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237A -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237A
KR20180138237A KR1020170077388A KR20170077388A KR20180138237A KR 20180138237 A KR20180138237 A KR 20180138237A KR 1020170077388 A KR1020170077388 A KR 1020170077388A KR 20170077388 A KR20170077388 A KR 20170077388A KR 20180138237 A KR20180138237 A KR 20180138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tem
meal
items
g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712B1 (ko
Inventor
손택근
김범택
Original Assignee
(주)이오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아시스 filed Critical (주)이오아시스
Priority to KR102017007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7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설문을 통하여 사용자의 식사 관리항목 및 그 목표를 도출하고, 식사 관리항목들에 대하여 각 끼니 별로 수행 여부를 기록하여, 각 식사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결과를 입력받는 설문작성부; 상기 설문문항 중 결과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설문문항에 대하여, 해당 설문문항에 매핑하는 관리항목들을 후보로 선정하는 관리항목 설정부;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 중에서 매 끼니별 식사일기로 질의할 질의항목을 추출하되, 사전에 정해진 개수의 질의항목만을 추출하는 질의항목 추출부; 매 끼니별 추출된 질의항목을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상기 질의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식사일기 기록부; 및, 기록된 결과를 평가하여 관리항목 후보들을 다시 설정하는 관리목표 평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목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각 끼니 별로 사전에 정해진 최대 개수 이내의 관리항목만을 기록하게 함으로써, 종래 식사기록을 전수 기록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개선목표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 를 통해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식사 모니터링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 A method of goal management for improving nutrition problem based on survey }
본 발명은 설문을 통하여 사용자의 식사 관리항목 및 그 목표를 도출하고, 식사 관리항목들에 대하여 각 끼니 별로 수행 여부를 기록하여, 각 식사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영양소의 섭취와 칼로리의 조절을 위한 식습관은 신체적 건강을 지켜주는 가장 기본적 것이지만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활동의 증가로 인해 식사습관이 변화되면서 식습관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어 비만과 당뇨, 고혈압 등의 각종 생활습관병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식사습관 및 활동습관을 조사하는 것은 피험자의 영양상태 분석이나 생활 습관의 교정 및 비만, 당뇨, 고혈압 등 질환의 개선 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식사습관의 분석을 통해 평소 즐겨 먹는 음식, 많이 섭취하는 영양소, 부족한 영양소, 섭취하는 칼로리의 총량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칼로리와 활동을 통해 소비하는 칼로리 사이의 균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의사나 영양사, 운동처방사 등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피험자의 잘못된 식습관을 개선하고 부족한 활동이나 운동을 보충할 수 있는 식사처방, 운동처방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식사 습관을 조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체로 일대일 상담이나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활용되어 왔다. 일대일 상담은 간호사나 의사가 직접 환자를 대면한 상태에서 환자의 식사, 활동 습관을 문진하는 형식으로, 시간의 제약상 현실적으로 꼼꼼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환자에게 미리 소정 양식의 식사일기 설문지를 제공하여 이를 미리 작성해 오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식사일기 양식은 날짜와 요일, 끼니 등이 구분된 공란 형식의 표로써, 해당 날짜 혹은 요일, 끼니에 해당하는 식사 내용을 피험자가 직접 기재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특허문헌 1].
또한, 보다 쉽게 기록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식사일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2].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캘린더에서 날짜를 선택하여 식단을 입력하여 식습관을 기록하고 기록된 내용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기술이다. 또한, 식사 정보를 기록하면 자동으로 식사에 대한 열량을 추정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매 끼니마다 식사한 모든 음식 및 그 양을 자세히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식사일기를 기록하는데 대해 매우 큰 부담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1은 가장 범용적인 온라인 또는 수기방식의 식사 일기 또는 식사 기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와 같이, 매 끼니 마다 밥, 국, 반찬 5가지의 음식을 모두 기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재사항을 아침, 점심, 저녁, 간식 별로 모두 기재해야 한다. 따라서 하루에 기록해야 하는 항목만 약 30개 이상이 된다.
