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07B1 -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07B1
KR101656507B1 KR1020140177638A KR20140177638A KR101656507B1 KR 101656507 B1 KR101656507 B1 KR 101656507B1 KR 1020140177638 A KR1020140177638 A KR 1020140177638A KR 20140177638 A KR20140177638 A KR 20140177638A KR 101656507 B1 KR101656507 B1 KR 10165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edestal
iron
rod
ir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0547A (en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102014017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07B1/en
Publication of KR2016007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4Removably attached to wheelchair, home furnishing, or home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 및 평행봉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s such as a bar and a parallel rod in the room, and firmly combines each configuration to improve durability. And which can easily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when not in us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comprising: a steel bar which i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performing iron bar movement; a pedestal detach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bar; .

Description

실내용 운동기구{indoor exercising instrument}Indoor exercis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 및 평행봉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s such as a bar and a parallel rod in the room, and firmly combines each configuration to improve durability. And which can easily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when not in us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일반적으로 사람은 직립보행을 하기 때문에 취침시간을 제외한 일과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상체를 세운 상태로 생활하게 된다. 개인에 따라서 척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이나 노동을 했을 경우, 또는 척추관절이 기울어진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등에는 척추 근골격계에 무리를 주게 되어 피로감을 느끼게 하거나 질병을 야기하기도 한다.In general, a person is upright, so he lives upright during most of his work and life except for bedtime. When an individual exercises or exercises excessive force on the spine or if he or she is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 incorrect position with a tilted spine joint, it may cause fatigue or illness in the spinal musculoskeletal system. It also causes.

이럴 경우에도 사람은 대부분의 시간을 직립자세를 유지한 채 생활하게 되므로 척추관절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한 방향으로만 압력을 받게 되어 피로감이 쉽게 풀어지지 않고 또한 추간판 탈출 등 질병이 발생되었을 때에도 치료가 되지 않고 악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erson maintains the upright position for most of the time, so that the spinal joint is pressurized in only on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fatigue is not easily solved, and even when a disease such as an herniated disc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deteriorated.

따라서, 필요에 따라 혼자서 용이하게 척추 근골격계를 이완시켜 줄 수 있는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평행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parallel bars are widely used as a mechanism for exercising, which can easily relax the spinal musculoskeletal system alone if necessary.

또한, 더욱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구비된 헬스크럽을 방문하여 자신이 원하는 각종 운동을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lead a healthier life,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going to exercise various kinds of exercise by visiting a health club having various kinds of exercise equipment is increasing recently.

이러한 운동은 크게 상체 운동 및 하체운동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이며, 그 대표적이며 기본적인 운동으로서, 치닝(턱걸이), 디핑(평행봉), 푸시업 및 싯업이 대표적이다.These movement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upper body movement and lower body movement. Representative and basic movements are chinning (jaw), dipping (parallel bar), push-up and sit-up.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를 단련할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을 실시하게 되고,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기구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정에서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으므로 헬스 클럽을 방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xercise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the body, and different kinds of exercise apparatuses must be provided for each exercise. Therefore, the user can visit the health club because he can not perform various exercises at home.

그러나, 헬스 클럽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간을 투자하여야 함은 물론, 헬스 클럽은 다수인이 사용하는 곳이므로 자신이 원하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타인과 시간 조정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서, 가정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도 많아 졌다.However, in order to visit a health club, a separate time must be invested. In addition, since a health club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ime with another person in order to perform a desired exercise. Because of the difficulty, more and more people are exercising at home.

