only the closed end portion D, though not show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1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110) 보다 폭이 넓은 하부판(130) 및, 상기 상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30)의 사이를 연결하여 폐단면부(D)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130)의 단부에 지지플랜지(131)를 형성하면서 접합되는 측면판(150)을 구비할 수 있다.
2,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and a lower plate 130 spaced below the upper plate 110 and wider than the upper plate 110, A side plate 150 connected to the top plate 110 and the bottom plate 130 to form a closed end portion D and a supporting flange 131 formed at an end of the bottom plate 130, .

본체부(100)의 하측영역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본체부(100)의 상측영역에 압축력이 작용하므로, 하측영역에 폭이 넓은 하부판(130)을 배치하고, 상측영역에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상부판(110)을 배치하고, 상부판(110)과 하부판(130)을 한 쌍의 측면판(150)으로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면서 합성보(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100 and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a lower plate 130 having a larger width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side plates 150 to form a trapezoidal cross section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used,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load.

상부판(110), 하부판(130), 측면판(15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부판(110), 하부판(130), 측면판(150)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p plate 110, the bottom plate 130 and the side plates 15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op plate 110, the bottom plate 130 and the side plates 150 may be formed in corresponding lengths. have.

상부판(110)과 하부판(130)의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부판(110)과 하부판(130)의 사이는 측면판(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ide plate 15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30.

이때, 상부판(110)과 측면판(1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판(150)의 하단에 하부판(130)이 용접 접합되면서 본체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10 and the side plate 15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lower plate 130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50, so that the body 100 can be constructed.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상부판(110)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측면판(150)이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측면판(150)의 하단과 하부판(130)이 용접 접합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폐단면부(D)를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150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p plate 110.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150 and the lower plate 130 are welded and welded,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can be formed.

즉, 상부판(110)과 한 쌍의 측면판(150)에 의해 하측이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하측에 평판형의 하부판(130)이 접합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D)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50 may have a trapezoidal cross section opened at the lower side, and a lower plate 130 of a flat plate shape may be joined at the lower side, A surface portion D may be formed.

물론,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is not limited to the trapezoidal cross section.

일례로, 측면판(150)이 본체부(100)의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사다리꼴의 빗변이 내측로 만곡진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de plates 150 may be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iagonal of the trapezoid may be curved inward.

그리고, 측면판(150)이 하부판(130)의 폭방향 단부에서 이격된 부분 접합되면서, 하부판(130)의 폭방향 양단부에 구조부재가 거치되는 지지플랜지(131)가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flange 131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30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the side plates 150 are partially bonded to the lower plate 130 in the width direction.

일례로, 지지플랜지(131)에는 슬라브(40)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과, 구조부재의 역할을 하는 데크플래이트가 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flange 131 may be mounted with a deck plate serving as a mold for casting the slabs 40 and a structural memb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00)는 본체부(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artition plate 200 can b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00)에 의해 본체부(100)는 중공구간(300)과 충전구간(400)으로 구획될 수 있다.
3A and 3B, the main body 100 may be partitioned into a hollow section 300 and a filling section 400 by the partition plat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보(10)와 기둥부재(20)의 구획판부(200)의 위치조절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A and 4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composite plate 10 and the partition plate 200 of the column memb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00)는 중공구간(300)과 상기 충전구간(400)을 구획하고,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설치위치가 조절되면서 충전구간(400) 및 중공구간(3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4A and 4B, the partition plate 200 divides the hollow section 300 and the filling section 400 and adjusts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e lengths of the charge section 400 and the hollow section 300 can be adjusted.

구획판부(200)의 길이방향 설치위치 조절방법은 작업자가 구획판부(200)의 설치철물(230)을 잡은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통해 구획판부(200)를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의 내부로 삽입하여 구획판부(200)의 격판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wise mounting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200 is a method in which the operator divides the partition plate 200 into the main body 100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while holding the mounting hardware 230 of the partition plate 200,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member 210 of the partition plate 200 can be adjusted.

합성보(10)의 단부영역에는 부모멘트가 작용하여 상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하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In the end region of the composite beam 10, a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moment.