또한, 음식 명칭을 직접 기재하는 경우, 띄어쓰기나 맞춤법 등 표준화 문제가 발생한다. 일례로서, 김치찌개, 김치찌게, 김치 찌개 등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 명칭을 보유한 목록에서 선택하는 경우, 종류가 많은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하고, 만약 목록에 해당 음식이 없는 경우에는 신규로 등록해야 하는 문제점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기재항목이 너무 많고, 하나의 항목에서도 많은 선택항목 중에서 선택해야 하고, 없는 경우 신규로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즉, 식사의 전수 내용을 매 끼니마다 기록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식사일기를 작성하는 일을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따라서 식사에 대하여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병원 등에서 지정기간(예를 들어, 주말 포함한 한 주 3일)에만 기록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임의적 샘플링 방식으로 효과가 미약하다. 또한, 매 끼니의 모든 내용을 정확히 기재하더라도 식사전후의 정확한 섭취량을 알 수 없다. 그래서 섭취량을 표준영양소(예를 들어, 영양학회 기준에 따른 영양소)와 비교하여 대략적인 예상 영양소를 평가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그 효과 역시 미약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식사 일기를 자세하게 기재하더라도, 사용자의 식습관을 파악하는데 이용될 뿐, 사용자에게 식습관을 개선시키는데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즉, 최종 결과(예를 들어, 영양소의 과다 및 부족)에 대해 결과가 도출되더라도, 이를 위한 개선방안을 표현하거나, 구체적인 실천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개선을 위해, 특정 음식 또는 식재료를 추천할 수 있으나, 기타 서술형의 소견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칼로리와 당분을 낮추고 비타민(과일)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과일은 당 성분이 많은 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년층 및 저소득층의 식재료 선택폭은 가격 등에 의하여 좁다. 따라서 권고대로 영양관리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획기적으로 식사 기록의 기재량을 줄이면서, 사용자의 식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식사 기록 기술이 매우 절실하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9903호(2005.03.29.공개)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4426호(2015.04.03.공개) [특허문헌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6046호(2015.02.11.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문을 통하여 사용자의 식사 관리항목 및 그 목표를 도출하고, 식사 관리항목들에 대하여 각 끼니 별로 수행 여부를 기록하여, 각 식사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질환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다수의 식사 관리항목들 중에서 사용자가 기록할 수 있는 최대 개수를 설정하여, 최대 개수 이내에서만 각 끼니별로 식사 관리항목의 수행 여부를 기록하도록, 식사 관리항목을 샘플링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결과를 입력받는 설문작성부; 상기 설문문항 중 결과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설문문항에 대하여, 해당 설문문항에 매핑하는 관리항목들을 후보로 선정하는 관리항목 설정부;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 중에서 매 끼니별 식사일기로 질의할 질의항목을 추출하되, 사전에 정해진 개수의 질의항목만을 추출하는 질의항목 추출부; 매 끼니별 추출된 질의항목을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상기 질의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식사일기 기록부; 및, 기록된 결과를 평가하여 관리항목 후보들을 다시 설정하는 관리목표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항목 설정부는 상기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에 대하여 우선순위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질의항목 추출부는 주기가 도래한 관리항목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항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질의항목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의 우선순위는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되되,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개수에 의해 가중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문항은 질환별로 구분되고, 사용자의 주상병에 해당하는 질환이면, 해당 질환의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를 다른 질환의 설문문항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는 전문가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사일기 기록부는 해당 질의항목를 질의된 주기에 따라 질의할 때, 이전 끼니에서 질의되지 않았던 끼니를 포함하는 전체 끼니 횟수 중에서 수행된 끼니가 몇 회인지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평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내의 식사일기를 평가하고, 각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후보 관리항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평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내의 식사일기를 평가하고, 각 관리항목의 목표가 달성되면 후보 관리항목의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각 끼니 별로 사전에 정해진 최대 개수 이내의 관리항목만을 기록하게 함으로써, 종래 식사기록을 전수 기록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식사 모니터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각 식사 관리항목이 질환별 개선사항이 되는 식습관과 일치함으로써, 보다 명료하게 식습관 목표를 정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사일기 기록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습관 설문의 설문문항에 대한 예시 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습관 설문의 설문문항과 관리목표의 매핑에 대한 예시 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목표 및 관리항목의 평가표에 대한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항목의 주기 및 우선순위를 예시한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7의 관리항목들로부터 매 끼니에 추출한 질의항목을 나타낸 예시 표.