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56A - a pull-up bar with a support - Google Patents

a pull-up bar with a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56A
KR20180138056A KR1020170078125A KR20170078125A KR20180138056A KR 20180138056 A KR20180138056 A KR 20180138056A KR 1020170078125 A KR1020170078125 A KR 1020170078125A KR 20170078125 A KR20170078125 A KR 20170078125A KR 20180138056 A KR20180138056 A KR 2018013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ell
bar
protruding
bent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102017007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056A/en
Publication of KR2018013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n-up bar having a protrusive barbell hang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hin-up bar having a protrusive barbell hanger which has a protrusive barbell hanger for protruding towards both sides of a chin-up bar enabling a chin-up exercise, and even though a disc on one side of a barbell held on the barbell hanger is separated, prevents a barbell from leaving from the hanger by a weight of a disc on the other side so as to make a user do a chin-up exercise and barbell exercise safely and conveniently at home. In additio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rotrusive barbell hanger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a body of a user or a size of barbells, and even though a disc playing as a weight of a barbell is separated from one side by a barbell hanger protruding towards both sides, a rod of the barbell is prevented from leaving from the protrusive barbell hanger by the weight of the disc on the other side such that the user can safely use the barbell. To attain such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in-up unit formed to do chin-up exercise; a support provided in a lower part of the chin-up unit; and a connection stand connecting the chin-up unit to the support. The connection stand is provided for the protrusive barbell hanger to protrude towards a side surface unit.

Description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a pull-up bar with a support}A pull-up bar with a support,

본 발명은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는 철봉의 양측으로 돌츨되도록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여, 철봉 운동 뿐만 아니라 바벨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높이,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바벨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바벨에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원판을 일측에서 분리하더라도,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형 바벨 걸이대로 인해 분리된 원판의 타측에 구비된 원판의 무게에 의해 바벨의 봉이 돌출형 바벨 걸이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가정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 bar hanger having a protruding barbag hanger for engaging with both sides of a bar that can perform iron bar mo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er so as to suitably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body or barbell. Even if the original plate serving as a weight hanger in the barb is separated from one side,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prevents the bar of the barb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due to the weight of the disc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riginal disc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and safely perform various exercises Type barbell hanger.

일반적으로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취침시간을 제외한 일과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상체를 세운 상태로 생활하게 된다. 개인에 따라서 척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노동을 했을 경우, 또는 척추관절이 기울어진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등에는 척추 근골격계에 무리를 주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게 하거나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In general, a person is upright, so he lives upright during most of his work and life except for bedtime. When an individual exercises or exercises excessive force on the spine or if he or she is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 incorrect position with a tilted spine joint, it may cause fatigue or illness in the spinal musculoskeletal system. It also causes.

이럴 경우에도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직립자세를 유지한 채 생활하게 되므로 척추관절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한 방향으로만 압력을 받게 되어 피로감이 쉽게 풀어지지 않고 또한 추간판 탈출 등 질병이 발생되었을 때에도 치료가 되지 않고 악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erson maintains the upright position for most of the time, so that the spinal joint is pressurized in only on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fatigue is not easily solved, and even when a disease such as an herniated disc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deteriorated.

따라서, 필요에 따라 혼자서 용이하게 척추 근골격계를 이완시켜 줄 수 있는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철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ron rods are widely used as a mechanism for exercise that can easily relax the spinal musculoskeletal system alone, if necessary.

또한,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구비된 헬스크럽을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각종 운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lead a healthier life,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going to exercise various kinds of exercise by visiting a health club having various kinds of exercise equipment is increasing recently.

이러한 운동은 크게 상체 운동 및 하체운동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이며, 그 대표적이며 기본적인 운동으로서, 치닝(턱걸이), 디핑(평행봉), 푸시업 및 싯업이 대표적이다.These movemen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upper body movement and lower body movement. Representative and basic movements are chinning (jaw), dipping (parallel bar), push-up and sit-up.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를 단련할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을 실시하게 되고,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기구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정에서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헬스 클럽을 방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xercise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the body, and different kinds of exercise apparatuses must be provided for each exercise. Therefore, the user can visit the health club because he can not perform various exercises at home.