그리고, 합성보(10)의 중앙영역에는 정모멘트가 작용하여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한다.The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mposite beam 10, the longitudinal stress acts on the upper portion, resulting in compressive stress in the upper portion and tensile stress in the lower portion.

따라서, 단부영역에만 충전콘크리트(410)를 형성하여 합성보(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충전콘크리트(410)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한 내력조건에서 합성보(10)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weight of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reduced under the same proof condi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lled concrete 410 is formed only in the end portion region and the filled concrete 410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10.

특히, 합성보(10)에 가해지는 진동에 대해서 중량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영역에 형성된 충전구간(40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충전콘크리트(410)의 중량을 늘릴 수 있다.4B, when the weight of the charged concrete 410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400 formed in the end region, Can increase.

충전구간(400)에 충전된 충전콘크리트(410)에 의해 합성보(10)의 단부영역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전단강성을 향상시켜 합성보(10)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oad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beam 10 by improving the shear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oad acting on the end region of the composite beam 10 by the filled concrete 410 filled in the filling section 400.

또한, 본 발명의 합성보(10)는 구획판부(200)의 길이방향 위치의 조절을 통해 충전구간(4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합성보(10)의 단부영역을 필요한 만큼만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mposite bea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end region of the composite beam 10 only as need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400 by adjusting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partition plate 20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구간(300)과 상기 충전구간(400)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판부재(210) 및, 상기 격판부재(210)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치철물(230)을 포함할 수 있다. 2, the partition plate portion 200 includes a diaphragm member 210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00 and partitioning the hollow section 300 and the charging section 400, And a mounting hardware 230 extending from the diaphragm member 210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main body 100.

격판부재(210)는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aphragm member 210 may be provided in a trapezoid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body portion 100. [

이때, 격판부재(210)는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의 내주면에서 미세한 공차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phragm member 210 is made to have a small toleranc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and can be easily inserted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중공구간(30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지만, 격판부재(210)와 폐단면부(D)의 내주면과의 미세한 공차를 통한 미량의 충전콘크리트(410)가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mall amount of the filled concrete 410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minute clearance between the diaphragm member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losed end portion D although the concrete is not poured into the hollow section 300.

작업자가 설치철물(230)을 잡은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양단부를 통해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의 내부로 삽입하여 격판부재(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member 210 by inserting the diaphragm member 210 into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while holding the mounting hardware 23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부(200)는, 상기 격판부재(2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설치철물(2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구간(400)의 작업홀(43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립철근(41)이 고정되는 고정링철물(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5, the partition plate portion 200 is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the mounting hardware 230 provided on the diaphragm member 210, and passes through the operation hole 430 of the charging section 400 And a fixed ring iron 250 to which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41 is fixed.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부재(210)에는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설치철물(230)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a plurality of mounting hardware 230 may be formed on the diaphragm member 210 in the height direction.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철물(250)은 높이방향으로 이겨 설치되는 2 개의 설치철물(230)의 사이를 연결하고, 작업홀(43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립철근(41)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5 (b), the stationary ring iron 250 is connected to two mounting hardware 230 which are installed in a height direction and installed through the work hole 430 The buried reinforcing bar 41 can be penetrated and fixed.

매립철근(41)은 작업홀(43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격판부재(210)의 설치철물(230)과 매립철근(41)이 교차되면서 결합되면서 내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41 may be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work hole 430 and the reinforcing steel bars 230 of the diaphragm member 210 and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41 may be combined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to improve the proof strength.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간(300)은 본체부(10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부(20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이 중공된 영역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llow section 300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is a hollow region.

중공구간(300)은 본체부(100)의 양단부에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구획판부(200)에 의해 충전구간(400)과 구획될 수 있다.The hollow section 300 may be partitioned from the charging section 400 by a pair of partition plates 200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0.

중공구간(300)과 충전구간(400)의 경계가 구획판부(200)에 의해 구획되면서 중공구간(300)의 중공부(310)의 내부로는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없다.The boundary between the hollow section 300 and the filling section 400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00 so that the concrete can not flow into the hollow section 310 of the hollow section 300.

중공구간(300)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 전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중공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low section 300 may b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310 in which no concrete is poured over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100.