이러한 가정용 운동기구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17236호에서 볼 수 있는데, 상술한 선등록 고안은 2이상의 다수 운동기구를 결합하되, 기체를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서,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 및 바닥면에 고정수단(볼트 등)을 삽입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벽면 및 바닥면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n example of such a home exercise machine can be foun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17236. The above-mentioned line registration design i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xercise machines, wherein the body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impossible.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wall and bottom surfaces are damaged due to the necessity of drilling a fastening hole for inserting fixing means (bolts, etc.) on the wall surface and the floor surface.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지면에 접촉 되며 중앙에 연결바(101)가 구비된 하부 베이스(100); 상기 연결바(10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앙기둥(110); 상기 중앙기둥(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부 베이스(100)와 중앙기둥(110)을 연결하는 후방기둥(120); 상기 후방기둥(120)의 상측에 설치된 보조 지지봉(170); 상기 보조 지지봉(170)의 양 측에 설치된 보조쿠션(171); 상기 중앙기둥(1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디핑바(130); 상기 중앙기둥(110)의 상단에 설치된 치닝바(1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9537 as shown in Figs. 1 and 2 has been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thereof is that a connection bar 101 is provided at the center, A lower base 100; A central pillar 11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bar 101; A rear pillar 120 connecting the lower base 100 and the central pillar 11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pillar 110; An auxiliary support rod 170 installed above the rear pillar 120; An auxiliary cushion 17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support rod 170; A dipping bar (130)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enter pillar (110); And a chin bar (14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entral pillar (110).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439537호에 기재된 기술은 바닥에 고정하지 않아 이동이 용이하며,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협소한 실내공간에서도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연결부재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연결되는 부분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흔들리게 되어 안정적인 운동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운동기구가 넘어질 수도 있어 사용자가 부상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39537 is not fixed on the floor and is easy to move,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exercises using one mechanism, so that various exercises can be performed in a narrow indoor space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used to connect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cos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robust. Therefore, when the battery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in the worst case, the exercise equipment may fall over, which may cause injury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평행봉부로 이루어져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을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며, 조립도 간편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which comprise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lower part, a steel ro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a parallel bar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so as to perform various motions in the room. Each of the rods is detachable using a fixing bolt. Therefore, when not in use, It is easy to store and can be assembled easil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door exercise machine which can be easily used in the room.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 철봉부, 평행봉부, 연결대 모두를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각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용접으로 결합하며,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 볼트결합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결합강도를 높여 주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pipe in which a pedestal, a steel bar, a parallel bar, and a connecting rod are formed by using pipes, and the connecting portions for connecting the pipes are wel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joi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stable exercise for a long tim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iron rod portion and the pedestal portion. The pedestal portion is formed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 pedal movement, a pedesta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portion, and a connection connecting the pedal portion and the pedestal.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후단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와 수직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직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edestal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a first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ar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to each oth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first vertical support vertically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이때, 상기 제1수직지지대는 상기 수평지지대와 제1연결부재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vertical support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연결하는 보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upport to the horizontal support is further provided.

한편, 상기 철봉부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의 양측에 전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철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ron bar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vertical supports, a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first iron bar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ng member .

여기서, 상기 제1철봉대는 상기 제2수직지지대와 제3연결부재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teel bar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제1철봉대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되 제1철봉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철봉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철봉대의 양측에는 절곡부가 하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teel bar is provided to connect the center of the first steel bar to each other and to be protrud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ar, and the bending part is formed to bend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ar.

그리고, 상기 철봉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평행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parallel ba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r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평행봉부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평행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allel bar portion is composed of a vertically connecting member made of a pipe and a parallel rod provided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member.

이때,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상부와 철봉부는 제1연결대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하부와 받침대는 제2연결대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and the iron part are coupled by screw connection using a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part and the pedestal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re coupled by screw connection using a second connecting rod.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철봉부와 상기 받침대와 철봉부를 연결하는 제1,2연결대와 상기 제1,2연결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평행봉부로 이루어져 실내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을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며, 조립도 간편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heet, which comprises a pedestal for supporting a bottom portion, a steel ba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for enabling a steel bar movement, And a parallel ba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to perform various motions in the room. Each of the components is detachable using a fixing bolt. Therefore,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duce the volume,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doors.