그러나, 헬스 클럽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함은 물론, 헬스 클럽은 다수인이 사용하는 곳이므로 자신이 원하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시간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서, 가정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 졌다.However, in order to visit a health club, a separate time must be invested. In addition, since a health club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ime with another person in order to perform a desired exercise. Because of the difficulty, more and more people are exercising at home.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17236호에서 볼 수 있는데, 상술한 선등록 고안은 2이상의 다수 운동기구를 결합하되, 기체를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서,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수단(볼트 등)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벽면 및 바닥면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n example of such a home exercise machine can be foun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17236. The above-mentioned line registration design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xercise machines, wherein the body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impossible.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wall and bottom surfaces are damaged due to the necessity of drilling a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fixing means (bolts, etc.) on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지면에 접촉 되며 중앙에 연결바(101)가 구비된 하부 베이스(100); 상기 연결바(10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기둥(110); 상기 중앙기둥(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 베이스(100)와 중앙기둥(110)을 연결하는 후방기둥(120); 상기 후방기둥(120)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지지봉(170); 상기 보조 지지봉(170)의 양 측에 설치된 보조쿠션(171); 상기 중앙기둥(1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디핑바(130); 상기 중앙기둥(110)의 상단에 설치된 치닝바(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9537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thereof is that a connection bar 101 is provided at the center, A lower base 100; A central pillar 1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ar 101; A rear pillar 120 connecting the lower base 100 and the central pillar 11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illar 110; An auxiliary support rod 170 installed above the rear pillar 120; An auxiliary cushion 17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support rod 170; A dipping bar (130)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enter pillar (110); And a chin bar (14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entral pillar (110).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은 바닥에 고정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하며,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협소한 실내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연결부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연결되는 부분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흔들리게 되어 안정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운동기구가 넘어질 수도 있어 사용자가 부상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9537 is not fixed on the floor and is easy to mov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exercises using one mechanism, so that various exercises can be performed in a narrow indoor space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used to connect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cos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robust. Therefore, when the battery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in the worst case, the exercise equipment may fall over, which may cause injury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적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서 상기 연결대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여 바벨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하여 철봉 운동 뿐만 아니라 바벨 운동도 가정에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pedestal to a pedestal, And a protruding barbell hanger for easily supporting the barbell so that the barbell movement can be performed safely in the home as well as the bar bar. To provide a steel ba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봉에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되, 돌출형 바벨 걸이대에서 바벨을 거치하기 위한 돌출형 바벨 거치부를 상하 한 쌍 구비하여, 바벨을 이용한 스쿼드 및 바벨을 이용한 밴치프레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형 바벨 거치부의 높이와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바벨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벨에서 원판을 교체하기 위하여 일측에서 분리하더라도 타측에 고정된 원판의 무게에 의해 바벨의 봉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거치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측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bell press apparatus and a barbell press apparatus, which are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ing bar on a bar, wherein the barbell hanging bar has a pair of upper and lower barbe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rotruding barbell mounting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arbell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and the length of the barbell, And a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protruding from a side of the barbell which can be stably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arbell by being tilted to one side due to the weight of the original plate fixed to the other sid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에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ar connecting the bar to the pedestal, wherein the ba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 hanger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bar, .

여기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부착 되는 판형상의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형성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may include a plate-shaped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that is screwed or welded to the connecting rod portion, a first bending portion that is bent forwar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extending portion, Shaped barbell moun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부착되는 판형상의 폭조절부와, 상기 폭조절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에 나사 결합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includes a plate-shaped width adjusting unit screwed or welded to the connecting bar, a height adjusting unit screwed to an end of the width adjusting unit, and a protruding bar- And the like.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폭조절부에 나사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측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절곡부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er comprises a protruding extension part screwed to the width adjusting part and a second bent part bent forward at the side of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and a plurality of screws And a ball is formed.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 씩의 돌출형 바벨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otruding barbell er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한편, 상기 폭조절부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부는 상기 연결대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ird bent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width adjusting portion to be bent forward, and the third bent portion is screw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그리고,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의 측면에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에 설치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composed of a second supporting bar which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bar so as to protrude laterally, and a protruding barbell mount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ing bar and to which the barb is fixed.

여기서,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는 연결대와 제2지지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보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third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to connect the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support.

또한, 상기 연결대는 한 쌍의 바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보강대와 제2보강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r, respectively.

이때, 상기 철봉부는 제1보강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전부에 구비되는 철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el bar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member protruding forward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an iron bar provided on the entirety of the first support member.

한편,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측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형태는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바벨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antime,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may be formed as a protruding barbing bar protruding to the side portion,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coupled to the column of the bar and a barbell erecting portion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여기서, 상기 돌출 연장부는 판 형상, 각 파이프 형상, 원형 파이프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any one of a plate shape, an angular pipe shape, and a circular pipe shape.

그리고, 상기 바벨 거치부는 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arbell mounting part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barbell mounting part is inclined upward.

한편, 상기 돌출 연장부는 판 형상, 각 파이프 형상, 원형 파이프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ng extension por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any one of a plate shape, an angular pipe shape, and a circular pipe shape.

이때, 상기 돌출 연장부는 철봉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iron bar.

그리고,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벨 걸이대에 있어서,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by being coupled to a column of a bar. The barbing hanging bar is formed of a barbell barb formed on the end of the barbell barb.

한편,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with the bent part bent forward or backward and a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bar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part of the bent part, And the ro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또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so that the bent part is bent forward or backwar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part, a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fixing ro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이때,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는 연결대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와 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rear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and a fro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tir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portion.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have a cross- And is formed so as to be folded in the shape of a circle and to enclose three sides of the linkage.

그리고,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상단에는 연결대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with the bent portion bent backward, and at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a fixing ba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bar to the left and right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fro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tire connecting rod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and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 the shape of a 'C' so as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connecting rod.

이때, 상기 몸체와 절곡부의 사이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suppor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bent portion to insert a connecting rod, and the supporting groove is formed to be bent in a shape of a 'C' shape so as to enclose three sides of the connecting rod.

한편,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with a fixing bar so as to protrude rearwar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body,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bar, do.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body may each have an extension, and an extens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may be formed with an upper support portion suppo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 lower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a connecting rod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xing rod is formed on the extended part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supporting part and the lower supporting part are formed to be bent in a " Is supported.

또한,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벨 거치부는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bell moun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rbell mounting part integrally supports the barbell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barbell mounting part includes a mounting part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art .