다만, 중공구간(300)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지만, 격판부재(210)와 폐단면부(D)의 내주면과의 미세한 공차를 통한 미량의 충전콘크리트(410)가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mall amount of the filled concrete 410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minute clearance between the diaphragm member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osed end portion D, though concrete is not poured into the hollow section 300.

그리고, 충전구간(400)에 작업홀(430) 등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과는 달리, 중공구간(300)은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such as the work hole 430 is formed in the charging section 400, the hollow section 300 can form a closed end face without the opening por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충전콘크리트(410)가 형성되는 영역이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it is a region formed in the end reg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lled concrete 41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충전구간(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인 중공구간(300)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충전콘크리트(410)가 타설될 수 있다.The filling section 400 may extend from both end portions of the hollow section 300, which is an end reg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lled concrete 410 may be installed therein.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서 구획판부(200)의 위치를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충전콘크리트(410)가 형성되는 충전구간(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합성보(10)를 경량화하면서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artition plate 200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is adjust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lling section 400 in which the filling concrete 410 is form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improved.

충전구간(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작업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section 400 is formed at least on one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with an operation hole 430 into which the operator's hand can ent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를 형성하는 양측의 측면판(150)의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side plates 150 on both sides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충전구간(400)이 길게 형성될 경우, 작업홀(430)은 본체부(100)의 측면판(15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작업홀(430)을 선택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손을 진입시켜 합성보(10)와 기둥부재(20)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F)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charging section 400 is long, a plurality of work holes 430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150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ynthetic bobbin 10 and the pillar member 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F such as a bolt.

그리고, 합성보(10)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40)를 형성시, 복수 개의 작업홀(430)을 통해 내부로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slab 40 is formed by placing the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10, the concrete can easily flow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plurality of work holes 430.

작업홀(430)은 측면판(150)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적어도 100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work hole 430 is formed through the side plate 150 and can form a circular hole having a diameter of at least 100 mm or more.

또한, 작업홀(430)은 측면판(150)의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형상의 홀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 hole 430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50.

일례로, 작업홀(430)은 높이가 100mm 이상이고, 측면판(150) 길이방향으로 150m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장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ork hole 430 may have a length of 100 mm or more and a length of 150 mm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late 150.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를 형성하는 일측의 측면판(15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ide plate 150 may be installed through one side plate 150 forming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작업자가 작업홀(430)을 통해 손을 넣어 충전구간(400)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기둥부재(20)에 형성된 기둥접합철물(21)과 연결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orming the charging section 400 can be connected to the column connecting hardware 21 formed on the pillar member 20 by inserting the hand through the work hole 430 hav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홀(430)을 통해 손을 넣어 충전구간(400)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의 상면과 하면 각각을 기둥부재(20)에 형성된 기둥접합철물(21)과 연결할 수 있어 기둥부재(20)와 합성보(10)의 연결작업의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forming the charging section 400 by inserting the hand through the work hole 430 are formed on the pillar member 20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onnection efficiency between the column member 20 and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improved.

기둥접합철물(21)은 스티프너 또는 외다이어프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작업홀(430)을 통해 기둥접합철물(21)과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에 볼트를 체결하여 합성보(10)를 기둥부재(20)에 고정할 수 있다.The column joint metal member 21 may be formed of a stiffener or an outer diaphragm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lumn joint metal member 21 through the operation hole 430 and a bolt (not shown) So that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fixed to the column member 20.

그리고, 기둥부재(20)에 합성보(10)가 연결되고 데크플레이트(30)가 합성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슬라브(40)가 형성될 경우, 작업홀(430)을 통해 충전구간(40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충전콘크리트(410)가 형성될 수 있다.When concrete is inserted and the slabs 40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composite beam 10 is connected to the column member 20 and the deck plate 30 is installed in the composite beam 10, The concrete may flow into the section 400 to form the filled concrete 410.

기둥접합철물(21)과 충전구간(400)을 형성하는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이 볼트 체결된 상태에서 충전콘크리트(410)가 형성됨으로써, 설치된 볼트의 풀림이 방지되면서 기둥부재(20)와 합성보(1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lling concrete 410 is formed in a state where the end regions of the main body 100 forming the column jointing hardware 21 and the filling section 400 are bolted together to prevent the bolts from being loosened, And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구간(400)은 상기 작업홀(430)의 주변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보강링프레임(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charging section 400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ng frame 450 installed to reinforce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430.

