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347A - 퇴화셀 회생 방법 - Google Patents

퇴화셀 회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347A
KR20180137347A KR1020170076921A KR20170076921A KR20180137347A KR 20180137347 A KR20180137347 A KR 20180137347A KR 1020170076921 A KR1020170076921 A KR 1020170076921A KR 20170076921 A KR20170076921 A KR 20170076921A KR 20180137347 A KR20180137347 A KR 2018013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ell
electrolyte
concentration
electrolytic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486B1 (ko
Inventor
김대수
김영덕
김동규
김석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7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4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01M2/0275
    • H01M2/36
    • H01M2/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18Press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화셀 회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은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퇴화 시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 내로 리튬염을 1.5M(Mole) 농도 이상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포함하여, 퇴화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회생시킨다.

Description

퇴화셀 회생 방법{DEGENERATE CELL REGNERATIVE METHOD}
본 발명은 퇴화셀 회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 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15647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퇴화셀 회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은,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퇴화 시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 내로 리튬염을 1.5M(Mole) 농도 이상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포함하여, 퇴화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회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여 퇴화된 셀을 재생시킬 수 있다. 특히, 셀의 사이클 회복 및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여 퇴화된 셀의 저항 증가를 현저히 낮추고, 현저히 증가된 셀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적용되는 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적용되는 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절단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가압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압력 지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밀봉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따른 고농도 전해액이 주액된 셀의 용량 및 저항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따른 고농도 전해액이 주액된 셀의 용량 및 저항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밀봉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적용되는 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적용되는 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은 전극 조립체(12) 및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1a)가 형성된 파우치(11)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로 이루어진 셀(10)의 퇴화 시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파우치(11)의 수용부(11a) 내로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은 파우치(11)를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셀(10)의 내부가스를 배출하는 디개스 단계 및 파우치(11)를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퇴화셀 회생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절단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절단단계는 리튬 이차전지로 이루어진 셀(10)의 파우치(11)의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파우치(11)의 수용부(11a)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절단단계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액 추가 단계에서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을 통해 파우치(11)의 수용부(11a)로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셀(10)은 전극 조립체(12)와, 전해액 및 전극 조립체(12)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파우치(11)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2)는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전극(12c)과 분리막(12d)이 결집되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한다.
전극(12c)은 양극(12a) 및 음극(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12)는 양극(12a)/분리막(12d)/음극(12b)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극(12a)은 양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음극(12b)은 음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재질의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은 일례로 리튬망간산화물, 리튬코발트산화물, 리튬니켈산화물, 리튬인산철, 또는 이들 중 1종 이상이 포함된 화합물 및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은 다른 예로 Hi Ni계 양극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Hi Ni계 양극재는 LiNiMnCoO계, LiNiCoAl계 또는 LiMiMnCoAl계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니켈(Ni)의 함량은 예를 들어 0.5 mol ~ 0.95 mol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 집전체는 예를 들어 구리(Cu) 또는 니켈(Ni) 재질로 이루어진 포일(fo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은 일례로 인조흑연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은 다른 예로 리튬금속, 리튬합금, 카본, 석유코크, 활성화 카본, 그래파이트, 실리콘 화합물, 주석 화합물, 티타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막(12d)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양극(12a)과 음극(12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여기서, 분리막(12d)은 예를 들어 미다공성을 가지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올레핀계 수지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11)는 전극 조립체(12) 및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단계는 파우치(11)의 수용부(11a)에서 모서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파우치(11)의 모서리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셀(10)은 전극 조립체(12)의 전극(1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리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셀(10)의 파우치(11)의 수용부(11a) 내로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을 통해 파우치(11)의 수용부(11a)로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이때,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에 형성된 수용부(11c)의 개방된 부분(11c)을 통해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의 파우치(11)의 수용부(11a) 내로 리튬염(LiPF6)을 1.5M(Mole) 농도 이상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퇴화된 셀의 저항 증가를 낮추고, 용량을 증가시키며, 이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리튬염을 1.5M(Mole) 농도 이하로 포함되는 전해액에서는 1.5M(Mole) 농도 이상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에 비해 셀의 저항 증가를 낮추고, 증가된 셀의 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1.6 ~ 2.8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파우치(11)의 수용부(11a)로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여기서, 2.8M 농도 이상의 리튬염을 전해액에 포함 시, 전해액이 과농도 상태가 되어 셀(1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셀(10)의 저항 증가를 낮추는 효과가 적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보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1.8 ~ 2.4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파우치(11)의 수용부(11a)로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여기서 1.8 ~ 2.4M 농도의 리튬염을 전해액에 포함시, 셀(10)의 용량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셀(10)의 저항 증가를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특히, 리튬염이 1.8M 농도 이후로 전해액에 포함 시, 셀(10)의 용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셀(10)의 저항 증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때, 2.4 M 이하의 농도로 전해액에 포함 시, 셀(10)의 용량이 현저히 증가되고 셀(10)의 저항 증가가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유지될 수 있다.