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10),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식사기록 클라이언트(20), 사용자의 식사 관리항목의 우선순위와 주기를 설정하는 관리서버(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 및 관리서버(30)는 인터넷 등 네트워크(8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관리서버(30)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PC, PDA, 스마트폰, 태블릿PC, 전용단말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갖춘 단말기이다. 또한, 식사기록 클라이언트(20)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웹브라우저 등 서버에 접근하는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 앱)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20)를 실행시켜, 자신이 먹은 식사에 대한 관리항목에 대해 기록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클라이언트(20)의 지시에 따라, 표시되는 식사 관리항목에 대하여 수행 여부를 기록한다. 또한, 클라이언트(20)는 서버(30)에 접속하여 기록된 식사 정보를 전송하거나, 기록해야할 식사 끼니에 대한 식사 관리항목 등을 수신한다.
이하에서, 식사기록 클라이언트(20)가 하는 작업 또는 사용자가 하는 작업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클라이언트(20) 또는 사용자 단말(10)이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클라이언트(20) 또는 사용자 단말(10)을 혼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식사 일기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고, 그 처리 결과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등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관리서버(30)는 통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설문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식사 관리항목, 및, 그 관리항목의 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클라이언트(20)에 기록할 관리항목 및, 그 우선순위 및 주기를 전송하여 지시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20)로부터 사용자가 기록한 식사 정보 또는 관리항목의 수행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사용자의 관리항목 및 관리목표의 수행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관리항목 및 관리목표, 또는 그 관리항목의 우선순위와 주기 등을 갱신한다. 또한, 관리서버(30)는 갱신된 관리항목 및, 그 우선순위 및 주기를 클라이언트(20) 또는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한다. 즉, 관리서버(30)는 식사 일기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관리항목 및 관리목표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식사기록 클라이언트(20)와 관리서버(30)는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20)가 단순히 관리항목만을 표시하여 그 선택을 입력받고, 관리서버(30)가 표시할 관리항목을 선정하거나, 관리항목의 우선순위와 주기를 결정하는 등 모든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구성의 예로서, 클라이언트(20)가 관리항목을 선정, 우선순위와 주기를 설정하는 등 모든 작업을 수행하고 서버(30)는 데이터나 백업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클라이언트(20)에서 관리항목들을 선정하고 표시하는 등의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서버(30)에서 설문을 통해 전체 관리항목을 선정하거나 일정한 기간동안 각 관리항목의 우선순위나 주기를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식사기록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20)가 웹브라우저이고, 서버(30)가 웹서버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기능을 서버(30)가 웹으로서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DB(41), 사용자가 관리해야할 관리항목 및 관리목표를 저장하는 식사목표DB(42), 각 사용자의 식사 기록, 또는 관리목표의 수행결과를 저장하는 식사기록DB(43), 설문문항을 저장하는 설문문항DB(44), 각 식사기록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는 평가DB(45)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대한 식사 습관에 대한 설문내용을 입력받는 설문작성부(31), 식사 관리항목을 설정하는 관리항목 설정부(32), 매 끼니별 식사일기로 질의할 관리항목을 추출하는 질의항목 추출부(33), 매 끼니별 사용자로부터 질의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식사일기 기록부(34), 및, 식사일기의 결과를 평가하여 식사 관리목표를 재 조정하는 관리목표 평가부(35)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설문문항을 관리하는 설문문항 관리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클라이언트(20)와 관리서버(30)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웹 또는 클라이언트-서버의 구체적인 구현 기술에 따라 이하에서 설명될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 의해 분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설문문항 관리부(36)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설문문항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설문문항들은 관리자에 의해 추가로 생성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식습관 설문은 사용자의 식사 습관 분석을 위한 종합적인 설문으로서, 다수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다. 특히, 식습관 설문은 질환별 개선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상세 설문문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식습관 설문의 설문된 결과를 토대로 개선 목표 및 그 목표치가 도출될 수 있다.