보강링프레임(450)은 작업홀(430)의 주변을 보강하도록 용접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ring frame 450 may be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so as to reinforce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430.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간(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 상단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폐단면부(D)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470)이 형성될 수 있다.3B, the charging section 400 includes a discharge hole 470 through which at least the air inside the closed end portion 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Can be formed.

일례로, 상부판(110)과 측면판(150)의 양측 경계에 각각 하나 이상의 배출홀(470)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discharge holes 470 may be formed at both side edges of the top plate 110 and the side plate 15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상부판(110)과 측면판(150)의 양측 경계에 형성됨으로써, 측면판(150)을 따라 상승하는 공기가 상부판(110)과 측면판(150)의 경계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that rises along the side plate 150 can be more easily guided through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110 and the side plate 150 by being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op plate 110 and the side plate 150 Can be discharg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판(110)에 배출홀(47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hole 470 may be formed in the top plate 110.

충전구간(400)의 내부에는 충전콘크리트(410)가 타설될 수 있는데, 배출홀(470)을 통해 폐단면부(D)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면서 폐단면부(D)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됨에 따라,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향상되면서 본체부(100)의 단부영역에 형성된 충전구간(400)의 하중성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harged concrete 410 may be installed in the charging section 40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losed end portion 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70 is discharged and the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closed end portion D The filling performance of the charging section 400 formed in the end region of the main body 100 can be enhanced while enhancing the integrity with the concrete.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구간(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폐단면부(D) 양측면에 작업홀(430)이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작업홀(430)의 주변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판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구획판부(200)를 고정하는 고정철물(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6A and 6B, the charging section 400 includes a working hole 430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D of the main body 100, The fixing plate 500 may b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hole 430 and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200 to fix the partition plate 200.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고정철물(500)이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b), a plurality of fixed hardware 5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in a height direction.

도 6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철물(500)은, 상기 구획판부(200)의 설치철물(230)과 교차되게 고정되는 고정봉강(510)과 상기 고정봉강(510)의 양단부에 힌지(부호미표시) 결합되고, 상기 작업홀(430)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작업홀(430)의 주변에 고정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철물(530)을 구비할 수 있다.6 (a) and 6 (b), the fixed iron 500 includes a fixed bar steel 510 fixed to intersect with the installed metal 230 of the partition plate 200, And a pair of insertion hardware pieces 530 (not shown) which are hinged (not shown) at both ends of the work hole 430 and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work hole 430 and have a U- ).

고정철물(500)은 작업홀(430)을 통해 충전구간(40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삽입철물(530)이 작업홀(430)의 주변에 고정되고, 구획판부(200)의 설치철물(230)과 고정봉강(510)이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hardware 530 is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operation hole 430 while the fixed hardware 500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section 400 through the operation hole 430, (230) and the fixed bar steel (510) can be fixed.

이때, 삽입철물(530)은 작업홀(430)의 주변에 삽입 고정시, ㄷ자형의 단면의 개방부가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되면서 작업홀(4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sertion tool 530 is inserted and fixed around the work hole 430, the insertion hole 53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work hole 430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opening portion of the U-

고정봉강(510)은 설치철물(230)과 결속사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고정봉강(510)에 설치된 탄성클램프에 설치철물(2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bar steel 510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hardware 230 through a binding yarn or may be fixed to the fixing bar 510 by inserting the mounting hardware 230 into the elastic clamp.

본 발명의 합성보(10)는 구조부재에 설치될 수 있고, 주로 기둥부재(20)의 사이에 설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posite bea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structural member and is mainly provided between the pillar members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보(10)는 H형강으로 구성되는 큰보(5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8, the composite bea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large beam 50 made of H-shaped stee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보(10)가 연결되는 구조부재는 큰보(50)로 구성될 수 있고, 큰보(50)에 합성보(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합성보(10)의 사이에 데크플레이트(30)가 설치될 수 있다.8, the structural member to which the composite beam 10 is connected may be composed of a large beam 50. In a state where the composite beam 10 is installed on the large beam 50, (30) can be installed.

