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69A -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8069A KR20180138069A KR1020170078164A KR20170078164A KR20180138069A KR 20180138069 A KR20180138069 A KR 20180138069A KR 1020170078164 A KR1020170078164 A KR 1020170078164A KR 20170078164 A KR20170078164 A KR 20170078164A KR 20180138069 A KR20180138069 A KR 20180138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unit
- magnet
- scrap
- iron
- prim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폐기물속에 포함되어 분리가 어려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철스크랩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scrap separa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iron scrap, which is contained in various wastes and is difficult to separate.
일반적으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철을 분리 하여 제강 및 제철 공정에 재사용되고 있으나 각종 산업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철을 분리하여 재생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Generally, scrap contained in waste is separated and reused in steelmaking and steelmaking proces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recover scrap iron contained in various industrial wastes.
특히, 건축폐기물과 같이 시멘트, 콘트리트 등에 함유되어 있는 철구조물이나 파형강관처럼 철에 합성수지나 고무재질이 피복되어 있는 경우 이를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Particularly,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steel and synthetic materials such as steel structures and corrugated steel pipes, which are contained in cement, concrete, etc., such as construction waste, when they are coated with synthetic resin or rubber.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2578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가 어려운 산업폐기물에서 철스크랩을 수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a conventional method for separating scrap from wast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362578, but it is difficult to collect scrap from industrial waste which is difficult to separat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스크랩을 분리하기 어려운 산업폐기물에서 효과적으로 철스크렙을 분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iron scraps from industrial wastes which are difficult to separate iron scrap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은,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1차 파쇄부(10),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자력이 형성되는 저중량의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드럼자석선별부(30),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A) 및 일반폐기물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스크린선별부(4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2차 드럼자석선별부(5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ron scrap sepa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은, 분리가 어려운 산업폐기물에서 철스크랩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iron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separating scrap iron from industrial wastes which are difficult to sepa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의 1차 벨트자석선별부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 분리 시스템의 1차 스크린선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에 의해 건축폐기물에서 철스크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에 의해 파형강관에서 철스크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에 의해 에어클리너 필터에서 철스크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에 의해 오일씰에서 철스크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rocess of a steel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rimary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a primary drum magnet sorting unit of the iron scrap sepa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screen selecting unit of the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iron scrap is separated from building waste by the iron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iron scrap is separated from corrugated steel pipe by the iron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iron scrap is separated from the air cleaner filter by the iron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iron scrap is separated from an oil seal by the iron scrap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1차 파쇄부(10),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자력이 형성되는 저중량의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드럼자석선별부(30),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A) 및 일반폐기물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1차 스크린선별부(4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2차 드럼자석선별부(5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는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iron scrap sepa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1차 파쇄부(10)는, 유입된 폐기물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다.First, the
구체적으로, 상기 파쇄부는, 고철이 포함된 상기 폐기물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rusher may be us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crusher is capable of crushing the waste containing scrap iron.
상기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철은 상기 파쇄기에 의해 파쇄되어, 철스크랩(A)을 형성하고, 상기 철스크랩(A)의 수거에 불필요 하나 쉽게 제거하기 어려운 코팅된 수지, 고무 재질 및 시멘트 등과 같은 불순물이 분리되거나 파쇄되어, 하기의 공정에서 일반폐기물(B)과 상기 철스크랩(A)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crap iron contained in the waste is crushed by the crusher to form iron scrap A, and impurities such as coated resin, rubber material and cement, which are not necessary for collection of the scrap A but are difficult to remove easily, (B) and the iron scrap (A) can be easily separated in the following process.
일반적으로 철스크랩(A)을 수거하기 위한 공정에서는 수작업이 실시되거나 트롬멜(trommel)선별기를 사용하여 상기 일반폐기물(B)과 상기 철스크랩(A)을 분리하는 정도로 구성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분리가 어려운 건축자재에 함유된 고철이나, 파형강관 등과 같이 수지, 고무 등에 결합되어 있는 고철 등은 분리가 어려웠다.Generally, in the process for collecting scrap A, it is constructed by hand or by using a trommel sorter to separate the scrap (B) from the scrap (A), bu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scrap iron, scrap steel, etc. contained in building materials, such as scrap metal, which is bonded to resin, rubber or the like.