한편, 상기 연결대에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antime,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여 거치된 상태의 바벨에서 한쪽 원판을 분리해도 타측에 고정된 원판의 무게에 의해 바벨이 무게중심을 잃고 돌출형 바벨 걸이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바벨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 철봉운동 뿐만 아니라 바벨 운동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ron bar comprising a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art, a bar for providing a bar motion and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pedestal and the bar, Even if one original plate is separated from the mounted barbell with the protruding barbell fastener protruding to the side, the weight of the original plate fixed to the other side is lost,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rbell is lost and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protruding barbell faste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arbell movement as well as the barbing mo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봉에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되, 돌출형 바벨 걸이대에서 바벨을 거치하기 위한 돌출형 바벨 거치부를 상하 한 쌍 구비하여, 바벨을 이용한 스쿼드 및 바벨을 이용한 밴치프레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돌출형 바벨 거치부의 높이와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바벨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로 인해 바벨에서 원판을 교체하기 위하여 일측에서 분리하더라도 타측에 고정된 원판의 무게에 의해 바벨의 봉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거치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bell press apparatus and a barbell press apparatus, which are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ing bar on a bar, wherein the barbell hanging bar has a pair of upper and lower barbe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rotruding barbell mounting part so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and the length of the barbell, and also the protruding barbell- It is possible to stably prevent the bar of the barrel from being tilted to one side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barrel due to the weight of the original plate fixed to the other side even if the bar is separated from the barrel in order to replace the original plate.

도 1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철봉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디핑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보조발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바벨 걸이대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바벨 걸이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FIG. 2 is a state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with iron bars.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iving motion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barbell fastener of a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in which a barb is installed on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barbell hanger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ag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in which a barb is installed on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barbell hanger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tate in which a barb is installed on a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barbell fastener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tate in which a barb is installed on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rbell hanger of Fig. 14;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muscle part shown in Fig. 14.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barb is mounted in Fig. 17;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muscle section in FIG. 17;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oot is provided in Fig. 20;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muscle section in Fig. 21; Fig.
2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barbell hanger of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bdominal muscle part in Fig. 24; Fig.
2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joining process of the barbell hanger of FIG.
2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rbell hanger of Fig. 24;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muscle section in Fig. 28; Fig.
Figure 3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ding barbell fastener of Figure 28;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dominal muscle section in Fig. 32; Fig.
FIG. 3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of FIG. 32;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 예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바벨이 설치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보조발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0의 바벨 걸이대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복근 운동부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바벨 걸이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7은 도 24의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8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후부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의 사시도이고, 도 33은 도 32에 복근 운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2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truding type barbell fastener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type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ding barbell fastener of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r is installed on a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ucker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rb is installed on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ell 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bell fastener of FIG. 14,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ell shown in FIG. 17, an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foot is provided in Fig. 20,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an abdominal muscle part is installed in Fig. 21, Fig. 2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rocess of attaching the barbing hanger in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ucker fastener of FIG. 24,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ing hanger of FIG.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 having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ucker of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ron bar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barbell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rbell fastener of FIG. 32,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본 발명은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봉의 구성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300)와 상기 철봉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연결하는 연결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대(400)에 돌출형 바벨 걸이대(500)가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iron bar includes a bar 300 formed to be able to move by a bar, and a lower bar 300 And a connecting rod 400 connecting the rod 300 and the pedestal 200. The connecting rod 40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500 protruding from the side .

여기서, 상기 연결대(400)는 한 쌍의 바(410)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바(410)의 상부에는 제1보강대(420)가 구비되고, 바(410)의 하부에는 제2보강대(430)가 구비되어 한 쌍의 바(410)를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The connecting rod 4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rs 41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reinforcing bar 420 is provided on the bar 410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420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ar 410. [ And the pair of bars 410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연결대(4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연결대(400)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철봉이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edestal 2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400 so as to protrude forward and rearward of the pedestal 400, so that the pedestal 200 can be firmly supported without shaking.

한편, 상기 철봉부(300)는 상기 제1보강대(4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지지대(320)와 상기 제1지지대(320)의 전부에 구비되는 철봉대(310)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철봉대(310)를 통하여 철봉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bar 300 includes a first support 3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support 420 and a bar 310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320,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iron bar movement through the iron bar 310.

물론,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철봉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든 철봉에 측면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5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Of course, the iron ba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 is possible to use a protruding barbell holder 500 protruding from side surfaces of all the bars formed in various shapes.

그리고,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500)는 상기 연결대(400)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부착되는 돌출 연장부(530)와 상기 돌출 연장부(530)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520)와 상기 제1절곡부(520)에 형성되어 바벨을 지지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510)로 이루어진다.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500 includes a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530 screwed or welded to the connecting block 400 and a first bending portion 530 formed to be bent forwar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530. [ And a protruding barbell portion 510 formed on the first bent portion 520 to support the barb.