일례로, 합성보(10)의 상면은 H형강으로 구성되는 큰보(50)의 플랜지와 맞대진 상태에서 일측에 보강판(E)을 매개로 볼트 체결될 수 있고, 합성보(10)의 하면은 H형강으로 구성되는 큰보(50)의 웨브부재에 설치된 보강판(E)에 합성보(10)의 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osite beam 10 may be bolted to one side of the composite beam 10 via the reinforcing plate 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large beam 50 made of H- The end of the composite beam 10 may be bolted to the reinforcing plate E provided on the web member of the large beam 50 formed of the steel.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는 합성보(10), 데크플레이트(30), 슬라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9,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osite beam 10, a deck plate 30, and a slab 4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합성보(10)와, 복수 개의 상기 합성보(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30)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슬라브(40)를 포함할 수 있다.A deck plate 30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site beams 10 and a deck plate 30 installed on the deck plate 30 to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deck plate 30, And a slab 40 forming a plate.

합성보(10)는 기둥부재(20) 등의 구조부재와 볼트 등의 체결부재(F)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composite beam 10 can be connected to a structural member such as the pillar member 20 by a fastening member F such as a bolt.

데크플레이트(30)는 슬라브(40)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역할과, 구조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The deck plate (30) can serve both as a mold for laying the slab (40) and as a structural member.

데크플레이트(30)는 골과 마루가 구비된 물결 형태로 마련되어, 합성보(10)에 형성된 지지플랜지(131)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deck plate 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board having a valley and a floor, and can be fixedly mounted on a support flange 131 formed on the composite beam 1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보(10)가 연결되는 구조부재는 큰보(50)로 구성될 수 있고, 큰보(50)에 합성보(1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합성보(10)의 사이에 데크플레이트(30)가 설치될 수 있다.8, the structural member to which the composite beam 10 is connected may be composed of a large beam 50. In the state where the composite beam 10 is connected to the large beam 50, (30) can be install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보(10)가 연결되는 구조부재는 기둥부재(20)로 구성될 수 있고, 기둥부재(20)에 합성보(10)가 여녁ㄹ된 상태에서 합성보(10)의 사이에 데크플레이트(30)가 설치될 수 있다.9, the structural member to which the composite beam 10 is connected may be composed of the pillar member 20, and the composite pillar 10 may be connected to the pillar member 20, A deck plate 30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plates.

이러한 본 발명의 바닥구조체는 합성보(10)의 하부판(130)의 지지플랜지(131)에 데크플레이트(30)가 거치되므로 바다구조체의 춤을 최소화하여 층고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deck plate 30 is mounted on the support flange 131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composite beam 10, the botto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ancing of the sea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슬라브(40)의 단부영역에는 기둥부재(20)와 접합되고, 합성보(10)의 본체부(100)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단부보강철근(43)근이 형성될 수 있다.The end portion of the slab 40 is joined to the pillar member 20 and the end reinforcing steel bar 43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main body 100 of the composite beam 10.

슬라브(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매립철근(41)의 일부는 작업홀(43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구획판부(200)의 설치철물(230)과 연결되면서 구획판부(200)의 격판부재(2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A part of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41 provided inside the slab 40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work hole 43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hardware 230 of the partition plate 200,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member 210 can be fixed.

매립철근(41)과 구획판부(200)는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결속사에 의해 고정되거나, 교차된 부분이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고, 구획판부(200)의 설치철물(230)과 매립철근(41)이 격자를 이루면서 교차된 상태에서 결합되면서 내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41 and the partition plate 200 may be fixed by welding or may be welded and fixed while crossing each other. 41)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crossed state to improve the strength.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보(10)는, 상기 기둥부재(20)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둥접합철물(21)과 맞대진 상태에서 보강판(E)을 매개로 볼트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omposite beam 10 is bolt-fastened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E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column-joining piece 2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20 .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보(10)의 단부가 상기 기둥접합철물(21)과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될 수 있다. 7A and 7B, the end of the composite beam 10 may be bolted to the column joint metal member 21 in a superposed state.