도 4는 식습관 질문의 설문문항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4(a)는 고혈압 질환에 대한 설문문항의 예이고, 도 4(b)는 당뇨 질환에 대한 설문문항의 예시이다. 또한, 도 4(c)는 이상지질 질환에 대한 설문문항의 예시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습관 설문은 각 질환별로 다수의 설문문항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설문문항은 각각 관리목표, 관리기호, 및, 우선순위가 사전에 설정된다. 관리목표는 설문문항이 관련된 영영관리 목표를 나타낸다. 즉, 설문문항이 어떤 식사 관리목표와 관련된 것인지를 나타낸다. 관리기호는 관리목표를 식별하기 위한 기호이다.
우선순위는 해당 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당 설문문항(또는 그 관리목표)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즉, 설문문항의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해당 설문문항에 대응되는 관리목표를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우선순위는 전문가 등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된다. 이때, 설문문항의 점수(예를 들어 섭취빈도수 등)를 반영하여 최종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설문작성부(31)는 사용자에 대한 식사 습관에 대한 설문내용을 입력받는다. 즉, 설문작성부(31)는 질환별로 설문문항을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그 답변을 입력받는다.
이때, 설문작성부(31)는 사용자의 질환이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저장된 설문문항들 중에서 관련된 설문문항을 추출하여, 추출된 설문문항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다음으로, 관리항목 설정부(32)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문문항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식습관 관리목표 또는 관리항목을 설정한다.
앞서 설명한 대상자별 영양관리 설문결과를 기반으로 영양관리 목표를 설정한다. 이때, 관리기간도 함께 설정된다. 특히, 설문결과 내용이나, 이에 매핑된 관리목표가 선택되도록 자동화된다. 또한, 영양사 등 전문가가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대상자의 한주간의 영양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식습관 설문의 설문문항들 각각에 대하여 그 기준치와, 관리목표 또는 관리항목들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즉, 각 설문문항에 대하여 기준치가 사전에 설정되고, 기준치를 넘어서면 해당 설문문항과 관련된 식사 관리목표(또는 관리항목)가 관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국이나 찌개를 하루에 2회 이상 먹는다"라는 설문문항에 대하여 사용자가 "그렇다"라고 답변하면, 해당 설문문항과 관련된 관리목표가 관리되어야 하고, 해당 관리목표나 관리항목이 후보로서 선정된다.
관리목표 또는 관리항목은 적어도 1개의 설문문항과 매핑되어 사전에 설정된다. 관리목표 또는 관리항목은 식습관으로서 관리되어야 할 항목(또는 목표)이다. 유사하거나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설문문항들은 하나의 관리항목(또는 관리목표)에 매핑된다.
도 5는 각 설문문항과 관리목표 간의 매핑을 나타낸다. 도 5(a)는 고혈압 질환의 설문문항과 그 관리목표 간의 매핑을 나타낸 예이고, 도 4(b)는 당뇨 질환의 설문문항과 그 관리목표 간의 매핑을 나타낸 예이다. 또한, 도 4(c)는 이상지질 질환의 설문문항과 그 관리목표 간의 매핑을 나타낸 예이다.
