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632A -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632A
KR20180137632A KR1020170076604A KR20170076604A KR20180137632A KR 20180137632 A KR20180137632 A KR 20180137632A KR 1020170076604 A KR1020170076604 A KR 1020170076604A KR 20170076604 A KR20170076604 A KR 20170076604A KR 20180137632 A KR20180137632 A KR 2018013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ctional area
cross
pipe
flui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7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632A/ko
Publication of KR2018013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면적과 상기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구비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서 유체 이동 통로를 일부 폐쇄하는 유동조절유닛; 및 일측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과 통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공기흡입관;을 포함하고, 유동에 의해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pipe}
본 발명은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내부에 유체 이동 통로를 구비하는 유체이송관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용되는 수도관,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세척수(공정수) 또는 냉각수의 이송관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세척수(공정수) 또는 냉각수는 대상물의 세척 또는 냉각을 수행하고 나면 특정 성분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특정 성분 중에는 세척수(공정수) 또는 냉각수를 이송하는 유체이송관 내부에 산화작용을 촉진시키는 것들도 있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의 유체이송관은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척수(공정수) 또는 냉각수와 장시간 접촉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산화작용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그 내면에 다량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다량의 이물질은 유체이송관의 내경을 작아지게 하여 효율적인 유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보이듯이, 유체이송관(10)은 주기적인 이물질 제거작업과 세척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유체이송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는 워터젯 장치(20)로 유체이송관 내부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워터젯 장치(20)는 고압수 생성을 위한 추가 설비들이 요구되기에 설비 자체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유체이송관 내부를 세척하는 중에는 유체이송관 내부에 유체를 이송할 수 없게 되므로 해당 공정이 정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해당 공정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741449 B1 (2017.05.24)
본 발명은 유체이송관 내부의 유동에 의해 유체이송관 내부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 제거에 필요한 동력을 유동에 의해 얻으며, 친환경적으로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단면적과 상기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구비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서 유체 이동 통로를 일부 폐쇄하는 유동조절유닛; 및 일측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과 통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공기흡입관;을 포함하고, 유동에 의해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이송관에 고정되고, 상기 유체이송관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유체이송관의 직경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차지하게 구비되어 외면과 상기 유체이송관의 내면 사이가 유체 이동 통로가 되게 하는 유동조절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조절블록은, 상기 공기흡입관과 대면하는 외면이 곡면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흡입관은, 일측이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1 흡입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흡입부는, 일정구간 구부러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부에 구비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흡입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이송관은,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1 단면적이 상기 제2 단면적 이전에 존재하며, 상기 제2 단면적 이후에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는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 이전에 배치되는 발전유닛; 및 상기 발전유닛에 연결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진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전유닛은, 유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회전날개; 및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초음파진동유닛은, 상기 배터리부재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면에 부착되는 초음파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유동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유동조절블록에 연결되는 블록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블록지지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블록지지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이송관 내부의 유동에 의해 유체이송관 내부의 이물을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이송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 제거에 필요한 동력도 유체의 흐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조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 및 유동조절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 및 유동조절블록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유체이송관의 유동해석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통상의 파이넥스(FINEX) 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공정수)는 사용 후 회수되어 정화과정을 거쳐 재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세척수는 석탄분, 철가루, 그리스(grease)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유체이송관 내면에 이러한 이물이 축적되기 쉽고, 세척수를 이송하는 유체이송관의 산화 작용도 빠르게 진행된다.
유체이송관 내부에 이물이 축적되면 관내 원활한 유동이 어려워지고, 세척수의 원활한 흐름이 저해되어 세척수가 관내 더욱 오래 머무르게 되면서 유체이송관의 산화 작용을 더욱 촉진시키면서 유체이송관의 수명이 월등히 단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체이송관 특히, 파이넥스 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를 이송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체이송관은 파이넥스 분야에서 사용되는 관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 유동이 발생하는 관을 통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이송관은 제1 단면적과 상기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단면적에 상기 제2 단면적이 이어지되 상기 제1 단면적과 상기 제2 단면적을 잇는 구간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단면적 쪽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단면적은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이러한 유체이송관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 단면적이란 내부에 유체 이동 통로(31)를 구비하는 유체이송관(30)의 제1 직경(D1)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적이고, 제2 단면적이란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적이다.