합성보(10)에 형성된 작업홀(430)에 작업자가 손을 넣어서 기둥접합철물(21)과 합성보(10)를 볼트 체결할 수 있다.An operator can insert a hand into the work hole 430 formed in the synthetic bar 10 to bolt the column joint metal material 21 and the synthetic bar 10 with bolts.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홀(430)을 통해 손을 넣어 충전구간(400)의 상면과 하면을 기둥부재(20)에 형성된 H형강 스티프너를 결쳐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합성보(10)를 기둥부재(20)에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A, an operator inserts his or her hand through the work hole 43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harging section 400 are bolted together with the H-shaped stiffener formed on the column member 20 The composite beam 10 can be fixed to the column member 20.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홀(430)을 통해 손을 넣어 충전구간(400)의 상면과 하면을 기둥부재(20)에 형성된 외다이어프램과 겹쳐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 체결하여 합성보(10)를 기둥부재(20)에 고정할 수 있다.
7B, an operator inserts his or her hand through the work hole 430 to bol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harging section 400 in a state of overlapping with the outer diaphragm formed on the column member 20, (10) can be fixed to the column member (20).

또한, 본 발명의 바닥구조체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합성보(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beam 10 having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바닥구조체에서 활용되는 합성보(10)의 본체부(100), 구획판부(200), 중공구간(300), 충전구간(4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보(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the partition plate 200, the hollow section 300 and the filling section 400 of the synthetic bobbin 10 used in the bottom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mposite bobbin 10 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r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합성보 20: 기둥부재
21: 기둥접합철물 30: 데크플레이트
40: 슬라브 41: 매립철근
43: 단부보강철근 50: 큰보
100: 본체부 110: 상부판
130: 하부판 131: 지지플랜지
150: 측면판 200: 구획판부
210: 격판부재 230: 설치철물
250: 고정링철물 300: 중공구간
310: 중공부 400: 충전구간
410: 충전콘크리트 430: 작업홀
450: 보강링프레임 470: 배출홀
500: 고정철물 510: 고정봉강
530: 삽입철물 D: 폐단면부
E: 보강판 F: 체결부재
10: Composite beam 20: Column member
21: column joint hardware 30: deck plate
40: slab 41: buried steel
43: end rebar 50: large beam
100: main body 110: top plate
130: lower plate 131: support flange
150: side plate 200: partition plate
210: diaphragm member 230: mounting hardware
250: Fixing ring hardware 300: hollow section
310: Hollow part 400: Charging section
410: Charged concrete 430: Operation hole
450: reinforcing ring frame 470: discharge hole
500: Fixed hardware 510: Fixed steel bar
530: insertion tool D: closed end surface
E: reinforcing plate F: fastening member