도 5(a)와 같이, 설문문항의 "국이나 찌개를 하루에 2회 이상 먹는다"와 "국물음식을 좋아하고 즐겨먹는다"이 모두 "국물로 인한 염분섭취"의 관리목표에 대응된다. 이때, 2개의 설문문항 중 어느 하나의 설문문항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응되는 관리목표가 후보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각 관리목표는 사용자에게 식사일기로 질문할 관리항목들이 사전에 설정된다. 그리고 각 관리항목들의 점수(또는 횟수)와 평가치도 사전에 설정된다. 점수는 해당 관리항목을 실천한 횟수를 나타낸다. 평가치에 따라 해당 관리항목의 목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우수와 양호의 평가치는 설정된 기간에 따라 해당 목표가 수행된 것을 나타내고, 나쁨과 매우 나쁨은 해당 관리항목 또는 관리목표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관리항목 설정부(32)는 설문문항의 점수(또는 결과)에 따라 관리항목 또는 관리목표를 후보로 선정한다. 이때, 관리목표는 각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또는 우선순위 및 재평가 결과)에 따라 관리목표(또는 관리항목)의 우선순위가 결정된다.
관리목표의 우선순위는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로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개수에 따라 우선순위가 가중되어 더 높아질 수 있다. 이때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개수는 설문점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설문문항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관리목표(또는 관리항목)의 우선순위는 각 질환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질환이 주상병인 경우 해당 질환의 관리항목들은 우선순위가 가중되어 높게 설정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현재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 질환을 모두 가지고 있으나 고혈압이 주상병이면, 고혈압의 관리항목 또는 관리목표들이 가중되어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또한, 복합질환의 경우 2개 이상의 질환을 동시에 관리목표를 설정한다. 특히, 이때는 2개 이상의 질환의 우선순위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부여될 수 있다. 설정된 관리목표는 대상자 단말의 웹(또는 모바일 앱)에서 쉽게 표기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선 예에서,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 등 3가지의 질환에 대하여 각각 3개, 전체 9개의 관리항목(또는 관리목표)이 후보로 선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관리항목 설정부(32)는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들에 대하여 우선순위 외에도 주기를 설정한다. 주기는 해당 관리항목을 질의할 끼니 단위의 기록 간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주기가 1이면, 매끼니 마다 해당 관리항목을 질의하고, 주기가 3이면, 3끼니 마다 1번씩 관리항목을 질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의 주기는 관리자 등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거나, 1로 설정된다.
도 7은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 질의항목의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은 관리항목 A, B, C, D, E로서 모두 5개이고, 각각의 주기와 우선순위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질의항목 추출부(33)는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 중에서 매 끼니 질의항목을 선정하되, 사전에 정해진 개수만 선정한다. 예를 들어, 질의 개수를 3으로 정해져 있으면, 매 끼니 3개의 관리항목만 선정하여 질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후보의 관리항목 중에서 우선순위와 주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관리항목 중에서 질의 개수만큼 관리항목을 선정한다. 앞서 도 6의 예와 같이,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들은 9개이고, 이들 9개 중에서 매 끼니 3개의 관리항목들만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질의항목으로 추출한다.
질의항목 추출부(33)는 주기가 도래한 관리항목들을 우선 선정하고, 주기가 도래한 관리항목들 중에서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항목들을 선정하여 질의항목으로 추출한다.
앞서 도 7의 관리항목들의 주기와 우선순위에 따라, 각 끼니에서 질의항목으로 선정된 예가 도 8에 도시되고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끼니에는 처음시작이므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3개의 관리항목, 즉, 관리항목 A, B, C가 질의항목으로 각각 선정된다. 그리고 그 다음 끼니 2에서, 주기 1이어서 주기가 도래하고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관리항목 A가 선정되고, 다음으로, 관리항목 B와 C는 우선순위가 높으나 주기가 도래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된다. 그래서 다음 관리항목 D와 E가 선정된다. 또한, 다음 끼니 3에서는 주기가 도래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항목 A와 B가 선정되고, C와 D는 주기가 도래하지 않았기 때문에 관리항목 E가 선정된다.
다음으로, 식사일기 기록부(34)는 선정된 질의항목들을 매 끼니에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그 결과를 입력받는다. 바람직하게는, 결과는 예/아니오 또는 횟수로 입력받는다.