상기 파쇄기가 구성됨으로 인해, 하기의 공정들과 결합되어 철스크랩(A)의 분리가 어려운 파형강관, 전붓대애자, 오일씰, 건축폐기물 등과 같이 수지 및 고무가 피복되어 있거나 시멘트 등과 결합되어 철스크랩(A)의 분리가 어려웠던 구조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crusher, resin and rubber are coated or combined with cement such as corrugated steel pipe, crusher, oil seal, construction waste, etc., which are difficult to separate the iron scrap A in combination with the following processes, A) can be easily separated.
이때, 상기 파쇄부는, 강도 및 인성이 높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재료들을 파쇄해야 하는데, 이에 따라 걸림 현상이 수시로 발생될 수 있으므로 걸림배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rushing unit must crush materials having various strengths and toughness and have various shapes,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ing and discharging unit is further provided since the catching phenomenon may be generated from time to time.
상기 걸림배출부는, 상기 파쇄부 일측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재료가 상기 파쇄부 내부에서 걸림현상이 발생되어 기계 오작동 등이 발생될 때, 작업자가 개방하여 상기 재료를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at a side of the crushing portion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that when the material is caught in the crushing portion and a machine malfunction occurs, .
다음으로,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는,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이 이동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자력이 형성되는 저중량의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primary belt
구체적으로, 상기 폐기물은 상기 파쇄부에서 파쇄된 후, 이동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가 상기 컨베이어 중간 상부에 마련되어 파쇄된 상기 폐기물에서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A)을 분리한다.Specifically, the waste is crushed in the crushing section and then transported by the moving conveyor. At this time, the primary bel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컨베이어 벨트 자석 분리기’가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폐기물에서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폐기물(A)을 분리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primary belt
상기 ‘컨베이어 벨트 자석 분리기’는 상기 폐기물을 이송하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수직하게 이송방향이 형성되는 컨베이어 벨트가 구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강한 자력이 형성되는 영구자석(21)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붙인 후, 이송방향이 형성되는 단부 즉, 상기 영구자석(21)의 자력이 미미해지는 지점에서 상기 철스크랩(A)이 떨어져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The 'conveyor belt magnet separator' comprises a conveyor belt in which a conveying direction is formed perpendicular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er for conveying the waste, and as shown in FIG. 3, a permanent magnet The iron scrap A is pulled out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n the iron scrap A is separated and separated at the end where the conveying direction is formed, that is, at the point where the magnetic force of the
따라서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를 통해서는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 붙어 올라갈 수 있는 정도의 비교적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이 분리되어 진다.Therefore, the iron scrap A having a comparatively low weight enough to stick to the primary belt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은 하기의 1차 스크린선별부(40)로 이송된다.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belt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가 마련되는 이유는, 상기 폐기물에서 철스크랩(A)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효율화 공정 중 하나로 비교적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우선적으로 분리하여 대량으로 빠르게 상기 철스크랩(A)을 연속적으로 선별 처리하는 컨베이어 공정에서 상기 철스크랩(A)을 분리하는 정확도를 월등히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providing the primary belt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는, 높이조절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imary belt
다음으로,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는,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형성되는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primary drum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는, 컨베이어의 헤드드럼을 대체하여 자석드럼이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서 분리되지 못한 비교적 고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분리한다.Specifically, the primary drum
상기 자석드럼이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형성됨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폐기물(B)과 상기 철스크랩(A)의 낙하지점이 달라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철스크랩(A)을 분리한다.Since the magnetic drum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veyor, the dropping point of the general waste B and the scrap A is different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scrap A is separated do.
구체적으로, 일반폐기물(B)은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단부에서 외부로 낙하되나 상기 철스크랩(A)은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석드럼을 타고 하부면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동 후, 떨어져 수거된다.Specifically, the general waste B is dropped from the end to the outside by the driving of the conveyor, but the iron scrap A is moved by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drum by the magnetic force, .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및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자력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폐기물(B)을 대부분 걸러 낼 수 있고, 상기 철스크랩(A)을 손실 없이 대부분 수거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largely filter the general waste B not forming a magnetic force through the primary belt
이때,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일반폐기물(B) 중 분리가 어려운 수지, 고무, 시멘트 등의 재질과 완전히 분리가 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하기의 공정을 통해 추가적인 분리작업이 필요하다.At this time, the iron scrap (A) may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terials such as resin, rubber, cement and the like, which are difficult to be separated from the general waste (B), so that additional separation work is requi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Do.
