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053A -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053A
KR20180137053A KR1020170075708A KR20170075708A KR20180137053A KR 20180137053 A KR20180137053 A KR 20180137053A KR 1020170075708 A KR1020170075708 A KR 1020170075708A KR 20170075708 A KR20170075708 A KR 20170075708A KR 20180137053 A KR20180137053 A KR 2018013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ontainer
cosmetic
discharge por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136B1 (ko
Inventor
유장영
김영호
김은지
윤재민
조주영
김선영
황유지
후이준
이경림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제조
Priority to KR102017007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를 세로로 분할하여 각각 이종의 화장품을 수용하고, 이와 같이 분할된 화장품용기에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 중 어느 하나를 뒤집어 서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엇갈리면서 각각의 누름버튼 내측에 형성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서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2)(22) 및 상기 배출수단(12)(22)을 가압하며, 토출구(14a)(24a)가 구비된 누름버튼(14)(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엇갈리면서 회전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토출구삽입홈(15)(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Rotary type cosmetic container for different kind}
본 발명은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를 세로로 분할하여 각각 이종의 화장품을 수용하고, 이와 같이 분할된 화장품용기에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 중 어느 하나를 뒤집어 서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엇갈리면서 각각의 누름버튼 내측에 형성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서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이란 신체의 아름다운 부분을 돋보이도록 하고, 나아가 신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들은 외모를 보다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기초 화장품 또는 색조 화장품을 이용하여 얼굴에 화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 중에는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이 있는데, 예를 들어, 스킨과 로션, 파운데이션과 에센스, 파운데이션과 하이라이트, 이종의 에센스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서로 긴밀한 관계를 이루면서 사용되는 화장품들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수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수의 용기를 각각 챙겨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화장품들이 휴대하고 다니기 편리하도록 크기가 자그마한 용기에 각각 수용될 경우 휴대 중에 분실하게 되는 일이 발생되며, 휴대 중에 가방안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면서 다른 휴대품들과 뒤섞여 찾아 사용하는 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96-33357호로 스킨 겸용 로션이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로션과 스킨 사이에 칸막이를 삽입하고, 각각 마개를 결합함으로써, 어느 한 쪽을 쓰더라도 다른 쪽에 있는 내용물이 나오지 않도록 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두 가지의 내용물(스킨과 로션)을 모두 쓸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두 가지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먼저 어느 한 쪽의 마개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한 후, 상기 마개를 닫은 다음, 다시 다른 쪽의 마개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한 후, 상기 마개를 닫아 보관해야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용기를 뒤집어 내용물을 손 또는 도포구에 토출시키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항상 일정량으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없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3144호로 세트 화장품 용기의 구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몸체와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노즐을 갖는 배출펌프와 상기 배출펌프를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긴밀한 관계를 이루며 사용되어지는 세트 화장품의 용기에 있어서, 제1용기와 제2용기의 일측에 평면상의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면에 각각 자석과 자성체를 설치하여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를 상기 자석과 자성체에 의해 합체되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용기와 제2용기를 강제로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된 제1, 2용기 중 사용하고자 하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다음, 배출펌프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면서 사용한 후, 다시 상기 용기에 뚜껑을 결합하고, 제1, 2용기를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자석과 자성체의 인력이 강할 경우 사용자가 제1용기와 제2용기를 쉽게 분리할 수 없고, 자석과 자성체의 인력이 약할 경우 제1용기와 제2용기가 유통 또는 휴대 중에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분리되어 임의대로 배출펌프가 가압되면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용기를 세로로 분할하여 각각 이종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이와 같이 분할된 화장품용기에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을 가압하는 누름버튼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 중 어느 하나를 뒤집어 서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면 상기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엇갈리면서 각각의 누름버튼 내측에 형성된 토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에 의해 이종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서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세로로 분할된 화장품용기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토출구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토출구삽입홈에 다른 화장품용기의 토출구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용기의 보관 또는 휴대 시 화장품용기의 누름버튼이 임의로 눌려지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2)(22) 및
상기 배출수단(12)(22)을 가압하며, 토출구(14a)(24a)가 구비된 누름버튼(14)(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엇갈리면서 회전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토출구삽입홈(15)(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마주보는 면에는 평면상의 접촉면(1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는 각각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중 어느 하나는 정립 위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역립 위치로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는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는 토출구삽입홈(15)(2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14a)는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25)에 삽입되고,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24a)는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1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은 가로로 형성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14a)(24a)의 가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킨 겸용 로션.