여기서, 상기 돌출 연장부(5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400)를 형성하는 바(410)의 후면에 나사, 용접 등 기계적 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돌출형 바벨 거치부(510)는 절곡부(52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바벨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5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r 410 forming the connection part 400 by mechanical coupling with screws or welding.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of the bent portion 520 and has an end inclined upwardly to prevent the barb from being disengaged arbitrarily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그래서, 사용자는 철봉부(300)를 사용하여 철봉 운동을 할 수도 있고,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500)에 거치된 바벨을 사용하여 바벨 운동을 수행할 수 도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perform the barb movement using the barb 300, or perform the barbell movement using the barbell mounted on the barbell 500.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돌출 연장부(530)는 판 형상 이외에 원형 파이프, 사각 파이프나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형 바벨 거치부(510)는 제1절곡부(520)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돌출 연장부(530)의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53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ipe, a rectangular pipe, or other various shapes besides the plate shape, and the protruding barbell- Or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direct protruding portion 530 without forming the portion 52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200), 철봉부(300), 연결대(400)로 이루어지는 철봉의 연결대(400)에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는 상기 연결대(400)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부착되는 폭조절부(630)와 상기 폭조절부(63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부(620)와 상기 높이조절부(620)에 나사 결합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로 이루어진다.7 and 8, a protruding barbell hanging plate 600 (see FIG. 7) is attached to a connecting rod 400 of a bar made up of a pedestal 200, a bar 300, and a connecting bar 400, The protruding barbell hanging table 600 includes a width adjusting part 630 screwed or welded to the connecting rod 400 and a height adjusting part 630 screwed to the end of the width adjusting part 630. [ 620) and a height-adjustable portion 620. The height of the bar-

여기서, 상기 폭조절부(6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체 부분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며, 그 단부는 연결대(400)를 형성하는 바(410)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Here, the width adjusting unit 6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screw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entire portion thereof, and the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bar 410 forming the connecting unit 400 by screwing or welding .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620)는 일측에 돌출 연장부(624)가 형성되어, 상기 폭조절부(630)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폭조절부(630)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공 중에서 바벨의 길이 또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돌출 연장부(624)를 결합함으로써, 적절하게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가 설치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height adjusting portion 620 has a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624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is screwed to the width adjusting portion 630. The width adjusting portion 63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crew holes formed i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630,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width at which the protruding barbell mount 610 is installed by fitting the protruding extensions 624 at appropriate positio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arbell or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620)는 돌출 연장부(624)의 측부에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제2절곡부(6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절곡부(62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된다.The height regulating portion 620 is formed with a second bent portion 622 to be bent forward at a side of the protrusion extending portion 624. The second bent portion 62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그래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공 중에서 적절한 위치에 상기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를 나사결합 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8,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barbell mount 610 can be adjusted by screwing the protruding barbell mount 610 to a suitable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여기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전단이 상부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protruding barbell portion 610 is formed in an L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ding barbell portion 610 is inclined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directed upward, so that the barbell can be stably stowed.

그리고,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는 각 부를 나사 결합뿐만 아니라, 키, 핀 등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The protruding barbell hangers 600 may be combined not only with screws but also with keys, pins,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00)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의 높이조절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상기 높이조절부(6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하나 씩의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가 구비된다.9, the height adjuster 620 of the protruding barbell holder 600, which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ng block 400,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adjuster 620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a protruding barbell mount 610, respectively.

따라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바벨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바벨을 어깨 등에 올리고 스쿼드와 같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밴치 등을 구비하여 밴치에 누운 상태로 바벨을 들고 밴치 프레스와 같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the barbell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barbell mount 61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thereby raising the barbell to the shoulde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 movement such as a bench press by holding a barbell in a lying state on a bench with a bench or the like.

물론, 상기 높이조절부(6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형 바벨 거치부(610)를 적절한 위치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키에 맞게 적절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6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protruding barbell mounting portion 610 is screwed at a proper position, So that it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폭조절부(630)는 상기 연결대(400)를 형성하는 바(41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데, 상기 폭조절부(6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바(410)의 후면에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부착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63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절곡부(632)가 바(410)의 측면에 나사 결합으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The width adjusting unit 630 is screwed to the bar 410 forming the connecting unit 400. The width adjusting unit 630 is formed as a flat plate as shown in FIG. And a third bent portion 632 having one end bent forward is formed,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third bent portion 632 May be coupled a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r 410 by screwing.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철봉에 구비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7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00)의 측면에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대(720)와 상기 제2지지대(720)의 단부에 구비되어 바벨을 거치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71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2,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older 700 provided on the iron bar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720 protruding lateral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400, And a protruding barbell mount 710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720 to mount the barb.

여기서, 상기 제2지지대(720)는 연결대(400)를 구성하는 바(410)와 나사 결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Here, the second support 7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r 410 constituting the connection unit 400 by a method such as screwing or welding.

그리고, 상기 연결대(400)의 바(410)와 제2지지대(720)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제3보강대(7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3보강대(730)는 제2지지대(7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상당한 무게의 바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third reinforcing bar 730 is further provided to connect the bar 410 of the connecting bar 400 and the end of the second bar 720 to the second bar 720 B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arbell of a considerable weigh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00)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9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91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한 쌍의 연결대(4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640)이 형성된다.14 to 16, a protruding barbell hanging unit 900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ng unit 400 includes a body 910 having a bent portion And a fixing rod 6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ending portion 9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400.

여기서, 상기 연결대(4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4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40)에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 고정되게 된다.The connecting rod 4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440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440.

따라서,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 삽입될 경우, 상기 몸체(910)의 후면이 연결대(400)의 전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9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400, thereby preventing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older 900 from rotating arbitrarily .