수거된 상기 일반폐기물(B)은 폐기하거나, 상기 일반폐기물에 미량의 상기 철스크랩(A)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철스크랩(A)의 수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파쇄부에 수거된 상기 일반폐기물(B)을 재투입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Since the collected general waste (B) may be discarded or a small amount of the scrap (A) may be contained in the general wast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ap (A) The above process can be repeated by re-introducing the general waste (B).
다음으로,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는,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A) 및 일반폐기물(B)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primary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은, 일반폐기물(B)과의 분리가 완전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공정에 의해 상기 일반폐기물(B)이 상기 철스크랩(A)에 붙어 같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belt
이를 위해,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가 마련되고,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는, 트롬멜(trommel) 형태의 스크린 선별기로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primary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는, 회전이 실시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기 및 1차 드럼자석선별기로부터 상기 철스크랩(A)을 공급받는다.The primary
이때,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회전속도 및 스크린에 형성되는 홀 크기는 선별하고자 하는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 및 중량에 맞춰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primary
또한,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힌지축이 마련되어, 지면과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각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primary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경사각의 크기를 제어하여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 내부에서의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철스크랩(A)이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일측 및 타측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imary
이를 통해,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선별 및 분리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screening and separating the primary
상기 스크린의 홀을 통해 선별될 수 있는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홀을 통해 선별 배출되어,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컨베이어로 낙하되어 하기의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로 이송된다.The iron scrap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smaller that can be sorted through the holes of the screen is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holes of the primary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타측 단부로 배출되어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며, 하기의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및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거쳐 추가적으로 일반폐기물(B)과 철스크랩(A)의 분리 과정을 거친다.The iron scrap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discharged to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다음으로,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는,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secondary drum
구체적으로,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는,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secondary drum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의 단부에 헤드드럼 위치에 자석드럼이 형성되어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로부터 선별 배출되어 낙하된 상기 철스크랩(A) 및 일반폐기물(B)을 추가적으로 분리한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ary drum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은 재생 가능한 순도 높은 철스크랩(A)으로 분류된다.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secondary drum
다음으로, 2차 벨트자석선별부(60)는,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secondary belt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되어 이동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한다.Specifically, the iron scrap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not be sorted through the primary
이때,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되어 이동하는 컨베이어의 중간부 상부에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secondary belt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는,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어, 비교적 저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하여 분리한다.The secondary belt
다음으로,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는,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tertiary drum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는,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비교적 고중량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 분리한다.The tertiary drum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는,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타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마련된다.The tertiary drum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는,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 및 2차 드럼자석선별부(50)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 분리한다.The tertiary drum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를 통해 선별 분리된 상기 철스크랩(A)은 이물질이 대부분 분리되어 재생 가능한 철스크랩(A)으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ron scrap A sorted and separated through the tertiary drum
이때,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에서 비교적 가장 크기가 큰 철스크랩(A)이 수거되고,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에서 비교적 가장 크기가 작은 철스크랩(A)이 수거되며,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서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와 2차 드럼자석선별부(50)에서 수거되는 상기 철스크랩(A)에 비해 중간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이 수거 된다.At this time, the iron scrap A is collected in the tertiary drum
상기 철스크랩(A)의 수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2차 파쇄부(110),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 4차 드럼자석선별부(130), 2차스크린선별부,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 6차 드럼자석선별부(170) 구성을 포함하는 수거효율상승부(100)가 더 마련된다.In order to maximiz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iron scrap A, the secondary crushing
먼저, 상기 2차 파쇄부(110)는,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및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을 투입 후, 파쇄기를 이용하여 추가 파쇄한다.The secondary crushing
상기 2차 파쇄부(110)는,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 및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통해 선별 분리되어 수거되는 상기 철스크랩(A)에서 철의 순도를 보다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The secondary crushing
상기 2차 파쇄부(110)를 통해, 1차로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에서 미세하게 포함되어 있던 분리가 어려운 소재(고무, 수지, 시멘트 등)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The material (rubber, resin, cement, etc.), which is finely contained in the iron scrap A that has been firstly sorted, can be completely separated through the
또한, 상기 2차 파쇄부(110)는, 선택적으로, 상기 1차 파쇄부(10)를 통해 파쇄되는 상기 폐기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을 생산할 수 있도록 파쇄조건을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ary crushing
구체적으로, 상기 2차 파쇄부(110)에서는, 상기 1차 파쇄부(10)보다 상기 파쇄기의 파쇄날 회전속도를 1.5~2배 상승시켜 상기 철스크랩(A)의 분쇄효율을 높인다.Specifically, the secondary crushing
이를 통해, 상기 고철폐기물(A)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일부 일반폐기물(B)(시멘트, 수지, 고무 등) 및 부식 등이 90% 이상 제거될 수 있다.As a result, at least 90% of some general waste B (cement, resin, rubber, etc.) and corrosion which can 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crap iron waste A can be removed.