디개스(De-gas) 단계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수행 후 밀봉단계 전에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으로 셀(10)의 내부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디개스 단계는 셀(10)의 내부가스를 진공을 통해 셀(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디개스 단계(S30)는 셀(10)에 진공을 걸어주어 셀(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셀(10)을 진공 챔버(미도시)의 내부에 수용시킨 후 진공 챔버의 내부를 진공시켜 셀(10)의 내부 가스를 셀(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가압단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압력 지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밀봉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밀봉단계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 후에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을 열압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단계는 셀(10)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도록 파우치(11)의 외면을 압력 지그(100)를 통해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차전지를 가압한 상태에서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을 열압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이때, 밀봉단계는 파우치(11)의 모서리 부분을 열압착기(20)를 통해 열융착시켜 파우치(11)의 수용부(11a)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밀봉단계는 셀(10)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도록 파우치(11)의 외면을 압력 지그(100)를 통해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봉단계는 셀(10)을 가압한 상태에서 파우치(11)의 절단 부분(11b)을 열압착하여 밀봉할 수 있다.
가압단계는 양면에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를 위치시키고,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를 결합수단(130)으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단계는 결합수단(130)을 통해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의 상호 간격이 좁혀지도록 고정하는 것을 통해 셀(10)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는 제1 가압부재(110) 및 제2 가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10,120)는 가압판 또는 가압블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130)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131) 및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131) 및 너트(132)는 각각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의 외측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단계(S41)는 너트(132)를 조임과 풀음에 따라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의 거리가 조절되어 셀(1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131)는 제1 가압부재(110) 및 제2 가압부재(120)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121)에 결합되고, 단부에 너트(13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130)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한 쌍의 가압부재(110,120)의 4모서리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따른 고농도 전해액이 주액된 셀의 용량 및 저항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셀의 사이클을 나타내고, 좌측 세로측은 셀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며, 우측 세로측은 셀을 저항 증가율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인 1.8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한 셀(A1)은 1.0M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주액한 셀(B1)에 비해서,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셀의 용량 유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인 1.8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한 셀(A2)은 1.0M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주액한 셀(B2)에 비해서,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셀의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 따른 고농도 전해액이 주액된 셀의 용량 및 저항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서 가로축은 셀의 사이클을 나타내고, 좌측 세로측은 셀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며, 우측 세로측은 셀을 저항 증가율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인 2.4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한 셀(C1)은 1.0M 미만의 농도로 리튬염(0M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주액한 셀(D1)에 비해서,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셀의 용량 유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인 2.4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한 셀(C2)은 1.0M 미만의 농도로 리튬염(0M 리튬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주액한 셀(D2)에 비해서,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셀의 저항 증가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밀봉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은 전극 조립체(12) 및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1a)가 형성된 파우치(11)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로 이루어진 셀(10)의 퇴화 시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파우치(11)의 수용부(11a) 내로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와, 셀(10)의 내부가스를 배출하는 디개스 단계 및 파우치(11)를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은 파우치(11)를 절단하지 않고 주사기(15)를 통해 고농도 전해액을 셀(10)의 수용부(11a)로 추가 주액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에서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파우치(11)의 내부로 주사기(15)를 통해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할 수 있다. 이때,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에서 주사기(15)의 주사 바늘(15a)의 단부는 고농도 전해액 주액 시, 파우치(11)의 외면을 관통하여 파우치(1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1a) 상에 위치시켜 고농도 전해액을 파우치(11)의 수용부(11a)로 주사할 수 있다.
디개스 단계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수행하여 고농도 전해액을 주액한 후에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으로 셀(10)의 내부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디개스 단계는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을 실링하는 실링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디개스 단계는 셀(10)의 내부가스를 진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셀(10)에 진공을 걸어주어 셀(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셀(10)을 진공 챔버의 내부에 수용시킨 후 진공 챔버의 내부를 진공시켜 셀(1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밀봉단계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거친 후 주사기(15)의 주사 바늘(15a)이 관통한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을 열압착을 통해 실링부(14)를 형성시켜 실링할 수 있다. 이때, 밀봉단계는 예를 들어 디개스 단계를 거친 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퇴화셀 회생 방법은 밀봉단계 전에 주사기(15)의 주사 바늘(15a)이 관통하여 형성된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을 밀봉 접착제로 실링하는 관통부 실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밀봉단계는 관통부 실링단계에서 밀봉 접착제로 밀봉된 주사 바늘(15a)이 관통한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을 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통해 주사기(15)의 주사 바늘(15a)에 의해 관통된 파우치(11)의 관통 부분(11d)을 이중으로 견고히 밀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퇴화셀 회생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셀
11: 파우치
11a: 수용부
11b: 절단 부분
11c: 개방된 부분
11d: 관통 부분
12: 전극 조립체
12a: 양극
12b: 음극
12c: 전극
12d: 분리막
13: 전극 리드
14: 실링부
15: 주사기
15a: 주사 바늘
20: 열압착기
100: 압력 지그
110: 제1 가압부재
111: 제1 결합홀
120: 제2 가압부재
121: 제2 결합홀
130: 결합수단
131: 볼트
132: 너트