이때, 제1 단면적은 제2 단면적보다 큰 값을 가지며, 유체이송관의 단면적은 제1 단면적에 제2 단면적이 이어지되, 제1 단면적에서 제2 단면적 사이는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의 유체이송관(30)은 제1 단면적인 영역(A1)을 가질 수 있고, 제2 단면적인 영역(A2)을 가질 수 있는데 유체이송관(30)의 단면적은 상기 제1 단면적인 영역(A1)에서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으로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30)은 일부 구간이 벤츄리 관(venturi pipe)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벤츄리 관에서 직경이 제1 직경(D1)인 구간을 제1 단면적인 영역(A1)으로 지칭하고, 직경이 제2 직경(D2)인 구간을 제2 단면적인 영역(A2)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체이송관(30)의 형태는 제1 단면적인 영역(A1)에서 제2 단면적인 영역(A2)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면적인 영역(A2)은 일정구간 유지될 수 있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후행되게 제1 단면적인 영역(A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는 상기 유체이송관(3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서 유체 이동 통로(31)를 일부 폐쇄하는 유동조절유닛(110) 및 일측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과 통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이송관(30)의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공기흡입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조절유닛(110)은, 유체이송관(30)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유체이송관의 직경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차지하게 구비되어 외면과 상기 유체이송관의 내면 사이가 유체 이동 통로가 되게 하는 유동조절블록(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블록(111)은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듯이, 상기 공기흡입관(120)과 대면하는 외면이 곡면(111a)일 수 있고, 상기 곡면(111a)의 아래는 평면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동조절블록(111)은 비행기의 날개와 같은 형태를 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체이송관(30)은 벤츄리 관의 효과 및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유동조절블록(111)의 곡면(111a)과 유체이송관(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서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압력이 감소하여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반해 유동조절블록(111)의 비곡면인 밑면과 유체이송관(30)의 내면 사이의 공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려져 압력이 상승하고 정압(+)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조절블록(111)의 곡면(111a)과 유체이송관(30) 사이로는 음압(-)이 작용하여 외부와 연결된 공기흡입관(120)을 통해 유체이송관(30)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유도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외부 공기는 유체이송관(30)의 유체 이동 통로(31)에서 유체와 만나 버블(B)이 되고, 유체이송관(30) 내부에서 버블(B)의 폭발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발생되는 충격파로 유체이송관(30) 내벽에 존재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버블(B)은 외부 공기 유입에 따른 것으로서, 화학물질 등의 첨가 없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유체이송관(30) 내부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관(120)은, 일측이 상기 유체이송관(30)의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통하게 연결되어 유동조절블록(111)의 곡면부(111a)와 대면하게 구비되고, 타측이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제1 흡입부(121) 및 상기 제1 흡입부(121)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체이송관(30)의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연결되는 제2 흡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흡입부(121)는 일정구간 구부러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영역(127)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와 연결된 단부에는 에어필터(126)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부러진 영역(127)과 에어필터(126)에 따르면 외부에서 공기흡입관(120) 내부로 이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1 흡입부(121)에 제어밸브(125)를 설치하고, 이 제어밸브를 체크밸브로 적용하면 유체이송관(30) 내부의 유체가 제1 흡입부(121)를 통해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흡입부(121)에서 분기되는 제2 흡입부(121)에 따르면 외부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되어 버블(B)의 발생량을 더욱 많아져 이물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유동조절유닛(110), 구체적으로 유동조절블록(111)을 유체이송관(30)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유동조절블록(111)은 유체이송관(30)의 유체 이동 통로(3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이송관(30)의 외면 양측에는 고정브라켓(112)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조절블록(111)의 일측에는 블록지지브라켓(113)이 연결되어 상기 유동조절블록(11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조절블록(111)을 유체이송관(30)의 횡방향으로 관통시킨 뒤, 상기 블록지지브라켓(113)을 연결브라켓(114에 의해 한 측의 고정브라켓(112)에 체결부재(115)로 결합함으로써 유동조절블록(111)을 유체이송관(30)에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115)는 볼트로 제공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115a)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볼트와 너트 이외의 다른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는 유체이송관(30)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 이전에 배치되는 발전유닛(130) 및 상기 발전유닛(130)에 연결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A2)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이송관(30) 내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진동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유닛(130)은, 유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회전날개(131) 및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초음파진동유닛(140)은 상기 배터리부재(132)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상기 유체이송관(30)의 외면에 부착되는 초음파진동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이물 제거에 필요한 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장치가 간소화되고, 동력을 생산하는 과정도 친환경적이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는 유체이송관(30)의 유체 이동 통로(31) 및 공기흡입관(120)의 유동해석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배치된 유동조절블록(111)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면서 