그리고, 본 발명은 받침대, 철봉부, 평행봉부, 연결대 모두를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하되 각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용접으로 결합하며,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 볼트결합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결합강도를 높여 주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the iron bar, the parallel bar, and the connecting rod are all formed by using a pipe, and the connecting portions for connecting the pipes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bon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stable movement for a long time an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철봉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실내용 운동기구의 디핑운동 하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분리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철봉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평행봉부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FIG. 2 is a state view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with iron bars.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iving motion of a conventional indoor exercise devic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mechanism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pedestal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n iron part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parallel bar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분리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받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철봉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운동기구의 평행봉부의 측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the pedestal of the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bar portion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a parallel bar portion of an indoor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철봉운동이나 평행봉 운동을 실내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300)와 상기 철봉부(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200)와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연결하는 연결대(5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bar 300 formed to be able to perform a bar movement, A pedestal 2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r 300 and a connecting bar 500 connecting the bar 300 to the pedestal 200.

여기서, 상기 연결대(500)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대(200)를 용이하게 조립, 분리할 수 있어 필요시에는 조립하여 운동기구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onnecting rod 500 is made of a pipe and the rod 300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200 by screwing, the rod 30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separated from the pedestal 200 If necessary, it can be assembled and used as a fitness device. When not in use, it can be separated and reduced in volume,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그리고, 상기 받침대(200)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21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20)와 상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30)와 상기 제1연결부재(22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수직지지대(240)로 이루어진다.The pedestal 200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210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220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to the rear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A second connection member 2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nd a first vertical support 24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여기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상기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가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수평지지대(210)와 제1연결부재(220)에 동시에 접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용접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t the same time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using a welding method.

이렇게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는 수평지지대(210) 및 제1연결부재(220)와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Thus,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support 21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20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strength and improving the overall durability.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30) 역시 수평지지대(210)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되며, 수평지지대(210)의 후단에서 일정거리 내측과 후단에 제1,2연결부재(220,230)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연결하게 됨으로써, 받침대(200)의 결합강도를 높여주어 큰 하중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Als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30 is welded to the horizontal support 210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210 and 21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210, 220 and 230 so that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pedestal 200 can be increased and the large load can be stably supported.

물론, 상기 받침대(200)를 형성하는 각 구성을 용접이 아닌 나사결합 등의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결속할 수도 있다.Of course, ea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forming the pedestal 200 may be bound by other known methods such as screw coupling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1수직지지대(240)에는 보강대(2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대(250)는 제1수직지지대(240)와 수평지지대(21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수직지지대(24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250. The reinforcing bar 25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and the horizontal support 210 so that the first vertical support 240 )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and the suppor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load is applied both before and after.

한편, 상기 철봉부(300)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대(310)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31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320)와 상기 제3연결부재(320)의 양측에 전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철봉대(330)로 이루어진다.The bar 300 includes a pair of second vertical supports 31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 third connecting member 32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s 310 to each other, And a first iron bar 330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320 and 320.

여기서, 상기 제1철봉대(330)는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가 교차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제2수직지지대(310)와 제3연결부재(320) 모두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결합방식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여주게 된다.The first vertical bar 33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vertical support 310 and the third connection 320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support both the second vertical support 310 and the third connection 320, And the joining method is combined with the welding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joining strength.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철봉대(330)에 매달려 운동을 할 때, 움직임이 큰 운동을 하여 강한 하중이 제1철봉대(330)에 걸리더라도 이중으로 용접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hangs the first iron bar 330, the first bar bar 330 performs a great movement, so that even if the first bar bar 330 hits a strong load, the user can be doubly welded to securely support the user .

그리고, 상기 제1철봉대(330)에는 제1철봉대(330)와 수직되도록 제2철봉대(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철봉대(340)는 한 쌍의 제1철봉대(330)의 중심부를 연결하면서 제1철봉대(3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1철봉대(330)의 상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게 된다.The first iron bar 330 is provided with a second iron bar 340 perpendicular to the first iron bar 330. The second iron bar 340 includes a pair of first iron bars 330 And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ron bar 330. The first iron bar 330 and the second iron bar 330 are welded to each other.

그래서, 사용자가 제2철봉대(340)에 매달려 운동을 하더라도 제1철봉대(33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hangs on the second iron bar 340, the iron bar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iron bar 330.