또한, 상기 몸체(910)의 타측 단부에는 바벨 거치부(970)가 몸체(9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벨 거치부(970)는 상기 몸체(910)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972)와 상기 안착부(972)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974)으로 이루어져 바벨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A barb mounting portion 97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910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910. The barb mounting portion 970 includes a seat 910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910, And a locking protrusion 974 protrude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972. The barb 972 can be stably installed.

이때, 본 발명의 철봉은 철봉부(300), 연결대(400), 받침대(2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철봉부(300)는 전술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대(310')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31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320')와 상기 제3연결부재(320')의 양측에 전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철봉대(330)로 이루이질 수도 있다.The iron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iron rod 300, the connecting rod 400 and the pedestal 200. The iron rod 300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 third connecting member 32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s 310' and a third connecting member 32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s 310' And a first iron bar 330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first iron bar 330.

여기서, 상기 제1철봉대(330)는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가 교차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 모두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결합방식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된다.The first vertical bar 33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vertical support 310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320' intersect with the second vertical support 310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320 ') And the joining method is combined with the welding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joining strength.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철봉대(330)에 매달려 운동을 할 때, 움직임이 큰 운동을 하여 강한 하중이 제1철봉대(330)에 걸리더라도 이중으로 용접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hangs the first iron bar 330, the first bar bar 330 performs a great movement, so that even if the first bar bar 330 hits a strong load, the user can be doubly welded to securely support the user .

그리고, 상기 제1철봉대(330)에는 제1철봉대(330)와 수직되도록 제2철봉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철봉대(340)는 한 쌍의 제1철봉대(330)의 중심부를 연결하면서 제1철봉대(3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철봉대(330)의 상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게 된다.The first iron bar 330 is provided with a second iron bar 340 perpendicular to the first iron bar 330. The second iron bar 340 includes a pair of first iron bars 330 And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ron bar 330. The first iron bar 330 and the second iron bar 330 are welded to each other.

그래서, 사용자가 제2철봉대(340)에 매달려 운동을 하더라도 제1철봉대(33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hangs on the second iron bar 340, the iron bar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iron bar 330.

또한, 상기 제2철봉대(340)의 양측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절곡부(345)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1철봉대(330)의 측부로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팔에 큰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절곡부(345)를 파지하여 일반적인 철봉 운동으로 자극하지 못하는 근육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운동효과를 높여주게 된다.A bent portion 34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ron bar 340 so as to be bent downward so that a user grasps a portion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first iron bar 330 and applies a large load to the arm And the muscles that can not be stimulated by the general iron bar motion can be stimulated by gripping the bent portion 345, thereby enhancing the exercise effect.

그리고, 상기 받침대(200) 역시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2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30)와 상기 제1연결부재(2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수직지지대(2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4, the pedestal 200 may hav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edestal 200 may include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210 and a first A second connection member 230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220 and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a first vertical support 24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여기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상기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가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에 동시에 접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용접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t the same time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using a welding method.

이렇게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Thus,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strength and improving the overall durability.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30) 역시 수평지지대(210)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되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과 후단에 제1,2연결부재(220,230)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연결하게 됨으로써, 받침대(200)의 결합강도를 높여주어 큰 하중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Als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30 is weld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210 and 21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220 and 230 so that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pedestal 200 can be increased and the large load can be stably supported.

물론, 상기 받침대(200)를 형성하는 각 구성을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 등의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결속할 수도 있다.Of course,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forming the pedestal 200 may be bound by other known methods such as screw coupling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에는 보강대(2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대(250)는 제1수직지지대(240)와 수평지지대(21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수직지지대(24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250. The reinforcing bar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and the horizontal support 210 so that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the suppor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load is applied both before and after.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근운동부(840)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복근운동부(840)는 'ㄷ'형상의 프레임(842)과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후단에 구비되어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에 결합되는 결합부(844)와 상기 프레임(842)의 후부에 구비되는 등받이 쿠션(847)과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상면에 구비되는 팔 쿠션부(848)로 이루어진다.16, the abdominal muscle part 840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abdominal muscle part 840 may b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frame 842 and the frame 842, A cushion 848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of the frame 842 and a back cushion 847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ame 842 .

여기서, 상기 결합부(844)는 판형상을 세로 방향으로 세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844)의 하부에는 절개홈(84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홈(845)은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의 상부가 삽입되게 된다.The cutout groove 845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844, and the cutout groove 845 is formed in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845,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600 is inserted.

그래서, 상기 복근운동부(840)를 돌출형 바벨 걸이대(600)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자가 팔을 팔 쿠션부(848)에 지지하고, 등은 등받이 쿠션(847)에 지지하도록 하여 다리를 몸과 90°가 되도록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여 복근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holds the arm on the arm cushion part 848 while the abdomen muscle part 840 is fixed to the protruding barbell hanging table 600 and the back is supported on the back cushion 847, °, so that the abdominal muscles can be trained.

이때, 상기 프레임(842)의 양측 전단에는 파지봉(846)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팔을 팔 쿠션부(848)에 지지할 때, 손으로 상기 파지봉(846)을 파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gripping rods 846 protrude upward from both front ends of the frame 842 to grip the gripping rods 846 by hand when the user holds his / her arms on the arm cushioning portions 848 So that the user's body can be firmly supported so as not to be shaken.