도 2는 종래의 세트 화장품 용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2화장품용기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2화장품용기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를 뒤집어 제1화장품용기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가 뒤집혀 제1화장품용기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와;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2)(22) 및 상기 배출수단(12)(22)을 가압하며, 토출구(14a)(24a)가 구비된 누름버튼(14)(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엇갈리면서 회전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토출구삽입홈(15)(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내부에는 각각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반원통 형태이며 마주보면서 접촉되는 면이 평면으로, 서로 결합되어 겹쳐졌을 때 원통 형태가 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는 반원통 형태의 평면 부분이 접촉되면서 결합되되, 서로 엇갈리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중 어느 하나는 정립 위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역립 위치로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와 결합된 배출수단(12) 및 누름버튼(14)과 제2화장품용기(20)와 결합된 배출수단(22) 및 누름버튼(24)이 서로 반대 방향 즉,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마주보는 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상의 접촉면(1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접촉면(11)(21) 중앙에는 각각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면서 회전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는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는 토출구삽입홈(15)(25)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14a)(24a)의 가압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 토출구(14a)(24a)가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의 일측 단부는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외주연으로 개방되어 있어 토출구(14a)(24a)가 들어가고 나오는 출입구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은 가로로 형성되되, 제1화장품용기(10) 및 제2화장품용기(20)가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토출구(14a)(24a)의 궤적은 상기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은 상기 토출구(14a)(24a)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14a)는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25)에 삽입되고,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24a)는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15)에 삽입되어 화장품용기의 보관 또는 휴대 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누름버튼(14)(24)이 임의로 눌려지지 않게 되어 누름버튼(14)(24)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일측 단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개구부(16)(26)가 형성된다.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개구부(16)(26)에는 각각 밀폐부재(18)(28)가 결합되어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부재(18)(28)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PP(polypropylene) 또는 PE(polyethylene)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수단(12)(22)은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개구부(16)(26)에 설치되어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12)(22)은 내용물을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12)(22)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개구부(16)(26)에 삽입되며 흡입구(121a)(221a)가 구비된 실린더(121)(221)와, 상기 실린더(121)(221)의 흡입구(121a)(22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밸브(122)(222)와, 상기 개구부(16)(26)에 결합되는 펌프하우징(123)(223)과, 상기 실린더(121)(221)의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124)(224)과, 상기 피스톤(124)(224)의 외측에 끼워져 실린더(121)(221)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피스톤링(125)(225)과, 상기 피스톤(124)(224)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가압링(126)(226)과, 상기 펌프하우징(123)(223)에 장착되어 누름버튼(14)(24)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27)(227) 및 상기 실린더(121)(2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이종 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28)(2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하우징(123)(223)은 개구부(16)(26)의 상단에 안착된 밀폐부재(18)(28)를 압박하여 고정시키면서 상기 개구부(16)(26)와 결합되거나, 또는 초음파 접합의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14)(24)은 배출수단(12)(22)의 일측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단(12)(22)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14)(24)의 내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수단(12)(22)에 의해 펌핑된 내용물이 이동되는 배출통로(142)(242)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14)(24)의 일측에는 펌핑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4a)(24a)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4a)(24a)는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서로 겹쳐지면서 결합되었을 때, 제1, 2화장품용기(10)(20)의 토출구삽입홈(15)(25)에 삽입되어 누름버튼(14)(24)이 눌려지지 않도록 하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면서 회전되었을 때, 제1, 2화장품용기(10)(20)의 토출구삽입홈(15)(25)으로부터 빠져나와 누름버튼(14)(24)이 가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누름버튼(14)(24)은 배출수단(12)(22)의 