다음으로,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는, 상기 2차 파쇄부(1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자력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tertiary belt
상기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는, 상기 2차 파쇄부(110)를 통해 파쇄되어 배출되는 상기 철스크랩(A)이 이동하는 컨베이어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서선별부와 동일한 형태로 구동된다.The third belt
다음으로, 상기 4차 드럼자석선별부(130)는, 상기 2차 파쇄부(110)를 통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quadratic drum
다음으로,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는, 상기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 및 4차 드럼자석선별부(13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A) 및 일반폐기물(B)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secondary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는, 선택적으로,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홀 크기의 1/3~1/2 크기의 홀이 마련되어 상기 고철폐기물(철스크랩)((A)을 선별할 수 있다.The secondary
이는, 선택적으로 수거되는 철의 순도가 보다 높은 철스크랩(A)을 우선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공정이다.This is a process for preferentially separating the iron scrap A having a higher purity of iron selectively collected.
상기 2차 파쇄부(110)를 거치며 상기 고철폐기물(A)의 크기가 비교적 줄어들며, 일반폐기물(B)과 상기 철스크랩(A)의 분리가 활발히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를 통해서는 상기 일반폐기물(B)과의 분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진 비교적 작은 크기의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size of the scrap iron waste A is relatively reduced through the secondary crushing
다음으로, 상기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는,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fifth drum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에 낙하되고,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상기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가 마련되어 철의 비율이 매우 높은 상기 철스크랩(A)을 수거한다.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secondary
다음으로,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는,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quadratic belt
다음으로, 상기 6차 드럼자석선별부(170)는,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큰 상기 철스크랩(A)의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을 선별한다.Next, the sixth drum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 6차 드럼자석선별부(17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은 이물질이 완전히 분리되어 재활용 가능한 철스크랩(A)이 생성된다.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quadrature belt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6차 드럼자석선별부(170),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 상기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 순으로 크기가 큰 순에서 작은 순으로, 순도가 높은 순에서 비교적 낮은 순으로 상기 철스크랩(A)이 선별된다.The iron scrap A is disposed in order from the largest to smallest in order of the sixth drum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A) 분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수거효율상승부(100)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struction of the iron scrap (A)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ollec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A) 분리 시스템은, 상기 1차 파쇄부(10)에 상기 폐기물을 투입한다.First, the iron scrap (A) sepa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waste into the primary crushing section (10).
상기 1차 파쇄부(10)에 투입된 상기 폐기물은 상기 1차 파쇄부(10)에 의해 파쇄되어 배출된다.The waste put into the primary crushing
파쇄되어 배출되는 상기 폐기물은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The wastes to be shredded and discharged are conveyed by a conveying conveyor.