또한, 상기 몸체(910)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9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916)에는 후술할 보조발(820)을 볼트 결합 등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ody 91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91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astening hole 916 can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foot 820 to be described later by means of bolts or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7 내지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를 형성하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912)가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7 to 19, a bent portion 912 formed at one side of a body 910 forming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older 900 is bent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91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91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고정봉(9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940)은 한 쌍의 연결대(4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20 to 23,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has a bent portion 912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910 so as to be bent forward or backward And a fixing rod 940 is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912. The fixing rod 940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400. [

여기서, 상기 연결대(4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4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40)에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rod 4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440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440.

이때, 상기 절곡부(92)의 상단에는 연결대(400)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954)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912)의 하단에는 연결대(400)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952)가 형성되는데, 상지 전부 지지부(952)와 후부 지지부(954)는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연결대(400)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A rear support portion 954 for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linkage 40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92 and a front support portion 954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of the linkage 4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912. [ The upper support portion 952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954 are formed to be bent in a shape of a cross section so as to enclose three sides of the linkage 400.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400)의 삽입공(440)에 고정봉(940)을 삽입하게 되면,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하부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의 무게가 무거워 하부가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회동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전부 지지부(952)와 후부 지지부(954)에 의해 임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다.23, when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of the connecting rod 400,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rod 940 is longer than that of the fixing rod 940, So that the lower part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bar 940 so as to be pivotally locked so that the lower part is not rotated by the entire supporting part 952 and the rear supporting part 954.

즉,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 삽입된 상태로 전부 지지부(952)에 의해 연결대(4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고, 후부 지지부(954)에 의해 연결대(400)의 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3방향에서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supports three surfaces includ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400 by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952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ar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The rear supporting portion 954 supports three surfaces includ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400 so that the fixing rod 940 is firmly fixed in three directions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440 .

그리고, 상기 몸체(910)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9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916)에는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발(820)의 상부가 고정 결합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foot 820 is fixedly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916 at regular intervals in the body 910.

여기서, 보조발(820)은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의 몸체(910)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822)와 상기 수직지지부(822)의 하단에 바닥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지지부(824)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foot 820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ortion 822 coupled to the body 910 of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and a bottom support portion 82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822, .

그래서, 상기 보조발(820)에 의해 본 발명의 철봉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활동적인 운동을 하더라도 본 발명의 철봉이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ron fo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auxiliary foot 820, so that the user can stably support the iron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exercises more active motion.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82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8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826)에는 캐처바(830)가 삽입 고정된다.A through hole 826 is formed in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82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tcher bar 8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 hole 826.

이때, 상기 캐처바(830)는 바벨의 추락을 방지하는 지지바(831)와 상기 지지바(831)의 후단에 구비되어 관통공(826)에 삽입되는 체결바(832)와 상기 지지바(831)의 전단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836)으로 이루어진다.The catcher bar 830 includes a support bar 831 for preventing the barrel from falling down and a fastening bar 832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upport bar 831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826, 831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guide plate 836.

여기서, 상기 지지바(831)는 바벨 거치부(970)의 안착부(97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벨을 사용하여 스쿼드나 벤치 프레스 등의 운동을 할 때, 실수로 바벨을 떨어트리거나 바벨을 잠시 거치하여 쉴 때 안정적으로 바벨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upport bar 831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ating portion 972 of the barb mounting portion 970, and when the user performs a movement such as a squad or a bench press using the barbell,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barbell at rest while resting the trigger or barbell for a whil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9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912)의 길이방향 상단에 고정봉(9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940)은 한 쌍의 연결대(4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24 to 27,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is formed such that a bent portion 912 is bent at one end of the body 910 to be bent rearward, A fixing bar 94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9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bar 940 protrudes outward from the pair of connecting bars 400.

여기서, 상기 연결대(4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4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40)에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 고정되게 된다.The connecting rod 4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440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440.

이때, 상기 절곡부(912)의 하부에는 전부 지지부(95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전부 지지대(952)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대(4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되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940)을 삽입공(440)에 삽입하면, 자중에 의하여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부 지지부(952)가 연결대(400)의 전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front support portion 952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912. The front support portion 952 is formed in a U-shaped cross-section, 29, when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the protruding type barb holder 900 is lower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xing rod 940 by its own weight The entire support portion 952 supports the entire connecting rod 400 so that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arbitrarily.

따라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여 체결됨으로써, 전부 지지부(952)에 의해 연결대(400)의 전면을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되어 3방향에서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s 900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rotuberance barb 90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ar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440, And the fixing rod 94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440. As shown in FIG.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912)가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912)의 길이방향 상단에 고정봉(940)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봉(940)은 한 쌍의 연결대(4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28 to 30, the protruding barbell hanging box 900 is formed such that a bent portion 912 is bent at one end of the body 910 to be bent rearward, A fixing bar 94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9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bar 940 protrudes outward from the pair of connecting bars 400.

여기서, 상기 연결대(400)에는 좌우로 관통되도록 삽입공(4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40)에 상기 고정봉(640)이 삽입 고정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rod 4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440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64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hole 440.