또한, 식사일기 기록부(34)는 질의항목에 대하여 사전에 정해진 개수 이내로 한정하여 질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식사일기 기록부(34)는 해당 질의항목이 질의된 주기에 따라 질의 내용이 질의되지 않은 끼니를 포함하여 전체 횟수로 질의항목을 변경하여 질의한다. 예를 들어, "면류를 섭취하셨습니까?"라는 관리항목(또는 질의항목)인 경우, 질의된 주기가 1이어서 직전 끼니에도 질의를 하였으면, "면류를 섭취하셨습니까?"라고 질의한다. 그러나 3 끼니 만에 질의한 경우, 즉, 앞서 2끼니에서 질의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끼니를 포함하여 이전 2회 끼니까지 면류를 몇번 섭취하셨습니까?"라고 질의한다.
다음으로, 관리목표 평가부(35)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내의 식사일기를 평가하고, 각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후보 관리항목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관리항목의 주기와 우선순위를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평가주기는 1주일 또는 월 단위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1주일에 0~2회 이상이면 우수, 3~6이면 양호, 7~13이면 나쁨 등의 단계로 구분하고, 3단계 이상은 재관리에 들어간다. 즉, 1,2단계는 목표가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목표 달성된 관리항목은 후보 관리항목(질의항목)에서 제외한다. 또는 목표 달성된 관리항목은 그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우선순위를 낮춘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에서, 관리항목 A가 1주일 동안 식사일기를 작성하게 한 후, 수행 결과가 목표치에 도달하면, 그 우선순위를 2 또는 3으로 낮춘다. 또는 우선순위는 그대로 두고, 하루에 1번만 기록하도록 주기를 3으로 연장한다. 또는 우선순위를 낮추고 동시에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관리목표(영양사)와 수행기록(대상자)의 기재를 최소화 한다. 특히, 영양 문제점 개선에 대한 노년층에서도 개선목표를 이해하기 쉽고, 실천이 용이한 영양관리 목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막연한 목표가 아닌, 구체적인 영양 문제점을 설정하고 몇가지 문제로 한정하여 집중함으로써, 최소화한 집중 개선을 할 수 있다. 즉, 막연한 개선 목표치가 아닌 현재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쉬운 개선방안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복합적인 만성질환시 관리목표의 우선순위를 조합 또는 우선순위를 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질환구분 및 식습관에 대하여 대상자의 식습관 분석을 위한 종합적인 설문을 적용한 후, 질환별 식습관에 대한 상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질환별 개선목표 설정을 위한 상세 설문을 적용한다. 또한, 설문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개선 목표치를 도출한다. 또한, 여러 개선 목표치 중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목표치에 대한 수행기록을 예/아니오(Y/N) 또는 횟수로 간단하게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수행기록에 대한 카운터를 통해 한 주간 등(평가주간)에 따라 평가를 한다. 또한, 일별 문제점 수행에 대한 카운팅 기록과 카운팅의 통계정보로 문제점 개선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해야할 문제점(피해야할 음식/보강해야할 영양소)을 사전질의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의 설문은 영양사가 참조용으로만 활용하나, 본 발명은 질환별로 특히 주의(또는 개선)해야할 사항을 토대로 설문이 구성되되어, 이에 대한 목표설정 및 이행으로도 영양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가뿐 아니라 비영양전문가(1인 보건진료소) 및 S/W(웹, 모바일)에서도 동일한 목표관리설정과 자동화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1명의 영양사(또는 비영양 전문가)가 다수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문의 내용이 질환별 개선사항이 되는 식습관과 일치하여 목표설정이 용이하다. 이에 반해, 기존 방식은 참조용으로서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영양학회의 표준영양소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별 특성(특정지역은 좀더 짜게 먹는 경향 등)에 따른 관리목표를 적극반영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은 이 부분의 특성을 반영한 개선목표를 추가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식습관(식사시간, 섭취소요시간, 혼식)등의 개선사항을 추가하여 영양목표관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설문은 영양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결과항목별 관리우선순위가 있고 설문내용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제의 식습관을 대상자가 충분히 숙지할 수 있다. 즉, 당뇨인 경우, 떡과다, 빵과다, 당질간식 등 구체적인 관리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개선할 관리목표는 문제음식 또는 식습관에 대한 대상자의 이해부족사항을 쉽게 인지시킬 수 있으며, 영양관리를 위한 교육의 효과를 포함한다.