이때,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 의해, 비교적 저중량에 자력에 반응하는 상기 철스크랩(A)이 선별되어 진다.At this time, the iron scrap A which is relatively low in weight and reacts to the magnetic force is selected by the primary belt
상기 컨베이어에 남아 있는 상기 폐기물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계속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1차 드럼자석선별부(30)에서 상기 철스크랩(A)이 추가 선별된다.The wastes remaining in the conveyor continue to be moved by the conveyor, and the iron scrap A is further selected in the primary drum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에서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20)에서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에 비해 고중량 이거나 이물질과의 분리가 완전하지 않은 폐기물이다.The iron scrap A selected by the primary drum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를 통해, 자력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폐기물(B)과 자력이 형성되는 상기 철스크랩(A)이 분리 수거된다.The general waste B not forming a magnetic force and the iron scrap A forming a magnetic force are separa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primary drum
상기 일반폐기물(B)은 폐기처분되거나 상기 철스크랩(A)의 수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1차 파쇄부(10)에 재투입 될 수 있다.The general waste (B) may be discarded or recycled to the primary crusher (10) to incre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crap (A).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 및 1차 벨트자석선별부(2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로 투입된다.The iron scraps A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drum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스크린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선별되어진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 하부에 형성되어 가동되는 컨베이어에 낙하되어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로 이동한다.The iron scrap 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smaller selecte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creen of the primary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는, 상기 1차 드럼자석선별부(30)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철스크랩(A)을 분리 한다.The secondary drum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를 통해 분리되는 상기 철스크랩(A)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순도가 높은 철스크랩(A)으로 구성된다.The iron scrap A separated through the secondary drum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를 통해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40)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iron scrap A not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철스크렙(A)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 의해 재 선별되어 진다.The iron scrape A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moved by the conveyor and re-sorted by the secondary belt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A)은 지속적으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에 의해 일반폐기물(B)과 철스크랩(A)로 분리된다.The iron scrap A not selected by the secondary belt
이때,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가 비교적 가장 작고,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가 비교적 가장 크다.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6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의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50) 및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에 비해 중간 크기의 철스크랩(A)이 분리된다.The size of the iron scrap A selected through the secondary drum
상기 철스크랩(A)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수거효율상승부(100)가 더 마련된다.A collection efficiency raising unit (100) is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iron scrap (A).
상기 수거효율상승부(100)는, 상기 과정을 동일 공정이 상기 3차 드럼자석선별부(70)로부터 연장되어 연속적으로 마련된다.The coll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수거효율상승부(100)는, 2차 파쇄부(110), 3차 벨트자석선별부(120), 4차 드럼자석선별부(130), 2차 스크린선별부(140),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 4차 벨트자석선별부(160), 6차 드럼자석선별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collection
이때, 상기 2차 파쇄부(110)는, 선택적으로 상기 1차 파쇄부(10)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구동되어 이물질 분리과정에 집중하거나 상기 1차 파쇄부(10)에 비해 회전날의 회전속도를 1.5이상 빠르게 구동하여 이물질 분리과정 및 추가 분쇄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ary crushing
이를 통해, 1차적으로 선별되어진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를 보다 작게 분쇄하여, 이물질(B)과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ze of the iron scrap (A), which has been primarily selected, can be further reduced, thereby facilitating the separation from the foreign matter (B).
또한,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140)에서는 스크린에 형성되는 홀의 크기를 1/2 작게 하여 상기 5차 드럼자석선별부(150)를 통해 선별되는 상기 철스크랩(A)의 크기를 최소화 하고, 재생할 수 있는 상기 철스크랩(A)의 순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The secondary
상기 과정을 통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도 높은 철스크랩(A)을 분리해낼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8, the iron scrap A having high purity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도 5의 (a)는 전신주(애자) 및 건축폐기물과 같이 시멘트 재질과 결합된 고철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이를 상기한 과정을 통해 철스크랩(A)으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5 (a) shows a scraper combined with a cement material such as a telephone pole and a building waste, and FIG. 5 (b) shows that the scrap is separated into the iron scrap A through the above- .
도 6의 (a)는 고철이 포함된 파형강관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이를 상기한 과정을 통해 철스크랩(A)으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6 (a) shows a corrugated steel pipe containing scrap metal, and FIG. 6 (b) shows that it is separated into steel scrap A through the above process.
도 7의 (a)는 고철이 포함된 에어클리너의 필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이를 상기한 과정을 통해 철스크랩(A)으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Fig. 7 (a) shows a filter of an air cleaner including scrap iron, and Fig. 7 (b) shows that it is separated into iron scrap A through the above process.