이때, 상기 절곡부(912)와 몸체(910)의 사이에는 연결대(400)의 전부가 삽입되는 지지홈(96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홈(960)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640)을 삽입공(440)에 삽입하면, 자중에 의하여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부 지지부(952)가 연결대(400)의 전부를 포함하는 3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support groove 960 is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 912 and the body 910. The support groove 96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c' When the fixing bar 6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the protruding bar holder 900 rotat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xing bar 940 due to its own weight, The supporting portion 952 supports three surfaces including the entire connecting rod 400 to prevent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older 900 from rotating arbitrarily and the fixing rod 940 is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440 .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2 내지 3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대(400)에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는 몸체(910)의 일측 단부 상하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94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400)에는 전후로 관통하도록 삽입공(440')이 형성된다.32 to 34, the connecting bar 40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detachably mounted to the body 910.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includes a body 910 A fixing rod 940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end portion. An insertion hole 44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unit 400 so as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back.

여기서, 상기 삽입공(440')에는 상기 고정봉(940')이 삽입되어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연결대(4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rod 9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and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older 9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ar 400.

이때, 상기 몸체(910)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915)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915)에는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40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95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9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915)에는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958)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부(956)와 하부 지지부(958)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지지하게 된다.An extension 91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body 910 and an extension 915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610 is connected to a fixing rod 940 ' An upper support portion 956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rod 40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and an extension portion 91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910 is provided with a lower portion The upper support portion 956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958 are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section so as to support three sides of the linkage.

그래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를 연결대(400)에 고정할 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940')을 삽입공(440')에 삽입하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상기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하부가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부 지지부(956)와 하부 지지부(958)가 상기 고정봉(94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연결대(400)의 측부를 각각 지지하게 되어,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가 임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봉(940')이 삽입공(4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34, when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40 ', when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is fixed to the connection block 400,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956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958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relative to the fixing rod 940 ' So as to prevent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900 from rotating freely and to prevent the fixing bar 9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440'.

따라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바벨 거치부(970)에 바벨을 거치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barbell on the barb mounting portion 97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그리고, 본 발명의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에 구비되는 바벨 거치ㅂ부70,970')는 연결대(400)의 양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벨 거치부(970,970')에 바벨을 거치한 상태에서 일측의 무게추를 교환하기 위하여 무게추를 분리하더라도 무게추가 연결된 부분으로 하중이 집중되어 바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arbell mounts 70 and 970 'provided on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t the posit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400 so that the barbell mounts 970 and 97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op of the barbell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load on the portion to which the weight is connected even if the weight is separated.

한편, 상기 연결대(4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연결대(400)에 형성되는 삽입공(440)은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고,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여, 적절한 위치에 돌출형 바벨 걸이대(9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삽입공(44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400)를 전후 또는 좌우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관통하지 않고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인접한 두면에 형성되어, 고정봉(940)이 삽입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block 400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The insertion block 440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400 may be formed as one, or a plurality of the insertion holes 44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insertion hole 440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onnection unit 400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rear, left, And the fixing rod 940 may be inserted into either one of the right side surfaces or two adjacent surfaces.

또한, 상기 삽입공(440)은 그 형상이 원형뿐만 아니라 별모양, 다각형 모양, 물방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hole 44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t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water droplet shap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봉 운동을 할 수 있는 철봉의 양측으로 돌츨되도록 돌출형 바벨 걸이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정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철봉 운동뿐만 아니라 바벨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높이,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 또는 바벨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돌출된 형태의 바벨 걸이대로 인해 거치된 상태의 바벨에서 무게추 역할을 하는 원판을 일측에서 분리하더라도 무게중심을 유지하게 하여 타측에 구비된 원판의 무게에 의해 바벨의 봉이 돌출형 바벨 걸이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가정에서 편피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bag hanger having a protruding barb hanger to be rolled to both sides of a bar that can perform iron bar moveme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rotruding type barbell fastener so tha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barbell fastener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body or barbel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and to prevent the bar of the bar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rbell hanging bar due to the weight of the original pl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barbell fastener that can be used safely and safely.

200 : 받침대 300 : 철봉부
310 : 철봉대 320 : 제1지지대
400 : 연결대 410 : 바
420 : 제1보강대 430 : 제2보강대
500,600,700 : 돌출형 바벨 걸이대 510,610,710 : 돌출형 바벨 거치부
520 : 제1절곡부 530 : 돌출 연장부
620 : 높이조절부 622 : 제2절곡부
624 : 돌출 연장부 630 : 폭조절부
632 : 제3절곡부 720 : 제2지지대
200: pedestal 300:
310: steel bar 320: first support
400: connecting rod 410: bar
420: first reinforcing bar 430: second reinforcing bar
500,600,700: protruding barrel hanger 510, 610, 710: protruding barrel hanger
520: first bend section 530:
620: height adjusting portion 622: second bending portion
624: protrusion extension part 630: width adjustment part
632: Third bend 720: Second support

Claims (26)