또한, 앞서의 예와 같이 당뇨 개선사항의 실질적인 목표는 과식을 줄이는 것과 당분섭취를 줄이는 것, 그리고 문제음식이 무엇인지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혈압의 질환인 경우, 젓갈류, 양념과다, 김치, 국물선호, 라면국물, 자반생선이 문제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혈압에 식습관의 개선사항 중 특히 노년층에서 김치나 젓갈류가 문제가 된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젓갈류는 한끼에도 여러 개가 반찬이 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음식기록은 번거롭기만 하고 기록해도 정확한 소금함량은 측정할 수 없다. 또한, 젓갈류 섭취가 해롭다는 것을 인지시키는 것과 간편히 젓갈 섭취수를 쉽게 카운터 할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국물선호 및 라면국물도 섭취량에 따라 국류에 포함된 소금함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최종목표인 소금섭취를 줄이는 측면에서 국물을 그릇바닥까지 섭취하지 않고 남기는 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규격화된 관리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여, 영양 비전문가가 관리해도 유사수준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의 간소화, 평가의 간소화로 영양관리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지역의 선호음식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어 집중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간 식사기록을 전수 기록의 큰 번거로움으로 쉽게 중단되던 영양관리 부문을 활성화 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장기적이고 만성질환관리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그동안 의원급 진료기관에서 약물처방 이외에 특별한 관리방안의 부재사항이어서, 비전문가가 이용하더라도 영양학적 근거기반의 설문의 결과를 목표관리 함으로써 보다 큰 영양관리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노년층, 지역특성등을 반영한 목표관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단말 20 : 클라이언트
30 : 관리서버 31 : 설문작성부
32 : 관리항목 설정부 33 : 질의항목 추출부
34 : 식사일기 기록부 35 : 관리항목 평가부
40 : 데이터베이스 80 : 네트워크

Claims (8)

  1.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식습관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결과를 입력받는 설문작성부;
    상기 설문문항 중 결과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설문문항에 대하여, 해당 설문문항에 매핑하는 관리항목들을 후보로 선정하는 관리항목 설정부;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 중에서 매 끼니별 식사일기로 질의할 질의항목을 추출하되, 사전에 정해진 개수의 질의항목만을 추출하는 질의항목 추출부;
    매 끼니별 추출된 질의항목을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상기 질의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식사일기 기록부; 및,
    기록된 결과를 평가하여 관리항목 후보들을 다시 설정하는 관리목표 평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항목 설정부는 상기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에 대하여 우선순위와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질의항목 추출부는 주기가 도래한 관리항목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관리항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질의항목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로 선정된 관리항목의 우선순위는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되되, 매핑되는 설문문항의 개수에 의해 가중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문항은 질환별로 구분되고, 사용자의 주상병에 해당하는 질환이면, 해당 질환의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를 다른 질환의 설문문항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문항의 우선순위는 전문가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일기 기록부는 해당 질의항목를 질의된 주기에 따라 질의할 때, 이전 끼니에서 질의되지 않았던 끼니를 포함하는 전체 끼니 횟수 중에서 수행된 끼니가 몇 회인지를 질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평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내의 식사일기를 평가하고, 각 관리항목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후보 관리항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목표 평가부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해당 주기 내의 식사일기를 평가하고, 각 관리항목의 목표가 달성되면 후보 관리항목의 주기를 증가시키거나 우선순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KR1020170077388A 2017-06-19 2017-06-19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KR10197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88A KR101971712B1 (ko) 2017-06-19 2017-06-19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388A KR101971712B1 (ko) 2017-06-19 2017-06-19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237A true KR20180138237A (ko) 2018-12-31
KR101971712B1 KR101971712B1 (ko) 2019-04-25

Family