탄성부재(127)(22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조립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내부에 각각 이종의 내용물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개구부(16)(26) 단부에 밀폐부재(18)(28)를 안착시키고, 상기 개구부(16)(26)에 실린더(121)(221), 흡입밸브(122)(222), 펌프하우징(123)(223), 피스톤(124)(224), 피스톤링(125)(225), 가압링(126)(226), 탄성부재(127)(227) 및 흡입관(128)(228)으로 이루어진 배출수단(12)(22)을 설치하되, 상기 펌프하우징(123)(223)을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의 개구부(16)(26)에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수단(12)(22)의 단부에 누름버튼(14)(24)을 결합하는데, 이때, 상기 누름버튼(14)(24)의 일측에는 토출구(14a)(24a)가 형성된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중 어느 하나를 정립으로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를 역립으로 위치시킨 다음, 제1화장품용기(10)의 회전돌기(13)를 제2화장품용기(20)의 회전홈(23)에 끼워 상기 제1, 2화장품용기(10)(20)의 접촉면(11)(21)이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의 토출구(14a)는 제2화장품용기(20)의 토출구삽입홈(25)에 삽입되고, 상기 제2화장품용기(20)의 토출구(24a)는 제1화장품용기(10)의 토출구삽입홈(15)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2화장품용기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2화장품용기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의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를 뒤집어 제1화장품용기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화장품용기가 뒤집혀 제1화장품용기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1화장품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우선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를 각각 따로 파지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를 고정시킨 상태로 제2화장품용기(20)를 비틀어 한쪽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화장품용기(20)를 회전시키면 제1화장품용기(10)의 토출구(14a)가 제2화장품용기(20)의 토출구삽입홈(25)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의 누름버튼(14)이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10)의 누름버튼(14)을 누르면, 상기 누름버튼(14)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124)은 하측으로 이동되는 반면, 상기 피스톤(124) 외측에 끼워진 피스톤링(125)은 실린더(12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124)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124)과 피스톤링(125)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생긴다.
이후, 상기 누름버튼(14)을 계속 누르면 피스톤링(125)이 피스톤(124)의 외주연에 결합된 가압링(126)의 단부에 닿아 피스톤(124)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12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12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흡입밸브(122)가 흡입구(12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실린더(121) 내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던 내용물이 피스톤(124)과 피스톤링(125) 사이로 나와 상기 피스톤(124) 내부를 통과한다.
이후, 상기 피스톤(124)의 내부를 통과한 내용물은 누름버튼(14)의 배출통로(142)를 거쳐 토출구(14a)로 배출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14)의 가압을 해제하면 누름버튼(14)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27)의 탄성에 의해 누름버튼(14)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누름버튼(14)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124)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피스톤(124)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확장돌륜(124a)이 피스톤링(125)을 위로 끌어 올린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24)과 피스톤링(125) 사이의 틈새가 막히고, 피스톤(124)과 피스톤링(125)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실린더(12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상기 실린더(12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122)가 실린더(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흡입구(121a)를 개방하고, 이에 따라 제1화장품용기(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흡입관(128)을 통해 실린더(121)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121)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흡입홀(121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1화장품용기(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의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우선 화장품용기를 뒤집은 후,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를 각각 따로 파지하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화장품용기(20)를 고정시킨 상태로 제1화장품용기(10)를 비틀어 한쪽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화장품용기(20)를 회전시키면 제2화장품용기(20)의 토출구(24a)가 제1화장품용기(10)의 토출구삽입홈(15)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2화장품용기(20)의 누름버튼(24)이 도 10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제2화장품용기(20)의 누릅버튼(24)을 눌러 제2화장품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구(24a)로 토출시키면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2화장품용기(20)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제1화장품용기(10)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화장품용기 20: 제2화장품용기
11, 21: 접촉면 12, 22: 배출수단
13: 회전돌기 23: 회전홈
14, 24: 누름버튼 14a, 24a: 토출구
15, 25: 토출구삽입홈 16, 26: 개구부
18, 28: 밀폐부재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12)(22) 및