또한, 상기 제2철봉대(340)의 양측에는 하부로 절곡되도록 절곡부(345)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1철봉대(330)의 측부로 돌출된 부분을 파지하여 팔에 큰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절곡부(345)를 파지하여 일반적인 철봉 운동으로 자극하지 못하는 근육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운동효과를 높여주게 된다.A bent portion 34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ron bar 340 so as to be bent downward so that a user grasps a portion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first iron bar 330 and applies a large load to the arm And the muscles that can not be stimulated by the general iron bar motion can be stimulated by gripping the bent portion 345, thereby enhancing the exercise effect.

한편, 상기 철봉부(300)와 받침부(200) 사이에는 평행봉부(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평행봉부(400)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결부재(410)와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중심부에 상하 연결부재(410)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평행봉대(420)로 이루어진다.A parallel bar 40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r 300 and the receiving part 200. The parallel bar 400 includes a vertically connecting member 410 and a vertically connecting member 410, And a parallel rod 420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10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10 and 420.

여기서, 상기 평행봉대(420)는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중심부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삽입된 부분을 용접 방식으로 결합하여 결합력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평행봉대(420)에 강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parallel rod base 420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410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410 by welding so a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Therefore, even if a strong load is applied to the parallel rod base 420 So that it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상부에는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1연결대(51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철봉부(300)를 형성하는 제2수직지지대(310)의 하부는 제1연결대(510)의 상부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A first connecting rod 510 forming a connecting rod 500 is screw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4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ing rod 310 forming the rod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rod 510 by screwing.

또한, 상기 상하 연결부재(410)의 하부에는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2연결대(52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200)를 형성하는 제1수직지지대(210)는 상기 제2연결대(520)의 하부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A second connecting rod 520 forming a connecting rod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410 by a screw connection and the first vertical supporting rod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520 is screwed.

따라서, 상기 연결대(500)를 형성하는 제1연결대(510)와 제2연결대(520)를 상하 연결부재(410)를 사용하여 결합하여 줌으로써, 큰 하중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평행봉대(420)가 구비되어 평행봉 운동까지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rod 510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520 forming the connecting rod 500 using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41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a large load, And a pedestal 420 is provided so that the parallel rod movement can be performed.

또한, 하나의 파이프로 연결대(500)를 형성하여 받침대(200)와 철봉부(300)만을 연결하도록 하여 평행봉부(400) 없이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500 may be formed of a single pipe so that only the pedestal 200 and the ba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using the parallel bar 4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철봉 및 평행봉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고, 각 구성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exercise device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exercises such as a bar and a parallel rod in the room, and firmly combines each configuration to improve durability. And which can easily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it can be easily stored when not in us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200 : 받침대 210 : 수평지지대
220 : 제1연결부재 230 : 제2연결부재
240 : 제1수직지지대 250 : 보강대
300 : 철봉부 310 : 제2수직지지대
320 : 제3연결부재 330 : 제1철봉대
340 : 제2철봉대 345 : 절곡부
400 : 평행봉부 410 : 상하 연결부재
420 : 평행봉대 500 : 연결대
510 : 제1연결대 520 : 제2연결대
610 : 고정볼트 620 : 너트
200: pedestal 210: horizontal support
220: first connecting member 230: second connecting member
240: first vertical support 250:
300: iron rod 310: second vertical support
320: third connecting member 330: first iron bar
340: second iron bar 345: bent portion
400: parallel bar portion 410: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
420: Parallel rod 500: Connecting rod
510: first connecting rod 520: second connecting rod
610: Fixing bolt 620: Nut

Claims (10)