유체이송관(3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부(121) 및 제2 흡입부(122)에 의해 다량의 공기가 빠르게 유입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유동조절블록(111)이 없는 상태이자 단일 공기흡입관(120)인 도 8을 참조로 하면 공기흡입관(120)으로의 외부 공기 유입이 활발하지 못하고, 제1 단면적인 영역(A1)과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서의 유속도 상대적으로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9에서 보이듯이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유동조절블록(111)만을 설치한 것만으로도 유체이송관(30)에서의 유속변화가 생기고, 유체이송방향으로 제2 단면적인 영역(A2)에 후행되게 배치되는 제1 단면적인 영역(A1)에서 유속이 보다 빨라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석결과를 참조로 하여 작업상황, 작업환경 및 유체의 종류에 따라 유동조절블록(111) 및 공기흡입관(120)을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하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유체이송관 내부의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30 : 유체이송관 20 : 워터젯 장치
31 : 유체 이동 통로 110 : 유동조절유닛
111 : 유동조절블록 112 : 고정브라켓
113 : 블록지지브라켓 114 : 연결브라켓
115 : 체결부재 120 : 공기흡입관
121 : 제1 흡입부 122 : 제2 흡입부
125 : 제어밸브 126 : 에어필터
130 : 발전유닛 131 : 회전날개
132 : 배터리부재 140 : 초음파진동유닛
141 : 초음파진동기

Claims (10)

  1. 제1 단면적과 상기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구비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에서 유체 이동 통로를 일부 폐쇄하는 유동조절유닛; 및
    일측이 상기 제2 단면적인 영역과 통하도록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공기흡입관;을 포함하고,
    유동에 의해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을 제거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이송관에 고정되고, 상기 유체이송관의 중심에서부터 상기 유체이송관의 직경방향으로 일부 영역을 차지하게 구비되어 외면과 상기 유체이송관의 내면 사이가 유체 이동 통로가 되게 하는 유동조절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블록은,
    상기 공기흡입관과 대면하는 외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은,
    일측이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와 통하게 구비되는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1 흡입부에서 분기되어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는 제2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흡입부는,
    일정구간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관은,
    상기 제1 흡입부에 구비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1 흡입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관은,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1 단면적이 상기 제2 단면적 이전에 존재하며, 상기 제2 단면적 이후에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 이전에 배치되는 발전유닛; 및
    상기 발전유닛에 연결되고, 유체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2 단면적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이송관 내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초음파진동유닛;
    을 더 포함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유체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회전날개; 및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진동유닛은,
    상기 배터리부재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면에 부착되는 초음파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조절유닛은,
    상기 유체이송관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유동조절블록에 연결되는 블록지지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블록지지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블록지지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KR1020170076604A 2017-06-16 2017-06-16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KR20180137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04A KR20180137632A (ko) 2017-06-16 2017-06-16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604A KR20180137632A (ko) 2017-06-16 2017-06-16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632A true KR20180137632A (ko) 2018-12-28

Family

ID=6500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04A KR20180137632A (ko) 2017-06-16 2017-06-16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249A (zh) * 2019-03-05 2019-05-10 昆山一鼎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管路吸取装置
CN112605076A (zh) * 2020-11-26 2021-04-06 安徽铜都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非牛顿流体阀门堵塞清理机构及其在盾构机中的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249A (zh) * 2019-03-05 2019-05-10 昆山一鼎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管路吸取装置
CN112605076A (zh) * 2020-11-26 2021-04-06 安徽铜都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非牛顿流体阀门堵塞清理机构及其在盾构机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914B2 (ja) 液封式ポンプ及び液封式ポンプの作動方法
KR20180137632A (ko) 유체이송관의 이물 제거 장치
EP2961892A1 (en) Bearing cooling system for vibratory pile devices
JP4335888B2 (ja) 液体浄化処理装置
NO300930B1 (no) Undervanns graveutstyr
SE508332C2 (sv) Radialfläkthjul
CN103912514A (zh) 长轴泵用水润滑滑动轴承装置
JP2013525692A (ja) 直線的な流れを提供するポンプ装置
CN203308726U (zh) 内置电机的净水离心泵
CN101595306B (zh) 用于旋转动力泵的密封室调节阀
US10584674B2 (en) Hydroelectric generating device
RU2422733C1 (ru) Тепловой кавитационный генератор
CN103357613B (zh) 一种清洗槽式的超声清洗枪
FI20185884A1 (fi) Vesisuihkuvetolaite ja vene
KR101815707B1 (ko) 배관 세척용 피그 및 피깅 시스템
US9205353B2 (en) Scum removal system for liquids
CN205689442U (zh) 一种新型高效卧式污水泵
KR101515470B1 (ko) 역사이펀용 유체 이송장치
KR101846265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배관의 플러싱 시스템
RU2649161C2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секционн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KR102207979B1 (ko) 다단펌프 일체형 버블 발생장치
US9868654B2 (en) Fresh-water clarification system with accelerator
JP6700660B2 (ja) 回転軸機構およびポンプ
CN105214855B (zh) 一种流体净化装置
CN217794678U (zh) 消泡机构以及消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