Claims (12)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서 길이방향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판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부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이 중공된 중공구간; 및,
상기 본체부의 단부영역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충전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충전구간;을 포함하는 합성보.
A body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partition plate portion inserted through both ends of the main body portion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o be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hollow spac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plate portion; And
And a filling section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main body section, the filling section having filled concrete formed in an inner sp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폐단면부를 구비하는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closed end portion having a hollow trapezoidal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판 보다 폭이 넓은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사이를 연결하여 폐단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의 단부에 지지플랜지를 형성하면서 접합되는 측면판;을 구비하는 합성보.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op plate;
A lower plate spaced below the upper plate and wider than the upper plate; And
And a side plate join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orm a closed end face portion and to form a support flange at an end of the lowe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작업홀이 형성되는 합성보.
2.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orking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so that an operator's hand can ente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간은 상기 작업홀의 주변을 보강하도록 설치되는 보강링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합성보.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charging section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상단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폐단면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합성보.
2.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at least the air inside the closed end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간은,
상기 본체부의 폐단면부 양측면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작업홀이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작업홀의 주변에 고정되고, 상기 구획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획판부를 고정하는 고정철물;을 더 포함하는 합성보.
2.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working hole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losed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operator's hand can ente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fixing steel piec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partition plate part to fix the partition plate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철물은,
상기 구획판부의 설치철물과 교차되게 고정되는 고정봉강; 및,
상기 고정봉강의 양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작업홀의 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작업홀의 주변에 고정되는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철물;을 구비하는 합성보.
[8] The apparatus of claim 7,
A stationary bar steel fixed to intersect with an installed iron of the partition plate; And
And a pair of insertion hardware hing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fixed barrel and inserted through the end of the work hole and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부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구간과 상기 충전구간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판부재; 및,
상기 격판부재에서 상기 본체부의 단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설치철물;을 포함하는 합성보.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diaphragm membe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partitioning the hollow section and the charging section; And
And a mounting hardware extending from the diaphragm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main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부는,
상기 격판부재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설치철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구간의 작업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매립철근이 고정되는 고정링철물;을 더 포함하는 합성보.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nd a fixed ring iron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unting hardware provided on the diaphragm member and fixed with a buried reinforcing bar installed through the working hole of the charging section.
구조부재에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합성보;
복수 개의 상기 합성보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측에 타설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슬라브;를 포함하는 바닥구조체.
The composite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0 connected to the structural member.
A deck plat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site beams; And
And a slab placed on an upper side of the deck plate to form a bottom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재는 기둥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합성보의 단부가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된 기둥접합철물과 맞대진 상태에서 보강판을 매개로 볼트 체결되거나,
상기 합성보의 단부가 상기 기둥접합철물과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ructural member is provided as a pillar member,
The ends of the composite beams are bol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inforcing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s are engaged with the column connecting hardw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member,
And an end of the composite beam is bolted to the column joint metal body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column joint metal body.
KR1020170078644A 2017-06-21 2017-06-21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KR102010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44A KR102010045B1 (en) 2017-06-21 2017-06-21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44A KR102010045B1 (en) 2017-06-21 2017-06-21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15A true KR20190000015A (en) 2019-01-02
KR102010045B1 KR102010045B1 (en) 2019-08-13

Family

ID=6502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44A KR102010045B1 (en) 2017-06-21 2017-06-21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0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40A (en) * 1998-12-09 2000-07-05 신현준 Steel framed beam reducing floor height and joint-structure
KR20130097614A (en) * 2012-02-24 2013-09-03 채일수 Welding beam for prefab building construction
KR20140136817A (en) * 2013-05-21 2014-12-01 황기수 A steel composite girder, a variable section hybrid girder and a variable section hybrid composite girder for reducing a floor height
KR101557380B1 (en) * 2014-08-01 2015-10-08 강도안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40A (en) * 1998-12-09 2000-07-05 신현준 Steel framed beam reducing floor height and joint-structure
KR20130097614A (en) * 2012-02-24 2013-09-03 채일수 Welding beam for prefab building construction
KR20140136817A (en) * 2013-05-21 2014-12-01 황기수 A steel composite girder, a variable section hybrid girder and a variable section hybrid composite girder for reducing a floor height
KR101557380B1 (en) * 2014-08-01 2015-10-08 강도안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045B1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47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3332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Members without Prestressing Bed
KR100938572B1 (en) Steel box girder with differential strength
JP2011512466A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lining and bridge structure
KR101819308B1 (en) Composite beam including reinforcing end
KR101834006B1 (en)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KR102108335B1 (en) Composite Steel Structure with Seismic Performance Joint
KR20120136071A (en) Composite beam with partially filled concrete
KR101836325B1 (en) Supporting pad structure on concrete slab
KR101750177B1 (en) Punching shear stiffening member of cutting bridge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oting using of the same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760429B1 (en) Negative moment part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473454B1 (en) Production Method for Upper and Lower Side Fixed Pre-stress(ULPS) Steel Beam
KR20190000015A (en)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KR102131498B1 (en) Composite beam and floor structure and joint structure between composite beam and column
KR101837914B1 (en) Composite beam beam including reinforcing part
KR102433621B1 (en)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KR101984211B1 (en)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KR20170139873A (en)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KR20180070097A (en) Prestressed Hybrid Wide Flange Girder System Suitable For Resisting Negative Moments At Construction Stage
KR101951404B1 (en)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by enlarged cross section
KR102314836B1 (en) Lattice girder with lap joint
KR101724122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reinforcing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57796B1 (en) Hybrid Structures Using Steel Framework and Precast Concrete Slab
KR102003286B1 (en)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