철봉 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철봉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에 측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A steel bar comprising a steel bar portion formed to enable a steel bar motion, a pedesta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portion, and a connection connecting the steel bar portion and the pedestal,
And a protruding barbell hanger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wall of the connect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의 후면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 형성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includes a plate-shaped protruding extension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A first bent portion formed forwardly at an end of the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And a protruding barbell mounting part formed on the first bent part and having a barb mounted there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는 판형상의 폭조절부와,
상기 폭조절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에 나사 결합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arrel hanger includes a plate-shaped width adjuster coupled to the linkage,
A height adjusting unit screwed to an end of the width adjusting unit,
And a protruding barrel mounting part screwed to the height adjust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폭조절부에 나사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측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절곡부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of claim 3,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screwed to the width adjusting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forward in a side portion of the projecting extens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ben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의 돌출형 바벨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rotruding barbell hanging part is provided on each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부는 상기 연결대의 측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6. The method of claim 5,
A third bending portion that is bent forward is formed at an end of the width adjusting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is screw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상기 연결대의 측면에 측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에 설치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돌출형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includes a second support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protruding type barbell mount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bar and mounted on the bar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의 하부에는 연결대와 제2지지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보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third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supporting ro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ing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한 쌍의 바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보강대와 제2보강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r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are provid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r,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철봉부는 제1보강대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전부에 구비되는 철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el ba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protruding forwar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Wherein the first bar is provided with an iron ba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측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형 바벨 걸이대의 형태는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바벨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arbell hanger has a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column of the bar,
And a barbell mounting part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extension par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연장부는 판 형상, 각 파이프 형상, 원형 파이프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is formed of one of a plate shape, an angular pipe shape, and a circular pipe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벨 거치부는 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rbell mounting part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formed with an end portion inclined up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 각 파이프 형상, 원형 파이프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ing portion comprises one of a plate shape, an angular pipe shape, and a circular pipe shape.
제2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연장부는 철봉의 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11,
And the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iron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연결대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좌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so that the bent part is bent forward or backward,
A fixing rod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or formed so as to penetrate right and lef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fixing bar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상부로 치우치는 위치에는 연결대의 일측면에 형성되거나 좌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은 한 쌍의 연결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so that the bent part is bent forward or backward,
A fixing rod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or formed to penetrate right and left is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portion,
Wherein the fixing bar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of the pair of connecting rod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상단에는 연결대의 후부를 지지하는 후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와 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rea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rea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A front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entir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Wherein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ar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and the rear supporting portion is bent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connecting r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는 절곡부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방향 상단에는 연결대의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so that the bent portion is bent backward,
And a fixing bar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an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는 연결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전부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부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ㄷ'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20. The method of claim 19,
A front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entire connecting rod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bent part,
Wherein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ront supporting portion is bent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connecting ro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절곡부의 사이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20. The method of claim 19,
A support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bend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groove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ort groove is curved in a " C " shape so as to surround three sides of the link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바벨 걸이대는 몸체의 일측 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거나,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type barbell hanging bar is formed with a fixing bar so as to protrude rearward at one end of the body,
Wherein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or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into which the fixing bar is insert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장부에는 고정봉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하부 지지부는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대의 3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23. The method of claim 22,
An extens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one end of the body,
An upper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 connecting rod locat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rod is formed at an extens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lower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a connecting rod locat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rod is formed in an extension part formed at a lower part of the body,
Wherei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are formed to be bent in a " C " shape in a cross-sectional shape to support three sides of the connecting rod.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는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바벨 거치부는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3,
A barbell mounting part for mounting a barbell is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barbell mounting part includes a seating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ody,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d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seating part.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에는 다수 개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가 구비된 철봉.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3,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lock.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벨 걸이대에 있어서,
철봉의 기둥에 결합되는 돌출 연장부와,
상기 돌출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바벨이 거치되는 바벨 거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바벨 걸이대.
1. A barbell hanging bar coupled to a column of a bar,
A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coupled to the column of the iron bar,
And a barb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extension portion and adapted to receive the barb.
KR1020170078125A 2017-06-20 2017-06-20 a pull-up bar with a support KR201801380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5A KR20180138056A (en) 2017-06-20 2017-06-20 a pull-up bar with a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5A KR20180138056A (en) 2017-06-20 2017-06-20 a pull-up bar with a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56A true KR20180138056A (en) 2018-12-28

Family

ID=6500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25A KR20180138056A (en) 2017-06-20 2017-06-20 a pull-up bar with a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05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43U (en) 2019-01-29 2019-02-18 최원진 Functional barbell holder
KR20210147821A (en)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Fitness exercise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43U (en) 2019-01-29 2019-02-18 최원진 Functional barbell holder
KR20210147821A (en) 2020-05-28 2021-12-07 주식회사 건강한형제들 Fitness exercise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554B2 (en) Multi-functional personal fitness apparatus
US6186926B1 (en) Seated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1379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bdominal muscle and gluteal muscle exercise
US20130005550A1 (en) Exercise chair
US9474922B2 (en) Combination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pilates and barre workouts
JPS585067B2 (en) physical training equipment
US7311645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172539B1 (en) Abdominal exercising support apparatus
TW201242638A (en) Core muscle training device and using method of the same
KR101656507B1 (en)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KR20170139464A (en) a pull-up bar with adapter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KR20180138056A (en) a pull-up bar with a support
US4662631A (en) Bench-type exercising apparatus
KR20210110090A (en) Multifunctional iron-bar fitness equipment
US7563215B1 (en) Abdominal muscle standing exerciser
KR200470221Y1 (en) horizontal bar
KR101439537B1 (en) Multi gym for in door
US11253745B2 (en) Arm chair exercise apparatus
KR200315439Y1 (en) Multipurpose fitness equipment
KR101887967B1 (en) Body-shape correction apparatus
KR100867206B1 (en) Twist and sit-up exerciser
CN218686056U (en)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JP3210050U (en) Waist exercise equipment
KR102587805B1 (en) Exercise equipment that hangs upside d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