도 8의 (a)는 고철이 포함된 오일씰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이를 상기한 과정을 통해 철스크랩(A)으로 분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8 (a) shows the oil seal including the scrap iron, and FIG. 8 (b) shows that it is separated into the iron scrap A through the above process.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 철스크랩
B : 일반폐기물
10 : 1차 파쇄부
20 : 1차 벨트자석선별부
21 : 영구자석
30 : 1차 드럼자석선별부
40 : 1차 스크린선별부
50 : 2차 드럼자석선별부
60 : 2차 벨트자석선별부
70 : 3차 드럼자석선별부
80 : 중간수거부
100 : 수거효율상승부
110 : 2차 파쇄부
120 : 3차 벨트자석선별부
130 : 4차 드럼자석선별부
140 : 2차 스크린선별부
150 : 5차 드럼자석선별부
160 : 4차 벨트자석선별부
170 : 6차 드럼자석선별부
200 : 철스크랩수거부A: Iron scrap
B: General waste
10: primary crushing part
20: primary belt magnet sorting section
21: permanent magnet
30: Primary drum magnet sorting unit
40: primary screen sorting section
50: secondary drum magnet sorting section
60: Secondary belt magnet sorting section
70: tertiary drum magnet sorting section
80: Reject intermediate numbers
100: collection efficiency increase part
110: secondary crushing part
120: Third belt magnet sorting section
130: Fourth drum magnet sorting section
140: secondary screen sorting unit
150: 5 drum magnet selection part
160: Fourth belt magnet sorting section
170: Sixth drum magnet selection part
200: Iron scrap rejection
Claims (4)
상기 1차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자력이 형성되는 저중량의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1차 벨트자석선별부;
상기 1차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상기 폐기물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형성되는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1차 드럼자석선별부;
상기 1차 벨트자석선별부 및 1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고철폐기물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 및 일반폐기물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1차 스크린선별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2차 드럼자석선별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2차 벨트자석선별부;
상기 1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이 이동하는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3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드럼자석선별부, 2차 벨트자석선별부, 3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은 일반폐기물이 대부분 분리되어 재활용 가능한 형태의 철스크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A primary crushing unit for crushing the introduced waste by using a crusher;
A primary belt magnet sorting unit provided on the moving conveyor of the waste shredded through the primary crushing unit in the form of a belt magnet for sorting a low-weight iron scrap that forms a magnetic force;
A primary drum magnet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waste convey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ste shredded through the primary crushing section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for sorting iron scraps in which a magnetic force not sorted is formed in the primary belt magnet sorting section, Selection unit;
The scrap iron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the primary drum magnet sorting unit is input to the Trommell separator to separate the iron scrap and the general waste, and the iron scrap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s sorted A primary screen sorting unit;
A secondary drum magnet sorting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a moving conveyor for moving the iron scrap select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sor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to sort the iron scraps;
A secondary belt magnet sort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conveyor of the scrap that can not be sort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sor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belt magnet to sort the scrap iron;
A tertiary drum magnet sorting section for sorting the iron scraps which are not sorted in the secondary belt magnet sorting section,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on the end of the moving conveyor on which the iron scrap that can not be sorted through the primary screen sorting section moves, Lt; / RTI >
Wherein the iron scrap selected through the secondary drum magnet sorting unit, the secondary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the tertiary drum magnet sorting unit is an iron scrap in a form in which most of the general waste is separated and recyclable.
상기 철스크랩의 수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2차 벨트자석선별부 및 3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을 투입 후, 파쇄기를 이용하여 추가 파쇄하는 2차 파쇄부;
상기 2차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자력으로 선별하는 3차 벨트자석선별부;
상기 2차 파쇄부를 통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형성된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3차 벨트자석선별부에 선별되지 않은 자력이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4차 드럼자석선별부;
상기 3차 벨트자석선별부 및 4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을 트롬멜선별기에 투입하여 추가로 상기 철스크랩 및 일반폐기물을 분리하고,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2차 스크린선별부;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5차 드럼자석선별부;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상부에 벨트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4차 벨트자석선별부;
상기 2차 스크린선별부를 통해 선별되지 못한 상기 철스크랩의 이동 컨베이어의 단부에 드럼자석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에 선별되지 않은 상기 철스크랩을 선별하는 6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 5차 드럼자석선별부, 6차 드럼자석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상기 철스크랩은 이물질이 완전히 분리되어 재활용 가능한 고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분리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incre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iron scrap,
A secondary pulverizing unit for additionally crushing the iron scrap selected through the secondary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the tertiary drum magnet sorting unit and then crushing the iron scrap using a crusher;
A tertiary belt magnet sorting unit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t magn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conveyor of the iron scrap shredded through the secondary crushing unit to sort the iron scrap by magnetic force;
And a fourth magnet dispos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conveyor of the iron scrap, which has been crushed through the secondary crushing section,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wherein a magnetic force not discriminated by the tertiary belt magnet sorting section is applied to the quaternary drum magnet Selection unit;
The iron scrap selected through the tertiary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the fourth drum magnet sorting unit is input to the trommel separator to separate the iron scrap and the general waste, and the iron scrap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s selected A secondary screen sorting unit;
A fifth drum magnet sorting unit provided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on the end of the moving conveyor of the iron scrap sorted through the secondary screen sorting unit to sort the iron scraps;
A quadratic belt magnet sort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conveyor of the scrap that is not sorted through the secondary screen sorting unit, in the form of a belt magnet to sort the scrap iron;
And a sixth drum magnet sorting unit provided on the end of the moving scraper of the iron scrap which is not sorted through the secondary screen sorting unit, in the form of a drum magnet to sort the iron scraps not sorted in the fourth belt magnet sorting unit Including,
Wherein the iron scrap selected through the quadratic belt magnet sorting unit, the fifth drum magnet sorting unit, and the sixth drum magnet sorting unit is a scraper which is completely separated and recyclable.