철봉운동을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철봉부와,
상기 철봉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철봉부와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봉부는 한 쌍의 제2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의 양측에 전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1철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A steel bar portion form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iron bar movement,
A pedesta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r,
And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iron bar and the pedestal,
The iron bar portion includes a pair of second vertical supports,
A thir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first iron rod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link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한 쌍의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후단 내측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연결부재와 수직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직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supports,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ear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to each other,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s to each other,
And a first vertical support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는 상기 수평지지대와 제1연결부재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vertical support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t the same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연결하는 보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reinforcing bar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support to the horizontal sup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봉대는 상기 제2수직지지대와 제3연결부재에 동시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iron bar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vertical support and the third connection member at the sam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봉대의 중심부를 서로 연결하되 제1철봉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2철봉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철봉대의 양측에는 절곡부가 하부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iron bar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iron bar and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first bar,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ar to be bent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봉부와 받침부 사이에는 평행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rallel ba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ron bar and the receiv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봉부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하 연결부재와,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평행봉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rallel bar portion comprises a vertically connecting member made of a pipe,
And a parallel rod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상부와 철봉부는 제1연결대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하 연결부재의 하부와 받침대는 제2연결대를 사용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nd a steel bar portion are coupled by screw connection using a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and the pedestal are coupled in a threaded manner using a second connecting rod.
KR1020140177638A 2014-12-10 2014-12-10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KR101656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38A KR101656507B1 (en) 2014-12-10 2014-12-10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638A KR101656507B1 (en) 2014-12-10 2014-12-10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47A KR20160070547A (en) 2016-06-20
KR101656507B1 true KR101656507B1 (en) 2016-09-09

Family

ID=563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638A KR101656507B1 (en) 2014-12-10 2014-12-10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04U (en) 2017-01-10 2018-07-18 조강원 Self-assembly multi gym
KR20190109160A (en)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weight exercise equipment
KR20220167252A (en) 2021-06-11 2022-12-20 민돈기 Indo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support the user's streng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823A (en) * 2017-01-05 2018-07-13 김태화 Fitness equipment with multi function
KR102489886B1 (en) 2021-12-02 2023-01-19 김자헌 Complex Training Athletic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14Y1 (en) * 2003-09-17 2003-12-11 이진유 Multiple horizontal bar for correcting the build
KR101230600B1 (en) 2010-12-30 2013-02-06 김영준 Parallel bar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428012B1 (en) * 2013-03-20 2014-08-07 김태화 prefabricated parallel ba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12A (en) * 2008-09-11 2010-03-19 김삼생 Health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14Y1 (en) * 2003-09-17 2003-12-11 이진유 Multiple horizontal bar for correcting the build
KR101230600B1 (en) 2010-12-30 2013-02-06 김영준 Parallel bar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428012B1 (en) * 2013-03-20 2014-08-07 김태화 prefabricated parallel ba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04U (en) 2017-01-10 2018-07-18 조강원 Self-assembly multi gym
KR20180002205U (en) 2017-01-10 2018-07-18 조강원 Self-assembly multi gym
KR20190109160A (en)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weight exercise equipment
KR20220167252A (en) 2021-06-11 2022-12-20 민돈기 Indoor exercise equipment that can support the user's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47A (en)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507B1 (en) indoor exercising instrument
US11530777B2 (en) Multi-use mounting bracket with extension and internal support rod for gym accessories
US9630051B2 (en) Adjustable and swingable exercise bike
US9474922B2 (en) Combination exercise machine for performing pilates and barre workouts
KR101793904B1 (en) Multifunction fitness equipment
WO2007001208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US20050070403A1 (en) Balanced type stepper
KR20170139464A (en) a pull-up bar with adapter
US20080254957A1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JP5116064B2 (en) Bench press, full squat, suspension system
KR101398847B1 (en) Chair
KR20180138056A (en) a pull-up bar with a support
KR101439537B1 (en) Multi gym for in door
US10814162B2 (en)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pelvis
KR101640575B1 (en) parallel bars
KR20190005612A (en) Multi capacity sporting equipment
USRE26606E (en) Gymnastic apparatus
US11730996B2 (en) Running bended exerciser
KR102566578B1 (en) multipurpose strength training equipment
KR101416968B1 (en) Trampoline and jump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476518B1 (en) Shelf for keeping pilates equipment
JP3210050U (en) Waist exercise equipment
CN204319650U (en) A kind of exercising apparatus for sit-ups
US11781711B2 (en) Multi-use mounting bracket with extension and internal support rod for gym accessories
KR101316754B1 (en) Prefabricated parallel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