ID=6495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388A KR101971712B1 (ko) 2017-06-19 2017-06-19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7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905A (ko) * 2019-08-13 2021-02-23 한국식품연구원 한식 건강 지표 도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8594A (ko)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케어위드 챗봇 기반의 질의응답 및 생체표지자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영양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03A (ko) 2003-09-24 2005-03-29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KR20100034969A (ko) * 2008-09-25 2010-04-02 송태용 온라인 건강 멘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92556A (ko) * 2009-07-15 2012-08-21 파마바이트 다이렉트 엘엘씨 개인 맞춤형 일일 영양 보충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50120B1 (ko) * 2012-07-20 2014-01-08 (사)한국영양학회 영양 지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6046A (ko) 2013-08-02 2015-02-11 울트라캡숑 주식회사 식사 정보 기록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34426A (ko)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밀포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식사일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903A (ko) 2003-09-24 2005-03-29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식사습관과 활동습관의 조사설문지 및 조사방법
KR20100034969A (ko) * 2008-09-25 2010-04-02 송태용 온라인 건강 멘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92556A (ko) * 2009-07-15 2012-08-21 파마바이트 다이렉트 엘엘씨 개인 맞춤형 일일 영양 보충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350120B1 (ko) * 2012-07-20 2014-01-08 (사)한국영양학회 영양 지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6046A (ko) 2013-08-02 2015-02-11 울트라캡숑 주식회사 식사 정보 기록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34426A (ko)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밀포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식사일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905A (ko) * 2019-08-13 2021-02-23 한국식품연구원 한식 건강 지표 도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68594A (ko) 2020-11-19 2022-05-26 주식회사 케어위드 챗봇 기반의 질의응답 및 생체표지자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영양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712B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pson et al. Dietary assessment methodology
CN106716426B (zh) 用于计算、显示、修改和使用个性化营养健康评分的系统和方法
Snae et al. FOODS: a food-oriented ontology-driven system
US20120290327A1 (en) Medical health information system for health assessment, weight management and meal planning
JP6412429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50279235A1 (en) Nutrition management system and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US11817200B2 (en) Generating personalized food guidance using predicted food responses
US20010000810A1 (en) Computerized visual behavior analysis and training method
Cioara et al. Expert system for nutrition care process of older adults
CA2394472A1 (en) Computerized visual behavior analysis and training method
Duarte et al. Regional food consumption in the Northeast of Brazil by the low-income population
Kosteva et al. Physician variation in perceived barriers to personal health
Bernardo et al. Assessment of the healthy dietary diversity of a main meal in a self-service restaurant: A pilot study
US202204062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dynamic nutritional guidance
JP2013097403A (ja) 生活習慣解析システム及び生活習慣解析方法
KR101971712B1 (ko) 설문기반의 영양 문제점 개선 목표 관리 시스템
Choi et al. Does frequent eating out cause undesirable food choices? Association of food away from home with food consumption frequencies and obesity among Korean housewives
KR102326540B1 (ko) 음식 영상을 이용한 영양관리 및 질병관리 방법
Nag et al. Pocket dietitian: Automated healthy dish recommendations by location
Zeratsky et al. Meal planning program to reduce barriers and improve diet quality in worksite wellness center members
Zingoni et al. Studying a population undergoing nutrition transition: a practical case study of dietary assessment in urban South African adolescents
Hendrychova et al. An analysis of fat-related and fiber-related behavior in men and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ey findings for clinical practice
Raber et al. Home cooking quality assessment tool validation using community science and crowdsourcing approaches
Yoshida et 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Obesity in a Sample of Hawai ‘i’s 4 Most Populous Ethnicities
MacIntyre et al. Measuring dietary int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