    상기 배출수단(12)(22)을 가압하며, 토출구(14a)(24a)가 구비된 누름버튼(14)(24)을 포함하되,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엇갈리면서 회전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토출구삽입홈(15)(25)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가 마주보는 면에 평면상의 접촉면(1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는 각각 회전돌기(13)와 회전홈(23)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 중 어느 하나는 정립 위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역립 위치로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와 제2화장품용기(20)에는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는 토출구삽입홈(15)(25)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삽입홈(15)(25)은 가로로 형성되어 누름버튼(14)(24)의 토출구(14a)(24a)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14a)(24a)의 가압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14a)는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25)에 삽입되고, 제2화장품용기(20)에 형성된 토출구(24a)는 제1화장품용기(10)에 형성된 토출구삽입홈(15)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KR1020170075708A 2017-06-15 2017-06-15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KR10196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08A KR101963136B1 (ko) 2017-06-15 2017-06-15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708A KR101963136B1 (ko) 2017-06-15 2017-06-15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053A true KR20180137053A (ko) 2018-12-27
KR101963136B1 KR101963136B1 (ko) 2019-03-28

Family

ID=6495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708A KR101963136B1 (ko) 2017-06-15 2017-06-15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897A1 (ko) * 2019-04-19 2020-10-22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961A (ja) * 2003-03-14 2004-10-07 Mitani Valve Co Ltd 内容物出力用容器セットおよび内容物出力用容器
KR200393359Y1 (ko) * 2005-06-08 2005-08-18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용기의 내용물 추출 펌프의 제어구조
KR200427121Y1 (ko) * 2006-07-12 2006-09-20 (주)아모레퍼시픽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KR101022665B1 (ko) * 2011-01-19 2011-03-22 신영숙 커플 용기
JP2011201591A (ja) * 2010-03-26 2011-10-13 Yoshino Kogyosho Co Ltd 多連式吐出容器
JP4817169B2 (ja) * 2005-03-31 2011-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KR20120088999A (ko) * 2011-02-01 2012-08-09 신영숙 커플링 용기
JP2013154936A (ja) * 2012-01-31 2013-08-15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付き二液吐出容器
KR200477046Y1 (ko) * 2013-12-23 2015-05-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이종 내용물 용기
US20160272368A1 (en) * 2015-03-20 2016-09-22 VariBlend Dual Dispensing Systems LLC Bottle interlock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961A (ja) * 2003-03-14 2004-10-07 Mitani Valve Co Ltd 内容物出力用容器セットおよび内容物出力用容器
JP4817169B2 (ja) * 2005-03-31 2011-11-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吐出容器
KR200393359Y1 (ko) * 2005-06-08 2005-08-18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용기의 내용물 추출 펌프의 제어구조
KR200427121Y1 (ko) * 2006-07-12 2006-09-20 (주)아모레퍼시픽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JP2011201591A (ja) * 2010-03-26 2011-10-13 Yoshino Kogyosho Co Ltd 多連式吐出容器
KR101022665B1 (ko) * 2011-01-19 2011-03-22 신영숙 커플 용기
KR20120088999A (ko) * 2011-02-01 2012-08-09 신영숙 커플링 용기
JP2013154936A (ja) * 2012-01-31 2013-08-15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付き二液吐出容器
KR200477046Y1 (ko) * 2013-12-23 2015-05-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이종 내용물 용기
US20160272368A1 (en) * 2015-03-20 2016-09-22 VariBlend Dual Dispensing Systems LLC Bottle inter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897A1 (ko) * 2019-04-19 2020-10-22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136B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CN107847037B (zh) 具有与泵的侧面水平联接的内容物储存容器的紧凑型容器
US8602671B2 (en)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KR101963136B1 (ko) 회전형 이종 화장품용기
KR20160002661U (ko)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981125B1 (ko) 규제 각도 내에서 누름버튼의 가압이 제한되는 화장품용기
KR20160124967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2635393B1 (ko) 로터리 에어리스 컴팩트
KR101745362B1 (ko)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200464918Y1 (ko) 화장품 용기
KR10153363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병마개
KR200444062Y1 (ko) 염색제 용기
KR102032351B1 (ko)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혼합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888865B1 (ko)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혼합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102666606B1 (ko) 화장품 용기
KR101826517B1 (ko) 듀얼 콤팩트 용기
KR102636711B1 (ko) 가압 토출 용기
KR20120047573A (ko) 압축식 화장품 용기
KR101912586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오버캡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