Claims (8)

  1.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과,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해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퇴화 시 재생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 내로 리튬염을 1.5M(Mole) 농도 이상 포함하는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포함하여, 퇴화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회생시키는 퇴화셀 회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1.6 ~ 2.8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상기 고농도 전해액을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로 추가 주액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1.8 ~ 2.4M의 농도로 리튬염을 포함하는 상기 고농도 전해액을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로 추가 주액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 전에 상기 파우치의 모서리부를 절단하여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를 개방시키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 후에, 상기 파우치의 절단 부분을 열압착하여 밀봉하는 밀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의 절단 부분을 통해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로 상기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셀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도록 상기 파우치의 외면을 압력 지그를 통해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차전지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파우치의 절단 부분을 열압착하여 밀봉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파우치의 양면에 한 쌍의 가압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를 결합수단으로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의 상호 간격이 좁혀지도록 고정하는 것을 통해 상기 이차전지를 가압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는
    주사기를 통해 상기 파우치의 수용부 내로 상기 고농도 전해액을 추가 주액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추가 주액단계를 거친 후,
    상기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관통한 상기 파우치의 관통 부분을 열압착을 통해 실링하는 실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퇴화셀 회생 방법.
KR1020170076921A 2017-06-16 2017-06-16 퇴화셀 회생 방법 KR10225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21A KR102256486B1 (ko) 2017-06-16 2017-06-16 퇴화셀 회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21A KR102256486B1 (ko) 2017-06-16 2017-06-16 퇴화셀 회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47A true KR20180137347A (ko) 2018-12-27
KR102256486B1 KR102256486B1 (ko) 2021-05-27

Family

ID=6495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21A KR102256486B1 (ko) 2017-06-16 2017-06-16 퇴화셀 회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4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4282A (ja) * 2005-04-06 2006-10-26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130009500A (ko) * 2011-07-15 2013-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 및 그 이용 방법
KR20130123762A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조립체 및 이에 적용되는 가압 장치
KR20140015647A (ko) 2012-06-22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2015130310A (ja) * 2014-01-09 2015-07-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再生方法
KR20170062402A (ko) * 2015-11-27 2017-06-07 (주)이티에스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파우치 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4282A (ja) * 2005-04-06 2006-10-26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20130009500A (ko) * 2011-07-15 2013-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 및 그 이용 방법
KR20130123762A (ko) * 2012-05-03 2013-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조립체 및 이에 적용되는 가압 장치
KR20140015647A (ko) 2012-06-22 2014-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2015130310A (ja) * 2014-01-09 2015-07-1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再生方法
KR20170062402A (ko) * 2015-11-27 2017-06-07 (주)이티에스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파우치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486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2654B2 (en) Dual electrolyte electrochemical cells,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57430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plate with protrusion
CN101743653B (zh) 电化学电池组的堆叠结构
KR102045246B1 (ko) 탈기 과정의 공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1108447B1 (ko) 밀봉성이 우수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07063857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10041870A (ko) 이차 전지, 바이폴라 전극,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362552B1 (ko) 전지의 제조방법
KR20110135925A (ko)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셀
JP2011086760A (ja) 蓄電素子
KR101175057B1 (ko)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KR20100135382A (ko)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JP2013546136A (ja) パウチ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
KR20140067246A (ko) 노즐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
JPH07272761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70058047A (ko) 일회용 가스 포집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30031076A (ko) 다공성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120050946A1 (en) Supercapacitor module
KR101174919B1 (ko) 리튬 이차전지
US202300147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1179034B1 (ko) 밀봉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00128679A (ko) 플라스틱백을 구비하는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6485B1 (ko) 퇴화셀 회생 방법
US20220231320A1 (en) Cell battery
KR102256486B1 (ko) 퇴화셀 회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