상기 철스크랩은,
상기 6차 드럼자석선별부, 상기 4차 벨트자석선별부, 상기 5차 드럼자석선별부 순으로 분리된 철의 순도가 높은 순에서 비교적 낮은 순으로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teel scrap,
Wherein the iron scraps are sorted in descending order of purity of the iron separated in the order of the sixth drum magnet sorting unit, the fourth belt magnet sorting unit and the fifth drum magnet sorting unit.
상기 2차 파쇄부에서는,
상기 1차 파쇄부보다 상기 파쇄기의 파쇄날 회전속도를 1.5~2배 상승시켜 상기 철스크랩의 분쇄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 분리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econdary crushing section,
Wherein the crushing efficiency of the iron scrap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rushing blade of the crusher by 1.5 to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crush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164A KR20180138069A (en) | 2017-06-20 | 2017-06-20 |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8164A KR20180138069A (en) | 2017-06-20 | 2017-06-20 |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8069A true KR20180138069A (en) | 2018-12-28 |
Family
ID=6500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8164A KR20180138069A (en) | 2017-06-20 | 2017-06-20 |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3806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7209A (en) * | 2019-04-01 | 2019-07-05 | 青岛创客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dials rubber cutting machine |
WO2024126821A1 (en) * | 2022-12-16 | 2024-06-20 | Brgm | Method for recovering permanent magnets and valuable metals from hard disks |
-
2017
- 2017-06-20 KR KR1020170078164A patent/KR2018013806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67209A (en) * | 2019-04-01 | 2019-07-05 | 青岛创客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dials rubber cutting machine |
CN109967209B (en) * | 2019-04-01 | 2024-01-30 | 青岛创客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 Needle dial rubber tapping machine |
WO2024126821A1 (en) * | 2022-12-16 | 2024-06-20 | Brgm | Method for recovering permanent magnets and valuable metals from hard disks |
FR3143386A1 (en) * | 2022-12-16 | 2024-06-21 | Brgm | Process for recovering permanent magnets and valuable metals from hard driv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62977B (en) | Automatic sorting line for decoration garbage | |
KR101305130B1 (en) | Selective Separation Apparatus for polyurethane foam and fiber from ASR | |
JP4001194B2 (en) | Construction mixed waste sorting facility | |
KR20110049344A (en) | Sorter for scrap iron | |
CN109513521A (en) | A kind of ore-dressing technique recycling iron from asbestos tailings | |
US2014029968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 |
KR102121874B1 (en) | System for sort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 using trommell and sort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204294609U (en) | A kind of fixed building rubbish process for producing line | |
EP0483323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the economic components of scrap rubber tires | |
KR100358687B1 (en) |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 |
KR20180138069A (en) | Scrap iron separation system | |
KR102033626B1 (en) | Aluminume magnetic separator for wood chip | |
KR101665501B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s and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561649B (en) | Garbage disposal recovery system | |
KR100641400B1 (en) |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s | |
KR101794518B1 (en) | System for sort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 and sorting method using the same | |
WO2023152545A1 (en) | Method for the treatment of ferrous scrap comprising magnetic and non-magnetic materials and associated plant | |
KR200370561Y1 (en) |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construction wastes | |
KR100553024B1 (en) | Small aggregate makikng equipment that use disuse earth and sand | |
KR102725776B1 (en) | Apparatus for assorting the scrap iron from waste | |
US851717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 |
JP2000126642A (en) | Shredder dust treatment equipment | |
JP7574061B2 (en) | Waste treatment system and waste treatment method | |
Schloemann | Self-cleaning non-ferrous metal separator | |
KR102581345B1 (en) | Aggregate Manufacturing System with Separating Waste Device of Plate-type and Rotary-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